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739B1 -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739B1
KR102054739B1 KR1020190050302A KR20190050302A KR102054739B1 KR 102054739 B1 KR102054739 B1 KR 102054739B1 KR 1020190050302 A KR1020190050302 A KR 1020190050302A KR 20190050302 A KR20190050302 A KR 20190050302A KR 102054739 B1 KR102054739 B1 KR 10205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waste
waste resin
packaging container
resin
radio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남
최규섭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코네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네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코네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05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6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16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e.g. clays, zeolites
    • G21F9/165Cement or cement-like matrix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08Processing by evaporation; by distill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6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167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polymeric matrix, e.g. resins, ta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20Disposal of liquid waste
    • G21F9/22Disposal of liquid waste by storage in a tank or other containe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 G21F9/304Cement or cement-like matrix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원자력발전소의 저장고에 보관되고 있는 방사성 폐수지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인도함에 있어, 인도기준을 충족하도록 방사성 폐수지를 처분할 수 있도록 방사성 폐수지에 대한 처리기준을 수립하고, 그 처리기준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안전하게 분류하는 동시에 분류된 각 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적기에 인도함으로써 원전에 보관되는 방사성 폐수지의 양이 최소화됨으로 원전의 안전운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원자력발전소의 저장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처분 안전성을 향상하여 인간과 환경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방사성 폐수지를 수용한 포장용기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하는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에서의 외관검사 결과가 '양호'일 때, 포장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배출시켜 수거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에서의 외관검사결과가 '불량'일 때, 안전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불량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운반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로 리턴하거나 또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재포장하여 처리하는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가 완료되면,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되었던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수거하는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와; 상기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을 통해 수거된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방사능 오염 여부 및 검출된 방사선량 값에 따라 폐포장용기를 처리하는 폐포장용기 처리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를 통해 포장용기에서 수집조 내로 수거된 방사성 폐수지를 교반하는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가 실행되는 중이거나 또는 완료된 다음, 방사성 폐수지와 분리된 방사성 폐액을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하는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을 통해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된 방사성 폐액을 처분하는 방사성 폐액 처리단계와; 수집조 내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를 채취하는 동시에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 및 방사성 폐수지내에 함유된 슬러지량을 검사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의 상태검사결과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처리하는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A treatment method for radioactive spent resin}
본 발명은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내피를 가지는 철재 포장용기 내에 수용되어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이라 칭함) 내에 보관 중인 방사성 폐수지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인도기준에 맞게 처리하여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전에서는 운전 중에 방사성 폐수의 정화과정에서 방사성 폐수지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우리나라의 원전 운영 초기에는 발생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에 있어 아직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이 마련되지 않아 우선 원전 내에 안전한 저장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방사성 폐수지는 중력에 의한 탈수과정을 거쳐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원전의 저장고에 보관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원전의 저장고 내에 보관되고 있는 방사성 폐수지는 인간의 생활권으로부터 영구히 격리하여 인간과 자연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처분하게 된다.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분하려면 처분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장 요건에 맞게 처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처분장 요건을 인수기준이라 하며 방사성 폐기물 처분자는 처분장에 인도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인수기준에 충족되지 않으면 인수를 하지 않는다.
방사성 폐수지는 처분장 인도기준을 만족하려면 시멘트 등 고화재와 섞어 고형화하거나 고건조성용기에 포장되어야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탈수 처리된 후 콘크리트 내피가 있는 철재 용기에 포장되어 원전의 저장고에 저장된 방사성 폐수지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인도기준을 만족하도록 다시 처리하기 위한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 내피가 있는 철제 용기에 포장되어 원전의 저장고에 저장된 방사성 폐수지에 대한 처리방법에 대해서만 기술된다는 것을 양지하기 바란다.
종래에는 방사성 폐수지를 탈수만하여 저장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내피가 있는 철재 용기(드럼)에 포장하였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인도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에 탈수 처리된 방사성폐수지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인도기준에 맞게 다시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콘크리트 내피가 있는 철재 드럼에 중력에 의한 탈수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중인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된 이온교환기와 가압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회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방사성 폐수지가 일정량 이상일 때, 회수라인를 통해 방사성 폐수지를 임시저장고로 회수처리하도록 하는 것일 뿐 콘크리트 내피가 있는 철재 드럼에 포장되어 원전의 저장고에 저장되고 있는 방사성 폐수지에 대한 처리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시스템 및 방법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385666호의 등록특허공보(2014. 04. 09 등록)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원자력발전소의 저장고에 보관되고 있는 방사성 폐수지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인도함에 있어, 인도기준을 충족하도록 방사성 폐수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방사성 폐수지에 대한 처리기준을 수립하고, 그 처리기준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안전하게 분류하는 동시에 분류된 각 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적기에 인도함으로써 원전에 보관되는 방사성 폐수지의 양이 최소화됨으로 원전의 안전운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원자력발전소의 저장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처분 안전성을 향상하여 인간과 환경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성 폐수지를 수용한 포장용기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하는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에서의 외관검사결과가 '양호'일 때, 포장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배출시켜 수거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에서의 외관검사결과가 '불량'일 때, 안전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불량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운반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로 리턴하거나 또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재포장하여 처리하는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가 완료되면,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되었던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수거하는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와; 상기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을 통해 수거된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방사능 오염 여부 및 검출된 방사선량 값에 따라 폐포장용기를 처리하는 폐포장용기 처리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를 통해 포장용기에서 수집조 내로 수거된 방사성 폐수지를 교반하는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가 실행되는 중이거나 또는 완료된 다음, 방사성 폐수지와 분리된 방사성 폐액을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하는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을 통해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된 방사성 폐액을 처리하는 방사성 폐액 처리단계와; 수집조 내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를 채취하는 동시에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 및 방사성 폐수지 내에 함유된 슬러지량을 검사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의 상태검사결과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처리하는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은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원전의 저장고에 보관되는 방사성 폐수지에 대한 안전한 처리기준을 수립하고, 수립된 처리기준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방식으로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인도기준을 충족하도록 안전하고 정확하게 방사성 폐수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방사성 폐수지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적기에 인도하여 원전 내에 보관되는 방사성 폐수지의 보관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원전의 안전운전을 원활히 하고, 원전의 저장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안전성을 향상하여 인간과 환경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의 구성 및 그 처리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의 처리공정 중 폐포장용기 처리단계의 구성 및 그 처리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의 처리공정 중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 및 그 처리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중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의 구성 및 그 처리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중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의 구성 및 그 처리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는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와,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와,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S110)와,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S300)와, 폐포장 용기 처분단계(S400)와,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S500)와, 방사성 폐액 수단계(S600)와, 방사성 폐액 처분단계(S700)와,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와, 방사성 폐수지처리단계(S90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는 방사성 폐수지를 수용한 포장용기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한다. 즉, 포장용기에 대한 손상부위 유무 및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있는지를 점검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이동 시 포장용기의 파손으로 인한 방사성 폐수지의 누출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는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에서의 외관검사결과가 '양호'일 때, 해당 포장용기를 수집조로 이동시킨 다음, 포장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배출시켜 수거하는 것으로서, 포장용기 뚜껑 제거단계(S210)와, 포장용기내 수분분사단계(S220)와, 방사성 폐수지 수거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용기 뚜껑 제거단계(S210)는 포장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배출시켜 수거하기 위하여, 수집조로 이동시킨 포장용기로 부터 포장용기의 뚜껑을 제거한다.
상기 포장용기내 수분분사단계(S220)는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공정 중 방사성 폐수지 건조입자의 비산으로 인한 오염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포장용기 뚜껑 제거단계(S210)를 통해 뚜껑이 제거된 포장용기의 내부에 수분을 분사(噴射)하여 방사성 폐수지 건조입자의 비산을 사전에 예방한다.
상기 방사성 폐수지 수거단계(S230)는 상기 포장용기내 수분분사단계(S220)를 통해 수분분사가 완료된 포장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수거한다.
상기 방사성 폐수지 수거단계(S230)는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된 포장용기 내로 물을 주입시켜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슬러리(slurry) 상태로 수집조 내에 수거하는 슬러리 수거방식, 진공펌핑수단을 이용하여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수거하는 진공펌핑 수거방식 및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된 포장용기를 수집조의 수면 아래로 침수시킨 다음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수거하는 침수 수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실시한다.
도 1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S110)는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에서의 외관검사결과가 '불량'일 때, 안전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불량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운반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로 리턴하거나 또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재포장하여 처리하며,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와, 불량 포장용기 안전운반단계(S110B)와, 불량 포장용기 재포장 처리단계(S110C)를 포함한다.
상기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가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불량 포장용기 안전운반단계(S110B)는 상기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에서,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가능한 상태로 분류되었다면, 안전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불량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운반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로 리턴한다. 즉,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가능한 상태로 분류된 해당 불량 포장용기는 수집조로 이동 중 파손부위를 통해서 또는 파손발생으로 인해 포장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수지의 누출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를 갖는 안전운반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이동하여 배치시키며, 이렇게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에 배치시키는 이유는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공정 중 포장용기에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방사성 폐수지는 수집조 내로 누출되므로 누출로 인한 별도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불량 포장용기 재포장 처리단계(S110C)는 상기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에서,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불가능한 상태로 분류되었다면,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HIC, High Intrgrity Container) 내에 담아 재포장하여 최종처분한다. 즉,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불가능한 상태로 분류된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 내에 담은 다음, 불량 포장용기의 외측면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충전재로 충전한 후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의 뚜껑을 닫아 불량 포장용기를 재포장하여 인도기준을 만족시켜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인도하여 최종처분한다. 이때 충전재로는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량 포장용기 재포장 처리단계(S110C)는 불량 포장용기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로 재포장하기 전에, 먼저 불량 포장용기의 뚜껑을 열어 용기 내부에 유동성 수분이 관찰되는 지를 확인하고, 만약 유동성 수분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불량 포장용기의 뚜껑을 닫은 후 바로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로 재포장하여 처리하고, 만약 유동성 수분이 관찰된다면 불량 포장용기에 대한 건조공정을 실시하여 유동성 수분을 제거한 다음, 뚜껑을 닫고,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로 재포장하여 처리한다.
상기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S300)는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가 완료되면,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되었던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지정된 수거장소로 수거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폐포장용기처분단계(S400)는 상기 빈 포장용기 수건단계(S300)을 통해 수거된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방사능 오염 여부 및 검출된 방사선량 값에 따라 폐포장용기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와, 자체처분단계(S450)와,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와, 콘크리트 폐기물 미세파쇄단계(S430)와,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440)와, 잡고체 처리단계(S460)로 구성된다.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는 폐포장용기 등의 각 용기 폐기물에 대한 방사능오염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자체처분단계(S450)는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에서, 만약 오염이 없고,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을 자체처분한다.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는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에서, 만약 오염이 있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측정한다.
상기 콘크리트 폐기물 미세 파쇄단계(S430)는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 만약 측정값이 100 mRem/hr 이상이고, 해당 용기 폐기물이 콘크리트 라이너이고,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인 콘크리트 라이너를 미세파쇄한다.
상기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440)는 상기 콘크리트 폐기물 미세 파쇄단계(S430)가 완료되면, 미세 파쇄된 콘크리트 폐기물을 시멘트 고형화하여 처리한다.
상기 잡고체 처분단계(S460)는 만약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의 측정값이 100 mRem/hr 미만이거나,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에서의 검사결과 방사능 오염이 없지만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못해 자체처분을 할 수 없거나,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의 측정값이 100 mRem/hr 이상이지만 해당 용기 폐기물이 콘크리트 라이너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의 측정값이 100 mRem/hr 이상이지고, 해당 용기 폐기물이 콘크리트 라이너이지만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못해 시멘트 고형화 처리를 할 수 없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을 잡고체 폐기물로 처리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S500)는 폐액과 혼합된 상태인 수집조 내의 방사성 폐수지가 덩어리진 것을 원래 폐수지 상태로 분리하고, 방사성 폐수지가 수중에서 균질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시료채취단계에서 대표 시료가 채취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폐수지로 부터 방사성 폐액이 분리되도록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를 통해 포장용기에서 수집조 내로 수거된 방사성 폐수지를 교반한다.
상기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S600)는 상기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S500)가 실행되는 중이거나 또는 완료된 다음, 방사성 폐수지와 분리된 방사성 폐액을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한다.
상기 방사성 폐액 처리단계(S700)는 상기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S600)을 통해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된 방사성 폐액을 처리한다. 즉, 만약 별도의 액체 폐기물처리시설(이온교환방식, 역삼투막방식 및 증발방식)이 구비되었다면, 액체 폐기물 처리시설을 통해 방사성 폐액을 처리하고, 만약 별도의 액체 폐기물 처리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방사성 폐액을 액체 폐기물 수집탱크 내에 저장한다.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는 수집조 내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를 채취하는 동시에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 및 방사성 폐수지내에 함유된 슬러지량을 검사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는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의 상태검사결과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하기될 여러 가지 실시 예로 실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의 일 실시 예는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와, HIC건조 처리단계(S920)를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고,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시멘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한다.
상기 HIC건조 처리단계(S92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지만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미만이거나 또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지만 시멘트 고형화 처리여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High Integrity Container) 건조방식으로 처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의 다른 실시 예는 폴리머 고형화 처리단계(S930)와,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와, HIC 건조 처리단계(S920)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 고형화 처리단계(S93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고,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폴리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한다.
상기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고,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시멘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한다.
상기 HIC 건조 처리단계(S92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지만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이상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미만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지만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거나 또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지만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High Integrity Container) 건조방식으로 처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다른 실시 예와 같이, 폴리머 고형화 처리단계(S930)와,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와, HIC 건조 처리단계(S920)를 포함하고 있지만, 상태조건이 폴리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분류되었을 때 해당 방사성 폐수지가 HIC 건조방식으로 처리되도록 사전에 지정되었을 때 우선적으로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 건조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폴리머 고형화 처리단계(S93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고, HIC 건조처리가 우선이 아니고,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폴리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한다.
상기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고,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시멘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한다.
상기 HIC건조 처리단계(S92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미만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만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여건이 충족되지지 않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지만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이상이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지만 HIC 건조처리가 우선이거나 또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지만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여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High Integrity Container) 건조방식으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은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원전의 저장고 내에 보관되고 방사성 폐수지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인도기준을 충족하도록 방사성 폐수지를 처분하여 인도될 수 있도록 방사성 폐수지에 대한 처리 기준을 설정하고, 그 처리 기준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을 안전하게 분류하는 동시에 분류된 각 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으로 적기에 인도할 수 있도록 하여 원전에 보관되는 방사성 폐수지의 양을 최소화시켜 원전의 안전운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원전의 저장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처분 안전성을 향상하여 인간과 환경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00: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
S110: 불량 포장용기의 수거단계
S200: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
S300: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
S400: 폐포장용기 처리단계
S500: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
S600: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
S700: 방사성 폐액 처리단계
S800: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
S900: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

Claims (11)

  1. 방사성 폐수지를 수용한 포장용기에 대한 외관검사를 실시하는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에서의 외관검사 결과가 '양호'일 때, 포장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배출시켜 수거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관검사단계(S100)에서의 외관검사 결과가 '불량'일 때, 안전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불량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운반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로 리턴하거나 또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재포장하여 처리하는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S110)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가 완료되면,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되었던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수거하는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S300)와; 상기 빈 포장용기 수거단계(S300)을 통해 수거된 빈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 뚜껑을 방사능 오염 여부 및 검출된 방사선량 값에 따라 폐포장용기를 처리하는 폐포장용기 처리단계(S400)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를 통해 포장용기에서 수집조 내로 수거된 방사성 폐수지를 교반하는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S500)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 교반단계(S500)가 실행되는 중이거나 또는 완료된 다음, 방사성 폐수지와 분리된 방사성 폐액을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하는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S600)와; 상기 방사성 폐액 배수단계(S600)을 통해 수집조의 외부로 배수된 방사성 폐액을 처분하는 방사성 폐액 처리단계(S700)와; 수집조 내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를 채취하는 동시에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 및 방사성 폐수지 내에 함유된 슬러지량을 검사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와;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의 상태검사 결과에 따라 방사성 폐수지를 처리하는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를 포함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폐포장용기 처리단계(S400)는,
    폐포장용기 등의 각 용기 폐기물에 대한 방사능오염 여부를 검사하는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와;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에서, 만약 오염이 없고, 현장의 자체 처분 기준을 충족한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을 자체 처분하는 자체 처분단계(S450)와;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에서, 만약 오염이 있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에 대한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와;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 만약 측정값이 100 mRem/hr 이상이고, 해당 용기 폐기물이 콘크리트 라이너이고,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인 콘크리트 라이너를 미세 파쇄하는 콘크리트 폐기물 미세 파쇄단계(S430)와;
    상기 콘크리트 폐기물 미세 파쇄단계(S430)가 완료되면, 미세 파쇄된 콘크리트 폐기물을 시멘트 고형화하여 처리하는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440)와;
    만약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의 측정값이 100 mRem/hr 미만이거나, 상기 방사능오염 검사단계(S410)에서의 검사 결과, 방사능 오염이 없지만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못해 자체처분을 할 수 없거나,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의 측정값이 100 mRem/hr 이상이지만 해당 용기 폐기물이 콘크리트 라이너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방사선량 측정단계(S420)에서의 측정 값이 100 mRem/hr 이상이지고, 해당 용기 폐기물이 콘크리트 라이너이지만 현장의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못해 시멘트 고형화 처리를 할 수 없다면, 해당 용기 폐기물을 잡고체 폐기물로 처리하는 잡고체 처리단계(S4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폐액 처리단계(S700)는,
    만약 별도의 액체 폐기물 처리시설(이온교환방식, 역삼투막방식 및 증발방식)이 구비되었다면, 액체 폐기물 처리시설을 통해 방사성 폐액을 처리하고;
    만약 별도의 액체 폐기물 처리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방사성 폐액을 액체 폐기물 수집탱크 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고,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시멘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하는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와;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지만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미만이거나 또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지만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High Integrity Container) 건조방식으로 처리하는 HIC건조 처리단계(S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고,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폴리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하는 폴리머 고형화 처리단계(S930)와;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고,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시멘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하는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와;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지만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이상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미만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지만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거나 또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지만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High Integrity Container) 건조방식으로 처리하는 HIC 건조 처리단계(S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폐수지 처리단계(S900)는,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고, HIC건조 처리가 우선이 아니고,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폴리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하는 폴리머 고형화 처리단계(S930)와;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고,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된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시멘트 고형화 방식으로 처리하는 시멘트 고형화 처리단계(S910)와;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미만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미만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60% 이상이지만 현장의 시멘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지만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이상이거나,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지만 HIC 건조 처리가 우선이거나 또는 방사성 폐수지의 시료채취 및 상태검사단계(S800)에서의 상태검사 값 중 방사성 폐수지의 입자 크기가 0.3 ㎜ 이상이고, 방사성 폐수지 내의 슬러지량이 5% 미만이지만 현장의 폴리머 고형화 처리 여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방사성 폐수지를 HIC(High Integrity Container) 건조 방식으로 처리하는 HIC 건조 처리단계(S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는,
    포장용기로 부터 포장용기의 뚜껑을 제거하는 포장용기 뚜껑 제거단계(S210)와;
    뚜껑이 제거된 포장용기의 내부에 수분을 분사(噴射)하여 방사성 폐수지 건조입자의 비산발생을 예방하는 포장용기내 수분분사단계(S220)와;
    상기 포장용기내 수분분사단계(S220)를 통해 수분분사가 완료된 포장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수거하는 방사성 폐수지 수거단계(S2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성 폐수지 수거단계(S230)는,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된 포장용기 내로 물을 주입시켜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슬러리(slurry) 상태로 수집조 내에 수거하는 슬러리 수거방식, 진공펌핑수단을 이용하여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수거하는 진공펌핑 수거방식 및 방사성 폐수지가 수용된 포장용기를 수집조의 수면 아래로 침수시킨 다음 포장용기 내의 방사성 폐수지를 수집조 내로 수거하는 침수 수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포장용기 처리단계(S110)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가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와;
    상기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에서,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가능한 상태로 분류되었다면, 안전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불량 포장용기를 수집조 내로 운반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방사성 폐수지의 수집조 수거단계(S200)로 리턴하는 불량 포장용기 안전운반단계(S110B)와;
    상기 불량 포장용기의 불량정도 분류단계(S110A)에서, 만약 방사성 폐수지의 수거가 불가능한 상태로 분류되었다면,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고건전성용기(HIC, High Intrgrity Container)로 재포장하여 처리하는 불량 포장용기 재포장 처리단계(S11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포장용기 재포장 처리단계(S110C)는,
    해당 불량 포장용기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 내에 담은 다음, 불량 포장용기의 외측면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충전재로 충전한 후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의 뚜껑을 닫아 불량 포장용기를 재포장한 후, 인도기준을 만족시켜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인도하여 최종처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포장용기 재포장 처리단계(S110C)는,
    불량 포장용기를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로 재포장하기 전에, 먼저 불량 포장용기의 뚜껑을 열어 용기 내부에 유동성 수분이 관찰되는 지를 확인하고, 만약 유동성 수분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불량 포장용기의 뚜껑을 닫은 후 바로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로 재포장하여 처리하고, 만약 유동성 수분이 관찰된다면 불량 포장용기에 대한 건조공정을 실시하여 유동성 수분을 제거한 다음, 뚜껑을 닫고, 덧포장용 고건전성용기로 재포장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KR1020190050302A 2019-04-30 2019-04-30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KR10205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02A KR102054739B1 (ko) 2019-04-30 2019-04-30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02A KR102054739B1 (ko) 2019-04-30 2019-04-30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739B1 true KR102054739B1 (ko) 2019-12-11

Family

ID=6900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02A KR102054739B1 (ko) 2019-04-30 2019-04-30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7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144B1 (ko) * 2020-01-28 2021-05-24 (주)코네스코퍼레이션 방사성 폐필터의 처리방법
CN113658735A (zh) * 2021-07-27 2021-11-16 杭州景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废料封装系统及废料封装方法
KR20230085825A (ko) 2021-12-07 2023-06-14 김문오 고선량 폐수지 포장 및 운반을 위한 혼합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810684B2 (en) 2020-08-25 2023-11-07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eating radioactive waste resin and an equipment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394A (ja) * 1991-11-20 1993-06-08 Hitachi Ltd 放射性廃スラツジ抜出装置
JP2014109547A (ja) * 2012-12-04 2014-06-12 Shimizu Corp 放射性廃棄物貯蔵施設、廃棄物ユニット又は廃棄物体を有する構造物及び放射性廃棄物貯蔵方法
KR101942999B1 (ko) * 2018-05-16 2019-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폐기물 용기 제작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용기 제작 통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394A (ja) * 1991-11-20 1993-06-08 Hitachi Ltd 放射性廃スラツジ抜出装置
JP2014109547A (ja) * 2012-12-04 2014-06-12 Shimizu Corp 放射性廃棄物貯蔵施設、廃棄物ユニット又は廃棄物体を有する構造物及び放射性廃棄物貯蔵方法
KR101942999B1 (ko) * 2018-05-16 2019-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폐기물 용기 제작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용기 제작 통합 관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144B1 (ko) * 2020-01-28 2021-05-24 (주)코네스코퍼레이션 방사성 폐필터의 처리방법
US11810684B2 (en) 2020-08-25 2023-11-07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eating radioactive waste resin and an equipment therefor
CN113658735A (zh) * 2021-07-27 2021-11-16 杭州景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废料封装系统及废料封装方法
CN113658735B (zh) * 2021-07-27 2024-05-24 杭州景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废料封装系统及废料封装方法
KR20230085825A (ko) 2021-12-07 2023-06-14 김문오 고선량 폐수지 포장 및 운반을 위한 혼합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739B1 (ko) 방사성 폐수지의 처리방법
US3448859A (en) Radioactive waste removal method
KR101385667B1 (ko) 방사성 폐수지 이송 및 처리시스템과 그것을 이용한 방사성 폐수지 이송 및 처리방법
CN103985426A (zh) 核设施放射性湿固体废物处理方法
JP2007301531A (ja) アスベスト粉砕処理システムおよびアスベスト粉砕処理方法
JP2013160754A (ja) 放射性物質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該処理方法で使用する耐食性容器
JPS6195292A (ja) 低レベル核廃棄物を貯蔵、輪送及び最終廃棄処分するための容器
Reddy et al. Conditioning of sludge produced through chemical treatment of radioactive liquid waste–Operating experiences
US5489737A (en) Radioactive waste processing system
JPH04291199A (ja) 放射性廃棄物の処理処分システム
KR20190080438A (ko) 방사성 폐기물 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분류 방법
CA115976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radioactive waste water from nuclear power plants
CN114242286A (zh) 一种放射性废树脂脱水计量进料装置
CN107719888A (zh) 一种放射性废液转运装置
KR102255144B1 (ko) 방사성 폐필터의 처리방법
US5347555A (en) Method for shredding and packing fuel assembly cases or similar nuclear reactor structural elemen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80087360A (ko) 방사성 폐이온 교환수지 탈수장치
RU2758913C1 (ru) Способ обращения с радиоактивными отработавшими ионообменными смолами
KR101385666B1 (ko) 방사성 폐수지 처리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방사성 폐수지 처리방법
KR102463512B1 (ko) 폴리머고화체 고화특성시험 시편제조용 시편틀
KR101434458B1 (ko) 방사성 폐기물 포장 용기
JP2018205082A (ja) 廃棄ケーブル処理設備および廃棄ケーブル処理方法
Raducea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t Cernavoda NPP after 5 years of experience
JP6294923B2 (ja) 球状骨材の使用方法
NL2015167B1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rgen van verontreinigd materia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