KR102056126B1 -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 Google Patents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126B1
KR102056126B1 KR1020180095997A KR20180095997A KR102056126B1 KR 102056126 B1 KR102056126 B1 KR 102056126B1 KR 1020180095997 A KR1020180095997 A KR 1020180095997A KR 20180095997 A KR20180095997 A KR 20180095997A KR 102056126 B1 KR102056126 B1 KR 10205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nozzle
subwa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민
권순박
박덕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1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9Means for ventila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divergence, convergence or oscillation of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02T3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ca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car which continuously supplies fresh air into a car to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car to be higher than the pressure outside the car to properly maintain inside air by fresh air and prevent bad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car to maintain the inside air in a pleasant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car comprises: an air storage tank arranged on a plurality of cars making up a subway train; a nozzle arranged in the cars to spray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and a duct to connect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nozzle. The nozzle continuously sprays fresh air into the cars.

Description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량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신선한 공기에 의해 내부 공기를 좋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나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inuously supply fresh air to the inside of a vehicle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by fresh air by maintaining the pressure inside the vehicle high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way vehicle air supply device that keeps the inside air in a comfortable state by preventing bad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지하철 터널의 미세먼지 농도는 매우 높은데, 이와 같이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있는 터널을 운행하는 지하철 차량 내부에도 터널 중의 고농도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차량의 미세먼지 농도도 높아진다.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subway tunnel is very high. As such, ai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tunnel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subway vehicle that operates the tunnel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thereby increa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vehicle.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대부분의 지하철 차량에는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치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에 이와 같은 차량 내부의 고농도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필터 타입의 공기청정기를 차량 내부의 천정부 또는 측면부에 설치하여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최근 도입되고 있다. Nevertheless, most existing subway vehicles are not provided with devices for reducing fine dust at all, and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igh concentration fine dust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 Recently, a method of installing a filter-type air cleaner in a vehicle so as to reduce fine dust in a vehicle by installing a ceiling or side portion in the vehicle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팬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를 미세먼지 저감 필터를 인위적으로 통과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Such an air cleaner uses a fan to artificially pass air inside the vehicle through a fine dust reduction filter to collect and remove fine dust in the air.

그리고, 기존의 공기청정기 또는 배기장치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하철의 경우 최근 환경부에서 규제를 시작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의 실내 공기질 가이드라인 등에서 제시하는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항목의 실내 공기질 기준을 만족할 수 없다. In the case of the subway without any air cleaner or exhaust system installed, the indoor air quality standards of the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items sugges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guidelines of public transportation, which are recently being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annot be satisfied. .

이에 최근에는 신규로 제작되는 지하철에 차량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배기가 되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지하 구간에서만 운행하는 지하철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배기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출 수 있으나 터널의 고농도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차량의 미세먼지 농도는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Recently, a new subway system has installed a device to exhaust the exhaust gas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vehicle rises above a certain level.However, in the case of subways that operate only in underground section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lowered by the exhaust. However, as the air including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tunnel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vehicle may be rather increased.

이와 같은 우려 때문에 최근 신규로 제작되는 지하철의 차량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차량 내부에 양압을 걸어주는 것이 아니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정화하기 때문에 운행 중 터널 중 미세먼지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공기청정기 부근의 공기만 미세먼지 농도가 다소 낮을 뿐, 공기청정기와 멀리 떨어진 곳의 미세먼지 농도는 여전히 높을 수 있으며, 또한 승객의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 공기 중 산소 농도 감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문제도 해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Due to such concerns, recently, air cleaners have been installed inside a newly constructed subway vehicle. However, such air cleaners do not apply positive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ut instead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vehicle to clean it.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ine dust into the vehicle, only the air concentration near the air cleaner is slightly low, the dust concentration far away from the air cleaner can still be high, and also by the breathing of passengers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can not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air generated.

또한, 공기청정기의 필터는 주기적으로 교체/청소 등의 관리를 하여야 하며, 이러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세먼지 포집 효율의 감소는 물론 곰팡이 등 미생물의 번식 등으로 오히려 공기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of the air cleaner should be periodically replaced / cleaned, and if not properly managed, the air quality may deteriorat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fin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molds. .

한국등록특허 10-1109521Korea Patent Registration 10-1109521 한국등록특허 10-1328747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2874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다수의 차량에 신선한 공기가 수용된 공기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차량의 내측에 상기 공기 저장 탱크와 덕트로 연결되는 노즐을 구비하여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내의 이산화탄소 또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지하 터널과 같는 곳에서 미세먼지가 많이 포함된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vehicles constituting the railway vehicle includes an air storage tank containing fresh air, and a nozzle connected to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duct inside the vehicle to continuously supply fresh air, thereby providing internal pressure of the vehicle. To maintain higher than the outside pressure to not only discharge the carbon dioxide or air containing fine dust in the vehicle to the outside, but also to prevent the air containing a lot of fine dust from entering the vehicle, such as underground tunnels. To provide an air supply for subway car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내부에는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고, 차량 내부에 수용된 인원을 감지하기 위한 승객수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차량내 탑승한 승객의 수,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산소 농도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는 신선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fine dust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oxygen concentration in a vehicle, and a passenger number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 person accommodated in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assenger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to adjust the amount of fresh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provide a subway vehicle air supply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각 부분에 분산 설치된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산소 농도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 차량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신선한 공기의 전체 공급량은 덕트에 구비된 제어 밸브를 통하여 제어하며, 각 부분의 공기 상태에 따라 공기 상태가 좋은 부분에는 소량만 분사하고, 공기 상태가 좋지 않은 부분에는 많이 분사하도록 각 노즐에 설치되는 보조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각 부분에 분사되는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 질을 고르게 좋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distributed in each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total supply of fresh air for supply to the vehicle is provided in the duct Control the auxiliary control valve installed in each nozzle so that only a small amount is sprayed to the part with good air condition and a lot is sprayed to the part with poor 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 of each part. It is to provide a subway vehicle air supply to control the amount of injected to keep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evenly in good condi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지하철을 구성하는 다수의 차량에 구비되는 공기 저장 탱크와, 상기 차량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저장 탱크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과, 공기 저장 탱크와 노즐을 연결하는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은 지속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ir storage tanks provided in a plurality of vehicles constituting the subway, a nozzl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injec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duct connecting the nozzle is made of The nozzle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ly injecting fresh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차량의 내측에는 차량 내부 공기의 질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구비되되, 상기 센서부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산소 농도 센서, 미세먼지 농도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sensor unit includes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 oxygen concentration sensor, and a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그리고, 상기 차량에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에 의해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nozzl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이때, 상기 덕트에는 제어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 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노즐로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uct is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nozzle by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센서부에 의해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의 분포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by a plurality of sensor unit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각 노즐에는 보조 제어 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 분포도에 따라 보조 제어 밸브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각 노즐에서 분사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each nozzl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ntrol valve,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jected from each nozzle by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auxiliary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carbon dioxide and fine dust distribu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공기 압력이 차량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to maintain a pressure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또한, 상기 센서부에는 차량 내부의 승객의 숫자를 감지하는 승객수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ssenger number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다수의 차량에 신선한 공기가 수용된 공기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차량의 내측에 상기 공기 저장 탱크와 덕트로 연결되는 노즐을 구비하여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공기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 내의 이산화탄소 또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지하 터널과 같는 곳에서 미세먼지가 많이 포함된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vehicles constituting a railroad vehicle with an air storage tank containing fresh air, an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having a nozzle connected to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duct By continuously supplying fresh air,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thereby not only discharging air containing carbon dioxide or fine dust in the vehicle to the outside, but also fine dust in places such as underground tunnels.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air containing a lot to be introduced into the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는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고, 차량 내부에 수용된 인원을 감지하기 위한 승객수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차량 내 탑승한 승객의 수,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산소 농도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는 신선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fine dust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provided with a passenger number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eople accommodated in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like, the amount of fresh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내부 각 부분에 분산 설치된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산소 농도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 차량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신선한 공기의 전체 공급량은 덕트에 구비된 제어 밸브를 통하여 제어하며, 각 부분의 공기 상태에 따라 공기 상태가 좋은 부분에는 소량만 분사하고, 공기 상태가 좋지 않은 부분에는 많이 분사하도록 각 노즐에 설치되는 보조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각 부분에 분사되는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 질을 고르게 좋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distributed in each part of the vehicle, the total supply amount of fresh air to supply to the vehicle Is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duct, and controls the auxiliary control valve installed in each nozzle so that only a small amount is sprayed to the part with good air condition and a lot is sprayed to the part with poor 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 of each part. It is effective to mainta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evenly by adjusting the amount injected to each part.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객차용 공기청정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차량 내측 상부에 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차량 내측 측면부에 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for subway cars.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a sub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a sub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nozzle on the upper inside of the vehicle of the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nozzle in a vehicle inner side portion of the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차량 내측 상부에 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의 차량 내측 측면부에 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of a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nozzle on the vehicl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nozzle on the vehicl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지하철 또는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다수의 차량(100)에 구비되는 공기 저장 탱크(210)와 상기 차량(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저장 탱크(21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240)과 공기 저장 탱크(210)와 노즐(240)을 연결하는 덕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vehicle, and as shown in FIGS. 2 to 4, the configuration includes an air storage tank 210 and the vehicle (100) provided in a plurality of vehicles 100 constituting a subway or railway vehicle. It is provided inside the 100 and comprises a nozzle 240 for injec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210 and a duct 220 for connecting the air storage tank 210 and the nozzle 240.

여기서, 상기 공기 저장 탱크(210)는 차량(100)의 형태에 따라 차량(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 저장 탱크(210)의 내부에는 신선한 공기가 수용되어 상기 노즐(240)은 공기 저장 탱크(210)와 연결된 덕트(220)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 받아 차량(100)의 내측으로 지속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Here, the air storage tank 210 is install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hicle 100, the fresh air is accommodated in the air storage tank 210, the nozzle 240 is Fresh air is provided through the duct 220 connected to the air storage tank 210 to continuously supply fresh ai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 공급 장치는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기 때문에 차량(100) 내부의 공기 압력이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차량(100) 내부의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 등의 좋지 않은 성분을 차량(100)의 도어나 창문의 틈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supplies fresh ai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100 becomes higher than the outside air pressure, so that fine dust or carbon dioxide in the vehicle 100 is prevented. The bad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the gap of the door or window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또한, 터널과 같은 곳에서는 외부와 격리되어 있어 미세먼지와 같은 좋지 않은 물질의 농도가 외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지하철이 터널 구간을 주행할 때, 이러한 좋지 않은 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량(100) 내부의 공기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나 창문 등의 틈을 통하여 외부의 미세먼지와 같은 좋지않은 물질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places such as tunnels, the concentration of bad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side because they ar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subway runs through the tunnel section, such bad substances can easily be introduced therein. Since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100 is higher than the outside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d material such as external fine dust from being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air through the gaps of the door or the window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각 차량(100)에 구비되는 공기 저장 탱크(210)에 저장되는 공기는 압축된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공기 저장 탱크(2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축된 공기 저장 탱크(210)가 과도한 압력에 의해 폭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폭 장치(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And, since the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tank 210 provided in each vehicle 100 is stored in a compressed st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air storage tank 210, such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210 ) Is provided with an explosion-proof device (not shown) to prevent the explosion by excessive pressure.

이때, 각 공기 저장 탱크(210)에 수용된 공기가 줄어들 경우, 공기를 충전하여야 하는데, 각 역에 신선한 공기를 압축 저장하기 위한 공급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역에 정차할 때, 공기를 충전할 수도 있고, 차량기지에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신선한 공기를 충전할 수도 있으며, 차량에 공기 압축기 등을 설치하여 정화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충전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air contained in each air storage tank 210 is reduced, the air should be charged, and when the station is provided with a supply device (not shown) for compressing and storing fresh air at each station, the air is charged. Alternatively, the vehicle base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device to fill fresh air, or an air compresso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o fill purified air through a purification device (not shown).

한편, 상기 차량(100)의 내측에는 차량(100) 내부 공기의 질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부(250)는 내부에 분포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와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 농도 센서와 산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 농도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250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vehicle 100, the sensor unit 250 is a carbon dioxide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istributed therein It comprises a concentration sensor and a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an oxygen concent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여기서, 상기 센서부(250)에는 차량(100) 내부에 탑승한 승객의 숫자를 감지하기 위한 승객수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게 되며, 상기 승객 수 감지 센서는 카메라의 영상을 판독하거나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여 승객의 수를 감지하는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승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ensor unit 250 further includes a passenger number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100, the passenger number sensor is to read the image of the camera or load the load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number of passengers by using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sensing the number of passengers.

그래서, 상기 센서부(250)를 통하여 감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하여 각 차량(100)의 내부에 분포된 이산화탄소의 농도, 미세먼지의 농도, 산소의 농도 및 승객의 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fine dust, oxygen,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distributed in each vehicle 100 may be confirmed in real time through variou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50.

그리고, 상기 차량(100)에는 제어부(2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센서부(250)에서 감지한 정보에 의해 공기 저장 탱크(210)에서 노즐(240)로 공급하는 신선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260, the control unit 260 is fresh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210 to the nozzle 240 by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50 Will control the amount of.

여기서, 상기 공기 저장 탱크(210)와 노즐(240)을 연결하는 덕트(220)에는 공기 저장 탱크(210)에서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밸브(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 밸브(230)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Here, the duct 220 connecting the air storage tank 210 and the nozzle 240 is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23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resh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210, the control The valve 2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60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센서부(250)를 통하여 차량(100)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게 되는데, 센서부(250)를 구성하는 산소 동도 센서에서 감지한 산소의 농도가 감소하거나, 미세먼지 농도 센서에서 감지한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하거나,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서 감지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거나, 승객수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승객수가 증가할 경우에는 제어 밸브(230)의 개방정도를 크게 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차량(100) 내부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며, 반대의 경우에는 제어 밸브(230)의 개방 정도를 작게 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주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260 monitors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100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or unit 250, which is detected by the oxygen kinetic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50. When the concentration of oxygen decreas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increas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increases, or the number of passengers detected by the passenger sensor detects a control valve ( The opening degree of 23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maintain the air inside the vehicle 100 in a comfortable state,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230 is made smaller to supply air. Will reduce the amount of.

그리고, 상기 제어부(260)는 각 차량(100)의 내부 공기 상태를 평균으로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부분에 분산되어 설치된 센서부(250)를 통하여 각 부분별로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승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60 not only grasps the internal air condition of each vehicle 100 as an average, but als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and fine dust for each part through the sensor unit 250 distributed in each part. The concentration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can be checked.

이때, 상기 차량(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노즐(240) 역시 각 부분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 노즐(240)에는 보조 제어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60)에서 감지한 각 부분의 공기 상황에 따라 각 노즐(240)로 분사되는 공기의 양을 각각 조절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nozzle 240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00 is also installed to be evenly distributed in each part, and each nozzle 24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ntrol valve (not shown), the control unit 260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each nozzle 2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air condition of each part.

즉, 상기 제어부(260)는 각 차량(100)의 실내 공기 상황을 파악하여 공급할 신선한 공기의 전체 양을 계산하며, 이렇게 설정된 전체 공기의 양을 각 노즐(240) 별로 분배할 때, 차량(100) 내부에 분포된 이산화탄소, 산소, 미세먼지, 승객의 수에 따라 적절하게 분배하여 보조 제어 밸브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260 grasps the indoor air situation of each vehicle 100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fresh air to be supplied, and when distributing the total amount of air set by each nozzle 240, the vehicle 100.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y appropriately distributing 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bon dioxide, oxygen, fine dust, and number of passengers distributed inside.

따라서, 각 부분의 오염도에 따라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된 노즐(240)에서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차량(100) 내부의 대류 현상에 기대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amount of fresh air supplied from the nozzle 24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part, even if not expecting the convection phenomenon inside the vehicle 100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as a whole.

한편, 상기 제어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 내부의 공기 압력이 차량(100)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차량(100)의 내측에는 내부 압력 센서(272)를 구비하고, 차량(100)의 외측에는 외부 압력 센서(274)를 구비하여 공기 저장 탱크(21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최소량을 조절하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100 to maintain a pressure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100. An internal pressure sensor ( 272 and an external pressure sensor 274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to adjust the minimum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210.

즉, 차량(100) 내부의 공기 질이 좋아서 많은 양의 공기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외부의 공기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배출되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차량(1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높여주어 외부의 나쁜 공기가 차량(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although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100 is good, a comfor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ithout supplying a large amount of air. However, when the outside air pressure is high,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discharged room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The internal air pressure is increased to prevent bad ai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hich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량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신선한 공기에 의해 내부 공기를 좋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나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inuously supply fresh air to the inside of a vehicle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by fresh air by maintaining the pressure inside the vehicle high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way vehicle air supply device that keeps the inside air in a comfortable state by preventing bad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100 : 차량 210 : 공기 저장 탱크
220 : 덕트 230 : 제어 밸브
240 : 노즐 250 : 센서부
260 : 제어부 272 : 내부 압력 센서
274 : 외부 압력 센서
100: vehicle 210: air storage tank
220: duct 230: control valve
240: nozzle 250: sensor
260 control unit 272 internal pressure sensor
274: external pressure sensor

Claims (8)

지하철을 구성하는 다수의 차량에 구비되는 공기 저장 탱크와,
상기 차량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저장 탱크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과,
공기 저장 탱크와 노즐을 연결하는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은 지속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분사하며,
상기 차량의 내측에는 차량 내부 공기의 질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구비되되, 상기 센서부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산소 농도 센서, 미세먼지 농도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어부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센서부에 의해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의 분포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노즐에는 보조 제어 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 분포도에 따라 보조 제어 밸브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각 노즐에서 분사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차량의내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
An air storage tank provided in a plurality of vehicles constituting the subway,
A nozzl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to inject air supplied from the air storage tank;
It comprises a duct connecting the nozzle and the air storage tank, the nozzle continuously sprays fresh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vehicle, the sensor unit comprises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oxygen concentration sensor,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an check the distribution of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by a plurality of sensor unit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Each nozzl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ntrol valv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auxiliary control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carbon dioxide and fine dust distribution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jected from each nozzle to evenly feel the inside of the vehicle as a whole. Maintaining a subway vehicle ai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제어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 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노즐로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ct is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the air supply device for a sub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nozzle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in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공기 압력이 차량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subway vehicle ai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to maintain a higher pressure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차량 내부의 승객의 숫자를 감지하는 승객수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차량용 공기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a passenger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 the subway vehicle air supply apparatus.
KR1020180095997A 2018-08-17 2018-08-17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KR102056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97A KR102056126B1 (en) 2018-08-17 2018-08-17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97A KR102056126B1 (en) 2018-08-17 2018-08-17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126B1 true KR102056126B1 (en) 2020-01-22

Family

ID=6936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997A KR102056126B1 (en) 2018-08-17 2018-08-17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1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89A1 (en) * 2021-02-02 2022-08-11 하영주 Oxygen supply system for closed spa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644A (en)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효림에코플라즈마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ir concentration of vehicle
KR20110040517A (en) * 2009-10-14 2011-04-20 현대로템 주식회사 Oxygen supply system of railway vehicle
KR101328747B1 (en) 2011-12-19 2013-1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carbon dioxide reduction for subway coach
JP2015051680A (en) * 2013-09-06 2015-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Vehicula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644A (en)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효림에코플라즈마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ir concentration of vehicle
KR20110040517A (en) * 2009-10-14 2011-04-20 현대로템 주식회사 Oxygen supply system of railway vehicle
KR101109521B1 (en) 2009-10-14 2012-01-31 현대로템 주식회사 Oxygen supply device for railway vehicle
KR101328747B1 (en) 2011-12-19 2013-1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carbon dioxide reduction for subway coach
JP2015051680A (en) * 2013-09-06 2015-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Vehicula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89A1 (en) * 2021-02-02 2022-08-11 하영주 Oxygen supply system for closed spa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168B1 (en) System for ventilation in subwaystation building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inside air and outside air and method therefor
KR101679403B1 (en) Particulate Matter removal system of subway vent
KR100797057B1 (en) Dust removal system for subway tunnel using mist and air curtain
KR200427932Y1 (en) Air curtain apparatus for subway station
KR102056126B1 (en) an air suppling device for a car of railway vehicle
KR20130130693A (en) Method and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in normal conditions and in conditions of fire
KR102076852B1 (en) Air purity device for train-vehicle
KR101387998B1 (en) Fine particle reduction equipment for subway tunnel
KR101046939B1 (en) Subway air filter
KR20150109796A (en) a system for Ventilation and Smoke Evacuation on Subway Train Vehicle
CN105268317A (en) Tunnel air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structure and air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thereof
KR101109521B1 (en) Oxygen supply device for railway vehicle
KR10205441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of underground railway
KR102208241B1 (en) High-efficiency bagfilter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underground tunnel space
ES2944484T3 (en) Station, in particular tunnel station and use of a filter unit in a station
CN205073884U (en) Tunnel ventilation purification structure
CN115512677B (en) Noise-reducing and wind-distribu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of rail train
Walkinshaw et al. Stack pressure-created airflows in insulation envelopes, part 2: passenger aircraft
KR101791194B1 (en) a ventilation control method for a station
KR102229507B1 (en) Pollutant removal and entry blocking system in underground parking lot
CN204659735U (en) The new wind sand protecting and dust removing device of rail vehicle air conditioner group
KR20130023896A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of railroad carriages
CN103711517B (en) personal protection system
KR102599462B1 (en) High-speed two-way air purification electric train that recycles driving train
CN113498393A (en) Air interchanger for rai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