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975B1 -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975B1
KR101782975B1 KR1020160073046A KR20160073046A KR101782975B1 KR 101782975 B1 KR101782975 B1 KR 101782975B1 KR 1020160073046 A KR1020160073046 A KR 1020160073046A KR 20160073046 A KR20160073046 A KR 20160073046A KR 101782975 B1 KR101782975 B1 KR 10178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ion
analysis
sensing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Priority to KR102016007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는 통합센싱모듈을 통해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을 통해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운동에 따른 운동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SMART EXERCISE ASSISTANT DEVICE, EXERCISE HISTORICAL ANALYSIS AND JUDGMENT METHOD US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상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운동을 한다.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전문 트레이너가 곁에 없는 경우, 자신의 운동 상태 및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체계적으로 운동을 할 수 없어, 운동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었고,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사용자의 몸에 무리가 가해져 부상의 위험도 있었다.
따라서,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운동 상태 및 운동 내역에 관한 각종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제공받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운동 상태 및 운동 내역에 관한 각종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제공해 주는 것과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3307호의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운동 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걸음 및 달리기 시의 걸음 인식을 통해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량에 따른 운동 상태, 즉 운동 효율성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운동 보조 디바이스의 경우, 장치 내 설정되어진 특정 운동종류만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운동종류의 진행에 따른 정보만을 한정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하나의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다양한 운동종류에 따른 운동 내역 정보를 각각에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하기 위한 호환성을 갖추지 못해 적용 범위가 협소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운동 보조 디바이스의 경우 측정 정확도가 떨어져 결과적으로 획득되는 정보의 신뢰도가 떨어졌다.
그리고, 사용자가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운동을 수행하더라도 자세를 가이드해 줄 수 없었고, 단순히 운동 횟수와 같은 양적인 측정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운동을 하는 사용자를 질적으로 보조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다양한 운동종류에 따른 운동 내역 정보를 각각에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하도록 하여, 운동 보조 디바이스의 적용 범위를 넓히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정확도를 높여 획득되는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올바른 운동 자세의 가이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운동 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질적인 보조가 가능해 지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는, 특정 대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센싱모듈;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통합센싱모듈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정보 분석모듈; 및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상기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하여 제1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1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별로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1기준정보 및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운동종류에 대한 제2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2판단부; 및 상기 제2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부 내 제2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의 상호 비교를 통해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3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화 후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를 기반으로 제1기준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1기준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화 후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되는 분석정보를 상기 제2기준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2기준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제2기준정보는 활성화 후 생성되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판단부가 생성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2기준정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판단부는, 상기 제2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부분; 상기 검출부분을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와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분; 상기 측정부분을 통해 측정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 내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분; 및 상기 유사도 판단부분을 통해 상기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알림신호 생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모듈은, 특정 신호 입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특정 신호 입력에 따라 발광하는 광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신호 생성부분은 알림신호 생성 시, 상기 진동발생부 및 광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 또는 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을 경우, 제1판단부 및 제3판단부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은, 특정 대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내 마련된 통합센싱모듈을 통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1판단부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하여 제1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별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1기준정보 및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가 저장된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저장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2판단부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검출하여 운동종류에 대한 제2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3판단부가 상기 저장부 내 상기 제2판단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를 비교하여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3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판단단계는, 상기 제3판단부 내 검출부분이 상기 제2판단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단계를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또는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상기 제3판단부 내 측정부분이 측정하는 유사도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판단단계는, 상기 유사도 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 내 속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3판단부 내 유사도 판단부분이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단계; 및 상기 유사도 판단단계를 통해 측정된 유사도가 기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3판단부 내 알림신호 생성부분이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알림신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판단단계는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2판단부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제1판단부 및 제3판단부를 비활성화 시켜 상기 제1판단단계 및 제3판단단계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통합센싱모듈 및 감지정보 분석모듈을 내장한 하우징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운동기구 혹은 신체에 착용되는 별도의 수단과 같은 특정 대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운동 보조 디바이스의 적용이 가능한 대상의 호환성이 높아진다.
둘째,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통합센싱모듈 및 감지정보 분석모듈을 통해 다양한 운동종류에 따른 운동 내역 정보를 각각의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하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통해 다수의 운동종류에 따른 운동 내역 정보를 호환성을 갖추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감지정보 분석모듈이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는 측정 정확도를 높인 운동 내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감지정보 분석모듈이 기준자세 및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운동 자세에 대한 가이드와 같이 질적인 운동 보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특정 대상과 결합됨을 도시한 일실시예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특정 대상과 결합됨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특정 대상과 결합됨을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부가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roll, pitch 및 yaw를 생성하여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부가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roll, pitch 및 yaw를 생성하여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부가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roll, pitch 및 yaw를 생성하여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추출한 운동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에 관한 설명
도1, 도2,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는 하우징(1000H); 통합센싱모듈(1100);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및 출력모듈(1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0H)은 특정 대상(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내부에 하술될 통합센싱모듈(1100),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및 출력모듈(1300)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하우징(1000H)의 장착 가능식 구현은 하우징(1000H) 자체의 자성소재를 통해 마련되거나 또는 하우징(1000H) 내 별도의 자성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실시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하우징(1000H)은 도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밴드(100)형상에 결합될 수 있고, 도3에서와 같이 운동기구(100)에 부착될 수 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0H)은 도2에서와 같이 충전 크레들(200)에 결합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충전 크레들(200)에 충전 케이블(210)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 내의 배터리(1500)를 충전 할 수 있다.
통합센싱모듈(1100)은 하우징(1000H) 내에 마련되어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통합센싱모듈(1100)에는 6축센서가 구비된다. 6축센서의 바람직한 예로는 3축 가속도센서 및 3축 각속도센서(자이로스코프센서, Gyroscope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3축 가속도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물체가 움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각속도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가 함께 사용됨으로써 사용자의 모션을 측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통합센싱모듈(1100)에 3축 지자계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은 하우징(1000H) 내에 마련되어 통합센싱모듈(1100)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도4를 참조하여,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은 분석부(1210); 제1판단부(1220); 저장부(1230); 제2판단부(1240); 및 제3판단부(1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석부(1210)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해 사용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일정한 패턴이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렛풀다운 운동의 경우,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는 하강과 승강을 반복하며 운동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통합센싱모듈(1100)이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분석부(1210)가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210)는 통합센싱모듈(1100)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도6에서와 같이 roll(x축을 기준으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변화), pitch(y축을 기준으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변화) 및 yaw(z축을 기준으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그래프화(x축 : 시간, y축 : 측정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한 뒤, 도7과 같이 도6에서 나타난 그래프로부터 운동 패턴을 분석하고, 도8에서와 같이 도7에서 분석된 운동 패턴을 추출하여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함으로써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제1판단부(1220)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하여 제1운동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판단부(1220)는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와 같이 양적인 운동 정보만을 측정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별로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1기준정보와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자세는 전문가에 의해 측정된 운동자세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측정된 운동자세일 수 도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제2판단부(1240)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저장부(1230)로부터 검출하여 운동종류에 대한 제2운동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운동정보에 대해 쉽게 말하자면, 제2운동정보는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부가적으로, 제2판단부(1240)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저장부(1230)로부터 검출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을 경우, 제1판단부(1220) 및 하술될 제3판단부(1250)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다는 것은, 사용자가 운동을 하고 있는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것이고, 따라서, 제2판단부(1240)는 제1판단부(1220) 및 하술될 제3판단부(1250)의 비활성화를 통해 불필요한 기능의 동작을 최소화 시킨다.
제3판단부(1250)는 제2판단부(1240)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저장부(1230) 내 제2기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의 상호 비교를 통해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제3판단부(1250)를 통해 생성되는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밴드(100)타입에 결합되어 실시될 경우, 즉 밴드(100)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실시될 경우 가장 바람직하다.
도4를 참조하여, 제3판단부(125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3판단부(1250)는 검출부분(1251); 측정부분(1252); 유사도 판단부분(1253); 및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부분(1251)은 제2판단부(1240)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저장부(1230)로부터 검출한다.
또한, 측정부분(1252)은 검출부분(1251)을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와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운동 패턴과 검출부분(1251)을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를 상호 비교하여 측정된다.
그리고, 유사도는 공지된 유사도 측정 기법 중 하나를 측정부분이 수행하도록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 검출부분(1251)을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를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요소들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을 유사도로 변환하여 나타내어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분은 측정부분(1252)을 통해 측정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 내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은 유사도 판단부분(1253)을 통해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한다.
부가적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화 후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를 기반으로 제1기준정보를 설정하여 저장부(1230)에 기록하는 제1기준정보 설정부(1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시중인 운동을 제1기준정보로 추가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화 후 분석부(1210)를 통해 생성되는 분석정보를 제2기준정보로 설정하여 저장부(1230)에 기록하는 제2기준정보 설정부(1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준정보 설정부(1270)를 통해 설정되는 제2기준정보는 활성화 후 생성되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2판단부(1240)가 생성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2기준정보에 해당한다. 즉, 기준 설정부(1260)를 통해 설정되는 제2기준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된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실시중인 운동을 제2기준정보로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하우징(1000H) 일측에 마련된 별도의 가압식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입력모듈과 같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특정 명령신호 입력 및 생성을 위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추가 설명된 제1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 및 제2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는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입력모듈을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실시에 따라 하나의 입력모듈을 통해 일괄적으로 생성될 수 도 있다.
출력모듈(1300)은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4를 참조하여, 출력모듈(13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출력모듈(1300)은 진동발생부(1310); 및 광발생부(1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발생부(1310)는 특정 신호 입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광발생부(1320)는 특정 신호 입력에 따라 발광한다.
구체적으로 말해,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은 알림신호 생성 시, 진동발생부(1310) 및 광발생부(1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 또는 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잘못된 운동 자세로 운동 시 진동 또는 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한 알림을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는 기준자세와 같이 올바른 운동 자세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출력모듈(1300)에 스피커부(1330)가 구비되어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으로부터 생성되는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출력모듈(1300)에 디스플레이부(1340)가 구비되어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으로부터 생성되는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글자 또는 화면상의 빛의 세기를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모듈(1300)에 디스플레이부(1340)가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1340)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을 수 도 있다.
부가적으로,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 내에 통신모듈(1400)이 구비되어 단말(2000)과 감지정보, 운동 내역 정보, 제1기준자세 및 제2기준자세 등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2.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에 관한 설명
도1, 도2,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은 감지단계(S100); 분석단계(S200); 및 판단단계(S300)를 포함한다.
감지단계(S100)는 특정 대상(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000H) 내 마련된 통합센싱모듈(1100)을 통해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하우징(1000H)의 장착 가능식 구현은 하우징(1000H) 자체의 자성소재를 통해 마련되거나 또는 하우징(1000H) 내 별도의 자성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실시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통합센싱모듈(1100)에 대한 설명은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에 따른 통합센싱모듈(1100)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분석단계(S200)는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분석부(1210)가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3을 참조하여 감지단계(S100) 및 분석단계(S200)에 대해 말하자면, 사용자가 도3에 도시된 렛풀다운 운동을 하는 경우 감지단계(S100)가 실행되어 통합센싱모듈(1100)이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분석단계(S200)가 실행되어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분석부(1210)가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분석단계(S200)는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도6에서와 같이 roll(x축을 기준으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변화), pitch(y축을 기준으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변화) 및 yaw(z축을 기준으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그래프화(x축 : 시간, y축 : 측정된 회전각에 따른 전압값) 한 뒤, 도7과 같이 도6에서 나타난 그래프로부터 운동 패턴을 분석하고, 도8에서와 같이 도7에서 분석된 운동 패턴을 추출하여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가 결합된 운동기구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함으로써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판단단계(S300)는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이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단단계(S300)는 제1판단단계(S310); 제2판단단계(S320); 및 제3판단단계(S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판단단계(S310)는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제1판단부(1220)가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하여 제1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제1판단단계(S310)는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와 같이 양적인 운동 정보만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판단단계(S320)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별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1기준정보 및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가 저장된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저장부(1230)로부터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제2판단부(1240)가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검출하여 운동종류에 대한 제2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운동정보는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여기서, 기준자세는 전문가에 의해 측정된 운동자세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측정된 운동자세일 수 도 있으며, 기 설정된 자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판단단계(S320)는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제2판단부(1240)가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저장부(1230)로부터 검출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을 경우, 제1판단부(1220) 및 하술될 제3판단부(1250)를 비활성화 시켜 제1판단단계(S310) 및 하술될 제3판단단계(S330)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단계의 동작을 최소화 시킨다.
여기서, 제3판단단계(S330)는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 내 제3판단부(1250)가 저장부(1230) 내 제2판단단계(S320)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를 비교하여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판단단계(S330)는 검출단계(S331); 유사도 측정단계(S332); 유사도 판단단계(S333); 및 알림신호 생성단계(S334);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단계(S331)는 제3판단부(1250) 내 검출부분(1251)이 제2판단단계(S320)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저장부(1230)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이다.
또한, 유사도 측정단계(S332)는 검출단계(S331)를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와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또는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제3판단부(1250) 내 측정부분(1252)이 측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운동 패턴과 검출단계(S331)를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를 상호 비교하여 측정된다.
그리고, 유사도는 공지된 유사도 측정 기법 중 하나를 대입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 검출부분(1251)을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를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요소들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을 유사도로 변환하여 나타내어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도 판단단계(S333)는 유사도 측정단계(S332)를 통해 측정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 내 속하는지 여부를 제3판단부(1250) 내 유사도 판단부분(1253)이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알림신호 생성단계(S334)는 유사도 판단단계(S333)를 통해 측정된 유사도가 기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3판단부(1250) 내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이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부가적으로,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에 출력단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계는 감지단계(S100)를 통해 생성되는 감지정보, 분석단계(S200)를 통해 생성되는 분석정보 및 판단단계(S300)를 통해 생성되는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출력모듈(130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판단부(1250) 내 알림신호 생성부분(1254)이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출력모듈(1300) 내 진동발생부(1310)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출력모듈(1300) 내 광발생부(1320)를 통해 발광하거나 출력모듈(1300) 내 스피커부(1330)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도 있으며, 출력모듈(1300) 내 디스플레이부(13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글자 또는 화면상의 빛의 세기를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잘못된 운동 자세로 운동 시 진동 또는 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한 알림을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는 기준자세와 같이 올바른 운동 자세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특정 대상(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000H) 내 통신모듈(1400)이 마련되어 단말(2000)과 감지정보, 운동 내역 정보, 제1기준자세 및 제2기준자세 등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해 설명한다.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설명한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1000)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에 관한 모든 사항이 프로그램화 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통합센싱모듈(1100)을 통해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을 통해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운동에 따른 운동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이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측정 정확도를 높인 운동 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감지정보 분석모듈(1200)이 기준자세 및 하우징(1000H)이 결합된 대상(100)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운동 보조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운동 자세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질적인 운동 보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대상
200 : 충전 크레들
210 : 충전 케이블
1000 :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1000H : 하우징
1100 : 통합센싱모듈
1200 : 감지정보 분석모듈
1210 : 분석부
1220 : 제1판단부
1230 : 저장부
1240 : 제2판단부
1250 : 제3판단부
1251 : 검출부분
1252 : 측정부분
1253 : 유사도 판단부분
1254 : 알림신호 생성부분
1300 : 출력모듈
1310 : 진동발생부
1320 : 광발생부
1330 : 스피커부
1340 : 디스플레이부
1400 : 통신모듈
1500 : 배터리
2000 : 단말

Claims (16)

  1. 특정 대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센싱모듈;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통합센싱모듈을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정보 분석모듈; 및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상기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하여 제1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1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별로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1기준정보 및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 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운동종류에 대한 제2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2판단부; 및
    상기 제2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부 내 제2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의 상호 비교를 통해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3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화 후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를 기반으로 제1기준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1기준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기준정보 설정 활성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화 후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되는 분석정보를 상기 제2기준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2기준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제2기준정보는 활성화 후 생성되는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판단부가 생성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2기준정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단부는,
    상기 제2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부분;
    상기 검출부분을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와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분;
    상기 측정부분을 통해 측정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 내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분; 및
    상기 유사도 판단부분을 통해 상기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알림신호 생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특정 신호 입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특정 신호 입력에 따라 발광하는 광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신호 생성부분은 알림신호 생성 시, 상기 진동발생부 및 광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 또는 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감지정보 또는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을 경우, 제1판단부 및 제3판단부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
  9. 특정 대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내 마련된 통합센싱모듈을 통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운동을 통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감지정보 분석모듈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1판단부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 패턴의 반복 속도 및 횟수를 판단하여 제1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별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종류에 대한 제1기준정보 및 운동종류별 기 설정된 기준자세에 따른 운동패턴 및 패턴 반복주기에 대한 제2기준정보가 저장된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저장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2판단부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검출하여 운동종류에 대한 제2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3판단부가 상기 저장부 내 상기 제2판단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를 비교하여 운동자세 유사도에 대한 제3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3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단단계는,
    상기 제3판단부 내 검출부분이 상기 제2판단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2운동정보가 나타내는 운동종류에 대응되는 제2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단계를 통해 검출된 제2기준정보가 나타내는 기준자세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또는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형태에 따른 운동자세 간의 유사도를 상기 제3판단부 내 측정부분이 측정하는 유사도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단단계는,
    상기 유사도 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 내 속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3판단부 내 유사도 판단부분이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단계; 및
    상기 유사도 판단단계를 통해 측정된 유사도가 기설정된 유사도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3판단부 내 알림신호 생성부분이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알림신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단계는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 내 제2판단부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 및 상기 분석단계를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대상의 움직임 변화 형태와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1기준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제1판단부 및 제3판단부를 비활성화 시켜 상기 제1판단단계 및 제3판단단계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73046A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78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46A KR101782975B1 (ko)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46A KR101782975B1 (ko)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975B1 true KR101782975B1 (ko) 2017-09-28

Family

ID=6003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46A KR101782975B1 (ko)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9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926A1 (ko) * 2019-03-12 2020-09-17 (주)스포투 생체정보 분석 방법
WO2020184927A1 (ko) * 2019-03-12 2020-09-17 (주)스포투 생체정보 센싱 장치
KR20210081736A (ko) * 2019-12-24 2021-07-02 김영재 운동을 보조하는 탈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운동 보조 방법
KR20210132732A (ko) * 2014-02-18 2021-11-04 에얄 쉴로못 컴퓨터식 요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978B1 (ko) 2009-04-29 2011-05-09 한국과학기술원 모션센서를 이용한 운동 피드백 기능과 운동기록이 가능한 아령세트
KR101277177B1 (ko) 2011-08-24 2013-06-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978B1 (ko) 2009-04-29 2011-05-09 한국과학기술원 모션센서를 이용한 운동 피드백 기능과 운동기록이 가능한 아령세트
KR101277177B1 (ko) 2011-08-24 2013-06-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732A (ko) * 2014-02-18 2021-11-04 에얄 쉴로못 컴퓨터식 요요
KR102371367B1 (ko) 2014-02-18 2022-03-04 에얄 쉴로못 컴퓨터식 요요
WO2020184926A1 (ko) * 2019-03-12 2020-09-17 (주)스포투 생체정보 분석 방법
WO2020184927A1 (ko) * 2019-03-12 2020-09-17 (주)스포투 생체정보 센싱 장치
KR20210081736A (ko) * 2019-12-24 2021-07-02 김영재 운동을 보조하는 탈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운동 보조 방법
KR102327233B1 (ko) 2019-12-24 2021-11-16 김영재 운동을 보조하는 탈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운동 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975B1 (ko) 스마트 운동 보조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운동 내역 분석 및 판단 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212716B1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5321002B2 (ja) 体動バランス検出装置、体動バランス検出プログラム、体動バランス検出方法
US74500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uman activity pattern
JP5504810B2 (ja) 歩行姿勢判定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604024B1 (ko) 운동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64269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8073210A (ja) ゴルフクラブ、そのスイング評価支援装置
JP2015033425A (ja) センサーユニット、および運動検出装置
KR20100112764A (ko) 동작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동작교정 서비스시스템
JPWO2004091400A1 (ja) 加速度センサ軸情報補正装置及び加速度センサ軸情報補正方法
JP2014180483A (ja) 運動支援装置、運動思案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KR101651429B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JP6241488B2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KR102054279B1 (ko) 충격량 기반 트레이닝 시스템
KR101665773B1 (ko) 의류 장착형 자세교정 시스템
KR20200119753A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5916A (ko)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80071553A (ko) 골프 스윙자세 분석 및 교정을 위한 연습시스템
JP2019534062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6432665B2 (ja) 運動装置、腕降り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02017A (ko)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643876B1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15346553A (zh) 基于音乐节拍检测用户动作的方法和设备
WO202001904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ion related parameters of a weights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