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09B1 -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 Google Patents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09B1
KR102053609B1 KR1020180035212A KR20180035212A KR102053609B1 KR 102053609 B1 KR102053609 B1 KR 102053609B1 KR 1020180035212 A KR1020180035212 A KR 1020180035212A KR 20180035212 A KR20180035212 A KR 20180035212A KR 102053609 B1 KR102053609 B1 KR 10205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sealing body
folded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059A (ko
Inventor
변재수
Original Assignee
(주)거성피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성피엔피 filed Critical (주)거성피엔피
Priority to KR102018003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당근, 우엉, 고구마, 참마근과 같은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에 고가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근채류 농산물이 포장되는 포장지에 다단으로 적층기능이 구비되어 포장공정 및 운반공정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즉, 내부에 근채류 농산물이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로 연장되는 상, 하부몸체; 상기 상, 하부몸체의 전, 후방을 각각 밀폐하고, 밀폐된 면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접힘부가 형성되고, 제1접힘부의 양측으로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접힘부가 형성되는 제1밀폐체; 상기 상, 하부몸체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는 제2밀폐체; 상기 상부몸체에 포장하고자 하는 근채류 농산물의 길이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의 형태로 개방되어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는 인입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밀폐체에 형성되는 제1, 2접힘부로 하여금 근채류 농산물을 포장하지 않을 때에는 제1, 2접힘부가 접혀져 있다가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면 근채류 농산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1, 2접힘부가 펴짐과 동시에 제1밀폐체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계속적인 적층을 도모할 수 있어 기존에 고가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근채류 농산물이 포장된 포장지에 다단으로 적층기능이 구비되어 포장공정 및 운반공정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Wrapping paper for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무, 당근, 우엉, 고구마, 참마와 같은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에 고가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근채류 농산물이 포장되는 포장지에 다단으로 적층기능이 구비되어 포장공정 및 운반공정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중 식용되는 부분이 땅 속에서 발육되는 근채류에 속하는 채소는 무, 당근, 우엉 등과 같이 직근이 비대한 것 외에 고구마, 참마 등의 덩이뿌리를 이용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근채류 중 무는 수분을 약 90%정도 포함하고, 비타민 C, 효소류 및 단맛을 내는 성분으로서 포도당과 설탕을 함유하고 있고 무우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부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므로, 주로 김치류, 단무지, 건조 제품 등의 제조에 사용되어 왔으며, 가공, 저장, 유통을 위해 별도의 포장과정 후에 운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밖에 당근, 우엉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식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또한 가공, 저장, 유통을 위해 별도의 포장과정 후에 운반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근채류 농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포장은 비닐에 대량으로 수용시킨 후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포장작업이 번거롭고 적층이 이뤄지지 않아 대량으로 운반이 어렵고, 컨테이너가 아닌 파렛트를 사용하여 운반할 때에는 한쪽으로 쏠려 넘지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대량으로 운반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되는 사각의 포장용 상자를 이용하여왔다.
하지만, 상기 포장용 상자는 고가로 이루어지면서도 포장용 상자를 별도로 운송지까지 운송하는 운송료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근채류 농산물의 가격을 높이는 요인이 되어왔으며, 또한 모양이 고르지 못한 근채류 농산물의 특성상 포장용 상자에 일정하게 담기지 않아 포장작업의 어려움이 있으며, 세척공정을 거치는 근채류의 특성상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습기가 잔존하여 포장용 상자의 파손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에 근채류 농산물을 대량으로 운반시키면서도 비교적 저가의 포장수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3577호(2006.12.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제1밀폐체에 형성되는 제1, 2접힘부로 하여금 근채류 농산물을 포장하지 않을 때에는 제1, 2접힘부가 접혀져 있다가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면 근채류 농산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1, 2접힘부가 펴짐과 동시에 제1밀폐체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계속적인 적층을 도모하여 기존에 고가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근채류 농산물이 포장된 포장지에 다단으로 적층기능이 구비되어 포장공정 및 운반공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 하부몸체와, 제1밀폐체 및 제2밀폐체는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 및 상기 내피의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가 합지되는 외피로 이루어져,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로 하여금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종이재질인 외피를 통해 근채류 농산물의 포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생산단가를 현저히 줄여주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근채류 농산물이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로 연장되는 상, 하부몸체; 상기 상, 하부몸체의 전, 후방을 각각 밀폐하고, 밀폐된 면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접힘부가 형성되고, 제1접힘부의 양측으로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접힘부가 형성되는 제1밀폐체; 상기 상, 하부몸체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는 제2밀폐체; 상기 상부몸체에 직경이 5 ~ 20㎝인 원형의 형태로 개방되어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는 인입부;가 포함되고, 상기 상, 하부몸체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는 제2밀폐체 중 어느 하나의 제2밀폐체는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되는 부위를 여러겹으로 접은 후 접은 제2밀폐체 측의 단부를 상부몸체에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몸체에 안착된 제2밀폐체 부위의 상측과 상부몸체의 단부 상측을 덮는 이탈지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지와 상부몸체 사이에 라벨부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라벨부재의 일측은 제2밀폐체와 상부몸체 외측에 노출시켜 라벨부재를 뜯으면 제2밀폐체의 개방된 부위가 오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몸체와, 제1밀폐체 및 제2밀폐체는 근채류 농산물이 접촉되는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가 합지되는 외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밀폐체에 형성되는 제1, 2접힘부로 하여금 근채류 농산물을 포장하지 않을 때에는 제1, 2접힘부가 접혀져 있다가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면 근채류 농산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1, 2접힘부가 펴짐과 동시에 제1밀폐체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계속적인 적층을 도모할 수 있어 기존에 고가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근채류 농산물이 포장된 포장지에 다단으로 적층기능이 구비되어 포장공정 및 운반공정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 하부몸체와, 제1밀폐체 및 제2밀폐체는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 및 상기 내피의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가 합지되는 외피로 이루어져,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로 하여금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종이재질인 외피를 통해 근채류 농산물의 포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생산단가를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탈지와 상부몸체 사이에 라벨부재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라벨부재의 일측은 제2밀폐체와 상부몸체 외측에 노출시켜 라벨부재를 뜯으면 제2밀폐체(40)의 개방된 부위가 오픈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로 절개하는 구성요소 및 절개공정없이 간단하게 제2밀폐체를 개방하여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의 반출공정이 수월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b), (c)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라벨부재는 이탈지가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간이인입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b), (c)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기존에 고가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근채류 농산물이 포장되는 포장지에 다단으로 적층기능이 구비되어 포장공정 및 운반공정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몸체(10, 20), 제1밀폐체(30), 제2밀폐체(40), 인입부(50)로 구성되어진다.
상, 하부몸체(10, 20) 내부에 근채류 농산물이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로 상호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밀폐체(30)는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의 전, 후방을 각각 밀폐하여 옆으로 뉘어진 상태인 근채류 농산물의 전, 후방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밀폐체(30)는 밀폐된 면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접힘부(31)가 형성되고, 제1접힘부(31)의 양측으로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접힘부(33)가 형성되어,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접힘부(31, 33)로 하여금 근채류 농산물을 포장하지 않을 때에는 제1, 2접힘부(31, 33)가 접혀져 있다가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면 근채류 농산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1, 2접힘부(31, 33)가 펴짐과 동시에 제1밀폐체(30)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계속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밀폐체(40)는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여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양측에 위치한 근채류 농산물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입부(50)는 상기 상부몸체(10)에 포장하고자 하는 근채류 농산물의 길이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의 형태로 개방되어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부(50)로 하여금 근채류 농산물은 인입이 자유로우면서도 인입된 근채류 농산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근채류 농산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포장이 간편하여 포장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입부(50)의 직경은 5 ~ 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근채류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인입부(50)의 직경이 상기 범위에서 가변되어 근채류 농산물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와, 제1밀폐체(30) 및 제2밀폐체(40)는 근채류 농산물이 접촉되는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a)와, 상기 내피(a)의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가 합지되는 외피(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a)를 이루는 합성수지필름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a)로 하여금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종이재질인 외피(b)를 통해 근채류 농산물의 포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생산단가를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를 가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을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는 제2밀폐체(40) 중 어느 하나의 제2밀폐체(40)는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밀폐체(40)의 개방되는 부위를 여러겹으로 접은 후 접은 제2밀폐체(40) 측의 단부를 상부몸체(10)에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에 안착된 제2밀폐체(40) 부위의 상측과 상부몸체(10)의 단부 상측을 덮는 이탈지(7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탈지(70)와 상부몸체(10) 사이에 라벨부재(60)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라벨부재(60)의 일측은 제2밀폐체(40)와 상부몸체(10) 외측에 노출시켜 라벨부재(60)를 뜯으면 제2밀폐체(40)의 개방된 부위가 오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합성수지로된 내피(a)가 포함된 상, 하부몸체(10, 20)와, 제1밀폐체(30) 및 제2밀폐체(40)를 별도로 절개하는 구성요소 및 절개공정없이 간단하게 제2밀폐체(40)를 개방하여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의 반출공정이 수월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피(a)는 합성수지필름의 일면으로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한 기능이 구비되는 기능성필름이 구성된다.
상기 기능성필름은 증류수 100중량부, 옥수수 단백(corn zein), 밀 글루텐(wheat gluten), 콩 단백질(soyprotein)으로 이루어지는 단백질재료 5 ~ 8중량부, 솔비톨 1 ~ 2중량부가 혼합된 내식성혼합물을 준비한다.
또한, 상기 내식성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신남알데하이드 1 ~ 2중량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1 ~ 2중량부, 벤조산나트륨 0.1 ~ 0.5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기능성 조성물은 60 ~ 70℃ 온도에서 10 ~ 20분간 가열하는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합성수지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건조시켜 이루어게 되며, 이때 합성수지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기능성 조성물은 40 ~ 50℃ 온도에서 30 ~ 60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는 기능성 조성물의 흐름성을 고려하여 균일한 도포두께인 5 ~ 50㎛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내식성혼합물인 단백질재료 5 ~ 8중량부, 솔비톨 1 ~ 2중량부로 한정하는 것은, 단백질재료가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식성혼합물의 기초물질인 단백질의 양이 적기 때문에 필름의 형태로 가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단백질의 양이 늘어날수록 고르게 분산이 되지 못하여 물성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솔비톨은 가소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솔비톨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형성을 도와주는 가소제의 양이 너무 적어 필름이 형성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신남알데하이드는 계피에서 추출된 천연향균물질로 기능성필름에 향균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카복시메틸셀룰로스는 백색 혹은 엷은 황색의 분말 또는 알맹이 혹은 섬유모양의 물질로서 저장, 유통 중 수분손실과 호흡을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물리적 요인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벤조산나트륨은 미생물성장 억제제로 사용되며,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함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보존성을 높이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내피(a)와 외피(b)는 친환경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친환경접착제는 찹쌀을 끊인 찹쌀풀 또는 우뭇가사리와 참도박을 함께 끊인 해초풀인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된 근채류 농산물에 접착제의 유해성분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내피(a)와 외피(b)의 전체면을 친환경접착제로 접착하는 것보다 접착부위를 국부적으로 배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폐체(40)의 일측으로 장공 형태의 간이인입부(80)를 형성시켜 인입부(50)와 더불어 상호 다른 근채류 포장시에 인입부(50)와 함께 포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이인입부(80)는 폭 1 ~ 3㎝이고, 길이는 5 ~ 20㎝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10 : 상부몸체 20 : 하부몸체
30 : 제1밀폐체 31 : 제1접힘부
33 : 제2접힘부 40 : 제2밀폐체
50 : 인입부 60 : 라벨부재
70 : 이탈지 80 : 간이인입부

Claims (7)

  1. 내부에 근채류 농산물이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로 연장되는 상, 하부몸체(10, 20);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의 전, 후방을 각각 밀폐하고, 밀폐된 면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접힘부(31)가 형성되고, 제1접힘부(31)의 양측으로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접힘부(33)가 형성되는 제1밀폐체(30);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는 제2밀폐체(40);
    상기 상부몸체(10)에 직경이 5 ~ 20㎝인 원형의 형태로 개방되어 근채류 농산물을 인입시키는 인입부(50);가 포함되고,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의 양측을 각각 밀폐하는 제2밀폐체(40) 중 어느 하나의 제2밀폐체(40)는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되는 부위를 여러겹으로 접은 후 접은 제2밀폐체(40) 측의 단부를 상부몸체(10)에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몸체(10)에 안착된 제2밀폐체(40) 부위의 상측과 상부몸체(10)의 단부 상측을 덮는 이탈지(70)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지(70)와 상부몸체(10) 사이에 라벨부재(60)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라벨부재(60)의 일측은 제2밀폐체(40)와 상부몸체(10) 외측에 노출시켜 라벨부재(60)를 뜯으면 제2밀폐체(40)의 개방된 부위가 오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몸체(10, 20)와, 제1밀폐체(30) 및 제2밀폐체(40)는 근채류 농산물이 접촉되는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a)와, 상기 내피(a)의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가 합지되는 외피(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a)는 합성수지필름의 일면으로 기능성필름이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필름은 증류수 100중량부, 옥수수 단백(corn zein), 밀 글루텐(wheat gluten), 콩 단백질(soyprotein)으로 이루어지는 단백질재료 5 ~ 8중량부, 솔비톨 1 ~ 2중량부가 혼합된 내식성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내식성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신남알데하이드 1 ~ 2중량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1 ~ 2중량부, 벤조산나트륨 0.1 ~ 0.5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합성수지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여 건조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a)와 외피(b)는 친환경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친환경접착제는 찹쌀을 끊인 찹쌀풀 또는 우뭇가사리와 참도박을 함께 끊인 해초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체(40)의 일측으로 장공 형태의 간이인입부(8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KR1020180035212A 2018-03-27 2018-03-27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KR10205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12A KR102053609B1 (ko) 2018-03-27 2018-03-27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12A KR102053609B1 (ko) 2018-03-27 2018-03-27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59A KR20190113059A (ko) 2019-10-08
KR102053609B1 true KR102053609B1 (ko) 2019-12-09

Family

ID=6820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12A KR102053609B1 (ko) 2018-03-27 2018-03-27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422B2 (ja) * 1994-12-19 2000-05-2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ウォルシュ シフトキーイングを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422U (ja) * 1997-05-14 1997-11-18 邦夫 鶴見 折りたたみ式ティッシュボックス
KR200433577Y1 (ko) 2006-09-25 2006-12-11 윤태소 무 포장용 개방형 상자
KR20120011352A (ko) * 2010-07-23 2012-02-08 김도언 쌀지대 수분 증발 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422B2 (ja) * 1994-12-19 2000-05-2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ウォルシュ シフトキーイングを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59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7396B1 (en) Bag for wrapping food items
Allahvaisi Polypropylene in the industry of food packaging
JP3190336B2 (ja) 貫通通路を有する材料
US8528305B2 (en) Flexible ultra-low permeability transport system and method
CN101500899A (zh) 调料袋
CN107531337A (zh) 用于包装具有不同水活性值的食品的系统和方法
CN114007941B (zh) 用于保存呼吸农产品的包装物和方法
KR102053609B1 (ko) 근채류 농산물용 적층식 포장지
CN101578036B (zh) 用于包裹黄瓜和南瓜的袋及其制造方法
CN204250575U (zh) 一种谷物种子包装袋
KR100774938B1 (ko) 포장지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상자
CN213677974U (zh) 一种防潮包装结构
WO2015023727A1 (en) Banana storage and shipping bags
JP2022132509A (ja) 青果物を収納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CN204250574U (zh) 一种新型谷物种子包装袋
JP5807626B2 (ja) 青果物用包装袋および青果物包装体
Antony Packaging of dried fish and dried fish products for export and internal marketing
JP2010042650A (ja) 鮮度保持フィルム材
CN206203093U (zh) 一种用于果蔬的环保纸浆包装托盘
CN106005763B (zh) 一种水蜜桃常温保鲜包装盒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644018B2 (ja) ダイコン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KR101203684B1 (ko) 깻잎의 세척포장 방법
Anandakumar et al. Packaging and Storage of Spices
KR200277388Y1 (ko) 농수산물용 포장봉지
GB2503018A (en) Dry food product comprising an edibl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