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38B1 -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38B1
KR102052638B1 KR1020180010929A KR20180010929A KR102052638B1 KR 102052638 B1 KR102052638 B1 KR 102052638B1 KR 1020180010929 A KR1020180010929 A KR 1020180010929A KR 20180010929 A KR20180010929 A KR 20180010929A KR 102052638 B1 KR102052638 B1 KR 10205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ir
mode
exhaus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851A (ko
Inventor
이윤미
Original Assignee
이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미 filed Critical 이윤미
Priority to KR102018001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8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cyclic routing supply and exhaust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 청정기능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덕트 시공이 용이하며, 환기구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외기구로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방향을 간단한 구조로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강제배기모드, 청정모드, 외기냉방모드, 열교환환기모드, 필터청소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기청정기 자체만으로 멀티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성능 및 활용도가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Duct type multifunction air clea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내공기 청정기능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각종 먼지, 가스, 악취, 연기와 같은 오염물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통해 걸러내어 오염물은 필터에 침착시키고, 청정해진 공기만을 다시 송풍기 등을 이용해 실내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통상적으로 실내에 장착되거나 공간이 칸칸으로 구획된 오피스, 가정 등의 실내공기의 일괄적인 청정을 위해 천장에 매립하여 덕트로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덕트형 공기청정기에 대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061914호(2002.02.28.)의 "천정 매입형 공기 정화장치"(이하, "선행문헌 1"라 한다.)에 의하면, 천정에 매설한 에어 클리너(air cleaner)에 따라서 방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상기 천정에 설치한 슬릿 모양 취출구에 덕트(duct)에 따라서 이끌고 상기 방측으로 공기를 불어주어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하게 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7254호(2006. 05. 10.)의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이하, "선행문헌 2"라 한다.)에 의하면, 환기의 역할을 담당하는 환기시스템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청정의 기능도 갖추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환기시스템에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공기청정 및 공기순환이 되도록 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기술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보급되고 있는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고, 선행문헌 2의 기술은 전열교환장치와 연동하도록 설치하는 구조에 따라 단순히 공기청정 기능만 제시하고 있을 뿐, 공기청정기 자체만을 독립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061914 (2002. 02. 28.)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577254 (2006. 05. 10.)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컴팩트한 구성으로 덕트 시공이 용이하며, 환기구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외기구로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유동 방향을 간단한 구조로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공기청정모드, 외기냉방모드, 열교환환기모드, 필터청소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기청정기 자체만으로 멀티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성능을 향상시킨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획판을 매개로 상부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또는 외부로 토출하도록 전후측에 환기구 및 배기구가 연통된 배기챔버가 형성되고, 하부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도록 전후측에 급기구 및 외기구가 연통된 급기챔버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급기챔버에 설치되어 실내 및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배기챔버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멀티제어수단과, 상기 급기챔버의 설치되어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개방 또는 차단하는 외기댐퍼와, 상기 배기챔버와 급기챔버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유도을 강제하는 제1송풍팬 및 제2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챔버는 일측으로 실내공기를 급기챔버로 순환시켜 필터부로 필터링하도록 구획판을 관통하는 순환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통구이 격리되도록 분할격벽으로 구획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바로 배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 필터링하도록 급기챔버의 구획판과 제2송풍팬 사이로 개재되는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멀티제어수단은 배기챔버의 환기구와 분할격벽 사이로 설치되고 상부에 구동부가 설치되며 회전축에 제1개폐구와 제2개폐구가 직교되게 일체 형성된 회동게이트와, 상기 배기챔버의 양측 코너에 설치되며 회동게이트의 회동반경을 제공하면서 차폐가 용이하도록 내측방향으로 호형접지면을 갖는 코너부재와, 상기 회동게이트와 분할격벽 사이로 기밀작용을 위한 기밀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밀작동부는 분할격벽의 전단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힌지 조립되는 완충접지편과, 회동게이트의 제1개폐구 또는 제2개폐구가 완충접지편을 마찰하면서 통과시 회동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가변 회동된 후 토션스프링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복귀되면서 제1개폐구 또는 제2개폐구의 단부에 긴밀히 접지되어 기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밀작동부는 제1개폐구와 제2개폐구의 전단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힌지 조립되는 작동완충편과, 분할격벽의 전단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힌지 조립되는 완충접지편으로 구성하며, 회동게이트의 회전시 작동완충편과 완충접지편이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변 작동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긴밀히 접지되어 기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터부는 급기챔버의 전후측으로 슬라이드브라켓이 형성되고, 본체의 측방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필터층으로 구성된 필터카트리지를 탈장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배기챔버와 급기챔버가 상하 구획 구성하고 멀티제어수단의 회동게이트과 외기댐퍼에 의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단순히 실내공기 청정기능뿐만 아니라 열교환 환기모드, 봄/가을 외기냉방모드, 실내공기를 강제배기하는 바이패스모드, 필터부의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모드, 화장실, 신발장의 등의 내부공기를 환기시키는 추가배기모드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극대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컴팩트한 구성으로 천정 덕트시공시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공기청정기 자체만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활용도가 우수한 덕트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절취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중 기밀작동부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모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 환기모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외기냉방모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패스모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청소모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추가배기모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절취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는 상부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또는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챔버(1)가 되고, 하부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챔버(2)가 되도록 상하가 구획판(3)으로 구획된 본체(10)와, 상기 급기챔버(2)에 설치되어 실내 및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20)와, 상기 배기챔버(1)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멀티제어수단(30)과, 상기 급기챔버(2)의 설치되어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차단 또는 개방하는 외기댐퍼(40)와, 상기 배기챔버(1)와 급기챔버(2)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유도을 강제하는 제1송풍팬(50) 및 제2송풍팬(6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배기챔버(1)는 전후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환기구(11) 및 배기구(12)가 연통되고, 급기챔버(2)는 전후측으로 실외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급기구(13) 및 외기구(14)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챔버(1)는 일측으로 실내공기를 급기챔버(2)로 순환시키도록 구획판(3)을 관통하는 순환관통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통구(15)이 격리되도록 분할격벽(16)으로 구획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바로 배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구간(4)이 형성된다.
또 상기 배기챔버(1)의 바이패스구간(4)의 측방으로 화장실, 신발장 등의 환기를 위한 덕트와 연결되기 위한 보조배기흡입구(17)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급기챔버(2)의 구획판(3)과 제2송풍팬(60) 사이로 개재되도록 슬라이드브라켓(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1)으로 필터카트리지(22)를 삽입하되, 본체(10)의 측방을 관통하도록 슬라이드 탈장착하는 구조로 설치와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21)는 먼지입자를 걸러내는 프리필터(23)와, 냄새 탈취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필터(24)와, 미세먼지 필터링을 위한 헤파필터(25) 및 광촉매필터를 포함하는 다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제어수단(30)은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도록 배기챔버(1)의 환기구(11)와 분할격벽(16) 사이로 회동게이트(31)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게이트(31)의 상부측에 회동게이트(31)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부(32)가 설치되며, 배기챔버(1)의 양측 코너에 회동게이트(31)의 회동반경을 제공하면서 차폐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호형접지면(33a)을 갖는 코너부재(33)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게이트(31)의 작동성을 지지하면서 기밀확보가 용이하도록 회동게이트(31)와 분할격벽(16) 사이로 기밀작동부(34)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게이트(31)는 회전축(31a)으로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직교되게 일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기밀작동부(34)는 분할격벽(16)의 전단에 토션스프링(35)에 의해 힌지 조립되는 완충접지편(37)이 탄력적으로 가변하도록 형성되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 또는 제2개폐구(31c)가 마찰되면서 통과시 회동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가변 회동된 후 토션스프링(35)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복귀되면서 제1개폐구(31b) 또는 제2개폐구(31c)의 단부에 긴밀히 접지되어 기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밀작동부(34)는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의 전단에 토션스프링(35)에 의해 조립되는 작동완충편(36)이 형성되고, 분할격벽(16)의 전단에 토션스프링(35)에 의해 힌지 조립되는 완충접지편(37)을 형성하여 회동게이트(31)의 회전시 작동완충편(36)과 완충접지편(37)이 토션스프링(35)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변됨에 따른 마찰력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작동성을 높히면서 긴밀히 접지됨에 따른 기밀상태를 제공하도록 변형실시할 수 있다.
상기 외기댐퍼(40)는 급기챔버(2)로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급기챔버(2)의 외기구(14)에 설치되며, 연결파이프 내측으로 유로를 개폐하도록 모터로 구동하는 개폐판이 형성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댐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의 유동방향과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함에 따라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모드,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며 환기시키는 열교환 환기모드, 외기공기를 도입하는 외기냉방모드, 실내공기를 강제배기 하는 바이패스모드, 필터부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모드, 화장실 또는 신발장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추가배기모드와 같은 멀티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모드에 따른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도시는 이해를 높히기 위해 배기챔버는 평단면을 도시하고, 급기챔버는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공기청정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 형상으로 위치시켜 바이패스구간(4)을 차단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차단하게 되면, 배기챔버(1)의 환기구(11)와 순환관통구(15)가 상호 개방되어 배기챔버(1)와 급기챔버(2)를 연통된 상태가 되며, 제1송풍팬(50)은 OFF 하고 제2송풍팬(60)을 ON 시키면 공기청정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실내공기가 환기구(11)로 흡입되어 순환관통구(15)와 필터부(20)를 경유하여 필터링됨과 동시에 제2송풍팬(60) 및 급기구(13)를 통해 청정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열교환 환기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형상으로 위치시켜 배기구(12)와 바이패스구간(4) 및 순환관통구(15)가 상호 개방되도록 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개방시키게 되면, 배기챔버(1)와 배기구(12) 및 급기챔버(2)가 연통된 상태가 되며, 제1송풍팬(50)과 제2송풍팬(60)을 ON 시키면, 열교환 환기모드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실내공기가 환기구(11)로 흡입되어 실내공기 일부는 바이패스구간(4)을 경유하여 제1송풍팬(50) 및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되고, 실내공기 일부는 외기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필터부(20)에서 열교환하도록 필터링된 후, 제2송풍팬(60) 및 급기구(13)를 통해 실내로 열교환 및 정화된 청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외기냉방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 형상으로 위치시켜 순환관통구(15)를 차단시키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개방시키게 되면, 배기챔버(1)와 급기챔버(2)는 상호 단절되고, 배기챔버(1)의 환기구(11)와 바이패스구간(4)이 상호 개방되면서 환기구(11)와 배기구(12)가 연통된 상태가 되며, 제1송풍팬(50)과 제2송풍팬(60)을 ON 시키면, 외기냉방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봄 가을철에 오염된 실내공기는 환기구(11)로 흡입하여 바이패스구간(4)을 경유하여 제1송풍팬(50) 및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고, 실외공기를 외기구(14)로부터 유입하여 필터부(20)에서 필터링한 후 제2송풍팬(60) 및 급기구(13)를 통해 실내로 정화된 실외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바이패스모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를 ┏ 형상으로 위치시켜 순환관통구(15)가 차단되도록 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차단하게 되면, 순환관통구(15)가 차단되면서 배기챔버(1)와 급기챔버(2)는 상호 단절되고, 배기챔버(1)의 환기구(11)와 바이패스구간(4)이 상호 개방되어 환기구(11)와 배기구(12)가 연통된 상태가 되며, 제1송풍팬(50)은 ON 하고 제2송풍팬(60)은 OFF 시키면 바이패스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기시 오염된 실내공기를 환기구(11)로 흡입하여 바이패스구간(4)을 경유하여 제1송풍팬(50) 및 배기구(12)를 통해 강제 배기시키게 된다.
필터청소모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형상으로 위치시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환기구(11)를 차단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를 차단하게 되면, 순환관통구(15)와 바이패스구간(4)이 상호 개방되고 급기구(13)와 배기구(12)가 연통된 상태가 되며, 제1송풍팬(50)은 ON 하고 제2송풍팬(60)은 OFF 함으로써, 필터청소모드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필터부(20)에 필터링시 부착된 먼지 와 이물질이 제1송풍팬(50)으로 강제됨과 동시에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른 필터부(20)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추가배기모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를 ┗ 형상으로 위치시키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를 차단하게 되면, 바이패스구간(4)이 밀폐된 상태가 되고, 제1송풍팬(50)은 ON 하고 제2송풍팬(60)을 OFF 시키면 추가배기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화장실이나 신발장의 공기를 환기 필요시 바이패스구간(4)의 보조배기흡입구(17)와 연결된 덕트로부터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제1송풍팬(50) 및 배기구(12)를 통해 강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배기챔버(1)에 형성된 멀티제어수단(30)의 회동게이트(31)의 위치에 따라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이 제어되면서 실내공기의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능과 아울러 계절에 상관없이 공기청정장치만으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부(20)의 탈장착 구조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멀티제어수단(30)의 기밀작동부(34)의 구성으로 회동게이트(31)의 작동성 및 기밀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면서 극대화된 성능으로 사용 활용성이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배기챔버 2:급기챔버 3:구획판 4:바이패스구간
10:본체 11:환기구 12:배기구 13:급기구
14:외기구 15:순환관통구 16:분할격벽 17:보조배기흡입구
20:필터부 21:슬라이드브라켓 22:필터카트리지 23:프리필터
24:기능성필터 25:헤파필터
30:멀티제어수단 31:회동게이트 31a:회전축 31b:제1개폐구
31c:제2개폐구 32:구동부 33:코너부재 33a:호형접지면
34:기밀작동부 35:토션스프링 36:작동완충편 37:완충접지편
40:외기댐퍼 50:제1송풍팬 60:제2송풍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본체(10)에 구획판(3)을 매개로 상부에 배기챔버(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필터부(20)가 설치된 급기챔버(2)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챔버(1)에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도록 환기구(11)와 분할격벽(16) 사이로 회전축(31a)에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직교되게 일체 형성된 회동게이트(31)가 구동부(32)에 의해 동작하는 멀티제어수단(30)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챔버(2)에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외기댐퍼(40)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챔버(1)의 일측으로 순환관통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통구(15)가 격리되도록 분할격벽(16)으로 구획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바로 배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구간(4)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구간(4)으로 화장실, 신발장의 추가 환기를 위한 덕트와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배기흡입구(17)가 형성된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멀티제어수단(30)으로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고 외기댐퍼(40)로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함에 따라 여러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모드, 실내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며 환기시키는 열교환 환기모드, 외기공기를 도입하는 외기냉방모드, 실내공기를 강제배기 하는 바이패스모드, 필터부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모드, 화장실 또는 신발장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추가배기모드로 운용하되,
    공기청정모드는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 형상으로 바이패스구간(4)을 차단하여 환기구(11)와 순환관통구(15)가 상호 개방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차단하도록 운용하며,
    열교환 환기모드는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형상으로 배기구(12)와 바이패스구간(4) 및 순환관통구(15)가 상호 개방되도록 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개방되도록 운용하며,
    외기냉방모드는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 형상으로 순환관통구(15)를 차단하여 배기챔버(1)와 급기챔버(2)는 상호 단절되고, 환기구(11)와 바이패스구간(4)이 개방되도록 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개방되도록 운용하며,
    바이패스모드는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를 ┏ 형상으로 순환관통구(15)를 차단하여 배기챔버(1)와 급기챔버(2)는 상호 단절되고, 배기챔버(1)의 환기구(11)와 바이패스구간(4)이 상호 개방되도록 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는 차단하도록 운용하며,
    필터청소모드는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가 형상으로 환기구(11)를 차단하여 순환관통구(15)와 바이패스구간(4)이 상호 개방되도록 하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를 차단하도록 운용하며,
    추가배기모드는 회동게이트(31)의 제1개폐구(31b)와 제2개폐구(31c)를 ┗ 형상으로 바이패스구간(4)을 밀폐시키고, 외기댐퍼(40)로 외기구(14)를 차단하도록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운용방법.
KR1020180010929A 2018-01-29 2018-01-29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05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29A KR102052638B1 (ko) 2018-01-29 2018-01-29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29A KR102052638B1 (ko) 2018-01-29 2018-01-29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851A KR20190091851A (ko) 2019-08-07
KR102052638B1 true KR102052638B1 (ko) 2019-12-05

Family

ID=6762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29A KR102052638B1 (ko) 2018-01-29 2018-01-29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721A1 (ko) * 2020-04-23 2021-10-28 주식회사 칸필터 공기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790A (zh) * 2019-09-03 2019-1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器
KR102179355B1 (ko) * 2020-01-30 2020-11-16 청정테크주식회사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2177840B1 (ko) * 2020-02-10 2020-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기능의 항바이러스 공조 모듈 및 시스템
KR102188972B1 (ko) * 2020-04-06 2020-12-10 원태연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37Y1 (ko) * 2004-05-04 2004-07-27 삼광공조 주식회사 댐퍼용 실링 구조
KR101628317B1 (ko) * 2015-11-23 2016-06-08 이윤미 열회수형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914A (ja) 2000-08-14 2002-02-28 Yamatake Corp 天井埋込型空気浄化装置
KR100507375B1 (ko) * 2003-10-13 2005-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577254B1 (ko) 2004-06-2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250062B1 (ko) * 2007-08-31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37Y1 (ko) * 2004-05-04 2004-07-27 삼광공조 주식회사 댐퍼용 실링 구조
KR101628317B1 (ko) * 2015-11-23 2016-06-08 이윤미 열회수형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721A1 (ko) * 2020-04-23 2021-10-28 주식회사 칸필터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851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638B1 (ko)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EP1600705A2 (en) Ventilating system
KR102126258B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KR102066570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KR101967279B1 (ko) 실내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KR101921206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783624B1 (ko) 청정운전이 가능한 공기순환장치
KR100577207B1 (ko) 붙박이 형식 환기 시스템
KR101951569B1 (ko) 무덕트형 공기청정 환기장치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20060091441A (ko)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0941413B1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JP4424113B2 (ja) 換気システムと住宅構造
KR100359997B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20180087016A (ko) 자연 급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KR100543596B1 (ko) 환기시스템의 전열교환기 지지구조
JP4393168B2 (ja) 空気調和機
KR20050010410A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40097613A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2379009B1 (ko) 벽 매립형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