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491B1 -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491B1
KR102054491B1 KR1020190103321A KR20190103321A KR102054491B1 KR 102054491 B1 KR102054491 B1 KR 102054491B1 KR 1020190103321 A KR1020190103321 A KR 1020190103321A KR 20190103321 A KR20190103321 A KR 20190103321A KR 102054491 B1 KR102054491 B1 KR 10205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ver plate
safety cover
reinforcing bar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희
Original Assignee
정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희 filed Critical 정윤희
Priority to KR102019010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1Protective caps for the ends of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철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는 임의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수직 철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로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의 상부를 함께 덮는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가 상기 수직 철근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의 둘레에 위치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에서 상기 덮개판부가 기울어져 이탈될 때, 상기 수직 철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 사이로 삽입되는 이탈방지코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A Safety cover for vertical rebar}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철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슬라브 또는 보를 형성할 때에는 철근을 수평으로 배근하지만, 기둥, 또는 파일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건축물의 부분에는 철근을 수직을 배근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낙상하는 경우, 수직으로 배근된 철근에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90559호(2016.12.29.공고)의 "철근용 안전커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철근용 안전커버는 철근의 상단이 삽입되는 커버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본체는 철근을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 측방부로 이루어져, 복수의 철근이 상판부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측방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철근의 단부는 상판부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종의 종래의 철근용 안전커버는 수직 철근의 상단을 덮어 낙상의 발생에 따라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철근용 안전커버는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추락하는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상판부가 쉽게 관통하여 하부의 철근이 돌출됨에 따라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근용 안전커버는 단순히 철근의 상부를 덮는 형태이기 때문에 안전커버가 바람 또는 작업자에 의해 철근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낙상에 따라 철근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작업자 또는 바람에 의해 안전커버가 철근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는 임의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수직 철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로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의 상부를 함께 덮는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가 상기 수직 철근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의 둘레에 위치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에서 상기 덮개판부가 기울어져 이탈될 때, 상기 수직 철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 사이로 삽입되는 이탈방지코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수직 철근이 상기 덮개판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하부에 겹쳐지는 관통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방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코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수직 철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커트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코어부는 상기 덮개판부에 하중을 가해 상기 수직 철근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중량물이 충전되는 코어충전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코어부는 상기 코어충전공간으로 상기 중량물을 충전하도록 상기 코어충전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충전구, 상기 충전구를 개폐하는 충전뚜껑, 상기 코어충전공간에 충전된 상기 중량물을 상기 코어충전공간에서 배출하도록 상기 코어충전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의 내측 둘레의 크기에 따라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코어부에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의 내측을 지지하는 변형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커버가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을 함께 덮어 낙상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커버의 중앙에 이탈방지코어부가 수직 철근의 사이에 삽입되어 안전커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판부에 관통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충격에 따른 수직 철근이 덮개판부를 통해 돌출되어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판부와 관통방지부재의 사이에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코어부에 충전공간을 형성하여 충전물에 의해 중량을 부여함으로써, 수직 철근에서 안전커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커트부에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안전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코어부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변형지지부재가 수직 철근에 이탈방지코어부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수직 철근에 안전커버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a)는 수직 철근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 (b)는 수직 철근을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건설현장에서 복수 개가 임의의 형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 예컨대, 파일, 또는 기둥을 제작하기 위해 원형 또는 사각 또는 삼각 등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은 함께 덮어 낙상사고의 발생 시 작업자를 수직 철근(200)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덮개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덮개판부(110)는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판부(110)는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의 배열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배열된 형상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이 원형으로 배열된 경우, 덮개판부(1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 또는 삼각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덮개판부(110)는 건축현장에서 돌출되는 수직 철근(200)의 상단을 덮어 낙상하는 작업자로부터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덮개판부(110)는 다양한 크기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을 덮을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스커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커트부(120)는 덮개판부(110)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덮개판부(110)가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커트부(120)는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스커트부(120)는 덮개판부(110)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덮개판부(110)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덮개판부(110)가 기울어지더라도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커트부(120)의 둘레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띠(미도시)가 설치되어 야간에도 수직 철근(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수직 철근(200)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120)에는 스커트부(120)의 하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안전커버(100)가 수직 철근(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의 저항성을 감소시키도록 공기유통공(12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유통공(121)은 스커트부(120)의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이탈방지코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탈방지코어부(130)는 덮개판부(110)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의 사이로 삽입되어 안전커버(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코어부(130)는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의 사이로 삽입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안전커버(100)가 기울어질 경우, 이탈방지코어부(130)가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의 내측이 지지되어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상부에는 안전커버(100)를 상하로 겹쳐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하는 이탈방지코어부(1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은 수직 철근(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안전을 표시하는 깃발을 설치하거나, 건설현장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할 수도 있다.
이탈방지코어부(130)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전커버(100)의 보관 시 이탈방지코어부(130)가 겹쳐지는 안전커버(100)의 수용공간(131)으로 삽입되어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탈방지코어부(130)는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수록 안전커버(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되지만,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스커트부(120)의 길이와 근접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관통방지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방지부재(115)는 덮개판부(110)의 하부에 겹쳐져 작업자의 낙상으로 인한 충돌에 따라 덮개판부(110)가 파손되면서 돌출됨에 따라 수직 철근(200)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방지부재(115)는 철근이 덮개판부(110)를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방지부재(115)는 덮개판부(110)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덮개판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완충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17)는 관통방지부재(115)와 덮개판부(110)의 사이에 설치되어 덮개판부(110)로 낙상하는 작업자의 충격을 완충시켜 낙상하는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완충부재(117)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거나, 다공성을 가져 완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펀지와 같이 다공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거나, 압축시 탄성력이 축적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거나, 금속판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절곡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117)는 덮개판부(11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서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임의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덮개판부(110)가 형성되며, 덮개판부(110)의 둘레에는 덮개판부(110)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판부(110)의 하부에는 관통방지부재(115)가 겹쳐지며, 관통방지부재(115)와 덮개판부(110)의 사이에는 작업자의 낙상에 따라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117)가 설치된다.
한편, 스커트부(120)의 외측 둘레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띠가 설치되며, 스커트부(120)에는 바람에 의해 수직 철근(200)을 덮은 안전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유통공(121)이 복수 개가 형성된다.
덮개판부(110)의 중앙에는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200)의 중앙부분으로 삽입되는 이탈방지코어부(130)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상부에는 안전커버(100)를 상하로 겹쳐 보관할 때,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커버(100)의 이탈방지코어부(1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코어부(130)는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스커트부(120)의 들레도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커버(100)의 스커트부(1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삽입공간에 이탈방지코어부(130)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안전커버(100)를 겹쳐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의 상단이 스커트부(120)의 내부로 모두 수용되며,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의 중앙에 이탈방지코어부(130)가 삽입되도록 수직 철근(200)의 상단에 안전커버(100)를 설치하여 수직 철근(200)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한다.
이렇게 설치된 안전커버(100)는 실수로 작업자가 안전커버(100)를 치는 경우, 안전커버(100)가 수직 철근(200)에서 기울어지면서, 이탈방지코어부(130)가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의 내측에 걸려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수직 철근(200)을 덮은 안전커버(100)의 상부로 낙상하는 경우, 덮개판부(110)에 관통방지부재(115)가 겹쳐져 수직 철근(200)이 덮개판부(110)를 관통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방지부재(115)와 덮개판부(110)에는 완충부재(117)가 설치되어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스커트부(120)의 하부로 바람이 불더라도 스커트부(120)에 관통 형성된 공기유통공(121)으로 바람이 새어나가면서 안전커버(100)에 가해지는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켜 바람에 의해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을 함께 덮어 수직 철근(200)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판부(110)에 관통방지부재(115)가 설치되어 충격으로 인해 덮개판부(110)가 파손되어 수직 철근(200)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코어부(130)가 형성되어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커트부(120)에 공기유통공(121)이 관통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판부(110)와 관통방지부재(115)의 사이에 완충부재(117)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낙상에 따른 신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이탈방지코어부(130)에 특징이 있다.
제2 실시예의 이탈방지코어부(130)는 중량물에 의해 안전커버(100)에 하중을 부여하여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코어부(130)는 충전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공간(140)은 중량을 부여할 수 있는 충전물이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공간(140)은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충전공간(140)은 이탈방지코어부(130)의 내부에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상부에는 충전공간(140)으로 충전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141)가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상부에서 충전공간(140)을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공간(140)에 충전되는 충전물은 건설현장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모래 또는 물 또는 석재일 수 있다.
충전공간(140)의 하부에는 충전공간(140)에 충전된 충전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45)가 이탈방지코어부(130)의 하부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구(141)에는 충전구(141)를 개폐하기 위한 충전뚜껑(143)이 설치되고, 배출구(145)에는 배출구(145)를 개폐하기 위한 배출뚜껑(147)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수직 철근(200)에 안전커버(10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충전뚜껑(143)을 제거하여 충전구(141)를 개방하고, 충전구(141)를 통해 충전공간(140)에 충전물을 채운다.
충전공간(140)에 충전물이 채워지면 충전뚜껑(143)으로 충전구(141)를 밀폐하면, 충전물에 의해 이탈방지코어부(130)가 하중을 가져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전커버(100)를 수직 철근(200)에서 제거할 경우에는 배출뚜껑(147)을 개방하여 배출구(145)를 개방하면, 충전물이 충전공간(140)의 하부를 향해 개방된 배출구(145)를 통해 배출되어 충전공간(140)의 충전된 충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안전커버(100)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이탈방지코어부(130)에 충전물을 채워 안전커버(100)의 중앙부분에 중량을 제공하여 제1 실시예보다 이탈방지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변형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변형지지부재(150)는 이탈방지코어부(130)의 둘레에 설치되어 임의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에 이탈방지코어부(130)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변형지지부재(150)는 이탈방지코어부(130)의 둘레에 상부로 갈수록 점점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변형지지부재(150)는 탄성력을 갖는 재료 예컨대,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의 사이에 탄성변형되면서 끼워지는 형태로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 사이에 이탈방지코어부(130)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변형지지부재(150)는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의 내측 둘레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직 철근(200)에 끼울 때, 수직 철근(200)이 변형지지부재(150)의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변형지지부재(150)이 수직 철근(200)의 내측으로 압축되고 수직 철근(200)의 사이로 삽입되어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직 철근(200)이 변형지지부재(150)의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안전커버(100)을 상부에서 가압하면, 변형지지부재(150)의 경사면이 수직 철근(200)에 가이드되면서 변형지지부재(150)가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중심을 향해 압축되면서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들의 사이에 변형지지부재(150)가 압축되어 끼워져 수직 철근(200)들 사이에서 이탈방지코어부(13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를 분리하는 경우, 변형지지부재(150)는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변형되어 초기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내측 둘레를 갖는 수직 철근(200)의 사이에 변형지지부재(150)가 탄성변형되면서 끼워져 이탈방지코어부(130)를 흔들림 없이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변형지지부재(160)의 변형예로서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의 변형지지부재(160)는 탄성변형되면서, 둘레가 확장되어 수직 철근(200)의 사이에서 이탈방지코어부(13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변형지지부재(160)는 제1 링부(161)와 제2 링부(162) 그리고, 탄성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변형지지부재(160)는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수용공간(131)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코어부(130)의 둘레에는 수용공간(131)과 내부를 연통하는 변형돌출공(135)이 복수 개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부(161)는 수용공간(131)의 하단에 위치하여 이탈방지코어부(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링부(162)는 수용공간(13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링부(162)는 제1 링부(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이탈방지코어부(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링부(161)와 제2 링부(162)의 사이는 복수 개의 탄성변형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변형부는 변형돌출공(135)과 대응되는 개수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변형부는 제2 링부(162)가 제1 링부(161)에 가까워지면 탄성변형되면서 변형돌출공(135)으로 돌출되어 수직 철근(200)의 내측에 지지되고, 제2 링부(162)가 제1 링부(161)에서 멀어지면 초기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수직 철근(200)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수직 철근(200)에서 안전커버(100)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제1 링부(161)와 제2 링부(162)의 내측에는 탄성변형부가 초기 형상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17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수용공간(131)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31)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수용공간(131)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여 제2 링부(162)를 나사체결에 따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돌출조절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코어부(130)의 수용공간(131)은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상하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돌출조절부재(170)가 나사체결에 따라 수용공간(131)의 하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돌출조절부재(170)의 상면에는 돌출조절부재(170)를 다른 공구 없이도 용이하게 회전시켜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손잡이(17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이탈방지코어부(130)가 복수 개의 수직 철근(200)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안전커버(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돌출조절부재(170)가 수용공간(131)의 하부로 나사체결에 의해 이동하도록 돌출조절부재(170)를 회전시키면, 돌출조절부재(170)가 제1 링부(161)를 가압하고, 제1 링부(161)가 제2 링부(162)에 가까워지면서, 변형돌출부(163)가 변형돌출공(135)을 통해 돌출되고, 돌출되는 변형돌출부(163)는 이탈방지코어부(130)의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돌출되면서 수직 철근(200)의 내측 둘레에 지지된다(도 6의 (b) 참조).
한편, 안전커버(100)를 수직 철근(200)에서 제거할 때에는 돌출조절부재(170)가 상향 이동하도록 돌출조절부재(170)를 회전시키면 제2 링부(162)에서 제1 링부(161)가 탄성스프링(173)의 탄성력과 변형돌출부(163)의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변형력에 의해 변형돌출부(163)가 변형돌출공(135)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수직 철근(200)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안전커버(100)를 수직 철근(200)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철근(200) 안전커버(100)는 돌출조절부재(170)에 의해 변형지지부재(160)의 변형돌출부(163)가 수직 철근(200)을 지지함으로써, 이탈방지코어부(130)를 수직 철근(200)의 내측 둘레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전커버(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조절부재(170)의 나사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변형돌출부(163)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내측 둘레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수직 철근(200)에도 안전커버(10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안전커버 110: 덮개판부
115: 관통방지부재 117: 완충부재
120: 스커트부 121: 공기유통공
130: 이탈방지코어부 131: 수용공간
133: 나사산 135: 변형돌출공
140: 충전공간 141: 충전구
143: 충전뚜껑 145: 배출구
147: 배출뚜껑 150,160: 변형지지부재
161: 제1 링부 162: 제2 링부
163: 변형돌출부 170: 돌출조절부재
171: 손잡이 173: 탄성스프링
200: 수직 철근

Claims (7)

  1. 임의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수직 철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로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의 상부를 함께 덮는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가 상기 수직 철근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의 둘레에 위치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에서 상기 덮개판부가 기울어져 이탈될 때, 상기 수직 철근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철근 사이로 삽입되는 이탈방지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수직 철근이 상기 덮개판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덮개판부의 하부에 겹쳐지는 관통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방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코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수직 철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커트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코어부는
    상기 덮개판부에 하중을 가해 상기 수직 철근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중량물이 충전되는 코어충전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코어부는
    상기 코어충전공간으로 상기 중량물을 충전하도록 상기 코어충전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충전구,
    상기 충전구를 개폐하는 충전뚜껑,
    상기 코어충전공간에 충전된 상기 중량물을 상기 코어충전공간에서 배출하도록 상기 코어충전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의 내측 둘레의 크기에 따라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코어부에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 개로 배열된 수직 철근의 내측을 지지하는 변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KR1020190103321A 2019-08-22 2019-08-22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KR10205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21A KR102054491B1 (ko) 2019-08-22 2019-08-22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21A KR102054491B1 (ko) 2019-08-22 2019-08-22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491B1 true KR102054491B1 (ko) 2019-12-10

Family

ID=690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321A KR102054491B1 (ko) 2019-08-22 2019-08-22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4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0750U (ko) * 1984-12-24 1986-07-14
JP3088292U (ja) * 2002-03-01 2002-09-06 不動鋼材株式会社 露出鉄筋用カバー
JP2003213937A (ja) * 2002-01-17 2003-07-30 Tatsumi Sangyo:Kk 鉄筋群用保護キャップ及び浄化装置設置方法
KR20160014092A (ko) * 2016-01-22 2016-02-05 금병엽 철근용 안전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0750U (ko) * 1984-12-24 1986-07-14
JP2003213937A (ja) * 2002-01-17 2003-07-30 Tatsumi Sangyo:Kk 鉄筋群用保護キャップ及び浄化装置設置方法
JP3088292U (ja) * 2002-03-01 2002-09-06 不動鋼材株式会社 露出鉄筋用カバー
KR20160014092A (ko) * 2016-01-22 2016-02-05 금병엽 철근용 안전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6871A (en) Reinforcing bar protective cover
US6612082B2 (en) Concrete reinforcing bar protective cover
US6085478A (en) Impalement prevention safety system
US20090313927A1 (en) Protective cap for reinforcing bars
US6857235B2 (en) Protective cover for reinforcing bar
US6350081B1 (en) Manhole restraining system for venting out explosive gases in a manhole
US655101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venting out buildup of explosive gases in a manhole
JP4931405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KR102054491B1 (ko)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US6073415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US11136735B2 (en) Impact-resistant and energy-absorbing bollard system
US4015808A (en) Combined leveling bracket and shock absorber for cabinet
KR101830386B1 (ko) 소파블록 추락안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US6203241B1 (en) Inertial barrier module
JP6534782B1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の振動吸収装置
KR20200001445U (ko) 볼라드
JP2003328328A (ja) ポール支持装置
AU2009202701A1 (en) A protective cap
US8282309B2 (en) Inertial barrier
KR20190049064A (ko) 이탈방지형 탄성 볼라드
KR101017704B1 (ko) 완충형 교명주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101060631B1 (ko) 가드레일 시스템
EP2422028A1 (en) Construction prop
AU2003200539B2 (en) Protective cover for concrete reinforcing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