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342B1 -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342B1
KR102053342B1 KR1020180113656A KR20180113656A KR102053342B1 KR 102053342 B1 KR102053342 B1 KR 102053342B1 KR 1020180113656 A KR1020180113656 A KR 1020180113656A KR 20180113656 A KR20180113656 A KR 20180113656A KR 102053342 B1 KR102053342 B1 KR 10205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unit
hole
open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후
Original Assignee
김장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후 filed Critical 김장후
Priority to KR102018011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42B1/ko
Priority to PCT/KR2019/012214 priority patent/WO202006027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 E05B65/087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cooperating with the slide guide, e.g.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using no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가 창틀에 고정된 레일부에 결착되기에 창문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한 뒤 걸림부를 레일부에 결착시켜 창문을 위치고정시킨 후, 환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건축물의 외부에서는 완전히 개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외부인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장치의 전달유닛에 의해 걸림부를 개폐손잡이의 회전 간격보다 깊게 레일부에 결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창문에 충격을 주어도 걸림부가 레일부에서 이탈되지 않아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는 자체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여 운반이 수월하고, 기존의 창문 또는 샤시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설치가 편리하기에 실용성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Window locking system to prevent outside break-in and Prevent crashes}
본 발명은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가 창틀에 고정된 레일부에 결착되기에 창문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한 뒤 걸림부를 레일부에 결착시켜 창문을 위치고정시킨 후, 환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건축물의 외부에서는 완전히 개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외부인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은 통상적으로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창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운동하여 개폐됨과 동시에 상기 창문의 창문틀에 설치된 잠금장치의 회동에 따라 상기 창문이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창문이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된 상태에서만 회동하여 상기 창문을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창문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창문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시켜 위치고정시킨 뒤 환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창문을 완전히 개방되면 환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겠으나 완전히 개방된 상기 창문을 통해 외부인이 침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332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가 창틀에 고정된 레일부에 결착되기에 창문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한 뒤 걸림부를 레일부에 결착시켜 창문을 위치고정시킨 후, 환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건축물의 외부에서는 완전히 개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외부인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연결장치의 전달유닛에 의해 걸림부를 개폐손잡이의 회전 간격보다 깊게 레일부에 결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창문에 충격을 주어도 걸림부가 레일부에서 이탈되지 않아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상기 창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을 선택적으로 창틀에 고정하는 개폐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구조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일면에 결합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개폐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고, 일측으로 작동시 레일부의 결합부에 결착되어 창문이 열리지 못하게 제어하는 걸림부와;
상기 개폐손잡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개폐손잡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걸림부를 상,하로 작동시키고, 평상시에 항시 걸림부가 레일부의 결합부에 결착되어 있도록 걸림부를 결합부 측으로 유지시키는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림부와 연결장치 사이에는 연결장치의 직선운동을 걸림부에 전달하도록 연결대가 더 형성되어 걸림부와 연결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걸림부의 외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에 삽입된 연결대를 관통하여 연결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상기 창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부측에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개폐손잡이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개폐손잡이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가 회동되는 개폐손잡이 연결구와;
상기 케이스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개폐손잡이 연결구의 누름돌기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유닛을 상측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 관통구 측에 형성되어 연결대의 끝단부와 연결되고, 하측부에는 제 1 연결홀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 연결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상측부와 연결유닛의 제 1 연결홀에 연결되어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에 전달하여 연결유닛을 상,하로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을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키는 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유닛은 상측부에 전달유닛과 연결되도록 제 2 연결홀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고, 중단부에는 개폐손잡이 연결구의 누름돌기가 접촉되어 누름돌기에 의해 눌리도록 누름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는 케이스의 격벽에 일측이 지지된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일측에는 스프링에 의해 구동유닛이 상측으로 구동시, 케이스의 격벽에 결착되어 구동 간격을 제어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달유닛은, "X" 형태로 형성되는 두개의 구동바와;
상기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에 따라 두개의 구동바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반복 작동되도록 두개의 구동바가 크로스된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장치와;
상기 두개의 구동바 양끝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연결유닛의 제 1 연결홀과 구동유닛의 제 2 연결홀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구동바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작동시, 제 1 연결홀과 제 2 연결홀에 가이드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는 개폐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가 창틀에 고정된 레일부에 결착되기에 창문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한 뒤 걸림부를 레일부에 결착시켜 창문을 위치고정시킨 후, 환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건축물의 외부에서는 완전히 개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외부인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기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장치의 전달유닛에 의해 걸림부를 개폐손잡이의 회전 간격보다 깊게 레일부에 결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창문에 충격을 주어도 걸림부가 레일부에서 이탈되지 않아 창문을 임의로 완전히 개방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는 자체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여 운반이 수월하고, 기존의 창문 또는 샤시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설치가 편리하기에 실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가 설치된 창문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가 설치된 창문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는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창틀(1)과, 상기 창틀(1)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문(2)과, 상기 창문(2)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2)을 선택적으로 창틀에 고정하는 개폐손잡이(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구조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로써, 레일부(10)와, 걸림부(20)와, 연결대(30)와, 연결장치(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틀(1)과 상기 창문(2)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함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손잡이(3)는 상기 창문(2)을 선택적으로 상기 창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문(2)의 창문틀 일측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기 계폐손잡이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창문(2)의 창문틀 일측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상기 레일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1)의 상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하단면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은 가이드레일의 형태에 맞춰 설계 변경이 가능한대 레일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10)의 일면 즉, 상기 결합홈(12)의 반대측면에는 결합부(11)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11)는 다수개가 레일부(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이 사이에 걸림부(20)가 결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는 돌기 형태로 직각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돌기 이외에 걸림부(20)가 삽입되도록 홈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기에 결합부(11)의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는 직각삼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결합부(11)를 이루는 면 중 개방방향의 측면은 직각으로 이루어지고, 폐쇄방향의 측면은 예각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방향의 직각 측면의 깊이는 1.5 ~ 3.0 ㎝이기에 걸림부(20)가 깊게 결착되어 외부에서 창문(2)에 충격이 가해져도 걸림부(20)가 결합부(11)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아 안전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건축물의 내부에서 상기 창문(2)을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창문(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개폐손잡이(3)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20)가 상기 레일부(10)의 결합부(11)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걸림부(20)가 개방방향의 상기 직각측면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창문(2)이 상기 창틀(1)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여 개방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창문(2)을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창문(2)은 창틀(1)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0)는 폐쇄방향의 예각측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20)가 폐쇄되는 창문(2)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건축물의 외부에서는 개폐손잡이(3)를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상기 걸림부(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로부터 인출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걸림부(20)가 개방방향의 직각측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상기 창문(2)을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고, 상기 걸림부(20)가 상측으로 작동시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결착되어 창문(2)이 열리지 못하게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0)의 상측은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결합부(11)의 예각측면을 타고 용이하게 올라가기 위해 경사진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측은 결합부(11)의 직각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0)의 하측에는 연결대(30)가 삽입되도록 연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1)이 형성된 걸림부(20)의 외부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22)은 걸림부(2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 핀,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21)에 삽입된 연결대(30)를 관통하여 연결대(30)를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대(30)를 걸림부(2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20)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홈(21)에 연결되어 개폐손잡이(3)의 작동에 따라 걸림부(20)를 상,하로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에 연결되는 연결장치(100)에서부터 결합부(11)에 결착되는 걸림부(20)까지의 사이에 따라 길이를 절단하여 걸림부(20)와 연결장치(10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기에 기존에 설치된 창문에 수월하게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창문(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100)는 걸림부(20)와 연결되는 연결대(30)의 끝단부와 연결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연결대(30)를 상,하로 작동시키며, 평상시에는 항시 걸림부(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결착되어 있도록 걸림부(20)와 연결대(30)를 상측으로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장치(100)는 케이스(110)와,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와, 구동유닛(130)과, 스프링(140)과, 연결유닛(150)과, 전달유닛(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개폐손잡이(3)가 설치된 창문(2)의 내측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 고정편(1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13)을 통해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창문(2)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가 중공되는데, 상기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11)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기 격벽(111)에 의해 구획이 나누어진 중공된 내부에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와, 구동유닛(130)과, 스프링(140)과, 연결유닛(150)과, 전달유닛(160)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측 즉, 연결대(30)와 연결되는 일측은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전달유닛(160)의 연결돌기(163)가 삽입되어 전달유닛(160)이 상,하로 이동시, 정해진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14)이 전달유닛(160)의 이동만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4)은 케이스(110)의 내부 일측면에 2개의 전달유닛(160)에 맞춰 2개가 형성되는데, 2개의 가이드홈(114)이 상호 하측으로 형성될수록 멀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손잡이 연결구(120)는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되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홀(121)은 케이스의 일면에도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의 외부 일측에는 누름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122)가 회동되고, 상기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의 회동에 의해 누름돌기(122)가 지랫대 역할처럼 구동유닛(130)의 일측을 눌려서 구동유닛(130)을 하측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유닛(130)은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의 누름돌기(122)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도록 중단부에 누름단턱(131)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에는 전달유닛(160)과 연결되도록 제 2 연결홀(13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연결홀(132)은 2개의 전달유닛(160)에 맞춰 2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단부에는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일측이 지지된 스프링(14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단부 일측에는 스프링(140)에 의해 구동유닛(130)이 상측으로 구동시, 설정된 간격이상 상측으로 구동되지 않도록 걸림돌기(13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34)가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결착되어 구동유닛(130)의 구동 간격을 제어하며, 상기 걸림돌기(134)는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결착되도록 끝단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구동유닛(130)의 삽입홈(133)에 설치되어 구동유닛(130)을 상측으로 밀어서 구동시키는데, 상기 스프링(140)은 일측이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지지되고, 타측은 구동유닛(130)의 삽입홈(133)에 지지되어 구동유닛(130)을 상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밀어주는 것이다.
상기 연결유닛(150)은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케이스(110)의 내부 중 관통구(112) 측에 형성되어 연결대(30)의 끝단부와 연결되도록 연결홈(151)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150)이 연결대(30)와 연결방식은 상기에 기술한 걸림부(20)와 연결대(30)의 연결방식과 유사하다. 즉, 상기 연결홈(151)이 형성된 연결유닛(150)의 외부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은 연결유닛(15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핀,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151)에 삽입된 연결대(30)를 관통하여 연결대(30)를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대(30)가 연결유닛(150)에서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150)의 하측부에는 전달유닛(160)과 연결되도록 제 1 연결홀(15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홀(152)은 2개의 전달유닛(160)에 맞춰 2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홀(152)은 구동유닛(130)의 제 2 연결홀(132)과 동일한 형태,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전달유닛(160)은 도 5 내지 도 6에서처럼,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와 연결유닛(150)의 제 1 연결홀(152)에 연결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150)에 전달하여 연결유닛(150)을 상,하로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150)을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달유닛(160)은 구동바(161)와, 힌지장치(162)와, 연결돌기(16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바(161)는 연결유닛(150)과 구동유닛(1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150)에 전달하는 바로써, 2개의 구동바(161)가 "X"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유닛(150)의 제 1 연결홀(152)과, 구동유닛(130)의 제 2 연결홀(132)에 구동바(161)의 양끝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에 따라 두개의 구동바(161)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반복 작동되도록 두개의 구동바(161)가 크로스된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장치(16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163)는 상기 두개의 구동바(161) 양끝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연결유닛(150)의 제 1 연결홀(152)과 구동유닛의 제 2 연결홀(132)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구동바(161)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작동시, 제 1 연결홀(152)과 제 2 연결홀(132)에 가이드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161)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돌기(163)는 구동바(16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는데, 일측의 연결돌기(163)는 구동유닛(130)의 제 2 연결홀(132)에 연결되고, 타측의 연결돌기(163)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에 삽입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처럼, 상기 구동유닛(130)이 상측으로 구동되면 2개의 구동바(161)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130)이 하측으로 구동되면 2개의 구동바(161)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이런 형태로 상기 전달유닛(160)에 의해 연결유닛(150)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연결유닛(150)의 상,하 이동 간격이 더 깊게 형성되어 걸림부(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깊게 결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레일부 11 : 결합부
12 : 결합홈
20 : 걸림부 21,151 : 연결홈
22 : 관통홀
30 : 연결대 100 : 연결장치
110 : 케이스 111 : 격벽
112 : 관통구 113 : 고정편
114 : 가이드홈
120 : 개폐손잡이 연결구 121 : 결합홀
122 : 누름돌기
130 : 구동유닛 131 : 누름단턱
132 : 제 2 연결홀 133 : 삽입홈
134 : 걸림돌기 140 : 스프링
150 : 연결유닛 152 : 제 1 연결홀
160 : 전달유닛 161 : 구동바
162 : 힌지장치 163 : 연결돌기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창틀(1)과, 상기 창틀(1)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문(2)과, 상기 창문(2)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2)을 선택적으로 창틀(1)에 고정하는 개폐손잡이(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구조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1)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일면에 결합부(1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레일부(10)와;
    상기 개폐손잡이(3)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고, 일측으로 작동시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결착되어 창문(2)이 열리지 못하게 제어하는 걸림부(20)와;
    상기 개폐손잡이(3)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걸림부(20)를 상,하로 작동시키고, 평상시에 항시 걸림부(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결착되어 있도록 걸림부(20)를 결합부(11) 측으로 유지시키는 연결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20)와 연결장치(100) 사이에는 연결장치(100)의 직선운동을 걸림부(20)에 전달하도록 연결대(30)가 더 형성되어 걸림부(20)와 연결장치(10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장치(100)는, 상기 창문(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11)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부측에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2)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되고, 일측에 누름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122)가 회동되는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와;
    상기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의 누름돌기(122)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130)과;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유닛(130)을 상측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140)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중 관통구(112) 측에 형성되어 연결대(30)의 끝단부와 연결되고, 하측부에는 제 1 연결홀(15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 연결유닛(150)과;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와 연결유닛(150)의 제 1 연결홀(152)에 연결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150)에 전달하여 연결유닛(150)을 상,하로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150)을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키는 전달유닛(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의 하측에는 연결대(30)가 삽입되도록 연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1)이 형성된 걸림부(20)의 외부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21)에 삽입된 연결대(30)를 관통하여 연결대(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에는 전달유닛(160)과 연결되도록 제 2 연결홀(13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고, 중단부에는 개폐손잡이 연결구(120)의 누름돌기(122)가 접촉되어 누름돌기(122)에 의해 눌리도록 누름단턱(13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단부에는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일측이 지지된 스프링(14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일측에는 스프링(140)에 의해 구동유닛(130)이 상측으로 구동시,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결착되어 구동 간격을 제어하는 걸림돌기(13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160)은,
    "X" 형태로 형성되는 두개의 구동바(161)와;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에 따라 두개의 구동바(161)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반복 작동되도록 두개의 구동바(161)가 크로스된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장치(162)와;
    상기 두개의 구동바(161) 양끝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연결유닛(150)의 제 1 연결홀(152)과 구동유닛(130)의 제 2 연결홀(132)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구동바(161)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작동시, 제 1 연결홀(152)과 제 2 연결홀(132)에 가이드되는 연결돌기(16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 및 추락사고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5. 삭제
KR1020180113656A 2018-09-21 2018-09-21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KR10205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56A KR102053342B1 (ko) 2018-09-21 2018-09-21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PCT/KR2019/012214 WO2020060272A1 (ko) 2018-09-21 2019-09-20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56A KR102053342B1 (ko) 2018-09-21 2018-09-21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342B1 true KR102053342B1 (ko) 2019-12-06

Family

ID=688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56A KR102053342B1 (ko) 2018-09-21 2018-09-21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3342B1 (ko)
WO (1) WO20200602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094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커미닉 위치에 상관없이 체결되는 슬라이딩도어 부착형 잠금장치
KR102359309B1 (ko) * 2020-12-03 2022-02-07 김장후 새시 도어용 안전개폐장치
KR102359308B1 (ko) * 2020-12-03 2022-02-07 김장후 새시 도어용 안전잠금장치
KR102628846B1 (ko) 2022-11-14 2024-01-25 주식회사 자연애 슬라이딩 창문용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26Y1 (ko) 2000-03-13 2000-08-16 심종원 창문용잠금장치
KR20080086599A (ko) * 2007-03-23 2008-09-26 안종교 창문설치구조
KR101888253B1 (ko) * 2016-10-06 2018-08-13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8508A (en) * 1978-07-13 1979-04-10 Adair Ronald B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s and the like
KR20000006104U (ko) * 1998-09-09 2000-04-06 임재만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160052486A (ko) * 2016-04-22 2016-05-12 김기석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26Y1 (ko) 2000-03-13 2000-08-16 심종원 창문용잠금장치
KR20080086599A (ko) * 2007-03-23 2008-09-26 안종교 창문설치구조
KR101888253B1 (ko) * 2016-10-06 2018-08-13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094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커미닉 위치에 상관없이 체결되는 슬라이딩도어 부착형 잠금장치
KR102399172B1 (ko) 2019-12-19 2022-05-18 이휘 위치에 상관없이 체결되는 슬라이딩도어 부착형 잠금장치
KR102359309B1 (ko) * 2020-12-03 2022-02-07 김장후 새시 도어용 안전개폐장치
KR102359308B1 (ko) * 2020-12-03 2022-02-07 김장후 새시 도어용 안전잠금장치
KR102628846B1 (ko) 2022-11-14 2024-01-25 주식회사 자연애 슬라이딩 창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272A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342B1 (ko)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US10030421B2 (en) Latch and lock system
KR100591881B1 (ko) 건축물 창문틀 내부잠금구조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774753B1 (ko) 폴딩도어
CA2462366A1 (en) Improved window sash corner lock
KR200465862Y1 (ko) 문 자동잠금장치
KR100919233B1 (ko) 개폐정도 유지 및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용 창문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220000692U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US746764A (en) Sash-fastener.
US1731680A (en) Sash and door bolt
CN216043129U (zh) 一种新型门窗锁件
CN204663155U (zh) 一种把手锁
KR20150098498A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CN219864551U (zh) 上悬窗及其传动结构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204343803U (zh) 一种门窗锁座及门窗锁闭机构
CN216142688U (zh) 一种门护栏
CN203769467U (zh) 一种平开门锁体
CN218759415U (zh) 一种缓冲机构及其推拉门窗
EP1256680A3 (de) Fenster, Tür oder dergleichen mit Treibstangenbeschlag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