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666B1 -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666B1
KR102055666B1 KR1020180065572A KR20180065572A KR102055666B1 KR 102055666 B1 KR102055666 B1 KR 102055666B1 KR 1020180065572 A KR1020180065572 A KR 1020180065572A KR 20180065572 A KR20180065572 A KR 20180065572A KR 102055666 B1 KR102055666 B1 KR 10205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w material
parts
material composition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희
이시우
강기원
오재석
Original Assignee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08G2101/002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1)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 난연제 15 내지 35 중량부, 정포제 2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믹싱하여 제1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제1 원료 조성물과 발포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또는 제1 스태틱 믹서와 다이나믹 믹서가 직렬 연결된 제1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2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2 원료 조성물을 제2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3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폴리메릭 엠디아이(polymeric MDI)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서로 충돌하도록 믹싱헤드로 각각 공급하여 제4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5) 상기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제4 원료 조성물을 발포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emi-non-combustible hard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점도의 폴리올과 기타 첨가제들의 불균일한 혼합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난연성이 우수한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재료는 경량이고 단열성능이 높고 난연성을 지닌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이는 건축물의 내·외장재로서 가벼우면서도 단열성이 우수한 제품들이 건축물의 외적인 미감과 사용상의 경제성을 가져다 준다는 경험칙에 근거하여 현대인들로부터 폭 넓게 요구되고 있는 점에 기인한다.
이러한 건축물들이 현대인들의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공장의 내·외벽으로서의 사용, 냉동창고의 벽면의 형성, 조립식 건물에서의 사용 등과 같이 다양한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사용 및 관리 소홀로 인한 불의의 화재 시에 안전상의 대책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재료로서는 경량성, 단열성 및 난연성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단열재로는, 스티로폼, 유리섬유,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등이 있다.
스티로폼은 상대적으로 단열성이 부족하여 동일한 단열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고, 난연성이 취약하여 건축물의 화재 시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유리섬유는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에 강하지만, 취급이 어렵고, 단열성능이 매우 부족하여, 상기 스티로폼에 비해 두께가 더 두꺼워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상기 다른 단열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시 많이 사용되는 발포제는 HCFC-141b로서, 이는 단열성이 우수하지만, 대기 중에 노출되어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규제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HCFC-141b를 대신할 수 있는 발포제로 탄화수소계 발포제가 많이 검토되고 있는 상황인데, 탄화수소계 발포제의 경우 난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난연성을 보완하기 위해 아로마틱 구조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올의 점도가 상승하여 난연제, 정포제, 촉매 등의 각종 첨가제들과 폴리올간의 불균일한 혼합 문제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 저하 및 물성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균일한 혼합을 위해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를 고압의 조건(100 내지 180 bar)에서 고속혼합기에서 섞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고압의 공정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설치가 어렵고 복잡하여 경제성 저하의 우려가 있었고, 고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공정관리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탄화수소계 발포제는 폴리올과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폴리올과 믹싱성능이 떨어져 층분리가 발생하고 최종 제품의 불량 및 물성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의 폴리올을 사용하더라도, 각종 첨가제들 및 발포제와의 혼합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최종 발포체의 좋은 외관 및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S1)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 난연제 15 내지 35 중량부, 정포제 2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믹싱하여 제1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제1 원료 조성물과 발포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또는 제1 스태틱 믹서와 다이나믹 믹서가 직렬 연결된 제1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2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2 원료 조성물을 제2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3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폴리메릭 엠디아이(polymeric MDI)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서로 충돌하도록 믹싱헤드로 각각 공급하여 제4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5) 상기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제4 원료 조성물을 발포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S2) 단계는, 상기 제1 원료 조성물과 상기 발포제를 각각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상기 제1 믹서로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 단계는, 상기 제2 원료 조성물을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상기 제2 믹서로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 단계의 제2 믹서는, 제2 스태틱 믹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를 각각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polyol)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의 축합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에스테르 폴리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폴리실록산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는, 아민계 촉매, 금속계 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제는 탄화수소계 발포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점도의 폴리올을 사용하더라도, 일반적인 교반탱크와 2 이상의 믹서 조합을 활용함으로써, 각종 첨가제와 발포제와의 혼합 효과를 극대화하여 최종 발포체의 외관 및 난연성을 우수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 난연제 15 내지 35 중량부, 정포제 2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믹싱하여 제1 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S1 단계).
이어서, 상기 제1 원료 조성물과 발포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또는 제1 스태틱 믹서와 다이나믹 믹서가 직렬 연결된 제1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2 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S2 단계).
이어서, 상기 제2 원료 조성물을 제2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3 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S3 단계).
이어서,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폴리메릭 엠디아이(polymeric MDI)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서로 충돌하도록 믹싱헤드로 각각 공급하여 제4 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S4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제4 원료 조성물을 발포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한다(S5 단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제2 스태틱 믹서가 모두 직렬로 연결된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도 1과 달리, 제1 스태틱 믹서 하나가 생략이 될 수 있고, 또는 다이나믹 믹서 하나가 생략이 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폴리올의 점도는 비교적 높지 않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 발포제 및 폴리올의 믹싱에 특별한 어려움 없이 일반적인 교반탱크에서 믹싱이 가능하였고, 믹싱이 잘 이루어졌기 때문에 최종 제품의 외관도 좋았다. 하지만, 상기 일반적인 폴리올은 난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최종 제품의 난연성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난연성이 우수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polyol)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폴리올은 점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 발포제 및 폴리올을 장시간 교반탱크에서 혼합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교반하더라도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고점도의 폴리올을 사용하더라도, 일반적인 교반탱크와 2 이상의 믹서 조합을 활용함으로써, 각종 첨가제와 발포제와의 혼합 효과를 극대화하여 최종 발포체의 외관 및 난연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점도가 다른 원료들을 개별적으로 공급할 때 정량 공급이 어려운데, 정량 공급을 할 경우 고압공급 장치 등 설비 투자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설비 투자비용을 줄이기 위해 원료들을 계량하여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믹싱을 하게 된다.
상기 원료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수치를 만족하게 되면, 추후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형성된 발포체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polyol)은 발포체의 난연성 향상을 위해,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일 수 있는데, 아로마틱 구조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상승하게 되며, 본원의 폴리올의 점도는 대략 7,000 cps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의 축합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에스테르 폴리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Tris(2-chloropropyl) phosphate),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 phosphate), 염화파라핀(chlorinated paraffins) 등의 할로겐계 난연제,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등의 인계 난연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등의 질소계 난연제, 알루미늄 포스피네이트 등의 무기계 난연제,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 중에서, 할로겐계 난연제 또는 인계 난연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한 난연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체의 원료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silicon),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silicon glycol copolymer), 폴리실록산 에테르(polysiloxane ether) 등의 실리콘계 정포제, 비닐-2-피롤리돈(Vinyl-2-pyrrolidone) 등의 비실리콘계 정포제,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실리콘계 정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정포제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물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셀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발포체의 물성과 단열성이 떨어지게 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셀이 과도하게 개방되어 붕괴(Collapse)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는, 트리에틸렌디아민 (triethylenediamine), 디메틸에탄올아민 (dimethylethanolamine), 테트라메틸 부탄디아민 (tetramethyl butanediamine),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dimethylcyclohexylamine), 트리에틸아민 (triethylamine),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pentamethyldiethylenetriamine), 트리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 헥사히드로트리아진 (tris[3-(dimethylamino)propyl] hexahydrotriazine) 등의 아민계 촉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dibutyltin dilaurate), 포타슘 옥토에이트 (potassium octoate), 디부틸틴 디메르캅티드 (dibutyltin dimercaptide),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stannous octoate) 등의 금속계 촉매,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민계 촉매는 디에틸렌 글리콜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사용된다. 그리고, 아민계 촉매와 금속계 촉매가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함량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적절한 속도로 발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S2) 단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S1) 단계의 결과물인 제1 원료 조성물과 발포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각각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제1 믹서로 공급하는데, 비교적 저압으로 공급을 하기 때문에, 고압 설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믹서는, 제1 스태틱 믹서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다이나믹 믹서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1 스태틱 믹서와 다이나믹 믹서가 직렬 또는 병렬, 바람직하게는 직렬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스태틱 믹서는 좌, 우 방향으로 교차 배열되어 있는 엘리먼트가 배관 내에 고정되어 있고, 원료가 상기 고정된 엘리먼트 사이로 흘러가면서 혼합되는 믹서이고, 다이나믹 믹서는 배관 내에서 회전하는 엘리먼트 사이로 원료가 흘러가면서 혼합되는 믹서이다.
그리고, 상기 발포제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발포체의 경도 및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발포에 의해 안정한 셀 구조의 발포체를 얻을 수 없어서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포제는, 수지 반응에는 참여하지 않고, 반응열에 의하여 기화되어 기포를 형성하는 성분, 예를 들면 프로판, 부탄, 펜탄(시클로 펜탄, 노르말 펜탄, 이소 펜탄 등), 헥산 등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계 발포제, CFC-11, HCFC-141b 또는 HFC류 등의 염화불화탄소계 화합물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현재 일반적으로는 HCFC-141b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HCFC-141b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오존층 파괴와 지구온난화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인 탄화수소계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화수소계 발포제는 비교적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반탱크에서 폴리올과 혼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혼합되지도 않고, 혼합이 된 이후에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층분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폴리올과 탄화수소계 발포제를 고압의 조건(100 내지 180 bar)에서 고속 혼합기에서 혼합하였으나, 탄화수소계 발포제 중 시클로 펜탄의 경우 폭발성이 있기 때문에, 고압의 공정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설치가 어렵고 복잡하여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공정관리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탄화수소계 발포제의 층분리를 막기 위해 비교적 저압인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상기 제1 믹서에 별개로 공급하면서 혼합하기 때문에, 폴리올과의 믹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 단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S2) 단계의 결과물인 제2 원료 조성물을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제2 믹서로 공급하는데, 상기 제2 믹서에서 원료들의 믹싱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저압으로 공급을 하기 때문에, 고압 설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믹서는 바람직하게는 제2 스태틱 믹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저압인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원료를 믹서에 공급하는데, 고압의 조건에서 점도가 다른 원료들을 일정하게 공급하면서 믹싱하는 것보다, 2 이상의 믹서를 이용하여 저압으로 원료들을 혼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공정관리가 용이하며, 믹싱효율이 더 좋다.
한편, 상기 (S4) 단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를 각각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폴리올과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순간적으로 만나 우레탄 반응을 하면서 생산되는데, 상기 공급 압력이 100 bar 미만인 경우, 폴리올과 폴리메릭 엠디아이의 충돌에너지 부족으로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 수축과 물성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고, 공급 압력이 200 bar를 초과하게 되면, 폴리올과 폴리메릭 엠디아이의 충돌에너지가 상승한 만큼의 외관 향상 및 물성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압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투자비용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는, 이소시아네이트(-NCO)의 함량이 30 내지 32 중량%이고, 점도가 170 내지 700 mPa·s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치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32 중량%를 초과하면 압축,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점도의 수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의 점도는 25 ℃ 하에서 측정한 수치이다.
한편, 상기 (S5) 단계의 발포는, 상기 제4 원료 조성물이 더블 컨베이어 벨트를 통과하면서, 발포, 경화되어 발포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비교예 1
점도가 4,000 cps 정도인 일반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HCFC-141b 1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참고로, 본 비교예에서는 스태틱 믹서 및 다이나믹 믹서 등의 추가 믹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준불연 성능은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원의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이 아닌 일반적인 폴리올은 점도(4,000 cps 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와 믹싱이 잘될 뿐만 아니라, HCFC-141b 발포제와 상용성도 좋기 때문에, 혼합이 쉽고 시간 경과에 따른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믹싱 및 분산이 좋아서 최종 발포체 제품의 외관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일반적인 폴리올은 난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준불연 성능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2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을 스태틱 믹서에 공급한 후 추가로 믹싱하였다.
상기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원의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은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와 믹싱이 어렵고, 시클로 펜탄 발포제와 상용성도 나쁘기 때문에, 원료의 분산 및 발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제품에 얼룩과 수축이 발생하였으므로, 외관이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 및 발포제의 분산 및 발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반응의 불균일로 준불연 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3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을 다이나믹 믹서에 공급한 후 추가로 믹싱하였다.
상기 다이나믹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원의 폴리올은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와 믹싱이 어렵고, 시클로 펜탄 발포제와 상용성도 나쁘기 때문에, 원료의 분산 및 발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제품에 얼룩과 수축이 발생하였으므로, 외관이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 및 발포제의 분산 및 발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반응의 불균일로 준불연 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4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및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과,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스태틱 믹서에 공급하여 믹싱하였다.
상기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원의 폴리올은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와 믹싱이 어렵고, 시클로 펜탄 발포제와 상용성도 나쁘기 때문에, 원료의 분산 및 발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제품에 얼룩과 수축이 발생하였으므로, 외관이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 및 발포제의 분산 및 발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반응의 불균일로 준불연 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5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및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과,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다이나믹 믹서에 공급하여 믹싱하였다.
상기 다이나믹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원의 폴리올은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와 믹싱이 어렵고, 시클로 펜탄 발포제와 상용성도 나쁘기 때문에, 원료의 분산 및 발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제품에 얼룩과 수축이 발생하였으므로, 외관이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 및 발포제의 분산 및 발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반응의 불균일로 준불연 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작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의 성능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폴리올 점도: 4,000 cps 100 중량부 - - - -
점도: 7,000 cps -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난연제 2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
정포제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촉매 3.5 중량부 3.5 중량부 3.5 중량부 3.5 중량부 3.5 중량부
발포제 HCFC-141b 15 중량부 - - - -
시클로 펜탄 - 15 중량부 15 중량부 15 중량부 15 중량부
교반탱크 사용 사용 사용 사용 사용
발포제의 공급 위치 교반탱크 교반탱크 교반탱크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스태틱 믹서 사용 안함 사용 사용 안함 사용 사용 안함
다이나믹 믹서 사용 안함 사용 안함 사용 사용 안함 사용
외관 좋음 나쁨 나쁨 나쁨 나쁨
준불연 성능 나쁨 나쁨 나쁨 나쁨 나쁨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경우, 본원의 폴리올이 아닌 일반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 및 HCFC-141b 발포제를 교반탱크에서 혼합시켜 발포시킬 때, 믹싱과 상용성이 좋아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양호하나, 일반 폴리올의 난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최종 발포체의 준불연 성능은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본원의 폴리올은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각종 첨가제와 믹싱이 어렵고 시클로 펜탄 발포제와 상용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층분리가 발생하여 분산과 발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얼룩과 수축이 발생하여 외관이 나쁘다. 뿐만 아니라, 비균일한 분산과 발포로 인하여 재료의 치우침 등으로 반응이 불균일하게 일어났기 때문에, 준불연 성능에도 더 악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비교예 2 및 3과 같이, 본원의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를 교반탱크에서 혼합시키고, 추가적으로 스태틱 믹서 또는 다이나믹 믹서를 통과시키더라도 본원의 폴리올의 점도가 높아서 믹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도 2 및 도 3은 비교예 2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발포체의 하면에 분산 불량에 따른 띠 모양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분산 불량으로 인한 반응의 불균형으로 발포체에 수축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 및 5와 같이, 발포제를 스태틱 믹서 또는 다이나믹 믹서에 공급하여 믹싱을 하더라도, 원료들의 층분리 등으로 인해 균일한 믹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및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과,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제1 스태틱 믹서에 공급하여 믹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1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제2 스태틱 믹서에 공급하여 추가로 믹싱하였다.
상기 제2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원의 폴리올은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기 때문에, 교반탱크와 1개의 믹서를 이용해서는 재료들의 충분한 믹싱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스태틱 믹서를 직렬로 이용하여 원료들을 충분히 믹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믹싱을 통해 층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분산과 발포가 균일하고 일정하게 될 수 있었다. 최종 발포체의 외관과 준불연 성능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및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과,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다이나믹 믹서에 공급하여 믹싱하였다.
이어서, 상기 다이나믹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제2 스태틱 믹서에 공급하여 추가로 믹싱하였다.
상기 제2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나믹 믹서와 스태틱 믹서를 직렬로 이용하여 원료들을 충분히 믹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믹싱을 통해 층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분산과 발포가 균일하고 일정하게 될 수 있었다. 최종 발포체의 외관과 준불연 성능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점도가 7,000 cps 정도이고, 아로마틱 구조가 30 중량%인 폴리올 100 중량부,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25 중량부, 정포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3 중량부 및 촉매로서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1 중량부와 포타슘 옥토에이트 2.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교반탱크에서 혼합된 원료 혼합물과, 발포제로서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를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제1 스태틱 믹서에 공급하여 믹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1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다이나믹 믹서에 공급하여 추가로 믹싱하였다.
이어서, 상기 다이나믹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제2 스태틱 믹서에 공급하여 추가로 믹싱하였다.
상기 제2 스태틱 믹서에서 믹싱된 원료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믹싱헤드로 공급하고, 폴리메릭 엠디아이 200 중량부를 별개의 메터링 펌프를 통해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가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원료 혼합물을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더블 컨베이어 벨트에 분사한 후, 이를 발포반응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준불연 성능도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및 제2 스태틱 믹서 3개를 직렬로 이용하여 원료들을 충분히 믹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믹싱을 통해 층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분산과 발포가 균일하고 일정하게 될 수 있었다. 최종 발포체의 외관과 준불연 성능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작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의 성능을 아래의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폴리올 점도: 4,000 cps - -
점도: 7,000 cps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난연제 2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
정포제 3 중량부 3 중량부 3 중량부
촉매 3.5 중량부 3.5 중량부 3.5 중량부
발포제 HCFC-141b - - -
시클로 펜탄 15 중량부 15 중량부 15 중량부
교반탱크 사용 사용 사용
발포제의 공급 위치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제1 스태틱 믹서
제1 스태틱 믹서 사용 사용 안함 사용
다이나믹 믹서 사용 안함 사용 사용
제2 스태틱 믹서 사용 사용 사용
외관 좋음 좋음 좋음
준불연 성능 좋음 좋음 좋음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서는 최소한 2 이상의 믹서를 조합하여 원료들이 충분히 믹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믹싱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본원의 폴리올과 각종 첨가제 및 발포제의 균일한 혼합과 분산을 유지하며, 특히, 발포제의 층분리를 방지함으로써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이 양호하며, 준불연 성능도 확보될 수 있었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원료의 균일한 분산과 발포로 인해 분산 불량에 따른 띠 모양이 발생하지 않았고, 수축이 발생하지 않아 외관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S1) 아로마틱 구조가 24 중량% 이상인 폴리올(polyol) 100 중량부, 난연제 15 내지 35 중량부, 정포제 2 내지 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5 중량부를 상압의 교반탱크에서 믹싱하여 제1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제1 원료 조성물과 발포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제1 스태틱 믹서, 다이나믹 믹서 또는 제1 스태틱 믹서와 다이나믹 믹서가 직렬 연결된 제1 믹서로 각각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2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2 원료 조성물을 2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제2 믹서로 공급한 후 믹싱하여 제3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폴리메릭 엠디아이(polymeric MDI)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서로 충돌하도록 믹싱헤드로 각각 공급하여 제4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5) 상기 믹싱헤드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제4 원료 조성물을 발포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의 제2 믹서는, 제2 스태틱 믹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제3 원료 조성물과 상기 폴리메릭 엠디아이를 각각 100 내지 200 bar의 압력으로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의 축합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에스테르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폴리실록산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아민계 촉매, 금속계 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화수소계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11. 삭제
KR1020180065572A 2018-06-07 2018-06-07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05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72A KR102055666B1 (ko) 2018-06-07 2018-06-07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72A KR102055666B1 (ko) 2018-06-07 2018-06-07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666B1 true KR102055666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572A KR102055666B1 (ko) 2018-06-07 2018-06-07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3326A (zh) * 2020-03-18 2021-10-12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黄金尾矿阻燃发泡保温板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096B1 (ko) * 1994-09-27 2001-10-25 토마스 엘. 무어헤드 밀폐셀기포제조방법및장치
JP2004051908A (ja) * 2002-07-24 2004-02-19 Achilles Corp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8088356A (ja) * 2006-10-04 2008-04-17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11515254A (ja) * 2008-03-24 2011-05-19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発泡材料を生成する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KR20150029352A (ko) * 2013-09-10 2015-03-18 (주) 디유티코리아 다이나믹 믹서가 적용된 폴리우레탄폼 발포장치
KR101749614B1 (ko) * 2016-12-26 2017-06-22 정우화인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보드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096B1 (ko) * 1994-09-27 2001-10-25 토마스 엘. 무어헤드 밀폐셀기포제조방법및장치
JP2004051908A (ja) * 2002-07-24 2004-02-19 Achilles Corp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8088356A (ja) * 2006-10-04 2008-04-17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11515254A (ja) * 2008-03-24 2011-05-19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発泡材料を生成する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KR20150029352A (ko) * 2013-09-10 2015-03-18 (주) 디유티코리아 다이나믹 믹서가 적용된 폴리우레탄폼 발포장치
KR101749614B1 (ko) * 2016-12-26 2017-06-22 정우화인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보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3326A (zh) * 2020-03-18 2021-10-12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黄金尾矿阻燃发泡保温板材及其制备方法
CN113493326B (zh) * 2020-03-18 2022-09-27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黄金尾矿阻燃发泡保温板材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339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ignin based polyurethane products
US9926403B2 (en) Process for making rigid polyurethane or urethane-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s
US6960618B2 (en) Preparation method for rigid polyurethane foam
JP5668693B2 (ja) 連続気泡性の硬質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876936B1 (ko) 고난연 폴리우레탄 스프레이 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EP3470446A1 (en) Rigid polyurethane foam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10032398A1 (en) Rigid polyurethane foam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BRPI0620510A2 (pt) espuma rìgida de poliuretano moldada
MX2007000436A (es) Sistema de espuma de pulverizacion de poliuretano por insuflado con agua.
US2005022228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
BR112013033456B1 (pt) Processo para fazer uma espuma compósita e processo para fazer uma espuma de poliuretano ou poliisocianurato compósita
CN113490701A (zh) 含hcfo的异氰酸酯反应性组合物、相关的泡沫形成组合物和pur-pir泡沫
CN107501518A (zh) 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524245A (zh) 一种高韧性阻燃硬质聚氨酯泡沫板
KR102055666B1 (ko)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CN108473711B (zh) Z-hfo-1,1,1,4,4,4-六氟-2-丁烯在高温发泡应用中的用途
KR101666111B1 (ko) 초저온 보냉용 유리 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폼
KR20130004795A (ko) 친환경 발포제가 적용된 단열 성능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폼
KR101634309B1 (ko) 저밀도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CN109422862B (zh) 聚氨酯硬质泡沫体系及其应用
KR101645117B1 (ko) 경질 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23050A (ko) 메틸포메이트 발포제를 사용한 고난연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102065251B1 (ko) 준불연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648152B1 (ko)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단열재
KR20040075493A (ko) 초저온 보냉용 유리섬유강화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이용한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