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80B1 -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80B1
KR101958280B1 KR1020180127320A KR20180127320A KR101958280B1 KR 101958280 B1 KR101958280 B1 KR 101958280B1 KR 1020180127320 A KR1020180127320 A KR 1020180127320A KR 20180127320 A KR20180127320 A KR 20180127320A KR 101958280 B1 KR101958280 B1 KR 10195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collecting module
dust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나현주
Original Assignee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정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2Emergency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24F2003/1639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통로 내에 2개의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필터 세정과 건조 및 공기정화를 진행하도록 해서 24시간 또는 그 이상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모듈의 세정 후 전극판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기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 스파크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집진모듈을 공기통로 내에서 이격되며 대향되게 배치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해서,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하기 위한 정지 없이 24시간 또는 그 이상의 장시간 동안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A Chamber Cleaning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통로 내에 2개의 집진모듈을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필터 세정과 건조 및 공기정화를 진행하도록 해서 24시간 또는 그 이상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모듈의 세정 후 전극판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기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 스파크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공기정화기는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공기정화기는 집진방법에 따라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여과식 공기정화기와, 먼지를 고압방전에 의해 대전시켜서 집진하는 집진식 공기정화기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 먼지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초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식 필터와 함께 먼지를 고압방전으로 대전시켜 집진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터는 공기정화기 내부에 다단으로 배치되어 공기정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장기간 사용시 항균 코팅의 기능 저하가 발생하며, 주기적인 필터 세척 또는 교체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8045호에는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터의 점검작업과 세척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공기청정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 후 세척하고, 건조될 때 까지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멈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중에 필터에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필터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05-0068045 A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통로 내부에 2개의 집진모듈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하나는 눕혀서 필터가 세정되고, 다른 하나는 수직으로 세워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공기정화를 진행하게 함으로써,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하기 위한 정지 없이 장시간 동안 연속해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모듈이 공기통로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극판 주변의 습도를 확인해서, 전극판이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극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습기로 인한 전극판의 전기 스파크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집진모듈이 회전하여 세정액에 침지되거나, 세정이후 다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 집진모듈의 하단을 축으로 하면서 상단을 잡아주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집진모듈이 공기통로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후방을 받쳐주도록 하여, 공기통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해주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10)가 통과하면서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와,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세정액(20)이 담지되는 물탱크(140)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공기유입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10)중의 먼지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주는 이오나이저(2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10)의 유입을 촉진해주는 블로워팬(300); 필터하우징(410)과,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구(420)와,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내부에서 번갈아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필터(430) 및 전극판(440)가 구비되는 집진모듈(400); 및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10)와, 상기 돌출구(4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구동로드(520)와, 상기 구동모터(510)의 축과 상기 구동로드(520)를 동력전달구(530)로 연결해주어 상기 구동모터(510)의 구동력으로 상기 집진모듈(400)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구동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모듈(400)은, 상기 공기통로(120)의 내부에서 2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51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410)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시기가 다르게 수평으로 눕혀져 상기 세정액(20)에 침지되어 상기 집진필터(430)를 세정하고, 구동모터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필터하우징(410)가 수직으로 세워지되 수직으로 세워진 후 전극판(440)에 일정 시간 전원공급이 배제되고, 필터하우징(410)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때 필터하우징(410) 사이의 간격길이는 필터하우징(410)의 높이보다 더 길게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집진모듈(400)에는
상기 전극판(44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450)와, 상기 필터하우징(410)에 복수가 설치되어 상기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주어 흡착된 먼지(30)의 탈리를 유도하는 진동기(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450)는 상기 전극판(440)의 하단측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집진모듈(400)은,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상단에는 반원링 형상의 고정고리(4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120)의 상부에서 전후방에는 윈치(600)가 설치되며, 상기 윈치(6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릴모터(610)와, 상기 릴모터(61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와이어릴(620)과, 상기 와이어릴(620)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끝단이 상기 고정고리(412)에 고정되는 와이어(630)를 구비하되, 상기 릴모터(610)가 상기 구동모터(510)와 연계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630)의 풀림과 감김에 따라 상기 집진모듈(400)의 회전 시 상기 집진모듈(400)의 상부를 잡아주어 상기 집진모듈(400)의 움직임을 보조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유입구(110)의 하부측과 상기 공기배출구(130)의 하부측에 고정실린더(700)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실린더(700)는 실린더(710)와, 상기 실린더(710)의 압력으로 수축 또는 신장되는 피스톤(720)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710)는 상기 공기유입구(110)의 하부측과 상기 공기배출구(130)의 하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720)은 상기 집진모듈(400)의 돌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집진모듈(400)이 수평으로 눕혀져 상기 물탱크(140)의 세정액(20)에 침지될 때는 상기 피스톤(720)이 신장되고, 상기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는 상기 피스톤(720)이 수축되어 상기 집진모듈(400)이 견고하게 세워지도록 지지해준다.
본 발명의 전극판(440)에 전원공급이 배제되는 시간 간격은 상기 필터하우징(4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이후 습도센서(450)에 의하여 전극판(440)의 습기가 제거됨을 확인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수직으로 세원진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개수가 가변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집진모듈(400)을 공기통로(120) 내에서 이격되며 대향되게 배치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2개의 집진모듈(400)이 번갈아가면서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하나의 집진모듈(400)은 수평으로 눕혀져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로 집진필터(430)가 세정되고, 다른 하나의 집진모듈(400)은 수직으로 세워져 집진필터(430)와 전극판(440)이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공기정화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하기 위한 정지 없이 24시간 또는 그 이상의 장시간 동안 공기 정화 성능에 저하없이 연속해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집진모듈(400)에서 전극판(440)에 습도센서(450)를 설치하여, 습도센서(450)에 의한 습도 확인을 통해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경우에만 전극판(440)에 전원을 인가하여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공기(10)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잔존하는 습기로 인한 전극판(440)의 전기 스파크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상대적으로 전극판(440)의 상부측보다 하부측에 더 많은 물기가 몰리게 되는데, 습도센서(450)를 전극판(440)에서 하단에 설치하여, 전극판(440)의 하단에서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극판(4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화재 위험 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집진모듈(400)의 필터하우징(410)이 구동부(500)의 구동로드(520)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510)에 의해 집진모듈(400)이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회전하는 한편, 윈치(600)의 와이어(630)가 필터하우징(410)의 고정고리(412)에 고정된 상태로 릴모터(610)가 구동모터(510)와 연계하여 회전하면서 와이어(630)의 풀림 또는 감김에 의해 집진모듈(400)의 상부를 잡아주어 집진모듈(400)의 움직임을 보조해주어 집진모듈(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실린더(700)의 실린더(710)가 공기유입구(110) 및 공기배출구(13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피스톤(720)이 집진모듈(400)의 필터하우징(41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집진모듈(400)이 수평으로 눕혀질 때는 피스톤이 신장되고,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는 피스톤이 수축되어,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후방을 받쳐주어 집진모듈(400)이 수직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잡아줌으로써, 공기통로(120) 내에 공기(10)의 흐름이 발생하더라도, 집진모듈(400)이 흔들림 없이 수직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정면 기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배면 기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에서 집진모듈(400)의 회전을 나타낸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정면 기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배면 기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체(100)는 상부에 공기유입구(110)와 공기통로(120) 및 공기배출구(130)가 차례로 형성되고, 하부에 물탱크(140)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는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공기통로(120)가 형성되고, 공기통로(120)의 전방에 장방형의 짧은 관 형상으로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통로(120)의 후방에도 장방형의 짧은 관 형상으로 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아울러 공기유입구(110)의 하단 양측면에는 유입구실린더축(112)이 원형 막대 형상으로 돌출된다. 유입구실린더축(112)에는 후술할 실린더(710)의 실린더고정구(7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공기배출구(130)의 하단 양측면에는 배출구실린더축(132)이 원형 막대 형상으로 돌출된다. 배출구실린더축(132)에는 후술할 피스톤(720)의 피스톤고정구(7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아가 공기유입구(110)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10)가 유입된다. 공기유입구(110)에는 후술할 이오나이저(200)가 설치된다.
공기통로(120)에는 후술할 집진모듈(400)이 공기의 흐름 방향에 세워지고 누어지도록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때 집진모듈(400)은 2개가 설치된다. 집진모듈(400)은 하나가 공기통로(120)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공기통로(120)의 후방측에 치우치게 설치된다. 그리고 2개의 집진모듈(400)은 공기통로(120) 내에서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의하여 누어지면 양자 사이가 근접된다.
공기통로(120)는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집진모듈(400)에 의해 공기(10)가 정화 처리되어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아울러 공기통로(120)의 상단 전후방 양단에는 후술할 윈치(60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대(122)가 형성된다.
공기배출구(130)에는 후술할 블로워팬(300)이 설치된다. 공기배출구(130)는 공기통로(120)에서 정화 처리된 공기(10)를 외부로 배출해준다. 상기 블로워팬(300)은 공기유입구(110)에 설치될수도 있다.
본체(100)의 하부측에 형성된 물탱크(140)는 내부에 액상의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세정액(20)이 보관된다. 여기서 항균성 물질은 피톤치드, 편백나무 수액, 자몽종자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액체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물 등의 액체와 혼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항균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물탱크(140)의 하단 전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대(150)가 형성된다. 받침대(150)에는 후술할 구동부(500)의 구동모터(510)가 설치된다.
물탱크(140)의 전방 측면에는 컨트롤러덮개(160)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컨트롤러덮개(160) 내부에는 컨트롤러(170)가 내장된다. 컨트롤러(170)는 제어보드로써, 후술할 이오나이저(200), 블로워팬(300), 구동부(500), 집진모듈(400), 실린더(710) 및 윈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17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이들에게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과, 버튼(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공기통로(120)의 전방 측면에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작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180)와,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버튼(190)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180)와 버튼(190)은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튼(190)의 조작에 의해 제어 신호가 발생하고, 이를 전달받은 컨트롤러(170)가 제어 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버튼(190)을 통해 전윈의 On/Off, 블로워팬(300)의 세기, 집진모듈(400)의 회전, 진동기(460)의 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150)에는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물탱크(140)의 내부에는 수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와 펌프도 전술할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위센서는 물탱크(140)의 수위를 체크해주어, 물탱크(140) 내부의 세정액(20)이 일정 수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해준다. 이때 수위센서에 의한 세정액(20)의 최대 수위는 물탱크(140)의 최대 높이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설정된다.
아울러 물탱크(140)에는 외부로 세정액(20)을 배출될 수 있는 세정액배출구(미도시)와, 외부에서 새로운 세정액(20)이 유입될 수 있는 세정액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정액배출구와 세정액인입구에는 전자 개폐식 밸브가 설치된다. 전자 개폐식 밸브도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170)가 전자 개폐식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펌프는 세정액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입구로 유입되는 세정액(20)을 물탱크(140) 내부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세정액배출구를 통해 후술할 집진필터(430)를 세정하여 오염된 세정액(20)이 배출되는 경우, 수위센서에 의해 세정액(20)의 수위를 측정하고, 수위센서의 측정값은 컨트롤러(170)로 전달되어, 세정액유입구로부터 새로운 세정액(20)이 물탱크(140)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세정액배출구는 외부 정화장치와 연결되고,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된 세정액(20)은 다시 세정액유입구를 통해 물탱크(140) 내부로 유입된다. 그래서 펌프, 수위센서, 세정액배출구 및 세정액유입구를 통해 물탱크(140) 내부에 위치한 세정액(20)의 총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주게 된다. 그에 따라 물탱크(140)에 내장된 세정액(20)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집진필터(430)의 먼지 흡착 효율을 최상의 정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오나이저(200)는 공기유입구(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오나이저(200)는 격자 무늬 형상으로 외부의 공기(10)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격자판(210)과, 격자판(210)의 전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 복수의 고정막대(220)와, 고정막대(220)에는 복수의 탄소섬유(230)가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고정막대(220)는 격자 무늬 하나 하나 마다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가 설치된다. 탄소섬유(230)도 세로 방향으로 격자 무늬 하나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설치된다.
탄소섬유(230)는 전술한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다. 탄소섬유(230)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공기중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로 인해 격자판(210)을 통과한 공기(10)는 음극(-) 또는 양극(+)으로 이온화되게 된다. 그래서 공기(10)는 이온화된 상태로 공기통로(120)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탄소섬유(230)가 음(-) 전극이라면, 공기(10)가 음(-)으로 이온화되게 되고,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도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오염원)까지 통칭하여 '공기'로 기재한다.
아울러 탄소섬유(230)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는 공기(10) 중의 산소이온과 활성수소를 생성하며, 산소이온과 활성수소가 결합된 산화체가 공기(10) 중에 포함된 세균의 세포막을 포위하고, 세균을 포위한 산화체가 세균과 결합하여 세균을 사멸시킨다. 이를 통해 이오나이저(200)는 플라즈마를 통해 공기(10)를 살균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블로워팬(300)은 공기배출구(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블로워팬(300)은 송풍팬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는 공기(10)의 유입을 촉진해준다. 아울러 블로워팬(300)은 집진모듈(400)을 거쳐 정화된 공기(10)를 외부로 배출해준다. 이를 위해 블로워팬(300)에는 송풍구(310)가 형성된다. 송풍구(310)를 통해 공기통로(120)를 지나, 집진모듈(400)에 의해 정화된 공기(10)가 배출된다.
집진모듈(400)은 공기통로(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가 설치된다. 즉, 집진모듈(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통로(120)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한 개, 후방측에 치우치도록 한 개가 설치된다. 이때 2개의 집진모듈(400)은 서로 이격되며,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그래고 2개의 집진모듈(400)은 공기통로(120)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집진모듈(400)은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공기(10)를 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집진모듈(400)은 후술할 구동부(5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집진모듈(400)은 전후방이 개방된 얇은 사각 박스 형상의 필터하우징(410)과, 필터하우징(410)의 하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구(4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집진모듈(400)은 2개가 공기통로(120)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통로(120)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집진모듈(400)은 돌출구(420)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집진모듈(400)은 돌출구(420)가 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돌출구(420)의 회전에 의하여 필터하우징(410)이 맞물려 회전된다.
필터하우징(410)의 상단에는 반원링 형상의 고정고리(412)가 형성된다. 고정고리(412)는 후술할 윈치(600)의 와이어(630) 끝단이 고정된다.
필터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집진필터(430)와 전극판(440)이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된다.
이때 집진필터(430)는 장방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집진필터(430)는 항균 처리된 것으로 헤파필터, 알레르겐필터, 부직포필터 등이 복합적으로 형성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전극판(440)은 장방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극판(4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전극판(4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 전극 또는 음(-) 전극으로 하여 펄스성의 고전압을 전달 받는다. 전극판(440)에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지면, 공기(10) 중에 직접 전자가 방출된다. 이때 전극판(440)은 앞서 설명한 이오나이저(200)와 같은 극성으로 고전압이 가해진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이오나이저(200)에 의해 공기(10)가 음극(-)으로 이온화된 경우 전극판(440)도 음(-) 전극으로 펄스성의 고전압을 전달 받는다. 전극판(440)에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지면서, 공기(10) 중에 직접 음극(-)으로 전자가 방출된다.
그에 따라 공기(10)의 먼지(30)가 음(-)의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집진필터(430)를 향해 밀려나게 되고, 먼지(30)가 집진필터(430)로 흡착되게 된다.
한편, 돌출구(420)는 필터하우징(410)의 양측면에서 각각 사각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돌출구(420)에는 필터하우징(410)과 인접한 위치에 축홀(422)이 원형으로 관통형성된다. 축홀(422)에는 후술할 구동부(500)의 구동로드(520)가 설치된다. 그래서 집진모듈(400)은 구동로드(52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공기통로(120)의 외측에도 구동로드(5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24)이 형성된다.
집진모듈(400)은 구동로드(520)를 축으로 하여 물탱크(140) 내부에 위치한 세정액(20)에 침지되도록 90도 정회전하여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다시 반대 방향(역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공기통로(120) 상에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정방향은 집진모듈(400)이 집진위치에서 세정위치로의 회전방향이며, 역방향은 집진모듈(400)이 세정위치에서 집진위치로의 회전방향이다. 따라서, 실제 집진모듈(400)이 회전하는 정방향은 공기 이동 경로를 통하여 보면 서로 반대가 된다.
집진모듈(40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으로 집진모듈의 필터하우징(410)이 회전하고, 필터하우징(410) 내부의 집진필터(430)가 회전되어 세정과 집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집진모듈(400)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므로 정방향 회전으로 집진필터(430)가 세정액(20)에 담지되어 세척될 수 있어야 하므로 2개의 집진모듈(400) 사이의 간격은 집진모듈이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넓어야 한다. 따라서, 필터하우징(410) 사이의 최소 간격 길이는 필터하우징(410)의 높이보다 더 길어야 한다.
아울러 돌출구(420)의 끝단에는 피스톤축(424)이 원형 막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피스톤축(424)에는 후술할 고정실린더(700)에서 피스톤(720)의 피스톤고정구(722)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한편, 집진모듈(400)에서 전극판(440)의 후방측에는 습도센서(450)가 설치된다. 습도센서(450)는 설치된 위치 부근의 습도를 측정해준다. 습도센서(450)는 전술한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습도 측정값을 송신해준다.
습도센서(450)를 통해 집진모듈(400)이 물탱크(140) 내부의 세정액(20)에 침지되었다가, 집진필터(430)의 세정이 완료되어 다시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시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습도센서(450)를 통해 집진필터(430)의 건조 시점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습도센서(450)는 세정액(20)에 침지를 위해 방수처리된다.
한편, 습도센서(450)는 전극판(440)의 후방측에서 하단에 치우치도록 설치된다.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세정액(20)이 전극판(440)을 타고 하부로 내려오게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극판(440)의 상부측보다 하부측이 건조되는데 오랜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습도센서(450)를 전극판(440)에서 하단측에 배치함으로써,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시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전극판(440)에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전극판(4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즉 습도센서(450)를 통해 전극판(440)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해준다. 그래서 전극판(440)에서 물기로 인해 발생하는 수 있는 전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습도센서(450)는 전극판(440)의 하단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하게 전극판(440)을 동작하기 위해서는 습도센서(450)에 의해 전극판(440)의 습기가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한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전원을 공급하여 전극판(440)이 동작하여 집진필터(430)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진필터(430)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수직되게 세워져 있다 하여도 먼지를 포획하지 않는 집진 기능 보류 기간이 있게 되며, 따라서 공기의 유동(이동) 통로상에 집진필터(430)의 개수와 집진되는 집진필터(430)의 개수 사이에 차이가 발생되며, 또한, 수직으로 세워진 필터하우징(410)의 개수도 계속하여 공기통로상에서 변하게 된다. 즉, 특정의 시점에 먼지를 포획하는 집진필터(430)는 2개 또는 1개가 되며, 집진필터가 세정하는 동안에는 항상 1개의 집진필터(430)만이 세워지고 동작한다.
한편, 필터하우징(410)의 후방측 테두리에는 복수의 진동기(46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진동기(460)는 필터하우징(410)의 후방측 테두리에서 각 변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진동기(460)가 집진필터(430)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기(460)는 집진모듈(400)이 물탱크(140)의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에서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주기 위한 것이다. 집진필터(430)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집진필터(430)에 흡착된 먼지(30)의 탈리를 촉진시켜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기(460)는 밀봉되어 방수 처리된 상태로 사용된다.
진동기(460)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어 신호를 받는다. 이때 진동기(460)의 작동은 버튼(190)으로 제어되거나, 별도의 타이머로 제어될 수 있다. 또는 필터하우징(410)의 외부에 별도의 수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수분센서에 의해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되었을 때 이를 컨트롤러(170)가 판단하여 자동으로 진동기(460)가 작동할 수 있다. 이경우 수분센서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동부(500)는 집진모듈(400)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구동부(500)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510)와, 집진모듈(400)의 돌출구(420)에 설치되어 축 역할을 하는 구동로드(520)와, 구동모터(510)와 구동로드(520)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구(530)가 구비된다. 구동부(500) 집진모듈(4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된다. 구동부(500)는 하나가 받침대(150)의 전방 우측편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후방 우측편에 설치된다. 이때 구동부(500)는 받침대(150)의 전방 좌우에 2개, 받침대(150)의 후방 좌우에 2개로 총 4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구동부(500)는 받침대(150)의 전방에 1개, 받침대(150)의 후방에 1개 배치하되, 기어와 샤프트의 기계요소로 전후방 동력을 서로 전달되도록 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동모터(510)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구동모터(510)는 본체(100)의 물탱크(140)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대(150)에 설치된다. 구동모터(510)는 받침대(150)의 양측면 중 한쪽 측면에 치우치도록 설치되거나, 양쪽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구동모터(510)는 받침대(150)에서 우측에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510)는 집진모듈(40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된다. 구동모터(510)에는 모터축(512)이 형성되며, 모터축(512)에는 모터기어(514)가 축결합된다.
구동로드(520)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집진모듈(400)의 돌출구(420)에서 축홀(422)에 설치된다. 이때 축홀(422)은 구동로드(520)와 용접 또는 나사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구동로드(520)의 양측면중 구동모터(510)가 위치하는 우측단에는 구동기어(522)가 축결합된다.
모터기어(514)와 구동기어(522)는 동력전달구(530)와 치합된다. 동력전달구(530)에 의해 상호 간의 동력을 전달해준다. 즉 동력전달구(530)는 모터기어(514)의 회전력을 구동기어(522)에 전달하여, 구동로드(520) 및 집진모듈(400) 전체가 회전하도록 해준다.
이때 동력전달구(530)는 체인 또는 타이밍벨트의 기계요소가 사용된다. 동력전달구(530)가 체인으로 형성되는 경우 모터기어(514)와 구동기어(522)는 스프로킷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동력전달구(530)가 타이밍벨트로 형성되는 경우 모터기어(514)와 구동기어(522)는 타이밍기어로 형성된다.
윈치(600)는 전동식으로 와이어(630)를 감거나 풀어서 집진모듈(400)이 회전 시 구동부(500)의 동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윈치(600)는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집진모듈(400)의 상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집진모듈(400)이 안정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해준다.
윈치(600)는 공기통로(120)의 상부 전후방 양단에 형성된 고정대(122)에 각각 2개가 고정된다. 하나의 윈치(600)는 공기통로(120)에서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집진모듈(400)에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윈치(600)는 공기통로(120)에서 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집진모듈(400)에 사용된다.
윈치(6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릴모터(610)와, 릴모터(610)의 축과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와이어릴(620)과, 와이어릴(620)에 감기는 와이어(630)가 구비된다.
릴모터(610)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릴모터(610)는 구동부(500)의 구동모터(510)와 연계되어 회전한다. 이때 릴모터(610)는 구동모터(510)와 회전하는 방향과 속도가 동일하도록 연계가 이루어진다.
와이어릴(620)은 원통형으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630)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630)는 섬유 또는 금속재 강선 등을 여러 가닥 꼬아 만든 줄이다.
와이어(630)의 끝단은 필터하우징(410)의 고정고리(412)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630)의 끝단에 걸고리가 형성되어 고정고리(412)에 끼워지거나, 와이어(630)의 끝단을 고정고리(412)에 결속하여 고정된다. 와이어(630)가 금속재인경우에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릴모터(610)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630)가 풀리면서 집진모듈(400)이 90도 회전하여 수평으로 눕혀지고, 반대로 와이어(630)가 감기면서 집진모듈(400)이 90도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래서 와이어(630)는 집진모듈(400)이 회전할 때 움직임을 보조해준다.
고정실린더(700)는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공기(10)를 정화할 때,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실린더(700)는 공기유입구(110)의 하부측에 1개, 공기배출구(130)의 하부측에 1개가 설치된다. 이때 고정실린더(700)는 공기유입구(110)의 하부 양단에 한 쌍, 공기배출구(130)의 하부 양단에 한 쌍이 설치된다.
고정실린더(700)는 실린더(710)와 피스톤(720)이 구비된다. 고정실린더(700)는 유압식, 공압식, 가스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실린더(710)는 전단에 실린더고정구(712)가 형성된다. 실린더고정구(712)는 본체(100)의 공기유입구(110)에 형성된 유입구실린더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실린더고정구(712)에 원형 홀이 형성되어 유입구실린더축(112)에 삽입되어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710)에는 피스톤(720)이 압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720)의 후단에 피스톤고정구(722)가 형성된다. 피스톤고정구(722)는 본체(100)의 공기배출구(130)에 형성된 배출구실린더축(1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고정구(722)에 원형 홀이 형성되어 배출구실린더축(132)에 삽입되어 회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실린더(710)에서 피스톤(720)이 수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720)이 더 이상 수축될 수 없기 때문에 피스톤(720)이 집진모듈(400)의 후방을 받쳐주게 된다. 즉 피스톤(720)이 수축된 상태에서 집진모듈(400)이 더이상 뒤로 밀리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공기(10)의 흐름에 의해 집진모듈(400)이 뒤로 밀리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에서 집진모듈(400)의 회전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를 작동시키면 본체(100)의 공기배출구(130)에 설치된 블로워팬(300)이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10)가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처음에는 도 3과 같이 공기통로(1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집진모듈(400) 2개 다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다. 또는 도 5와 같이 집진모듈(400) 중 1개는 수평으로 눕혀져 세정액(20)에 침지되고, 다른 1개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공기통로(120) 내부에 설치된 2개의 집진모듈(400)은 세정과 공기정화를 행하는 시기가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집진모듈(400)은 수평으로 눕혀져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로 집진필터(430)가 세정되고, 다른 하나의 집진모듈(400)은 수직으로 세워져 집진필터(430)와 전극판(440)이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공기통로(120)를 지나는 공기(10)를 정화한다.
공기(10)는 이오나이저(200)를 먼저 통과하면서 세균이 사멸되며, 음극(-)으로 이온화된다. 그리고 공기(10)는 공기통로(120)를 지나게 된다. 공기(10)에 포함된 먼지(30)는 집진모듈(400)의 필터하우징(410) 내부에 위치한 전극판(440)에 의해 집진필터(430)로 흡착되게 된다.
다시말해서, 전극판(440)에는 음(-) 전극으로 펄스성의 고전압이 가해지고, 공기(10)에 직접 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200)에 의해 공기(10)와 공기(10) 중에 포함된 먼지(30)도 음(-)의 속성을 가지게된 상태이므로, 전극판(440)은 먼지(30)를 집진필터(430)를 향해 밀어주고, 먼지(30)는 집진필터(430)로 흡착된다. 이때 공기(10)는 공기통로(1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집진모듈(400)을 차례로 지나면서 정화되게 된다.
그리고 오랜시간 공기정화기를 작동시키다보면 공기통로(120)의 전방 측에 위치한 집진모듈(400)의 집진필터(430)에 상대적으로 많은 먼지(30)가 흡착되게 된다. 그러면 구동부(500)의 구동모터(510)가 90도 정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510)의 회전 시간은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버튼(190)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모터(510)가 회전함에 따라 모터축(512)과 축결합된 모터기어(514)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기어(514)에 치합된 동력전달구(530)가 회전하며, 동력전달구(530)와 치합된 구동기어(522)도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522)의 회전에 따라 필터하우징(410)의 돌출구(420)와 축결합된 구동로드(52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집진모듈(400) 전체가 구동로드(520)를 축으로 90도 정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윈치(600)의 릴모터(610)도 구동모터(510)과 연계되어 정회전 하게 된다. 구동모터(510)의 회전에 따라 집진모듈(400)이 점점 아래 방향으로 눕혀진다.
그리고 릴모터(610)가 회전하면서 와이어릴(620)이 회전하고, 와이어릴(620)에서 와이어(630)가 점점 풀려난다. 와이어(630)는 필터하우징(410)의 고정고리(412)에 고정되어, 집진모듈(400)의 상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집진모듈(400)의 하부는 구동로드(520)에 의해 회전하되, 상부는 와이어(630)가 잡아주면서 집진모듈(400) 전체가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해준다.
아울러 이때 고정실린더(700)의 피스톤(720)은 돌출구(420)의 회전에 의해 신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집진모듈(400)은 수평으로 눕혀져 물탱크(140) 내부의 세정액(20)에 침지된다.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된 상태에서 진동기(460)가 작동한다. 진동기(460)는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서 집진필터(430)에 흡착된 먼지(30)가 세정액(20)에 의해 탈리되는 것을 촉진해준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집진모듈(400)이 세정액(20)에 침지된 이후, 구동모터(510)는 90도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510)가 역회전하는 시간도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버튼(190)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모터(510)가 역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계되어 릴모터(610)도 역회전이 이루어진다. 구동로드(520)가 역회전하면서 집진모듈(400)을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게 된다. 이때 릴모터(610)의 역회전에 의해 와이어릴(620)도 역회전하고, 와이어릴(620)에 와이어(630)가 감기게 된다. 와이어(630)가 와이어릴(620)에 점점 감기면서 집진모듈(400)이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한편, 이때 고정실린더(700)의 피스톤(720)이 수축하게 된다. 피스톤(720)이 수축하게 되면, 더 이상 수축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집진모듈(40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뒤로 밀리지 않게 된다. 아울러 와이어(630)가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집진모듈(400)은 앞으로도 밀리지 않게 된다. 즉 블로워팬(300)에 의해 공기(10)의 흐름이 발생하더라고, 피스톤(720)과 와이어(630)에 의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 : 공기 20 : 세정액 30 : 먼지
100 : 본체
110 : 공기유입구 112 : 유입구실린더축
120 : 공기통로 122 : 고정대 124 : 관통홀
130 : 공기배출구 132 : 배출구실린더축
140 : 물탱크 150 : 받침대
160 : 컨트롤러덮개 170 : 컨트롤러
180 : 디스플레이 190 : 버튼
200 : 이오나이저
210 : 격자판 220 : 고정막대 230 : 탄소섬유
300 : 블로워팬 310 : 송풍구
400 : 집진모듈
410 : 필터하우징 412 : 고정고리
420 : 돌출구 422 : 축홀 424 : 피스톤축
430 : 집진필터 440 : 전극판
450 : 습도센서 460 : 진동기
500 : 구동부
510 : 구동모터 512 : 모터축 514 : 모터기어
520 : 구동로드 522 : 구동기어
530 : 동력전달구
600 : 윈치
610 : 릴모터 620 : 와이어릴 630 : 와이어
700 : 고정실린더
710 : 실린더 712 : 실린더고정구
720 : 피스톤 722 : 피스톤고정구

Claims (6)

  1. 공기(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10)가 통과하면서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20)와,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10)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30)와, 상기 공기통로(120)의 하부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세정액(20)이 담지되는 물탱크(140)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공기유입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10)중의 먼지를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주는 이오나이저(2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10)의 유입을 촉진해주는 블로워팬(300);
    필터하우징(410)과,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구(420)와,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내부에서 번갈아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필터(430) 및 전극판(440)가 구비되는 집진모듈(400); 및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10)와, 상기 돌출구(4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구동로드(520)와, 상기 구동모터(510)의 축과 상기 구동로드(520)를 동력전달구(530)로 연결해주어 상기 구동모터(510)의 구동력으로 상기 집진모듈(400)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구동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모듈(400)은,
    상기 공기통로(120)의 내부에서 2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51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410)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시기가 다르게 수평으로 눕혀져 상기 세정액(20)에 침지되어 상기 집진필터(430)를 세정하고, 구동모터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필터하우징(410)가 수직으로 세워지되 수직으로 세워진 후 전극판(440)에 일정 시간 전원공급이 배제되고, 필터하우징(410)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때 필터하우징(410) 사이의 간격길이는 필터하우징(410)의 높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모듈(400)에는
    상기 전극판(44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450)와, 상기 필터하우징(410)에 복수가 설치되어 상기 집진필터(430)에 진동을 가해주어 흡착된 먼지(30)의 탈리를 유도하는 진동기(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450)는 상기 전극판(440)의 하단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모듈(400)은,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상단에는 반원링 형상의 고정고리(4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120)의 상부에서 전후방에는 윈치(600)가 설치되며,

    상기 윈치(6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릴모터(610)와, 상기 릴모터(61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와이어릴(620)과, 상기 와이어릴(620)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끝단이 상기 고정고리(412)에 고정되는 와이어(630)를 구비하되,

    상기 릴모터(610)가 상기 구동모터(510)와 연계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630)의 풀림과 감김에 따라 상기 집진모듈(400)의 회전 시 상기 집진모듈(400)의 상부를 잡아주어 상기 집진모듈(400)의 움직임을 보조해주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110)의 하부측과 상기 공기배출구(130)의 하부측에 고정실린더(700)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실린더(700)는 실린더(710)와, 상기 실린더(710)의 압력으로 수축 또는 신장되는 피스톤(720)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710)는 상기 공기유입구(110)의 하부측과 상기 공기배출구(130)의 하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720)은 상기 집진모듈(400)의 돌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집진모듈(400)이 수평으로 눕혀져 상기 물탱크(140)의 세정액(20)에 침지될 때는 상기 피스톤(720)이 신장되고, 상기 집진모듈(400)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는 상기 피스톤(720)이 수축되어 상기 집진모듈(400)이 견고하게 세워지도록 지지해주는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전극판(440)에 전원공급이 배제되는 시간 간격은
    상기 필터하우징(4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이후 습도센서(450)에 의하여 전극판(440)의 습기가 제거됨을 확인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구비되는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원진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개수가 가변인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20180127320A 2018-10-24 2018-10-24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195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20A KR101958280B1 (ko) 2018-10-24 2018-10-24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20A KR101958280B1 (ko) 2018-10-24 2018-10-24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280B1 true KR101958280B1 (ko) 2019-03-14

Family

ID=6575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320A KR101958280B1 (ko) 2018-10-24 2018-10-24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7854A (zh) * 2020-02-28 2020-05-26 长安大学 一种智能风门及其安装方法和工作方法
CN111921713A (zh) * 2020-09-15 2020-11-13 湖南汉坤实业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机器人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11-16 청정테크주식회사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CN112197394A (zh) * 2020-10-14 2021-01-08 杭州甜蜜按钮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空气净化器
KR102214470B1 (ko) 2020-06-11 2021-02-10 청정테크주식회사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CN112594785A (zh) * 2020-12-16 2021-04-02 常州大学 一种带滤网自洁功能的空调器及其控制方法
WO2022183770A1 (zh) * 2021-03-04 2022-09-09 苏州贝昂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器及其清洁方法
CN117238097A (zh) * 2023-11-10 2023-12-15 山东迪尚服装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远程控制的检测报警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447A (ja) * 1986-12-27 1988-07-09 Nippon Light Metal Co Ltd 空気清浄機
KR20050068045A (ko)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5800717B2 (ja) * 2012-01-05 2015-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スト状物質除去装置
KR101759568B1 (ko) * 2016-12-21 2017-07-31 청정테크주식회사 컨베이어식 수막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447A (ja) * 1986-12-27 1988-07-09 Nippon Light Metal Co Ltd 空気清浄機
KR20050068045A (ko)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5800717B2 (ja) * 2012-01-05 2015-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スト状物質除去装置
KR101759568B1 (ko) * 2016-12-21 2017-07-31 청정테크주식회사 컨베이어식 수막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11-16 청정테크주식회사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CN111197854A (zh) * 2020-02-28 2020-05-26 长安大学 一种智能风门及其安装方法和工作方法
KR102214470B1 (ko) 2020-06-11 2021-02-10 청정테크주식회사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CN111921713A (zh) * 2020-09-15 2020-11-13 湖南汉坤实业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机器人
CN111921713B (zh) * 2020-09-15 2020-12-15 湖南汉坤实业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机器人
CN112197394A (zh) * 2020-10-14 2021-01-08 杭州甜蜜按钮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空气净化器
CN112594785A (zh) * 2020-12-16 2021-04-02 常州大学 一种带滤网自洁功能的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2594785B (zh) * 2020-12-16 2022-02-11 常州大学 一种带滤网自洁功能的空调器及其控制方法
WO2022183770A1 (zh) * 2021-03-04 2022-09-09 苏州贝昂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器及其清洁方法
GB2612670A (en) * 2021-03-04 2023-05-10 Beiang Air Tech Ltd Air purifier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CN117238097A (zh) * 2023-11-10 2023-12-15 山东迪尚服装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远程控制的检测报警装置
CN117238097B (zh) * 2023-11-10 2024-02-02 山东迪尚服装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远程控制的检测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80B1 (ko)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KR100239614B1 (ko) 살균 공기 필터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JP2011158142A (ja) 空気清浄装置、及び加湿機
JP2007170782A (ja) 自動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11158143A (ja) 空気清浄装置、及び加湿機の制御方法
KR101958253B1 (ko) 집진모듈 교체형 수막형 공기정화기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CN107860066A (zh) 全自动卷对卷空气净化装置及驻极方法
CN109045939A (zh) 一种废气净化装置
JP2011206665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
KR20180024647A (ko) 수막형 공기청정기
CN101590271A (zh) 转轮调湿的立式等离子体和吸附净化式空气处理装置
KR102179355B1 (ko)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CN218627181U (zh) 空气净化加湿器
CN203648697U (zh) 空气净化装置
CN216644501U (zh) 自清洁等离子发生模块以及自清洁气体净化器
JP4683149B2 (ja)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及び調湿装置
CN101590275A (zh) 立式转轮调湿的等离子体室内空气净化装置
JP2008070113A (ja) 自動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20180072140A (ko) 세정액 정화 시스템이 구비된 수막형 공기청정기
KR100550088B1 (ko) 광촉매 필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13883638A (zh) 集尘模块及净化器
CN209399513U (zh) 一种等离子室内空气净化器
KR20230031482A (ko) 고전압 인가 전기집진모듈의 씰링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