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641B1 - 촉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촉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641B1
KR102054641B1 KR1020190085877A KR20190085877A KR102054641B1 KR 102054641 B1 KR102054641 B1 KR 102054641B1 KR 1020190085877 A KR1020190085877 A KR 1020190085877A KR 20190085877 A KR20190085877 A KR 20190085877A KR 102054641 B1 KR102054641 B1 KR 10205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bismuth salt
bismuth
salt catalys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102019008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01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7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ntimony, bismuth or arse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독성이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촉매 효율이 높고, 작업성 및 공정 유연성이 우수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촉매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ATION CATALYTIC COMPOUND}
본 발명은 촉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내장재, 단열재, 쿠션, 도료, 접착제, 코팅제, 페인트, 엘라스토머, 섬유 및 인공 장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수지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등의 폴리올과 다관능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제조 시 필요에 따라서 디올, 디아민 등의 사슬 연장제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여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포제,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물성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의 합성 촉매나 경화 촉매로는 디부틸틴(Sn) 디라우레이트, 레드(Pb) 옥토에이트, 코발트(Co) 옥토에이트 등의 금속 화합물과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3급 아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기주석 화합물 계통의 촉매는 활성이 뛰어나고 부반응이 적으면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주석 화합물의 유해성이 알려진 후 주석 화합물이 규제 대상 물질에 포함되게 되었고, 중금속 및 3급 아민을 함유하는 촉매 역시 독성이 높아서 환경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지만 환경적인 문제를 갖는 유기주석 화합물 계통의 촉매, 중금속 및 3급 아민을 함유하는 촉매 등과 같은 종래의 우레탄 촉매를 효율이 우수하고 인체에도 무해한 촉매로 대체하기 위한 산업계의 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산업계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PCT 특허 공개공보 제2007-003966호는 케토아미드 리간드를 포함하는 지르코늄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가인 가격, 촉매 효율 부족, 작업성 저하 및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물성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이 나타나서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 무독성이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촉매 효율이 높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물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신규한 촉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PCT 특허공개 제2007-0039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무독성이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촉매 효율이 높고, 작업성 및 공정 유연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물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산화비스무스(Bi2O3), 증류수 및 옥탄산(C8H16O2) 용액을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 및 반응 중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생성물을 여과하여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은 비스무스 트리스 2-에틸헥사노에이트이고,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촉매 또는 경화 촉매로 사용되며, 그 순도가 99.0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독성이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촉매 효율이 높고, 작업성 및 공정 유연성이 우수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산화비스무스(Bi2O3), 증류수 및 옥탄산(C8H16O2) 용액을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 및 반응 중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생성물을 여과하여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장 단계를 거쳐 제품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은 비스무스 트리스 2-에틸헥사노에이트이다.
먼저, 옥탄산 용액은 옥탄산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자일렌 대신 톨루엔을 사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였다.
상기 제1단계는 옥탄산 용액을 교반하면서 산화비스무스 및 증류수를 투입하여 옥탄산 비스무스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촉매 제조용 조성물은 옥탄산과 비스무스 사이의 착체 형성에 의해 수득된다. 따라서, 옥탄산 용액에 함유된 옥탄산을 사용한 착체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옥탄산 용액을 교반하면서 산화비스무스를 투입하여, 촉매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전구 물질인 옥탄산 비스무스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제조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비스무스 36 내지 44중량%, 증류수 4 내지 6중량% 및 옥탄산 용액 5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비스무스가 36중량% 미만으로, 그리고 옥탄산 용액이 50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공정 수율 및 제조되는 촉매의 순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산화비스무스가 44중량%를 초과하여, 그리고 옥탄산 용액이 6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공정 수율이나 순도 측면에서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재료비 상승만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촉매 제조용 조성물은, 산화비스무스 40중량%, 증류수 5중량% 및 옥탄산 용액 5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는, 산화비스무스, 증류수 및 옥탄산(C8H16O2) 용액을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계의 온도가 9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공정 수율이 저하되고 제조되는 촉매의 순도가 저하된다. 또한, 제1단계의 온도가 11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반응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용매가 급속 증발되어 목적하는 촉매 화합물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제1단계는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과 관련하여, 제1단계는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계의 반응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공정 수율이 저하되고 제조되는 촉매의 순도가 저하된다. 또한, 제1단계의 반응 시간이 2시간을 초과할 경우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연료의 소모만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제1단계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 및 반응 중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를 수행한다. 제2단계 수행 후 용매 및 반응 중 생성된 물의 대부분이 제거되어 페이스트 형태의 생성물이 형성된다.
이후, 페이스트 형태인 생성물을 여과하여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수득한다. 필요 시 여과 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은 수지의 합성 촉매 또는 경화 촉매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시 촉매로 사용되며, 특히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촉매 또는 경화 촉매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은 무독성이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촉매 효율이 높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순도가 높은 장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순도는 약 99.0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99.99% 이상이다. 순도는 ICP-O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레우레탄 수지는 그 점도의 변화가 6,000 cps 내지 22,000 cps 또는 6,300 cps 내지 27,000 cps의 범위 내에 있어, 시간에 따른 점도 증가율이 작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은 상기 기술한 모든 특징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레우레탄 수지는 하기 범위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1) 경도: 54 내지 57 (c type)
(2) 인장 강도: 20 내지 23 kgf/cm2
(3) 신장율: 305 내지 320%
(4) 인열 강도: 8.2 내지 8.8 kgf/cm2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
옥탄산 300 중량부 및 톨루엔 1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옥탄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반응기에 증류수 4중량% 및 상기 옥탄산 용액 60중량%를 넣고 교반하면서 산화비스무스 36중량%를 천천히 투입하여 9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생성물을 감압증류하여 톨루엔과 반응 중 생성된 물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실시예 1의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비스무스 트리스 2-에틸헥사노에이트)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반응 조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및 3 및 비교예 1 및 2의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산화비스무스(g) 36 40 44 25 50
증류수(g) 4 5 6 8 10
옥탄산(g) 60 55 50 67 40
반응 온도(℃) 90 100 110 150 50
반응 시간(시간) 2 1 1 3 0.5
비교예 3 및 4. 주석계 촉매 및 아민계 촉매의 준비
주석계 촉매인 스탠너스 옥토에이트를 준비하여 비교예 3으로 하고, 아민계 촉매인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를 준비하여 비교예 4로 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4.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
시판 폴리우레탄 100g, 경화제 12g 및 메틸에틸케톤(MEK) 20g을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 또는 비교예 3 및 4에서 준비된 촉매 화합물 4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PU/경화제/MEK/촉매 = 100/12/20/4) 이때, 상기 촉매 화합물은 메틸에틸케톤에 희석하여 10중량%가 되도록 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시험예 1. 순도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른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불순물 함량을 ICP-OES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순도(%)
실시예 1 99.94
실시예 2 99.99
실시예 3 99.92
비교예 1 98.58
비교예 2 97.85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순도가 비교예 1 및 2의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순도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3 중에서는 실시예 2의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순도가 가장 높았다.
시험예 2. 점도 변화 시험
제조예 1 및 2 및 비교 제조예 1, 3 및 4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온(20℃)에서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0 20 40 60 90
제조예 1 6,000cps 9,200cps 12,500cps 15,800cps 22,000cps
제조예 2 6,300cps 8,900cps 12,900cps 18,500cps 27,000cps
비교 제조예 1 6,600cps 9,200cps 14,000cps 20,000cps 30,000cps
비교 제조예 3 6,700cps 13,000cps 22,000cps 26,500cps 33,500cps
비교 제조예 4 7,000cps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폴레우레탄 수지의 경우 시간에 따른 점도 증가율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경화 시작 시간이 길며,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석계 촉매를 사용한 비교 제조예 3의 경우 점도 증가율이 높았고, 아민계 촉매를 사용한 비교 제조예 4의 경우에는 점도가 급상승하여 점도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시험예 3. 경도 시험
각 제조예와 비교 제조예의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그 경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ASTM D2240에 따라 C type의 경도계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시편의 임의 지점을 10회 이상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시험예 4. 인장 강도, 신장율 시험
각 제조예와 비교 제조예의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그 인장 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KS M 6518dp 준한 B형 커터로 5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편을 사용하여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5. 인열 강도 시험
상기 인장 강도 시험과 마찬가지로, 시편을 만능재료 실험기에 장착하고 외력을 가했을 때 파단되는 시점에서의 강도를 측정하는 ASTM D624에 의거하여 인열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인열강도 시험에서 만능재료 실험기의 하중 500kg, 연신속도 20cm/분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4
경도(c type) 54-55 55-57 54-55 49-50 51-52 51-52 49-50
인장강도 (kgf/cm2) 21 23 20 16 15 19 13
신장율(%) 310 320 305 250 240 280 230
인열강도
(kgf/cm2)
8.2 8.8 8.6 7.6 7.8 7.9 5.4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제조예 1 내지 3의 폴레우레탄 수지가 비교 제조예 1 내지 4의 폴레우레탄 수지에 비해 그 물성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 내지 3의 폴레우레탄 수지 중에서는 제조예 2의 폴레우레탄 수지가 그 물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시험예 6. 저장 수명 시험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촉매 0.1%를 상업적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40℃에서 0, 3 및 6 일 동안 노화되도록 둔 후, 촉매를 함유하는 폴리올을 상업적인 MDI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켰다. 이어서 배합물을 예열된 알루미늄 접시에 붓고 85℃에서 경화시키고 그 동안 경도를 1시간 이하의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표 5에 명시되어 있다.
구분 폴리올+촉매 노화 시간(일) 85℃에서 경화된 폴레우레탄 수지 시료의 쇼어 A 경도
20분 40분 60분
실시예 2 0 60 71 76
실시예 2 3 58 69 75
실시예 2 6 57 66 69
비교예 1 0 75 79 79
비교예 1 3 73 74 76
비교예 1 6 70 72 82
비교예 3 0 12 30 45
비교예 3 3 0 0 6
비교예 3 6 0 0 0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촉매는 폴리올과 혼합된 후 최소 수 일 동안 폴리우레탄 반응의 경화에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의 촉매는 폴리올과 혼합될 당시에는 폴리우레탄 반응의 경화에 활성을 나타내지만, 폴리올과 접촉 후 활성을 잃어버렸다. 즉, 이로부터 실시예 2의 촉매는 저장 수명이 우수하다는 점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촉매의 개선된 저장 수명으로부터 폴리우레탄 제조 시 공정 유연성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

  1. 촉매 제조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산화비스무스(Bi2O3) 40중량%, 증류수 5중량% 및 옥탄산(C8H16O2) 300 중량부 및 톨루엔 1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옥탄산 용액 55중량%를 1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촉매 제조용 조성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 및 반응 중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생성물을 여과하여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은 비스무스 트리스 2-에틸헥사노에이트이고,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촉매 또는 경화 촉매로 사용되며, 그 순도가 99.99% 이상이고,
    상기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55 내지 57 (c type)의 경도, 23 kgf/cm2의 인장 강도, 320 %의 신장율, 8.8 kgf/cm2의 인열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무스염 촉매 화합물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90085877A 2019-07-16 2019-07-16 촉매의 제조 방법 KR10205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77A KR102054641B1 (ko) 2019-07-16 2019-07-16 촉매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77A KR102054641B1 (ko) 2019-07-16 2019-07-16 촉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641B1 true KR102054641B1 (ko) 2019-12-11

Family

ID=6900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77A KR102054641B1 (ko) 2019-07-16 2019-07-16 촉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6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247A (ja) * 2005-06-22 2007-01-11 Bayer Materialscience Ag 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100892236B1 (ko) * 2008-09-18 2009-04-09 박경도 폴리우레탄 제조용 금속염 촉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247A (ja) * 2005-06-22 2007-01-11 Bayer Materialscience Ag 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100892236B1 (ko) * 2008-09-18 2009-04-09 박경도 폴리우레탄 제조용 금속염 촉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4092B1 (de) Neue katalysatoren und deren einsatz bei der herstellung von polyurethanen
TWI397557B (zh) 連續生產矽烷化樹脂之方法
JP2517744B2 (ja) プレポリマ−およびポリウレタン/尿素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KR100794133B1 (ko)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난황변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제조방법
EP3022244B1 (en) Isocyanate prepolym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polyurethane prepared therefrom
EP3063209B1 (en) Synthesis and use of metallized polyhedral oligomeric silsequioxane catalyst compositions
EP0644215A1 (en) Bis(N-alkylaminocyclohexyl)methanes as curing agents for polyurethanes and polyureas
CN105308109B (zh) 包含甲硅烷基化的聚合物的组合物
JP2009520065A5 (ko)
EP0252425B1 (en) Low melting urethane linked toluenediisocyanates
FR2488897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n elastomere de polyurethane par moulage par injection avec reaction et article faconne obtenu par ce procede
EP1775313B1 (de)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Polyharnstoffbeschichtungen
JP2017511414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EP0105601A1 (en) Alcohol substituted amides and use as chain extenders for polyurethanes
CN114174369A (zh) 制备可热塑性加工的聚氨酯聚合物的方法
JPS60181118A (ja) ポリウレタン尿素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JP2009520067A5 (ko)
KR102054641B1 (ko) 촉매의 제조 방법
TWI816882B (zh) 聚氨酯整體表層發泡用組合物、聚氨酯整體表層發泡及其製造方法
KR20120004406A (ko) 저-프리 양의 메틸렌디아닐린을 갖는 경화 조성물
KR102054642B1 (ko) 촉매의 제조 방법
KR100892236B1 (ko) 폴리우레탄 제조용 금속염 촉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11001397A (ja) 脂肪族ポリウレア樹脂組成物及び脂肪族ポリウレア樹脂
JP2009520068A5 (ko)
JPS61167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