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578B1 -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578B1
KR102053578B1 KR1020190053814A KR20190053814A KR102053578B1 KR 102053578 B1 KR102053578 B1 KR 102053578B1 KR 1020190053814 A KR1020190053814 A KR 1020190053814A KR 20190053814 A KR20190053814 A KR 20190053814A KR 102053578 B1 KR102053578 B1 KR 10205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celeration
data
housing
tra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규
김소정
강민기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몰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몰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몰래
Priority to CN201980003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032164B/zh
Priority to PCT/KR2019/007934 priority patent/WO20200050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71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activities, movements, or kind of sports perform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performance parameters, e.g. distance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oy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위치 트래킹 장치는, NFC 태그가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하고,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로서, 하우징,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핀홀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는 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모리,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본 발명은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무게 설정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고, 트래킹한 위치 정보가 다양한 목적에 활용되도록 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과 IT기술을 결합한 피트니스 테크(Fitness Tech) 시장은 전세계적 성장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달리기(Running)나 싸이클링(Cycling)과 같은 유산소 운동의 경우,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운동 시간 등 운동 내역을 자동으로 트래킹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개인별 맞춤형 피트니스가 제공된다.
하지만,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의 경우, 그 운동 내역을 자동으로 트래킹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서비스가 없다. 웨이트 트레이닝의 경우, 어떤 운동 기구로, 어떤 신체 부위를 운동 했고, 몇 kg의 중량으로, 몇 번 반복 운동했으며, 몇 세트를 운동했는지 등의 운동 내역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시스템이나 서비스 중에는 이러한 요소들을 자동으로 트래킹할 수 있는 것이 없다(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6432호 참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경 기술을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 및 이에 사용되는 무게 설정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무게 설정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웨이트 리프팅 머신(Weight Lifting Machine)(70)은 사용자가 소정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 판(20)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웨이트 리프팅 머신(70)에는 웨이트 판(20, 22)이 복수 개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각 웨이트 판(20, 22)은 소정 무게(예를 들어, 5kg)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웨이트 판이 동일한 무게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질 수 있다. 각 웨이트 판(20, 22)에는 무게 표시 스티커(33, 34)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된 웨이트 판 중에서 최상부의 웨이트 판(20)에는 5kg가 기재된 무게 표시 스티커(33)가 부착될 수 있고, 바로 아래의 웨이트 판(22)에는 웨이트 판 2개의 무게인 10kg가 기재된 무게 표시 스티커(34)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어느 웨이트 판에는 가장 위부터의 누적 무게가 기재된 무게 표시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게 설정 핀(weight selector pin)(15)을 이용하여 자신이 들어올리길 원하는 웨이트 판(20, 22)의 개수 또는 웨이트 스택(weight stack)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웨이트 스택(30)은 무게 설정 핀(15)에 의해서 설정되는 소정 개수의 웨이트 판의 덩어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웨이트 판(20, 22)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무게 설정 핀(15)을 삽입함으로써 자신이 들어올리길 원하는 웨이트 판(20, 22)의 개수 또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에 무게 설정 핀을 삽입함으로써 자신이 들어올리길 원하는 웨이트 판의 개수 또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게 설정 핀(35, 37)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무게 설정 핀은 헤드(Head) 및 핀(Pin)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Head part)와 핀부(Pin Part)의 형태는 여러 가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설정 핀(35)은 하나의 봉형상의 핀과 핀의 단부에 위치한 헤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도 2(a) 참조),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설정 핀(37)은 납작한 형상의 핀이 두개가 있는 형태일 수 있다(도 2(b) 참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봉형상을 가지는 무게 설정 핀(35)은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고, 납작한 형상의 핀이 두개가 있는 무게 설정 핀(37)은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핀홀 또는 상기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는 핀(P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웨이트 트레이닝 시 이용한 웨이트 스택의 정확한 위치를 트래킹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반복 운동한 횟수, 운동한 관절의 사용 범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 및 이에 사용되는 무게 설정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무게 설정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가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 1 머신 러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 2 머신 러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입력된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생산한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서 NFC 리딩 모듈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서 금속판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서 가속도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복수 개의 NFC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를 번갈아 유지하면서 NFC 태그로부터 리딩한 무게 데이터 중에서 실제 웨이트 스택의 무게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NFC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가 무게 설정 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가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6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한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가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6b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70) 내에서 웨이트 판(20, 25)이 복수 개 중첩된 형태인 웨이트 스택(30)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하우징(125), 핀(10), 가속도 센서(90), 프로세서(100), 메모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통신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5)은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외형을 이루며,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각종 구성이 내장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핀(10)은 하우징(125)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부재일 수 있다. 핀(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 판(20, 25)이 중첩된 모습인 웨이트 스택(30)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은 2개의 납작한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핀(10)을 삽입한 후, 삽입된 핀(10)의 상부에 쌓여있는 웨이트 판(20, 22), 즉 웨이트 스택(3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은 하나의 봉형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25)에 형성된 핀홀(45)에 핀을 삽입한 후, 핀홀(45)이 형성된 웨이트 판(25)과 핀홀(45)이 형성된 웨이트 판(25)의 상부에 쌓여있는 웨이트 판, 즉 웨이트 스택을 들어올릴 수 있다.
즉, 핀(10)은 복수 개의 웨이트 판(20)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되거나, 복수 개의 웨이트 판(2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25)에 형성된 핀홀(4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핀(10)이 핀홀(45)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90)는 하우징(125)의 내부에 배치되며, 웨이트 스택(30)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속도 센서(90)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핀(10)에 의해 웨이트 스택(30)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웨이트 리프팅 머신(70)을 이용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이 움직이게 되면, 웨이트 스택(30)은 물론이고 위치 트래킹 장치(60)도 함께 움직이게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웨이트 스택(30)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 이 과정에서 웨이트 스택(30) 역시 상하 이동을 하며, 동시에 웨이트 스택(30)과 일체로 움직이는 위치 트래킹 장치(60)도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가속도 센서(90)는 위치 트래킹 장치(60) 또는 웨이트 스택(30)의 가속도 값 내지 가속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하우징(125)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웨이트 스택(3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하우징(125)의 내부에는 메모리(11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가속도 데이터, 위치 데이터 또는 그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10)는 RAM, ROM, EEPROM 등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반도체 소자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로서,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정보가 저장되는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정 메모리(110)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하우징(125) 내부에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을 더 포함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도 6b에 나타나 있다.
이 때,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위치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는 사용자의 핸드폰, 관리 서버 및 그 외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의 제어 하에 위치 데이터가 외부로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위치 데이터는 가공되어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00)가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한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전술한 웨이트 리프팅 머신의 종류 중에서 핀이 상하 웨이트 판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을 고려하여 설명한다(도 3 참조).
이하, 도 7 및 8 을 참조하여, 프로세서가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식인, 프로세서의 신호 처리 방식을 살펴본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8 을 통해, 프로세서(100)의 신호 처리 방식을 살펴보면, 프로세서(100)는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후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에 적분 연산을 단일 또는 반복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중량 가속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0)는 노이즈가 제거된 가속도 데이터를 1차 적분하여 속도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속도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가 웨이트 스택(30)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적용하여 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속도 데이터에 다시 신호 처리를 적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때 각 단계에서 적용되는 신호 처리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10 을 참조하여,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사용하여 프로세서가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 1 머신 러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머신 러닝을 통해서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i) 미리 선정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을 학습시키는 학습 단계와 (ii)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신호 처리된 위치 데이터(P)를 입력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인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학습 단계의 경우, 프로세서(100)는 다양한 종류의 머신 러닝 모델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세서(100)는 (i) DNN (Deep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종류의 신경망 모델(Neural Network Mode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ii) 선택된 신경망 모델에 대해서 하이퍼 파라미터(Hyper parameter)를 설정함으로써, 학습시킬 머신 러닝 모델을 선정할 수 있다.
학습시킬 머신 러닝 모델이 선정되면, 프로세서(100)는 선정된 머신 러닝 모델에 미리 준비된 학습 데이터 세트(Training Data Set)를 입력하여 선정된 머신 러닝 모델을 학습 시킬 수 있다. 이 때, 학습 데이터 세트는 상하로 이동하는 웨이트 스택(30)의 위치에 대해서 (i) 실측한 실측 위치 데이터(Q)와 (ii) 가속도 센서(90)가 센싱한 센싱 값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획득한 센싱 위치 데이터(P)로 구성될 수 있다. 실측 위치 데이터(Q)는 줄자나 엔코더(encoder)(160) 등을 이용하여 웨이트 스택(30)의 높이 변화를 측정한 데이터로서, 소정 기준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학습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00)는 학습이 완료된 머신 러닝 모델에 테스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대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가 센싱한 센싱 값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획득한 센싱 위치 데이터(P) 중 일부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입력하고, 그 출력값이 입력된 일부에 대응하는 실측 위치 데이터 일부와 일치하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대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성능 평가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경우, 프로세서(100)는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을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머신 러닝 모델로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성능 평가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 프로세서(100)는 머신 러닝 모델을 선정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가서, 성능 평가 값을 만족시키는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이 획득될 때까지 앞서 설명한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식 단계에서,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가 센싱한 센싱값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센싱 위치 데이터(P)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0)는 생성된 센싱 위치 데이터(P)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12 를 참조하여,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프로세서가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또 다른 방식을 살펴본다.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 2 머신 러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머신 러닝을 통해서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i) 미리 선정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을 학습시키는 학습 단계와 (ii)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가속도 센서(90)가 센싱한 센싱 가속도 데이터(R)을 입력하여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R')를 획득하는 인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0)는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R')가 획득되면,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R')에 필터링, 적분 연산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할 수 있다. '
도 11을 참조하면, 학습 단계의 경우, 프로세서(100)는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을 통하여 학습시킬 머신 러닝 모델을 선정하고, 또한 머신 러닝 모델을 학습 시킬 수 있다.
다만, 이 때, 학습 데이터 세트는 상하로 이동하는 웨이트 스택(30)의 가속도에 대해서 (i) 실측한 실측 가속도 데이터(S)와 (ii) 가속도 센서(90)가 센싱한 센싱 가속도 데이터(R)로 구성될 수 있다. 실측 가속도 데이터(R)는 가격이 매우 높거나 크기가 커서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구성으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지만, 높은 정밀도를 갖는 또 다른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이트 스택(30)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한 데이터로서, 소정 기준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학습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00)는 학습이 완료된 머신 러닝 모델에 테스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대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성능 평가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경우, 프로세서(100)는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을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머신 러닝 모델로서 획득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인식 단계에서,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가 센싱한 센싱 가속도 데이터(R)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0)는 획득된 센싱 가속도 데이터(R)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R')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0)는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R')에 필터링, 적분 연산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할 수 있다. '
도 13 을 참조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의 신호 처리 또는 머신 러닝을 통해 생성된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가 입력된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생산한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90)는 웨이트 스택(30)(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가속도 값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00)에게 가속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0)는 제공받은 가속도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거나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 또는 웨이트 스택(30)의 위치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데이터를 통해, 운동의 세트 수, 한 세트 당 리프팅 횟수, 관절가동범위, 운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 시간 및 휴식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3 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치 데이터가 0이 되거나 일정값 이하가 되는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일 경우, 프로세서(100)는 한 세트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정 시간을 기준으로 총 세트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 내에서 봉우리의 개수는 횟수를 의미하는 바, 프로세서(100)는 봉우리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한 세트 당 반복 운동한 횟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에서는 한 세트 당 4회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봉우리의 높이는 위치 변화량이므로, 프로세서(100)는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절가동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봉우리의 아래 면적(T)은 운동량을 나타내는바 프로세서(100)는 봉우리의 아래 면적(T)의 계산을 통해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봉우리의 아래 면적(T)의 연산을 통해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에너지 그래프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는 바 프로세서(100)는 운동 시간 및 휴식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이렇게, 위치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한번 더 가공하여 다양한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NFC 리딩 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NFC 리딩 모듈(80)을 더 포함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의 위치뿐 아니라 무게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 리프팅 머신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3 를 참조하면, 웨이트 리프팅 머신(70)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20, 25)이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된 각각의 웨이트 판(20, 25)에는 NFC 태그(40)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NFC 태그(40)는, 위치 트래킹 장치의 핀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가 결합된 무게 설정 핀이 핀홀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위치 트래킹 장치 내의 NFC 리딩 모듈(80)이 리딩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삽입이 되었을 때, NFC 리딩 모듈(80)과 NFC 태그(40)가 포개지는 위치에 NFC 태그(40)가 부착될 수 있다.
NFC 태그(40)는 자신이 부착된 웨이트 판(20, 25) 및 이러한 웨이트 판(20, 25) 위에 중첩된 웨이트 판(20, 25)의 총 무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NFC 태그(40)는 자신이 부착된 웨이트 판이 가장 아래에 위치한 웨이트 판이 되도록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었을 때의 웨이트 스택(30)의 무게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위로부터 n번째 웨이트 판에 부착되는 NFC 태그(40)는 위에서 첫번째 웨이트 판부터 n 번째 웨이트 판까지 모든 웨이트 판의 무게의 합인 값을 무게 데이터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을 보면, 복수 개의 웨이트 판 각각이 5kg의 중량을 갖는 경우, (i) 가장 위에 있는 웨이트 판에 부착되는 NFC 태그(40)는 5kg의 무게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ii) 위에서 두번째에 있는 웨이트 판에 부착되는 NFC 태그(40)는, 첫 번째 웨이트 판과 두 번째 웨이트 판의 무게 합인 10kg의 무게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NFC 태그(40)는 이 무게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스티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웨이트 판(20, 25)에 부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NFC 리딩 모듈(80)은 하우징(125)의 내부에 배치되어 NFC 태그(40)를 리딩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나타내는 무게 데이터를 감지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핀(10)의 삽입 시에 NFC 리딩 모듈(80)은 웨이트 판(20, 25)에 부착된 NFC 태그(40)로 근접하게 되고, 근접하는 과정 또는 삽입이 완료된 후에 감지되는 NFC 태그(40)를 리딩하여 핀(10)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나타내는 무게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하우징(125)의 내부에 배치되어, NFC 리딩 모듈(80)로부터 NFC 리딩 모듈(80)이 감지한 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NFC 리딩 모듈(80)은 인식한 무게 데이터를 프로세서(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25)의 내부에는 메모리(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무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무게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는 사용자의 핸드폰, 관리 서버 및 그 외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의 제어 하에 무게 데이터가 외부로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무게 데이터는 가공되어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8 을 참조하여, NFC 리딩 모듈(80)이 NFC 태그(40)와 통신하는 과정에서 무게 설정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30)의 무게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서 NFC 리딩 모듈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서 금속판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서 가속도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복수 개의 NFC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8 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웨이트 판(20)에 각각 NFC 태그(40, 43)가 부착될 수 있는 바, 위치 트래킹 장치(6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NFC 리딩 모듈(80)은 자신과 가장 근거리의 NFC 태그(40)(즉, 삽입된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바로 위에 위치한 웨이트 판(20)의 NFC 태그(40)) 외에 다른 NFC 태그(43)와도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NFC 리딩 모듈(80)에 의한 무게 인식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거나, 수행되더라도 잘못된 무게 데이터가 인식될 수 있어 무게 인식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 (도 15 에서 L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참조하면,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시예에 따라서는 NFC 리딩 모듈(80)은 웨이트 스택(30)과 마주보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내측(155)에 접하면서 하우징(12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NFC 리딩 모듈(80)은 웨이트 판(20)의 NFC 태그(40)와 통신을 수행하므로, NFC 태그(40)의 리딩 기능의 향상을 높이기 위해서 하우징(125) 내에서 가능한 NFC 태그(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NFC 리딩 모듈(80)은 웨이트 스택(30)과 마주보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내측(155)에 접하면서 하우징(12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25) 내에 배치된 구성들 중에서 NFC 리딩 모듈(80)이 웨이트 스택(3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NFC 리딩 모듈(80)이 단 하나의 NFC 태그(40)와 통신하도록,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내측(155)에서 NFC 리딩 모듈(80)과 접한 부분의 상부에 금속판(140)이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판(140)은 내측(155)에서 NFC 리딩 모듈(80)과 접한 부분 이외의 모든 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타겟이 되는 NFC 태그의 위치 이외의 부분에 금속판(14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금속판(140)이 NFC 리딩 모듈(80)의 상부 또는 전략적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통신 의도된 NFC 태그(40) 이외에 다른 NFC 태그(43)와는 통신이 방해되어 NFC 리딩 모듈(80)은 정확한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7 을 참조하여, NFC 리딩 모듈(80)과 가속도 센서(90)의 위치 관계를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NFC 리딩 모듈(80)은 웨이트 스택(30)과 마주보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내측(155)에 접하면서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가속도 센서(90)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을 기준으로 NFC 리딩 모듈(80)의 바로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도 17(a) 참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속도 센서(90)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내측(155)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NFC 리딩 모듈(80)의 상하 또는 좌우에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속도 센서(90)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폭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도 17(b) 참조).
이와 관련하여, 복수 개의 웨이트 판(20)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사이에 핀(10)이 삽입된 후, 웨이트 스택(30)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위치 트래킹 장치(60) 역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속도 센서(90)가 웨이트 스택(30)으로부터 멀리 위치할수록 가속도 센서(90)는 상하 요동의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90)가 웨이트 스택(30)으로 멀어질수록 측정된 가속도 값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가속도 센서(90)가 중앙에서 멀리 위치할수록 가속도 센서(90)는 상하 또는 좌우로 요동치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90)가 폭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측정된 가속도 값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속도 센서(90)는 하우징(125)의 전면(150)을 기준으로 NFC 리딩 모듈(80)의 바로 다음에 위치하고, 또한 하우징(125)의 전면(150)의 폭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 를 참조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무게 데이터를 정확하게 리딩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를 번갈아 유지하면서 NFC 태그로부터 리딩한 무게 데이터 중에서 실제 웨이트 스택의 무게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를 참조하면, NFC 리딩 모듈(80)은 슬립 모드(S)와 활성 모드(A)를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NFC 리딩 모듈(80)은 활성 모드(A) 시에 리딩한 무게 데이터 중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무게 데이터를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로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위치 트래킹 장치(60)를 웨이트 스택(30)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NFC 리딩 모듈(80)은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 동안 슬립 모드(S)에 있다가 활성 모드(A)로 전환되고, 다시 소정 시간 동안 슬립 모드(S)로 있다가 활성 모드(A)로 전환되면서 슬립 모드(S)와 활성 모드(A)를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NFC 리딩 모듈(80)은 활성 모드(A)에서 서로 다른 NFC 태그(40, 43)를 인식하여 리딩할 수 있고, 가장 근접한 NFC 태그와 좀 더 통신을 수행할 것이므로, 리딩한 무게 데이터 중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무게 데이터를 들어올려질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모드(A) 하에서 NFC 리딩 모듈(80)이 무게 데이터로 5kg, 5kg, 10kg, 5kg 을 리딩할 경우, 리딩한 무게 데이터 중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무게 데이터는 5kg 이므로, 들어올려질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는 5kg 로 판정하여 후술할 프로세서(100)에 웨이트 스택(30)의 무게가 5kg 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웨이트 판(20)에 부착된 NFC 태그(40)의 크기를 소정 크기(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가 10~15 mm) 이하로 작게 하여 NFC 태그(40)와의 통신 가능 범위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NFC 리딩 모듈(80)이 NFC 태그(40)에 근접해야만 NFC 태그(40)를 리딩할 수 있는 바, 위치 트래킹 장치(60)가 삽입된 후 NFC 리딩 모듈(80)은 가장 근접한 NFC 태그(40)만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 을 참조하여, 가속도 센서(90)를 사용하여 NFC 리딩 모듈(80)이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바로 위에 위치한 웨이트 판(20)의 NFC 태그(40)와만 통신하도록 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 내에 설치된 NFC 리딩 모듈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NFC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을 참조하면,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삽입을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는 NFC 리딩 모듈(80)이 NFC 태그(40)를 리딩하지 못하도록 하고,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NFC 리딩 모듈(80)이 NFC 태그(40)를 리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삽입이 완료될 경우, NFC 리딩 모듈(80)은 활성 모드(A)로 변환될 수 있고, 가장 근접한 NFC 태그(40)와 통신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때 가장 근접한 NFC 태그(40)는 삽입된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바로 위에 위치한 웨이트 판(20)의 NFC 태그(40)일 수 있다.
따라서, NFC 리딩 모듈(80)은 삽입된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바로 위에 위치한 웨이트 판(20)의 NFC 태그(40)를 리딩하게 되어 사용자가 들어올릴 정확한 무게 데이터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NFC 리딩 모듈(80)이 활성 모드(A)로 변환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NFC 리딩 모듈(80)은 핀(10)이 삽입되는 방향(D)과 나란한 축(X)의 가속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에 슬립 모드(S)에서 활성 모드(A)로 전환되어 NFC 태그(40)를 리딩할 수 있다.
즉, 핀(10)이 삽입되는 방향(D)과 나란한 축(X)의 가속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삽입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NFC 리딩 모듈(80)은 활성 모드(A)로 변환되어 가장 근접한 NFC 태그(40)를 리딩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NFC 리딩 모듈(80)은 기준값 이상인 3축 가속도 값 중에서 2축 이상의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슬립 모드(S)에서 활성 모드(A)로 되어 NFC 태그(40)를 리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위치 트래킹 장치(60)를 사용하기 위해서 위치 트래킹 장치(60)를 이동시킬 경우, 3축 가속도 값에 변화가 생겨 3축 가속도 값은 기준값 이상이 될 수 있다.
이후,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삽입이 완료될 경우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움직임이 감소하는바 3축 가속도 값 중에서 2축 이상의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값 이상인 3축 가속도 값 중에서 2축 이상의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위치 트래킹 장치(60)는 삽입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NFC 리딩 모듈(80)은 슬립 모드(S)에서 활성 모드(A)로 변환되어 가장 근접한 NFC 태그(40)를 리딩할 수 있다.
한편,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삽입 완료 시점을 3축이 아닌 2축 이상의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로 선택한 이유는, 위치 트래킹 장치(60)가 삽입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웨이트 트레이닝이 실시되어 웨이트 스택(30)이 상하 이동을 할 수도 있으나, 위치 트래킹 장치(60)가 삽입되자마자 바로 웨이트 트레이닝이 실시되어 웨이트 스택(30)이 상하 이동을 한다면 1축(예: Z축)은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상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21 및 2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한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가 무게 설정 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2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200)는, 무게 설정 핀(230)에 탈착이 가능하여 무게 설정 핀(230)이 설정한 웨이트 스택(30)의 위치를 트래킹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200)는 핀(Pin)과 일체형이 아니라(즉, 핀을 구성요소로 포함하지 않음),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무게 설정 핀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위치 트래킹 장치(2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와 핀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트래킹 장치(200)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190)은 무게 설정 핀(230)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무게 설정 핀(230)은 웨이트 판의 핀홀 내지 상하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는 핀부(215) 및 핀부(215)의 일단부에 위치한 헤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트래킹 장치(200)의 하우징(190)은 무게 설정 핀(230)에 탈착되는 탈착부(18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탈착부(180)는 무게 설정 핀(230)의 헤드부(210)에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10)가 구형이라면 탈착부(180)는 구형의 헤드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 하에서 무게 설정 핀(230)에 위치 트래킹 장치(20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하우징(190)의 탈착부(180)는 헤드부(210)를 수용하고, 헤드부(210)는 탈착부(180)에 맞물리면서 끼워질 수 있다.
또는, 무게 설정 핀의 헤드부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위치 트래킹 장치의 탈착부에는 돌기부가 끼워지는 끼움 구멍이 형성되어, 돌기부가 끼움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위치 트래킹 장치는 무게 설정 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200)는 기성 제품인 무게 설정 핀(230)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2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한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가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290)는, 무게 설정 핀(260)과는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형태를 지니며, 무게 설정 핀(260)이 설정한 웨이트 스택(280)의 위치를 트래킹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위치 트래킹 장치(29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60)와, 핀 및 NFC 리딩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290)는 웨이트 판(250)이 적층된 형태인 웨이트 스택(280)의 위치만을 트래킹하는 장치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무게 설정 핀(260)을 통해 웨이트 스택(280)이 설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위치 트래킹 장치(290)는 웨이트 스택(280)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 트래킹 장치(290)는 웨이트 스택(280)의 측면에 부착되거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위치 트래킹 장치(29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식을 통해 웨이트 스택(28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290)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살펴보았으며, 이하 도 2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살펴본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은,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트래킹 방법은,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고, 설정된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는 단계(S10), 가속도 센서가,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S20),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고, 설정된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는 단계 (S10)는,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핀(10)을,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25)에 형성된 핀홀(45)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된 웨이트 판(20)의 형태인 웨이트 스택(30)이 설정될 수 있고, 웨이트 스택은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S20)는, 웨이트 스택(3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상하 운동 시에 가속도가 발생하고, 가속도 센서(90)는 웨이트 스택(3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는, 프로세서(100)는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후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에 적분 연산을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중량 가속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0)는 노이즈가 제거된 가속도 데이터를 1차 적분하여 속도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속도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치 데이터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가공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가공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가공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속도 데이터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가공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공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이하 도 2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살펴본다. 도 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은,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무게 설정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트래킹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상기 무게 설정 핀이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는 단계(S40), 무게 설정 핀에 하우징이 장착되고, 설정된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는 단계(S50), 가속도 센서가,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S60),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상기 무게 설정 핀이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는 단계(S40)는, 무게 설정 핀을,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25)에 형성된 핀홀(45)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된 웨이트 판(20)의 형태인 웨이트 스택(30)이 설정될 수 있다.
무게 설정 핀에 하우징이 장착되고, 설정된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는 단계(S50)는, 무게 설정 핀(230)과 별개의 구성인 위치 트래킹 장치(200)를 무게 설정 핀(230)에 장착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200)와 무게 설정 핀(23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경우와 다르게, 위치 트래킹 장치(200)를 무게 설정 핀(230)에 장착한 후에 무게 설정 핀(230)을 핀홀(45)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렇게, 무게 설정 핀(230)에 위치 트래킹 장치(200)(또는 하우징(190))를 장착한 후에 무게 설정 핀(230)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30)은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S60)는, 웨이트 스택(3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200)의 상하 운동 시에 가속도가 발생하고, 가속도 센서(90)는 웨이트 스택(3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200)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70)는, 프로세서(100)는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후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에 적분 연산을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중량 가속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0)는 노이즈가 제거된 가속도 데이터를 1차 적분하여 속도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속도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치 데이터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가공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가공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가공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속도 데이터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가공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공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이하 도 2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살펴본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방법은,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무게 설정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트래킹 방법은,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무게 설정 핀이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는 단계(S80), 하우징이 웨이트 스택의 상부에 놓이고, 설정된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는 단계(S90), 가속도 센서가,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S100),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무게 설정 핀이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이 설정되는 단계(S80)는, 무게 설정 핀(260)을,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5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웨이트 스택(28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된 웨이트 판(250)의 형태인 웨이트 스택(280)이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이 웨이트 스택의 상부에 놓이고, 설정된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는 단계(S90)는, 무게 설정 핀(230)과 별개의 구성인 위치 트래킹 장치(290)를 웨이트 스택(280)의 상부에 놓을 수 있고, 무게 설정 핀(260)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280)은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위치 트래킹 장치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S100)는, 웨이트 스택(28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290)의 상하 운동 시에 가속도가 발생하고, 가속도 센서(90)는 웨이트 스택(280) 또는 위치 트래킹 장치(290)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는, 프로세서(100)는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후 정제된 가속도 데이터에 적분 연산을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중량 가속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0)는 노이즈가 제거된 가속도 데이터를 1차 적분하여 속도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속도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 또는 적분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속도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치 데이터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가공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가공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가공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는, 가속도 센서(90)로부터 가속도 센서(90)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속도 데이터를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가공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공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치 트래킹 장치(6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110)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핀 20, 22, 25, 250: 웨이트 판
30, 280: 웨이트 스택 40, 43: NFC 태그
45: 핀홀 35, 37, 230, 260: 무게 설정 핀
70: 웨이트 리프팅 머신 80: NFC 리딩 모듈
90: 가속도 센서 100: 프로세서
110: 메모리 120: 통신 모듈
125, 190: 하우징 60, 200, 290: 위치 트래킹 장치
140: 금속판 150: 전면
155: 내측 160: 줄자
180: 탈착부 210: 헤드부
215: 핀부

Claims (16)

  1.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하고,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핀홀 또는 상기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는 핀(P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에 대해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에 상기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적용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2. 삭제
  3.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하고,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핀홀 또는 상기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는 핀(P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에 대해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에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적용하여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4. NFC 태그가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하고,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핀홀 또는 상기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삽입되는 핀(Pi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NFC 태그 중에서 상기 핀의 삽입 과정 또는 삽입 완료 후에 감지되는 NFC 태그를 리딩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나타내는 무게 데이터를 감지하는 NFC 리딩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에 대해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C 리딩 모듈로부터 상기 NFC 리딩 모듈이 감지한 상기 무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나타내는 무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에 상기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적용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C 리딩 모듈은,
    상기 웨이트 스택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내측에 접하면서 배치되는 위치 트래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내측에서 상기 NFC 리딩 모듈과 접한 부분 이외의 부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금속판이 부착된 위치 트래킹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C 리딩 모듈은
    상기 핀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축의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에 슬립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NFC 태그를 리딩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 방향 각각의 가속도 값을 센싱하고,
    상기 NFC 리딩 모듈은
    상기 3개의 축 방향 각각의 가속도 값 중에서 2개 이상의 가속도 값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슬립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NFC 태그를 리딩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C 리딩 모듈은
    상기 핀의 삽입 과정 동안 또는 삽입 완료 후에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를 반복하여 상태 천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C 리딩 모듈이 활성 모드 시에 감지한 복수 개의 무게 데이터 중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무게 데이터를 상기 웨이트 스택의 무게로 결정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10.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무게 설정 핀이 삽입됨으로써 설정되는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에 대해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에 상기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적용하여 고도화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게 설정 핀에 탈착되는 탈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무게 설정 핀의 헤드부에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 위치 트래킹 장치.
  12.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제 1 항에 기재된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제1항에 기재된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으로서,
    상기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면, 제1항에 기재된 프로세서가, 상기 제1항에 기재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가 센싱한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

  13.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무게 설정 핀이 삽입됨으로써 설정되는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에 대해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학습된 머신 러닝 모델(Machine Learning Model)에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를 적용하여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고도화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트래킹 장치.
  14.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제 3 항에 기재된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제 3 항에 기재된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으로서,
    상기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면, 제 3 항에 기재된 프로세서가, 상기 제 3 항에 기재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가 센싱한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
  15.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제 10 항에 기재된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무게 설정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으로서,
    상기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면, 제 10 항에 기재된 프로세서가, 상기 제 10 항에 기재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가 센싱한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
  16. 복수 개의 웨이트 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하여, 제 13 항에 기재된 위치 트래킹 장치를 이용하여, 무게 설정 핀에 의해 설정된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으로서,
    상기 웨이트 스택이 상하 이동하면, 제 13 항에 기재된 프로세서가, 상기 제 13 항에 기재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가 센싱한 상기 웨이트 스택의 가속도 값을 나타내는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트래킹 방법.
KR1020190053814A 2018-06-28 2019-05-08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05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03833.4A CN111032164B (zh) 2018-06-28 2019-06-28 位置追踪装置及方法
PCT/KR2019/007934 WO2020005037A1 (ko) 2018-06-28 2019-06-28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4996 2018-06-28
KR1020180074996 2018-06-28
KR1020180103692 2018-08-31
KR20180103692 2018-08-31
KR1020190011943 2019-01-30
KR1020190011837 2019-01-30
KR20190011837 2019-01-30
KR20190011943 2019-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578B1 true KR102053578B1 (ko) 2020-01-08

Family

ID=688371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67A KR102053576B1 (ko) 2018-06-28 2019-04-09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0190053814A KR102053578B1 (ko) 2018-06-28 2019-05-08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0190104765A KR20200002017A (ko) 2018-06-28 2019-08-26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67A KR102053576B1 (ko) 2018-06-28 2019-04-09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765A KR20200002017A (ko) 2018-06-28 2019-08-26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053576B1 (ko)
CN (2) CN111032163B (ko)
WO (1) WO2020005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090B1 (ko) * 2020-06-30 2022-08-29 김민철 기구 운동을 위한 부착형 운동량 계측 및 정보제공 장치
CN113577696A (zh) * 2021-08-19 2021-11-02 杭州甘之草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中医医疗康复器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2512A1 (en) * 2007-03-27 2008-10-02 Hidong Kim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recor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physical exercise
KR20150032949A (ko) * 2013-09-22 2015-04-01 (주)웰텍 웨이트 스택 머신 운동기의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76B1 (ko) * 2006-04-21 2007-09-06 최대혁 웨이트 운동 기구의 운동 처방 시스템 및 방법
CN202087001U (zh) * 2011-05-18 2011-12-28 力伽实业股份有限公司 重量训练机
US8911335B2 (en) * 2012-03-13 2014-12-16 Speed Tracs America LLC Athlete train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1224546B1 (ko) * 2012-03-16 2013-01-21 (주)개선스포츠 웨이트 운동기구
CN106073707A (zh) * 2013-06-03 2016-11-09 飞比特公司 个人健身跟踪装置和骑自行车活动中的陀螺仪的使用
WO2015113162A1 (en) * 2014-01-30 2015-08-06 Gymtrack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acking workout related information
US9616292B2 (en) * 2015-01-09 2017-04-11 Nolan Orfield Exercise tracker
KR20170006379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제이인터내셔널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ITUB20154086A1 (it) * 2015-10-05 2017-04-05 Technogym Spa Sistema di regolazione di un carico per macchine ginniche
CN108476349B (zh) * 2016-01-21 2021-06-18 索尼移动通讯有限公司 配重块插销、锻炼系统和获得有关信息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2512A1 (en) * 2007-03-27 2008-10-02 Hidong Kim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recor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physical exercise
KR20150032949A (ko) * 2013-09-22 2015-04-01 (주)웰텍 웨이트 스택 머신 운동기의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2163A (zh) 2020-04-17
CN111032163B (zh) 2021-05-28
KR102053576B1 (ko) 2019-12-06
CN111032164A (zh) 2020-04-17
CN111032164B (zh) 2021-07-27
WO2020005036A1 (ko) 2020-01-02
KR20200002017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689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053578B1 (ko)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US20210394020A1 (en) Tracking three-dimensional motion during an activity
CN108304287A (zh) 一种磁盘故障检测方法、装置以及相关设备
KR102212716B1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2221369A (zh) 一种球类运动的动作识别方法、装置和动作辅助设备
CN102224394A (zh) 物理量测量装置以及物理量测量方法
US20180250553A1 (en) Smart weight-lifting pin
CN105043410A (zh) 一种计步器
US20240096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Type Recognition Using Wearables
US117940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type recognition
CN109877832B (zh) 一种位置确定方法、系统及相关装置
KR101782975B1 (ko)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N108120849A (zh) 一种机器人最大速度的测量方法及装置
CN112825270A (zh) 利用霍尔传感器的重量追踪装置及方法
CN109758737A (zh) 水中运动的姿势矫正装置及方法
CN106474704A (zh) 校正方法与运动器材
KR20180085375A (ko) 운동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10383A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08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ree weight system
GB2482496A (en) A weight training device with means to measure performance
CN111228781B (zh) 围棋棋子状态记录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220241646A1 (en) Smart training system
Zweigle et al. RFC Stuttgart Team Description 2009
US20240050804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ness-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