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55B1 -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55B1
KR102179355B1 KR1020200011287A KR20200011287A KR102179355B1 KR 102179355 B1 KR102179355 B1 KR 102179355B1 KR 1020200011287 A KR1020200011287 A KR 1020200011287A KR 20200011287 A KR20200011287 A KR 20200011287A KR 102179355 B1 KR102179355 B1 KR 10217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cleaning
damper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나현주
백영식
Original Assignee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정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pivoting blades with intersecting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통로 내에 2개의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필터 세정과 건조 및 공기정화를 진행하도록 해서 24시간 또는 그 이상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모듈의 세정 후 전극판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기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 스파크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2개의 챔버를 형성하고, 2개의 챔버에 각각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해서,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하기 위한 정지 없이 24시간 또는 그 이상의 장시간 동안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Series-connected baghouse module cleaning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통로 내에 2개의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필터 세정과 건조 및 공기정화를 진행하도록 해서 24시간 또는 그 이상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모듈의 세정 후 전극판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기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 스파크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2개의 챔버를 형성하고, 2개의 챔버에 각각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해서,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하기 위한 정지 없이 24시간 또는 그 이상의 장시간 동안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꿔주는 장치로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공기정화기는 집진방법에 따라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식 공기정화기와, 먼지를 고압방전에 의해 대전시켜서 집진하는 집진식 공기정화기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 먼지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초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식 필터와 함께 먼지를 고압방전으로 대전시켜 집진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터는 공기정화기 내부에 다단으로 배치되어 공기정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장기간 사용시 향균 코팅의 기능 저하가 발생하며, 주기적인 필터 세척 또는 교체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4701호에는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터의 점검작업과 세척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공기청정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 후 세척하고, 건조될 때까지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멈춰야 하고,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중에 필터에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필터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8280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발명하였으며,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공기통로 내에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필터 세정과 건조 및 공기정화를 진행하도록 해서 24시간 또는 그 이상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모듈을 구동모터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필터하우징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시기가 다르게 수평으로 눕혀져 세정액에 침지되어 집진필터를 세정하도록 함으로써, 집진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눕혔다가 다시 세우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0544701 (등록번호) 2006.01.12. KR 10-1958280 (등록번호) 2019.03.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 내부에 2개의 챔버를 형성하고, 2개의 챔버에 각각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하되, 제1챔버에 있는 집진모듈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제1챔버 상부의 공기통로에 배치된 제1댐퍼를 열고 제2챔버 상부의 공기통로에 배치된 제2댐퍼를 닫아 제1챔버로 세정액이 들어와 집진모듈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챔버의 집진모듈에서 공기정화를 진행하며, 제2챔버에 있는 집진모듈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제1댐퍼를 닫고 제2댐퍼를 열어 제2챔버로 세정액이 들어와 집진모듈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챔버의 집진모듈에서 공기정화를 진행할 수 있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모듈이 공기통로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고 건조되되, 전극판 주변의 습도를 확인해서, 전극판이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극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습기로 인한 전극판의 전기 스파크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진모듈이 공기통로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공기통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진모듈에 복수의 진동기가 설치되고, 챔버에 초음파 세정기가 설치되어 세정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집진필터에 진동을 가해 먼지의 탈리를 촉진시켜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세정효과를 극대화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댐퍼를 닫아 공기가 두 개의 집진필터를 모두 통과하여 이중으로 공기정화 진행이 가능한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댐퍼 중에서 한 개의 댐퍼를 열어 공기를 유입하되,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집진모듈을 집진모듈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연속하여 배치시키되 세정액과 공기의 흐름을 분리시킬 수 있어 작은 공간내에서 집진 모듈 세정시에도 공기 정화를 중단없이 할 수 있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10)가 통과되면서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와,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로 연장되어 분리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제1챔버(14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챔버(15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필터하우징(4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내부에서 각각 번갈아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필터(430), 전극판(440)이 구비되는 집진모듈(400)과;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상부와 본체천장(125) 사이에서 각각 상기 공기통로(120)를 열고 닫는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챔버(140) 내의 제1필터하우징(410)과 제2챔버(150)내의 제2필터하우징(420)은 세정의 시기를 서로 상이하게 하며, 어느 하나의 필터하우징을 세정할 때에 상기 제1댐퍼(510)와 제2댐퍼(520)의 개방과 폐쇄를 서로 상이하게 하되, 세정되는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댐퍼를 개방시키며 세정되지 않는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댐퍼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140)에 배치되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510)를 열고 상기 제2댐퍼(520)를 닫아 상기 공기(10)가 상기 제1댐퍼(510)를 통과하여 제2챔버(15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챔버(140)로 세정액(20)을 주입하며, 상기 제2챔버(150)에 배치되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510)를 닫고 제2댐퍼(520)를 열어 상기 공기(10)가 상기 제1챔버(14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챔버(150)로 세정액(20)을 주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는 각각 상기 공기통로(120)를 열어 공기를 유입하되,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집진모듈(400)은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극판(440)에 전원공급이 배제되며, 상기 전극판(44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450)와, 상기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주어 흡착된 먼지(30)의 탈리를 유도하는 진동기(4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에는 각각 제1초음파 세정기(610) 및 제2초음파 세정기(62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세정액(20)이 주입되는 제1세정액주입구(141) 및 제2세정액주입구(15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세정액(20)을 배출하는 제1세정액배출구(142) 및 제2세정액배출구(15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세정액배출구(142) 및 제2세정액배출구(152)는 각각 배출을 조절하는 제1밸브(161) 및 제2밸브(162)가 구비되는 배출배관(160)과 연결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본체 내부에 2개의 챔버를 형성하고, 2개의 챔버에 각각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하되, 제1챔버에 있는 집진모듈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제1챔버 상부의 공기통로에 배치된 제1댐퍼를 열고 제2챔버 상부의 공기통로에 배치된 제2댐퍼를 닫아 제1챔버로 세정액이 들어와 집진모듈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챔버의 집진모듈에서 공기정화를 진행하며, 제2챔버에 있는 집진모듈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제1댐퍼를 닫고 제2댐퍼를 열어 제2챔버로 세정액이 들어와 집진모듈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챔버의 집진모듈에서 공기정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모듈이 공기통로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고 건조되되, 전극판 주변의 습도를 확인해서, 전극판이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극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습기로 인한 전극판의 전기 스파크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모듈이 공기통로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공기통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필터에 복수의 진동기가 설치되고, 각 챔버에 초음파 세정기가 설치되어 세정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집진필터에 진동을 가해 먼지의 탈리를 촉진시켜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세정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두 개의 댐퍼를 닫아 공기가 두 개의 집진필터를 모두 통과하여 이중으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두 개의 댐퍼 중에서 한 개의 댐퍼를 열어 공기를 유입하되,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2개의 집진모듈을 집진모듈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연속하여 배치시키되 세정액과 공기의 흐름을 분리시킬 수 있어 작은 공간내에서 집진 모듈 세정시에도 공기 정화를 중단없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정면 기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배면 기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제1챔버에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고, 제2챔버에서 세정이 이루어지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제1챔버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고, 제2챔버에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터 세정과 건조 및 공기정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10)가 통과되면서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와,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로 연장되어 분리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공기유입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10) 중의 먼지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주는 이오나이저(2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공기배출구(130) 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10)의 상기 공기유입구(110)로 유입과 상기 공기배출구(130)로 배출을 촉진해주는 블로워팬(300)과,
상기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의 내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내부에서 번갈아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필터(430), 전극판(440)이 구비되는 집진모듈(400)과,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상부와 본체천장(125)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 상기 공기통로(120)를 열고 닫는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공기유입구(110)와, 공기통로(120) 및 공기배출구(130)가 차례로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통로(120)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가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0)는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10)가 통과되면서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와,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에서 분리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제1공기통로구간(121)과 제2공기통로구간(122)으로 이루어지는 제1챔버(140) 및 제3공기통로구간(123)과 제4공기통로구간(124)으로 이루어지는 제2챔버(150)로 구성되며, 제1챔버(140)와 제2챔버(150)는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집진모듈분리벽(145)에 의하여 구분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는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공기통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120)의 전방에는 장방형의 짧은 관 형상으로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로(120)의 후방에도 장방형의 짧은 관 형상으로 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110)에서는 외부의 공기(10)가 유입되며, 상기 이오나이저(2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구(130)에서는 집진모듈(400)을 통과하여 정화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이를 돕기 위해 블로워팬(300)이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팬(300)은 도면에서 공기배출구(130) 쪽에 도시되어 있으나, 공기의 흐름과 댐퍼 동작으로 인하여 공기유입구(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진모듈분리벽(145)은 상단이 공기통로(120)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제1챔버(140)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공기와, 제1챔버(140)를 경유하지 않고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2챔버(150) 사이에 마련되어 제1챔버와 제2챔버를 공간적으로 구분한다. 제1챔버와 제2챔버 내에 포함된 집진모듈(400)를 세정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세정액은 상기 집진모듈분리벽(145)의 상단보다 아래까지 채워지며, 집진모듈(400) 내부의 집진필터(430)의 최상단도 집진모듈분리벽(145)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집진모듈분리벽(145)은 도면 전체와 같이 제1챔버(140)와 제2챔버(150)가 공간적으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부면 없이 홈처럼 하부에서 패인 형태로 구비될수도 있다.
상기 공기통로(120)에는 개방된 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는 각각 상기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의 제1필터하우징(410)과 제2필터하우징(420)의 상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몸체천장(125)에 연결되어 각 댐퍼가 개방되지 않으면 공기통로(120)에서 후단으로 댐퍼를 통한 공기의 이동이 금지된다.
상기 공기통로(120)는 공기유입구(110), 공기배출구(130)와 연결되어 집진모듈(400)에 의해 공기(10)가 정화처리되어 지나가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에는 각각 제1세정액주입구(141) 및 제2세정액주입구(151)를 통해 액상의 향균성 물질이 함유된 세정액(20)이 주입된다. 여기서 향균성 물질은 피톤치드, 편백나무 수액, 자몽종자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액체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물 등의 액체와 혼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향균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의 하부에는 상기 세정액(20)을 배출하기 위해 각각 제1세정액배출구(142) 및 제2세정액배출구(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세정액배출구(142) 및 제2세정액배출구(152)는 상기 제1세정액배출구(142)와 제2세정액배출구(152)를 연결하여 세정액(20)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배관(160)이 결합설치된다.
상기 배출배관(160)에는 제1밸브(161)와 제2밸브(162)가 설치되어 상기 제1챔버(140) 또는 제2챔버(150)에서 세정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제1세정액배출구(142) 또는 제2세정액배출구(152)에서 배출배관(160)을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배관(160)은 외부 정화장치와 연결되고,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된 세정액(20)은 다시 제1세정액주입구(141) 및 제2세정액주입구(151)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세정액을 정화하여 재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세정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세정액(20)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며, 상기 집진필터(430)의 먼지 흡착 효율을 최상의 정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챔버(140) 내의 제1필터하우징(410)과 제2챔버(150)내의 제2필터하우징(420)을 세정할 때는 상기 제1댐퍼(510)와 제2댐퍼(520)의 개방과 폐쇄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공기의 유로를 각각 제1챔버(140) 내에서 제1필터하우징(410)의 전단과 제2챔버(150) 내에서 제2필터하우징(420)의 전단으로 변경시켜 세정되지 않는 챔버 내부로 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컨트롤러(1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170)는 제어보드로써, 상기 이오나이저(200), 블로워팬(300), 집진모듈(400),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 제1초음파 세정기(610) 및 제2초음파 세정기(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17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이들에게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과, 버튼(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70)는 컨트롤러덮개(미도시)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통로(120)의 전방 측면에는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작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180)와,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버튼(19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80)와 버튼(190)은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튼(190)의 조작에 의해 제어 신호가 발생하고, 이를 전달받은 컨트롤러(170)가 제어 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190)을 통해 전원의 on/off, 블로워팬(300)의 세기,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의 회전각도, 집진필터(430)에 설치되는 진동기(460)의 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00)는 공기유입구(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오나이저(200)는 격자 무늬 형상으로 외부의 공기(10)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격자판(210)과, 상기 격자판(210)의 전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 복수의 고정막대(220)와, 상기 고정막대(220)에는 복수의 탄소섬유(230)가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막대(220)는 격자 무늬 하나 하나 마다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가 설치된다.
상기 탄소섬유(230)도 세로 방향으로 격자 무늬 하나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설치된다.
상기 탄소섬유(230)는 전술한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탄소섬유(230)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공기중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로 인해 격자판(210)을 통과한 공기(10)는 음극(-) 또는 양극(+)으로 이온화되게 된다. 그래서 공기(10)는 이온화된 상태로 공기통로(120)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탄소섬유(230)가 음(-) 전극이라면, 공기(10)가 음(-)으로 이온화되게 되고,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도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오염원)까지 통칭하여 '공기'로 기재한다.
아울러 탄소섬유(230)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는 공기(10) 중의 산소이온과 활성수소를 생성하며, 산소이온과 활성수소가 결합된 산화체가 공기(10) 중에 포함된 세균의 세포막을 포위하고, 세균을 포위한 산화체가 세균과 결합하여 세균을 사멸시킨다. 이를 통해 이오나이저(200)는 플라즈마를 통해 공기(10)를 살균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 블로워팬(300)은 공기유입구 또는 공기배출구(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블로워팬(300)은 송풍팬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는 공기(10)의 유입을 촉진하고, 아울러 집진모듈(400)을 거쳐 정화된 공기(10)를 외부로 배출해준다.
이를 위해 블로워팬(300)에는 송풍구(310)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구(310)를 통해 공기통로(120)를 지나, 상기 집진모듈(400)에 의해 정화된 공기(10)가 배출된다.
상기 집진모듈(400)은 공기통로(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가 설치된다. 즉, 집진모듈(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통로(120)의 전방측의 제1챔버(140)에 한 개, 후방측의 제2챔버(150)에 한 개씩 설치된다.
전방측 집진모듈(400)은 상기 제1챔버(140)에서 공기통로(120)를 제1공기통로구간(121)와 제2공기통로구간(122)으로 분리 형성하고, 후방측 집진모듈(400)은 상기 제2챔버(150)에서 공기통로(120)를 제3공기통로구간(123)와 제4공기통로구간(124)으로 분리 형성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집진모듈(400)은 공간을 구획하는 집진모듈분리벽(145)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집진모듈(400)은 복수로 이루어져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공기(10)를 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진모듈(400)은 전후방이 개방된 얇은 사각 박스 형상의 제1필터하우징(410)과, 제2필터하우징(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내부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집진필터(430)와 전극판(440)이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된다.
이때 집진필터(430)는 장방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진필터(430)는 항균 처리된 것으로 헤파필터, 알레르겐필터, 부직포필터 등이 복합적으로 형성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전극판(440)은 장방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극판(4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전극판(4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 전극 또는 음(-) 전극으로 하여 펄스성의 고전압을 전달 받는다. 전극판(440)에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지면, 공기(10) 중에 직접 전자가 방출된다. 이때 전극판(440)은 앞서 설명한 이오나이저(200)와 같은 극성으로 고전압이 가해진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이오나이저(200)에 의해 공기(10)가 음극(-)으로 이온화된 경우 전극판(440)도 음(-) 전극으로 펄스성의 고전압을 전달 받는다. 전극판(440)에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지면서, 공기(10) 중에 직접 음극(-)으로 전자가 방출된다.
그에 따라 공기(10)의 먼지(30)가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집진필터(430)를 향해 밀려나게 되고, 먼지(30)가 집진필터(430)로 흡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집진필터(430)에서 공기정화가 진행될 때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어느 한쪽의 제1챔버(140) 또는 제2챔버(150)에서 세정액(20)이 주입되어 다른 하나의 집진필터(430)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챔버(140)와 제2챔버(150)에는 각각 제1초음파 세정기(610)와 제2초음파 세정기(620)가 설치되어 세정효과를 극대화한다. 상기 제1초음파 세정기(610) 및 제2초음파 세정기(620)는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더러움을 씻어 내는 세정기로서, 초음파 발생용 진동자와 진동자 구동용 고주파 발진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초음파 세정기(610)와 제2초음파 세정기(620)는 세정액이 주입되었을 때에 세정액에 의하여 완전히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상기 제1챔버(140)에 배치되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510)를 열고 상기 제2댐퍼(520)를 닫아 상기 공기(10)가 상기 제1댐퍼(510)를 통과하여 제2챔버(15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챔버(140)로 세정액(20)을 주입하며 진동기(460)와 제1초음파 세정기(610)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2챔버(150)에 배치되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510)를 닫고 제2댐퍼(520)를 열어 상기 공기(10)가 상기 제1챔버(14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챔버(150)로 세정액(20)을 주입하며 진동기(460)와 제2초음파 세정기(620)를 작동시킨다.
제1댐퍼(510)와 제2댐퍼(520)는 제1필터하우징(410)과 제2필터하우징(420)이 세정할 경우에 개방과 폐쇄가 서로 반대로 된다. 즉, 제1필터하우징(410)이 세정할 경우에 도5와 같이 제1댐퍼(510)는 개방되고, 제2댐퍼(520)는 폐쇄되어 공기통로(120) 상의 공기의 흐름이 제1공기통로구간(121)을 거치지 않고 제3공기통로구간(123)으로 들어간 후 제2필터하우징(420)을 통과하여 제4공기통로구간(124)을 거쳐 공기배출구(130)로 이동한다. 제2필터하우징(420)이 세정하는 경우에는 도4와 같이 제1댐퍼(510)가 폐쇄되고, 제2댐퍼(520)개 개방되어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통로구간(121)으로 유입되어 제1필터하우징(410)을 통과한 후 제2공기통로구간(122)으로 나와 공기배출구(130)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의 흐름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제1공기통로구간(121)에 제3댐퍼(미도시)와 제3공기통로구간(123)에 제4댐퍼(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3댐퍼와 제4댐퍼의 개폐를 통하여 세정액에 의해 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 물리적인 공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모듈(400)에서 전극판(440)의 후방측에는 습도센서(450)가 설치되며, 상기 습도센서(450)는 설치된 위치 부근의 습도를 측정해준다.
상기 습도센서(450)는 전술한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습도 측정값을 송신해준다.
상기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되었다가, 상기 집진필터(430)의 세정이 완료되어 세정액(20)이 모두 배출된 경우 상기 습도센서(450)를 통해 상기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시점을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습도센서(450)를 통해 집진필터(430)의 건조 시점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습도센서(450)는 세정액(20)에 침지를 위해 방수처리된다.
한편, 상기 습도센서(450)는 전극판(440)의 후방측에서 하단에 치우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집진모듈(400)에서 세정액(20)이 전극판(440)을 타고 하부로 내려오며 상대적으로 전극판(440)의 상부측보다 하부측이 건조되는데 오랜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습도센서(450)를 전극판(440)에서 하단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시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전극판(440)에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전극판(4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습도센서(450)를 통해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래서 전극판(440)에서 물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습도센서(450)는 전극판(440)의 하단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안전하게 전극판(440)을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습도센서(450)에 의해 전극판(440)의 습기가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한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전원을 공급하여 전극판(440)이 동작하여 집진필터(430)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테두리에는 각각 복수의 진동기(46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기(460)는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테두리에서 각 변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진동기(460)가 집진필터(430)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기(460)는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에서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집진필터(430)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집진필터(430)에 흡착된 먼지(30)의 탈리를 촉진시켜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기(460)는 밀봉되어 방수 처리된 상태로 사용된다.
상기 진동기(460)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어 신호를 받는다. 이때 진동기(460)의 작동은 버튼(190)으로 제어되거나 별도의 타이머로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외부에 별도의 수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수분센서에 의해 상기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되었을 때 이를 컨트롤러(170)가 판단하여 자동으로 진동기(460)가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센서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작동시키면상기 본체(100)의 공기배출구(130)에 설치된 블로워팬(300)이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10)가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처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공기(10)가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에 배치된 집진모듈(400)을 모두 통과하며 정화될 수 있게 된다.
시간이 지난 후 집진모듈(400)의 세정이 필요한 시기가 되면 제1댐퍼(510)와 제2댐퍼(520) 중 어느 하나의 댐퍼가 열리게 되며, 상기 제1댐퍼(510)가 열리면 제1챔버(140)에 세정액(20)이 주입되어 제1챔버(140)에 배치된 집진모듈(400)이 침지되고, 상기 제2댐퍼(520)가 열리면 제2챔버(150)에 세정액(20)이 주입되어 제2챔버(150)에 배치된 집진모듈(400)이 침지되게 된다.
상기 제1댐퍼(510)가 열리고 제2댐퍼(520)가 닫히면 제1챔버(140)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고, 제2챔버(150)에서 공기(10)를 정화하며, 상기 제2댐퍼(520)가 열리고 제1댐퍼(510)가 닫히면 제2챔버(150)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고, 제1챔버(140)에서 공기(10)를 정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통로(120) 내부에 설치된 2개의 집진모듈(400)은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게 작동된다. 즉 하나의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로 집진필터(430)가 세정되고, 다른 하나의 집진모듈(400)은 집진필터(430)와 전극판(440)이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공기(10)를 정화한다.
공기(10)는 이오나이저(200)를 먼저 통과하면서 세균이 사멸되며, 음극(-)으로 이온화된다. 그리고 공기(10)는 공기통로(120)를 지나게 된다. 공기(10)에 포함된 먼지(30)는 집진모듈(400)의 전극판(440)에 의해 집진필터(430)로 흡착되게 된다.
다시말해서 전극판(440)에는 음(-) 전극으로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지고, 공기(10)에 직접 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200)에 의해 공기(10)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30)도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된 상태이므로 전극판(440)은 먼지(30)를 집진필터(430)를 향해 밀어주고, 먼지(30)는 집진필터(430)로 흡착된다. 이때 공기(10)는 공기통로(1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집진모듈(400)을 차례로 지나면서 정화된다.
그리고 오랜시간 공기정화기를 작동시키다보면 공기통로(120)의 전방 측, 즉 제1챔버(140)에 위치한 집진모듈(400)의 집진필터(430)에 상대적으로 많은 먼지(30)가 흡착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댐퍼(510)를 열고 제2댐퍼(520)를 닫아 제1챔버(140)에 상부에 위치한 제1세정액주입구(141)에서 세정액을 주입하여 제1챔버(140)에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에서 진동기(460)가 작동한다.
상기 진동기(460)는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서 집진필터(430)에 흡착된 먼지(30)가 세정액(20)에 의해 탈리되는 것을 촉진해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 중에서 어느 한 개의 댐퍼를 열어 공기를 제1챔버(140) 또는 제2챔버(150)로 유입하되, 제1댐퍼(510) 또는 제2댐퍼(520)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본체(100) 내부에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를 형성하고, 2개의 챔버에 각각 집진모듈(400)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400)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하되, 제1챔버(140)에 있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제1챔버(140) 상부의 공기통로(12)에 배치된 제1댐퍼(510)를 열고 제2챔버(150) 상부의 공기통로(120)에 배치된 제2댐퍼(520)를 닫아 제1챔버(140)로 세정액(20)이 들어와 집진모듈(400)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챔버(150)의 집진모듈(400)에서 공기정화를 진행하며, 제2챔버(150)에 있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제1댐퍼(510)를 닫고 제2댐퍼(520)를 열어 제2챔버(150)로 세정액(20)이 들어와 집진모듈(400)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챔버(140)의 집진모듈(400)에서 공기정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모듈(400)이 공기통로(120)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세정이 이루어지고 건조되되, 전극판(440) 주변의 습도를 확인해서, 전극판(440)이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극판(4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습기로 인한 전극판(440)의 전기 스파크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모듈(400)이 공기통로(120)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공기통로(120)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집진모듈(400)에 복수의 진동기(460)가 설치되고, 제1챔버(140)에 제1초음파 세정기(610), 제2챔버(150)에 제2초음파 세정기(620)가 설치되어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에서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 먼지의 탈리를 촉진시켜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세정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를 닫아 공기가 두 개의 집진필터(430)를 모두 통과하여 이중으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는 두 개의 댐퍼 중에서 한 개의 댐퍼를 열어 공기를 유입하되,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10 : 공기 20 : 세정액 30 : 먼지
100 : 본체
110 : 공기유입구 120 : 공기통로 121 : 제1공기통로구간
122 : 제2공기통로구간 123 : 제3공기통로구간 124 : 제4공기통로구간
125 : 몸체천장
130 : 공기배출구
140 : 제1챔버 141 : 제1세정액주입구 142 : 제1세정액배출구
150 : 제2챔버 151 : 제2세정액주입구 152 : 제2세정액배출구
160 : 배출배관 161 : 제1밸브 162 : 제2밸브
170 : 컨트롤러 180 : 디스플레이 190 : 버튼
200 : 이오나이저
210 : 격자판 220 : 고정막대 230 : 탄소섬유
300 : 블로워팬 310 : 송풍구
400 : 집진모듈
410 : 제1필터하우징 420 : 제2필터하우징 430 : 집진필터
440 : 전극판 450 : 습도센서 460 : 진동기
510 : 제1댐퍼 520 : 제2댐퍼
610 : 제1초음파 세정기 620 : 제2초음파 세정기

Claims (6)

  1.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10)가 통과되면서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와,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로 연장되어 분리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제1챔버(14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챔버(15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필터하우징(4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내부에서 각각 번갈아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필터(430), 전극판(440)이 구비되는 집진모듈(400)과;
    상기 제1필터하우징(410) 및 제2필터하우징(420)의 상부와 본체천장(125) 사이에서 각각 상기 공기통로(120)를 열고 닫는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챔버(140) 내의 제1필터하우징(410)과 제2챔버(150)내의 제2필터하우징(420)은 세정의 시기를 서로 상이하게 하며, 어느 하나의 필터하우징을 세정할 때에 상기 제1댐퍼(510)와 제2댐퍼(520)의 개방과 폐쇄를 서로 상이하게 하되, 세정되는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댐퍼를 개방시키며 세정되지 않는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댐퍼를 폐쇄시키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140)에 배치되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510)를 열고 상기 제2댐퍼(520)를 닫아 상기 공기(10)가 상기 제1댐퍼(510)를 통과하여 제2챔버(15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챔버(140)로 세정액(20)을 주입하며, 상기 제2챔버(150)에 배치되는 집진모듈(400)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510)를 닫고 제2댐퍼(520)를 열어 상기 공기(10)가 상기 제1챔버(14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챔버(150)로 세정액(20)을 주입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510) 및 제2댐퍼(520)는 각각 상기 공기통로(120)를 열어 공기를 유입하되,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모듈(400)은 세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극판(440)에 전원공급이 배제되며, 상기 전극판(44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450)와, 상기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주어 흡착된 먼지(30)의 탈리를 유도하는 진동기(460)를 더 포함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140) 및 제2챔버(150)에는 각각 제1초음파 세정기(610) 및 제2초음파 세정기(62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세정액(20)이 주입되는 제1세정액주입구(141) 및 제2세정액주입구(15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세정액(20)을 배출하는 제1세정액배출구(142) 및 제2세정액배출구(152)가 형성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배출구(142) 및 제2세정액배출구(152)는 각각 배출을 조절하는 제1밸브(161) 및 제2밸브(162)가 구비되는 배출배관(160)과 연결설치되는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20200011287A 2020-01-30 2020-01-30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217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287A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01-30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287A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01-30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55B1 true KR102179355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287A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01-30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566B1 (ko) 2022-11-16 2023-12-06 조병훈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89Y1 (ko) * 2002-09-09 2002-12-16 주식회사 백륜 초음파 자동 세정식 공기 정화장치
KR100544701B1 (ko) 2003-12-2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958280B1 (ko) 2018-10-24 2019-03-14 청정테크주식회사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1944801B1 (ko) * 2016-12-21 2019-04-17 청정테크주식회사 세정액 정화 시스템이 구비된 수막형 공기청정기
KR20190058729A (ko) * 2017-11-20 2019-05-30 주식회사 원일공기정화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KR20190091851A (ko) * 2018-01-29 2019-08-07 이윤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89Y1 (ko) * 2002-09-09 2002-12-16 주식회사 백륜 초음파 자동 세정식 공기 정화장치
KR100544701B1 (ko) 2003-12-2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944801B1 (ko) * 2016-12-21 2019-04-17 청정테크주식회사 세정액 정화 시스템이 구비된 수막형 공기청정기
KR20190058729A (ko) * 2017-11-20 2019-05-30 주식회사 원일공기정화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KR20190091851A (ko) * 2018-01-29 2019-08-07 이윤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958280B1 (ko) 2018-10-24 2019-03-14 청정테크주식회사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566B1 (ko) 2022-11-16 2023-12-06 조병훈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1958280B1 (ko)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JP5422049B2 (ja) 湿式空気浄化装置
KR100878683B1 (ko)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KR102302355B1 (ko) 공기 중 유해 물질 및 바이러스 제거 성능이 개선된 공기 정화기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95316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KR20120091675A (ko) 일체형 백연 및 악취 처리장치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102179355B1 (ko)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122198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CN102836611A (zh) 空气净化器
CN101590279A (zh) 设有喷淋和鼓泡洗涤的立式等离子体和吸附式空气净化装置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1760329B1 (ko) 오존산화 및 플라즈마 습식 정화기
CN103586129A (zh) 静电空气净化装置及方法
CN203648696U (zh) 空气净化装置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159546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KR102284599B1 (ko) 공기 청정기
KR100725156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및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필터링방법
CN205925320U (zh) 一种机械组合式等离子体气体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