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566B1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566B1
KR102610566B1 KR1020220153870A KR20220153870A KR102610566B1 KR 102610566 B1 KR102610566 B1 KR 102610566B1 KR 1020220153870 A KR1020220153870 A KR 1020220153870A KR 20220153870 A KR20220153870 A KR 20220153870A KR 102610566 B1 KR102610566 B1 KR 10261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housing
ionizer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훈
고상훈
Original Assignee
조병훈
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훈, 고상훈 filed Critical 조병훈
Priority to KR102022015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오나이저를 통과해 살균된 공기중에 함유된 오존 등 잔존 유해물질의 배출을 차단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입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이송력을 인가하는 송풍부(100);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된 공기를 하전시키는 이오나이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이오나이저에 대향된 채 상기 이오나이저를 통과한 공기 중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콜렉터;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걸쳐 형성되면서 상기 콜렉터를 통과한 1차 정화 공기의 방향이 180도 전환되어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1차 안내한 후 다시 180도 방향 전환시켜 토출구로 2차 안내하는 구획판(400); 상기 구획판(400)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벽면에 부착된 항균필름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항균필름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UV-C광원부(500); 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여, 이오나이저를 통과해 살균된 공기중에 함유된 오존과 황화수소나 암모니아등 악취가스를 비롯한 잔존 유해물질의 제거를 통해 잔존오염물질의 배출이 원천차단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n ai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오나이저를 통과해 살균된 공기중에 함유된 오존 등 잔존 유해물질의 배출을 차단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정화를 위한 전기집진기는 이오나이저와 콜렉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강제로 유속을 낮춰 공기의 이오나이저와 콜렉터의 통과속도가 1m/s의 이하로만 통과해야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설계 시 처리할 수 있는 공기유량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추가적으로 집진모듈을 설치하거나 팬의 유속의 제한을 두는 등의 부수적 설계가 필요하며 그로 인해 제품 전체의 부피가 커지거나 효율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m 2.5 ~ pm 10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나노 사이즈의 바이러스 등 대기 속 오염물질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코로나 방전효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방전효과를 이용할 경우 전기집진기에 고전압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공기중 산소분자가 분해됨으로써 이온화 과정을 거쳐서 오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공기 정화기에서 실내로 최종 토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해줄 필요성이 있다.
KR 10-2179355 B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오나이저를 통과해 살균된 공기중에 함유된 오존 등 잔존 유해물질의 배출을 차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입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이송력을 인가하는 송풍부(100);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된 공기를 하전시키는 이오나이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이오나이저에 대향된 채 상기 이오나이저를 통과한 공기 중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콜렉터;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걸쳐 형성되면서 상기 콜렉터를 통과한 1차 정화 공기의 방향이 180도 전환되어 상기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1차 안내한 후 다시 180도 방향 전환시켜 토출구로 2차 안내하는 구획판(400); 상기 구획판(400)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벽면에 부착된 항균필름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항균필름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500); 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필름부는 산화티타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UV-C광원부(500)는 UV-C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UV-C광원부(500)는 상기 토출부의 반대측의 구획판(400) 단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UV-C광원부(500)는 상기 구획판(400)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400)는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 및 상기 콜렉터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유입된 공기의 유로 방향을 따라 두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오나이저는 플라즈마 방전극으로 탄소 브러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오나이저를 통과해 살균된 공기중에 함유된 오존과 황화수소나 암모니아등 악취가스를 비롯한 잔존 유해물질의 제거를 통해 잔존오염물질의 배출이 원천차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공기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하우징부, 송풍부(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오나이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콜렉터, 구획판(400), 항균필름부 및 UV-C광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는 크게 상하로 구획 가능하며, 하부에는 제1 정화모듈(M1), 상부는 제2 정화모듈(M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100)는 하우징부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입구부를 통해 하우징부 내부로 유입되고 하우징부의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이송력을 인가하는 장치다.
입구부는 제1 정화모듈(M1)의 제1 벽부(W1)에 마련될 수 있고, 토출부는 제2 정화모듈(M2)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부는 제4 벽부(W4)의 상측에 위치된 제2 정화모듈(M2)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는 하우징부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된 공기를 하전시킨다.
한편, 이하에서 이오나이저는 플라즈마 이온 발생기(혹은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일러둔다.
이 때, 이오나이저에는 탄소강선이나 탄소 브러쉬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오나이저는 플라즈마 방전극으로 탄소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오나이저에 탄소강선이나 탄소 브러쉬가 적용될 경우 오존 발생양은 텅스텐 강선 사용시 보다 줄어들게 되는 반면, 음이온 발생양은 보다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오나이저는 제1 이오나이저(201) 및 제2 이오나이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는 하우징부 내부에서 이오나이저에 대향된 채 이오나이저를 통과한 공기 중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부분이다.
콜렉터는 제1 콜렉터(301) 및 제2 콜렉터(3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400)는 제2 정화모듈(M2)에 마련될 수 있다.
구획판(400)는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 입구부로부터 토출부에 걸쳐 형성되면서 콜렉터를 통과한 1차 정화 공기의 방향이 180도 전환되어 토출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1차 안내한 후 다시 180도 방향 전환시켜 토출구로 2차 안내하는 부분이다.
구획판(400)는 투명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균필름부는 구획판(400)와 대향되도록 하우징의 상단부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항균필름부는 제1 필름부(601) 및 제2 필름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필름부는 산화티타늄(TiO2) 필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원부(500)는 하우징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항균필름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부분이다.
광원부(500)는 UV-C 광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광원부(500)를 UV-C 광원부(500)라고도 표현한다.
UV-C 광원부(500)는 토출부의 반대측의 구획판(400) 단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오나이저 및 콜렉터는 하우징부 내부에서 유입된 공기의 유로 방향을 따라 두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사시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하우징은 제1 정화모듈(M1) 및 제2 정화모듈(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화모듈(M1)은 제1 벽부(W1), 제2 벽부(W2), 제3 벽부(W3), 제4 벽부(W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화모듈(M1) 및 제2 정화모듈(M2) 사이에는 제5 벽부(W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정화모듈(M1)에는 송풍부(100), 제1 이오나이저(201), 제2 이오나이저(202), 제1 콜렉터(301) 및 제2 콜렉터(302)가 포함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외부의 공기를 제1 정화모듈(M1) 내부로 유입시키는 이송력을 부여한다.
외부 공기에는 전술한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각종 대기 중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외기를 제1 정화모듈(M1) 내부로 유입시킨다.
제1 정화모듈(M1)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제2 벽부(W2)를 통과하여 제1 이오나이저(201)를 지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정화모듈(M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이오나이저(201)에 의해 이온화되어 전하를 띄게 되고, 제1 콜렉터(301)를 통과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이오나이저(201) 및 제1 콜렉터(301)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며, 코로나 방전 효과에 의해 제1 이오나이저(201)를 통과하면서 이온화된다.
제1 콜렉터(301)는 제1 이오나이저(201)에 의해 이온화된 공기 중의 미세 오염물질을 수집하여 포집시킨다.이하 제1 콜렉터(301)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1차 공기라 하겠다.
다음으로 1차 공기는 제3 벽부(W3)를 통과하게 되며, 이 때의 이송력은 송풍부(1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가 받을 수 있다.
1차 공기는 제2 이오나이저(202)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대전되어 이온화된면서 제2 콜렉터(302)를 통과하면서 잔여 이물질들이 포집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정화모듈(M1)에서는 이오나이저와 콜렉터에 의해 외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2 콜렉터(302)를 통과한 공기를 2차 공기라 하겠다.
2차 공기는 제4 벽부(W4)에 의해 유로의 진행방향이 꺽여 상부로 이송되면서 제2 정화모듈(M2)로 진입된다.
제2 정화모듈(M2)에는 구획판(400) 및 UV-C 광원부(500)이 마련된다.
한편, 제1 정화모듈(M1)와 제2 정화모듈(M2)를 상하로 구획하는 것은 제5 벽부(W5)다.
또한, 제2 정화모듈(M2)의 최상단은 제6 벽부(W6)에 의해 마감되고 있다.
구획판(400)은 UV-C 램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정화모듈(M2)에는 UV-C 램프에 의해 빛이 제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UV-C 광원부(500)는 제2 정화모듈(M2)의 제1 벽부(W1)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벽부(W4)를 통해 진행 방향이 꺽인 2차 공기는 제5 벽부(W5)를 향해 진행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정화모듈(M2)에는 상하를 2분하는 구획판(400)이 2차 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히는, 구획판(400)의 일단은 UV-C 광원부(5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마련되며, 타단은 제4 벽부(W4)에 인접되도록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2차 공기는 제2 정화모듈(M2)에서 구획판(400)의 하면에서는 UV-C 광원부(500) 방향으로 흐르며, 구획판(400)의 상면과 제6 벽부(W6) 사이 공간에서는 제4 벽부(W4)를 향해 흘러 최종적으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단면도다.
도 2와 같이 제1 정화모듈(M1)에는 송풍부(100), 제1 이오나이저(201), 제1 콜렉터(301), 제2 이오나이저(202) 및 제2 콜렉터(302)가 좌에서 우로 일렬로 소정 간격 이격된 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로 전환부(P1)는 제2 콜렉터(302)와 제4 벽부(W4) 사이 공간으로서 제2 콜렉터(302)를 통과한 2차 공기가 제4 벽부(W4)에 부딪쳐 상승하는 통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제2 정화모듈(M2)에는 전술한 구획판(400)가 UV-C 광원부(50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채로 횡방향으로 길게 뻗어 형성됨으로써 제2 정화모듈(M2)의 공간을 상하로 2분시킨다.
부언하면, P2, P3는 제2 정화모듈(M2)의 공간을 상하로 2분시킨 각각의 공간이다.
다시 말하면, 2차 공기는 P2, P3에서 흐름 방향이 정반대이다.
이 때 구획판(4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정화모듈(M2)의 바닥, 즉 제5 벽부(W5)에는 제1 필름부(601)가 마련되고, 제6 벽부(W6)의 하면에는 제2 필름부(602)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필름부(601) 및 제2 필름부(602)는 각각 공기정화장치iO2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2차 공기는 제2 정화모듈(M2)를 통과하는 동안 UV-C 광원부(500)에서 방출된 254nm 광에 의해 추가적으로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발생한 단파장의 자외선은 정밀하게 조정됨으로써 오존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2차 공기는 제1 정화모듈(M1)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존 및 미처 제거되지 못한 악취가스류가 제2 정화모듈(M2)에서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악취가스류라 함은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등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1차 공기 빛 2차 공기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공기는 제2 정화모듈(M2)를 통과하는 동안 UV-C 광원부(500)와 구획판(400) 사이에서 유로를 180도 변경하면서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UV-C 광원부(500)에 의해 조사된 광에 의해서 균일하고 오랜 시간 동안 잔류물의 살균이 가능해짐에 따라 악취나 미세 오염물질의 처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극대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획판(400)은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UV-C 광원부(500)에 의해 방사된 빛이 제2 정화모듈(M2)에 전역에 걸쳐 산란, 반사 및 굴절 등에 의해서 균일하고 고른 광전달이 가능해져 살균 및 오존 제거가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정화모듈(M2)의 상하 폭은 제1 정화모듈(M1)의 상하 폭 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제1 이오나이저(201), 제2 이오나이저(202), 제1 콜렉터(301) 및 제2 콜렉터(302)는 제1 정화모듈(M1)으로부터 수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장착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정화모듈(M1)에는 하우징 개폐도어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이오나이저(201), 제2 이오나이저(202), 제1 콜렉터(301) 및 제2 콜렉터(302)는 개폐도어를 이용하여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 개폐도어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개폐도어를 통해 내부의 제1 이오나이저(201), 제2 이오나이저(202), 제1 콜렉터(301) 및 제2 콜렉터(302)의 상태를 관찰도 가능하다.
물론, 하우징 개폐도어는 제1 정화모듈(M1)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정화모듈(M1)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단면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공기정화장치와 UV-C 광원부(500)의 구성만 다르므로, 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의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UV-C 광원부(501)가 구획판(400)에 마련된다.
다시 말해, UV-C 광원부(500)는 구획판(4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UV-C 광원부(501)는 구획판(400)을 따라서 좌우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즉, UV-C 광원부(501)는 구획판(400)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고, 그 배치는 제1 벽부(W1)으로부터 제4 벽부(W4)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길게 뻗어 배치되거나, 아니면 제1 벽부(W1)으로부터 제4 벽부(W4)를 향하는 횡방향에 대한 수직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UV-C 광원부(501)는 제1 벽부(W1)으로부터 제4 벽부(W4)를 향하는 횡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서 UV-C 광원부(501)는 제2 정화모듈(M2)에서 유동되는 2차 공기에 대해 보다 직접적으로 조사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잔여 오염물질 및 악취, 그리고 오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UV-C 광원부(502)가 구획판(400)에 마련된다.
다시 말해, 도 5처럼 UV-C 광원부(502)는 제2 모듈(M2)의 상부벽과 하부 바닥에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어 보다 균일한 광조사가 가능해질 수 있다.
UV-C 광원부(502)는 점광원일 수도 있고, 소정 거리 이격된 채 등간격 배치된 라인형 광원일 수도 있다.
100 : 송풍부
201 : 제1 이오나이저
202 : 제2 이오나이저
301 : 제1 콜렉터
302 : 제2 콜렉터
400 : 구획판
500, 501, 502 : UV-C 광원부
601 : 제1 필름부
602 : 제2 필름부
M1 : 제1 모듈
M2 : 제2 모듈
P1 : 유로 전환부
W1 : 제1벽부
W2 : 제2벽부
W3 : 제3벽부
W4 : 제4벽부
W5 : 제5벽부
W6 : 제6벽부

Claims (8)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입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이송력을 인가하는 송풍부(100);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된 공기를 하전시키는 이오나이저(201,202);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이오나이저에 대향된 채 상기 이오나이저를 통과한 공기 중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콜렉터(301,302);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걸쳐 형성되면서 상기 콜렉터를 통과한 1차 정화 공기의 방향이 180도 전환되어 상기 토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1차 안내한 후 다시 180도 방향 전환시켜 상기 토출부로 2차 안내하는 구획판(400);
    상기 구획판(400)과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벽면에 부착된 항균필름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항균필름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이오나이저 및 상기 콜렉터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유입된 공기의 유로 방향을 따라 두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필름부는 산화티타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500)는 UV-C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토출부의 반대측의 구획판(400) 단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구획판(400)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400)은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는 플라즈마 방전극으로서 탄소 브러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220153870A 2022-11-16 2022-11-16 공기정화장치 KR102610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870A KR102610566B1 (ko) 2022-11-16 2022-11-16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870A KR102610566B1 (ko) 2022-11-16 2022-11-16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566B1 true KR102610566B1 (ko) 2023-12-06

Family

ID=8916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870A KR102610566B1 (ko) 2022-11-16 2022-11-16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5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096A (ja) * 1997-03-14 1998-09-25 Kawasaki Setsubi Kogyo Kk 殺菌・脱臭手段を備えた空調装置
KR101675826B1 (ko) * 2015-10-05 2016-11-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공기 살균장치
KR20200041014A (ko) * 2018-10-11 2020-04-21 (주)엔퓨텍 입자크기 0.1 ㎛ 이상의 초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소독능력이 향상된 광촉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11-16 청정테크주식회사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096A (ja) * 1997-03-14 1998-09-25 Kawasaki Setsubi Kogyo Kk 殺菌・脱臭手段を備えた空調装置
KR101675826B1 (ko) * 2015-10-05 2016-11-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공기 살균장치
KR20200041014A (ko) * 2018-10-11 2020-04-21 (주)엔퓨텍 입자크기 0.1 ㎛ 이상의 초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소독능력이 향상된 광촉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179355B1 (ko) 2020-01-30 2020-11-16 청정테크주식회사 직렬 연결식 집진모듈 세정식 공기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0535123B1 (ko) 하이브리드형 차량용 공기 청정기
RU2398614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US7332020B2 (en) Gas treating device
KR102209304B1 (ko)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US20080219896A1 (en) Air purifier
US11117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s cleaning using electrostatic precipitation and photoionization
KR20200067380A (ko) X선 선량이 자동 제어되어 분사하는 x선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610566B1 (ko) 공기정화장치
CN109812886A (zh) 基于微粒的空气净化系统和空气净化方法
KR20140022546A (ko) 다수의 광촉매 세트가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된 정화 장치
KR102422901B1 (ko)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RU24923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нтиляции воздуха
KR102215849B1 (ko) 용량가변이 가능한 공기정화 살균기
KR102212654B1 (ko)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JPH1147635A (ja) 空気清浄化装置
KR20200067388A (ko) X선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040108481A (ko)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EP3951276A1 (en) Purifier device and related purification method
JP3520137B2 (ja) 集塵装置
KR20210115510A (ko) 제균장치
KR102523937B1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장치
JP3709449B1 (ja) ガス処理装置
KR102222474B1 (ko) 비말 내 부유 미생물 살균기
KR20210149395A (ko) 바이러스 제거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