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823B1 - 제본기 - Google Patents

제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823B1
KR102055823B1 KR1020180080013A KR20180080013A KR102055823B1 KR 102055823 B1 KR102055823 B1 KR 102055823B1 KR 1020180080013 A KR1020180080013 A KR 1020180080013A KR 20180080013 A KR20180080013 A KR 20180080013A KR 102055823 B1 KR102055823 B1 KR 10205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isposed
plate
unit
adhesiv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태
정재만
Original Assignee
디.에이.씨 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씨 정공(주) filed Critical 디.에이.씨 정공(주)
Priority to KR102018008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 소모를 절감하며, 제본의 신뢰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킨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렬된 집합인쇄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안내봉을 따라 왕복하는 클램핑유닛과, 상기 클램핑유닛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를 긁는 스커핑유닛과, 상기 스커핑유닛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에 액상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유닛과, 상기 접착제도포유닛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액상접착제가 도포된 집합인쇄물의 접착부위에 표지를 접착하는 접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제도포유닛은 상부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액상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장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하는 접착제조절장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제도포장치 및 접착제조절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본기 {BOOKBINDING DEVICE}
본 발명은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접착제 소모를 절감하며, 제본의 신뢰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킨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제본기는 좌우방향의 안내봉을 따라 왕복하면서 집합인쇄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유닛과, 집합인쇄물의 하단 접착부위를 긁어주는 스커핑유닛과,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유닛과, 접착제가 도포 된 집합인쇄물의 하단에 표지를 접착하는 접착유닛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일반적인 제본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정렬된 집합인쇄물은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되고, 이어서 클램핑유닛이 스커핑유닛, 접착제도포유닛, 접착유닛 방향으로 순차 이동하면서 집합인쇄물을 제본한다음, 제본된 집합인쇄물을 클램핑대에서 인출하면 클램핑대는 원상복귀하여 차기 제본을 위해 대기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한 방식의 일반적인 제본기의 클램핑유닛에 집합인쇄물이 개별인쇄지에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혀 개별인쇄지간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등록번호 제10-1311434호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를 발명하여 개별인쇄지간의 부착력을 높이고 제본의 신뢰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킨 제본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등록번호 제10-1311434호는 집합인쇄물의 하단이 구부러지게 하여 제본의 신뢰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접착제의 과다 도포로 인한 접착면 과대 확장, 접착후 접착제 세어나옴, 접착제 과다 소모 등의 부작용 또한 발생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143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가 포함된 제본기에 있어서, 과다 도포된 액상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제본의 신뢰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는 정렬된 집합인쇄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안내봉을 따라 왕복하는 클램핑유닛과, 상기 클램핑유닛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를 긁는 스커핑유닛과, 상기 스커핑유닛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에 액상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유닛과, 상기 접착제도포유닛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액상접착제가 도포된 집합인쇄물의 접착부위에 표지를 접착하는 접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제도포유닛은 상부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액상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장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하는 접착제조절장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제도포장치 및 접착제조절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조절장치를 접착제도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접착공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자유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축과 결합된 조절판,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회전축의 진행방향에 이격 배치되어 자유회전 가능하며 편심축을 포함하는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조절핸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승강장치를 하단에 배치된 제3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평면에 배치되는 승강모터 및 상기 승강모터와 연결된 승강캠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는 과다 도포된 액상접착제의 용량을 최적화된 용량으로 조절하여 제본기의 액상접착제 사용량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본의 신뢰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된 액상접착제 용량을 조절할 때, 승강장치에 의해 접착제도포장치가 하강하도록 작용하여 제본기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본기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도포유닛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를 접착제도포유닛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접착제조절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조절장치의 작용을 예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작용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전,후,좌,우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는 정렬된 집합인쇄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안내봉을 따라 왕복하는 클램핑유닛(100)과, 상기 클램핑유닛(10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를 긁는 스커핑유닛(200)과, 상기 스커핑유닛(20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유닛(300)과, 상기 접착제도포유닛(30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집합인쇄물의 접착부위에 표지를 접착하는 접착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는 액상접착제(수성)이고 상기한 진행방향은 좌측을 의미한다.
상기 클램핑유닛(100)은 접착제의 도포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집합인쇄물을 압착하는 압착장치의 양측 압착판 각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변판 및 받침판과, 상기 가변판 및 받침판을 상기 양측의 압착판에 각각 연결하는 탄력판과, 상가 가변판 및 받침판 외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상단은 압착판 외면 하단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 회전하는 한 개 이상의 밀판 및 파지판과, 상기 밀판과 파지판의 각 회전축을 독립적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유닛(100) 및 클램핑유닛(100)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 기술과, 스커핑유닛(200), 접착유닛(400)은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도포유닛(300)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도포유닛(300)은 상부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장치(310)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하는 접착제조절장치(320)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제도포장치(310) 및 접착제조절장치(320)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30)를 포함한다.
접착제도포장치(310)는 하단의 제1플레이트(317)와, 상기 제1플레이트(317)의 평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부는 제2플레이트(316)의 저면과 접촉되는 완충장치(318)와, 상기 완충장치(318)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316)와, 상기 제2플레이트(316)의 저면에 결합되는 접착모터브라켓(312) 및 접착모터(311)와, 상기 제2플레이트(316) 평면에 배치되어 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용기(314)와, 상기 접착제용기(314) 내부에 배치되는 접착롤러(315)와, 상기 접착롤러(315)와 접착모터(311)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플레이트(316)와 제1플레이트(317) 사이에는 완충장치(318)가 배치되어 승강장치(330)에 의해 승강하는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접착제용기(314)가 전달받는 승강 충격을 상쇄한다. 따라서 완충장치(318)의 작용에 따라 접착제용기(314) 내부에 수용된 액상접착제가 승강충격에 의해 접착제용기(314)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모터(311)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313)에 의해 접착롤러(315)로 전달되고, 접착제용기(314)의 접착제는 회전하는 접착롤러(315)의 표면에 점착되며, 점착된 접착제는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도포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수단(313)을 기어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은 기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밸트, 풀리 등 다양하게 개시될 수 있다.
접착모터(311)는 접착모터브라켓(312)과 고정되고, 상기 접착모터브라켓(312)의 상단은 제2플레이트(316)의 저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접착모터(311)는 제2플레이트(316)의 승강에 동조하여 승강한다. 상기와 같이 접착모터(311)가 제2플레이트(316)에 고정되는 것은 승강장치(330)의 작용에 따라 접착제도포장치(310)가 승강 하더라도 접착롤러(315)와 접착모터(311)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접착롤러(31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접착제조절장치(320)는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과다하게 도포된 액상접착제의 도포량을 최적의 도포량으로 조절한다. 도면에서는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좌측에 접착제조절장치(320)가 배치되었으나, 만약 제본기의 제본 진행방향이 우측이라면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우측에 접착제조절장치(320)가 배치된다. 즉, 접착제조절장치(320)는 접착제도포장치(310)와, 접착유닛(4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제조절장치(320)는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2플레이트(316)와 힌지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접착공(321a)을 포함하는 커버(321)와, 상기 커버(321)의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블록(322)과, 상기 지지블록(322)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자유회전 가능한 회전축(323) 및 상기 회전축(323)에 일정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성장치(324)와, 상기 회전축(323)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축(323)과 결합되며 회수공(326)을 포함하는 조절판(325)과, 상기 지지블록(322)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회전축(323)의 진행방향에 이격 배치되어 자유회전 가능하며 편심축(329)을 포함하는 조절축(328)과, 상기 조절축(328)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조절핸들(327)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321)는 접착롤러 제2플레이트(316)의 상부에 배치되고, 커버(321)의 접착공(321a)을 통해 접착롤러(315)의 상부와 조절판(325)의 우측 일부가 커버(321)의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321)는 제2플레이트(316)와 힌지 결합되어,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접착공(3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접착롤러(315)의 상부에는 클램핑유닛(100)에 의해 하부가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기울어진 집합인쇄물의 저면이 접촉되어 접착제가 충분하게 도포되고, 상기 클램핑유닛(100)은 진행방향의 반대방향 즉 우측으로 이동하여 집합인쇄물의 하부를 다시 수직으로 정렬한 다음 다시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하는 집합인쇄물은 접착공(321a)을 통해 커버(321)의 외부로 노출된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와 긁히듯이 접촉되어 접착제의 도포량이 조절된다.
조절판(325)에 긁히듯이 접촉하며 도포량이 조절된 접착제는 조절판(325)의 회수공(326)을 통해 접착제용기(314)로 회수된다. 상기 회수공(326)은 조절판(325)의 우측단부 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 단부에서 진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이며 접착제용기(314)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조절축(328)의 편심축(329)은 조절판(325)의 좌측 저면과 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탄성장치(324)는 조절판(325)의 진행방향 단부, 즉 좌측부가 항상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한다. 따라서 조절핸들(327)을 돌려 조절축(328) 및 편심축(329)이 회전하여 편심축(329)이 조절판(325)의 좌측단부를 상승시키면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는 하강하고, 반대로 편심축(329)이 조절판(325)의 좌측단부를 하강시키면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는 상승한다. 즉, 조절판(325)은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시소와 유사하게 움직인다.
상기 탄성장치(324)는 조절판(325)을 소형화시키고, 이로 인해 접착제조절장치(320)를 소형화시킨다. 상기 탄성장치(324)가 부재할 경우에 조절판(325)은 회전축(323)을 기준으로 회전축(323)의 진행방향, 즉 회전축(323)을 기준으로 조절판(325)의 좌측이 우측보다 무거워야 조절판(325)의 좌측이 하강하고 우측이 상승하므로 조절판(325)을 소형화 하는데 좌우 방향으로 제약이 발생된다. 탄성장치(324)는 상기한 조절판(325)을 소형화 하는데 발생하는 제약을 해소하여 조절판(325)을 소형화하고 접착제조절장치(320) 또한 소형화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때에는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가 하강하고, 이 때 조절판(325) 우측 단부의 높이는 접착롤러(315)의 상단부 보다 낮은 위치이다. 이 후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할 때에는 승강장치(330)에 의해 접착제도포장치(310) 및 접착제조절장치(320)가 하강함과 동시에 편심축(329)의 작용에 의해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가 상승하여 이동하는 집합인쇄물의 저면을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가 긁어 접착제 도포량을 조절한다. 이 때 조절판(325) 우측 단부의 높이는 접착롤러(315)의 상단부 높이 보다 높은 위치이다.
승강장치(330)는 하단에 배치된 제3플레이트(331)와, 상기 제3플레이트(331)의 평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플레이트(317)와 제2플레이트(316)를 관통하는 가이드(332)와, 상기 제3플레이트(331)의 평면에 배치되는 승강모터(333)와, 상기 승강모터(333)와 연결된 승강캠(334)과, 상기 제3플레이트(331)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승강실린더(335)와, 상기 승강실린더(335)에 접속되고 상단부는 제1플레이트(317)의 저면과 결합 고정되는 승강로드(336)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캠(334)은 승강모터(333)의 회전에 따라 승강모터(333)의 회전운동을 접착제도포장치(310) 및 접착제조절장치(320)의 승강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접착제도포장치(310) 및 접착제조절장치(320)의 상승은 승강캠(334)의 의하지만, 하강은 중력에 의한다. 가이드(332)는 제2플레이트(316) 및 제1플레이트(317)를 관통하며 돌출 배치되어 제2플레이트(316)와 제1플레이트(317)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고, 승강로드(336)는 상단부가 제1플레이트(317)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가 승강실린더(335)의 내부에 접속되어 제2플레이트(316) 및 제1플레이트(317)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는 집합인쇄물의 하부를 기울여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에는 접착제도포장치(310) 및 접착제조절장치(320)가 하강함과 동시에 접착제조절장치(320)의 조절판(325) 우측 단부가 하강한다. 이는 클램핑유닛(100)이 진행방향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며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집합인쇄물의 하부를 기울이면 집합인쇄물 저면의 높이가 높아져 승강장치(330)의 상승 작용이 없으면 접착제 도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클램핑유닛(100)이 진행방향으로 이동하여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접착제 도포가 완료되면, 클램핑유닛(100)은 다시 집합인쇄물의 하부를 수직으로 정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도포유닛(300)은 접착제도포장치(310)와 접착제조절장치(320)가 제본기의 소형화를 위해 근접배치되어 있어, 집합인쇄물 저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집합인쇄물이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후 다시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며 집합인쇄물의 저면이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와 긁히듯이 접촉해야 한다.
따라서, 집합인쇄물의 하부가 수직으로 정렬되어 집합인쇄물 저면이 높이가 다시 낮아지면, 집합인쇄물의 진행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집합인쇄물의 저면이 다시 접착롤러(315) 접촉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치(330)의 작용에 의해 접착제도포장치(310)와 접착제조절장치(320)가 하강하게 된다. 하지만, 접착제조절장치(320)가 하강 작용만 하게되면 집합인쇄물 저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조절핸들(327) 및 조절축(328)을 회전시켜 편심축(329)을 작용하게 하고, 편심축(329)은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를 상승시켜 집합인쇄물의 저면과 조절판(325)의 우측 단부가 접촉하도록 작용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클램핑유닛 200:스커핑유닛
300:접착제도포유닛 310:접착제도포장치
311:접착모터 312:접착모터브라켓
313:동력전달수단 314:접착제용기
315:접착롤러 316:제2플레이트
317:제1플레이트 318:완충장치
320:접착제조절장치 321:커버
321a:접착공 322:지지블록
323:회전축 324:탄성장치
325:조절판 326:회수공
327:조절핸들 328:조절축
329:편심축 330:승강장치
331:제3플레이트 332:가이드
333:승강모터 334:승강캠
335,승강실린더 336,승강로드
400,접착유닛

Claims (3)

  1. 정렬된 집합인쇄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안내봉을 따라 왕복하는 클램핑유닛(100)과,
    상기 클램핑유닛(10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를 긁는 스커핑유닛(200)과,
    상기 스커핑유닛(20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 접착부위에 액상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유닛(300)과,
    상기 접착제도포유닛(30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액상접착제가 도포된 집합인쇄물의 접착부위에 표지를 접착하는 접착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제도포유닛(300)은 상부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액상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장치(310)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어 집합인쇄물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접착제의 도포량을 조절하는 접착제조절장치(320)와,
    상기 접착제도포장치(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제도포장치(310) 및 접착제조절장치(320)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3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조절장치(320)를 접착제도포장치(3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접착공(321a)을 포함하는 커버(321), 상기 커버(321)의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블록(322), 상기 지지블록(322)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자유회전 가능한 회전축(323), 상기 회전축(323)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축(323)과 결합된 조절판(325), 상기 지지블록(322)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회전축(323)의 진행방향에 이격 배치되어 자유회전 가능하며 편심축(329)을 포함하는 조절축(328) 및 상기 조절축(328)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조절핸들(327)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승강장치(330)를 하단에 배치된 제3플레이트(331), 상기 제3플레이트(331)의 평면에 배치되는 승강모터(333) 및 상기 승강모터(333)와 연결된 승강캠(33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착제도포장치(310)는 하단의 제1플레이트(317)와,
    상기 제1플레이트(317)의 평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단부는 제2플레이트(316)의 저면과 접촉하는 완충장치(318)와,
    상기 완충장치(318)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316)와,
    상기 제2플레이트(316)의 저면에 결합되는 접착모터브라켓(312) 및 접착모터(311)와,
    상기 제2플레이트(316) 평면에 배치되어 액상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용기(314)와,
    상기 접착제용기(314) 내부에 배치되는 접착롤러(315)와,
    상기 접착롤러(315)와 접착모터(311)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
  3. 삭제
KR1020180080013A 2018-07-10 2018-07-10 제본기 KR10205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13A KR102055823B1 (ko) 2018-07-10 2018-07-10 제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13A KR102055823B1 (ko) 2018-07-10 2018-07-10 제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823B1 true KR102055823B1 (ko) 2019-12-13

Family

ID=6884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13A KR102055823B1 (ko) 2018-07-10 2018-07-10 제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8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568A (en) * 1971-12-20 1975-02-18 Taiyo Seiki Co Bookbinding Machine
JP2000168265A (ja) * 1998-12-11 2000-06-20 Horizon International Kk 製本機
KR200246484Y1 (ko) 1998-02-05 2001-12-28 김용래 제본기의 압착대 논슬립장치
JP2007062148A (ja) * 2005-08-31 2007-03-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冊子製本装置
KR20110136356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엠알 스마트 제본기
KR101311434B1 (ko) 2012-09-27 2013-09-26 정재만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CN205553651U (zh) * 2016-04-30 2016-09-07 温州锐光机械有限公司 一种包本机及其上胶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568A (en) * 1971-12-20 1975-02-18 Taiyo Seiki Co Bookbinding Machine
KR200246484Y1 (ko) 1998-02-05 2001-12-28 김용래 제본기의 압착대 논슬립장치
JP2000168265A (ja) * 1998-12-11 2000-06-20 Horizon International Kk 製本機
JP2007062148A (ja) * 2005-08-31 2007-03-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冊子製本装置
KR20110136356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엠알 스마트 제본기
KR101311434B1 (ko) 2012-09-27 2013-09-26 정재만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CN205553651U (zh) * 2016-04-30 2016-09-07 温州锐光机械有限公司 一种包本机及其上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823B1 (ko) 제본기
CN107718922A (zh) 一种书芯胶订联动生产线的翻转系统
CN209928675U (zh) 一种书法练习桌
CN215474016U (zh) 一种财务会计凭证粘胶装置
CN205291711U (zh) 纸盒成型机的底板面纸包边装置
CN204932286U (zh) 一种活动式底座
CN202137086U (zh) 一种液态胶涂覆装置
CN203919834U (zh) 全自动粘箱机中的涂胶装置
CN210822959U (zh) 一种适于贴付小圆角和直角产品的贴膜装置
CN210207417U (zh) 涂布机的涂布机构
CN209438918U (zh) 一种防震动布料涂层装置
CN211436857U (zh) 一种方便调整的纸板上胶机
CN215972405U (zh) 一种自动封箱装置
CN110152939A (zh) 电池片涂胶装置
CN113006421B (zh) 一种瓷砖背面自动涂浆设备
CN113547792A (zh) 一种纸质包装袋生产加工机械及加工工艺
CN214419974U (zh) 一种组合式不动产证书打印设备的翻页机构
CN210794583U (zh) 一种胶订包本机的收集装置
CN113263852A (zh) 一种可连续自动涂胶的会计用涂胶机
CN106542134A (zh) 自动封盒包装系统
CN208305904U (zh) 全自动粘箱机
JP5008474B2 (ja) 製本機用糊付け装置
CN108973248A (zh) 一种可精确调整涂胶宽幅和倾角的瓦楞机糊轮装置
CN214140927U (zh) 一种包装装潢印刷品用装订设备
KR20070105442A (ko) 책 제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