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387B1 -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87B1
KR102052387B1 KR1020180109928A KR20180109928A KR102052387B1 KR 102052387 B1 KR102052387 B1 KR 102052387B1 KR 1020180109928 A KR1020180109928 A KR 1020180109928A KR 20180109928 A KR20180109928 A KR 20180109928A KR 102052387 B1 KR102052387 B1 KR 10205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olster
lever
support bracket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박량오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의 볼스터에 대한 높낮이 뿐만 아니라 좌우 폭까지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트백에 장착되는 수동조작레버와, 이와 연동하여 기어열 및 캠과, 캠에 의하여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후퇴하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메카니즘 배열을 이용하여 시트백의 볼스터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어열과 별도로 연결되는 웜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터의 폭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ack bolst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볼스터에 대한 높낮이 뿐만 아니라 좌우 폭까지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쿠션과, 승객의 등 및 허리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과,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의 양측부에는 승객의 상체 양측부를 지지하며 안정적인 착좌감을 제공하고, 선회 주행시 승객의 상체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막으면서 지지해주는 사이드 볼스터(bolster)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시트백 볼스터의 전후 높이 및 좌우 각도가 승객의 체형과 맞지 않으면, 승객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시트 착좌감 및 승차감이 저하될 수 있고, 특히 급선회 주행시에는 관성에 의해 상체가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여 운전자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 기술로서 시트백 볼스터의 높이 및 좌우폭을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체형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시트에 적용되는 시트백 볼스터의 높낮이 및 폭 등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볼스터의 내부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내장되는 에어셀, 그리고 에어셀에 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공압장치 등과 같은 고가의 메카니즘 부품들이 필요하고, 각 부품들이 시트백 내부에 복잡한 배열을 이루면서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고급 차량의 전동식 시트에만 시트백 볼스터의 높낮이 및 폭 등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고가의 메카니즘 구성들이 설치되고 있지만, 반면 원가 측면에서 불리한 중저가의 소형 차량에는 시트백 볼스터의 높낮이 등을 조절하는 메카니즘을 적용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중저가의 소형 차량 등에도 원가 상승이 초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승객의 체형에 맞게 볼스터의 높낮이 뿐만 아니라 그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백에 장착되는 수동조작레버와, 이와 연동하여 기어열 및 캠과, 캠에 의하여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후퇴하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메카니즘 배열을 이용하여 시트백의 볼스터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어열과 별도로 연결되는 웜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터의 폭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백의 외면에 전후진 및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얼 레버; 상기 다이얼 레버의 내면에 연결되어 시트백 프레임의 측판에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는 레버축;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외측부에 전후진 및 좌우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앞단 내면과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 간에 연결되는 볼스터 지지스프링;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후단부에 가압 가능하게 접촉되는 캠; 상기 레버축의 내측단에 장착되는 레버기어; 상기 레버기어와 캠의 회전축 간에 연결되어, 레버기어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캠에 전달하는 제1기어열 장치; 및 상기 제1기어열 장치와 연결되어, 제1기어열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에 좌우 방향의 풀-푸시력을 제공하는 제2기어열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판 외면에는 레버축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된 거치프레임이 장착되고, 거치프레임을 지나가는 레버축의 외경에는 지지관이 삽입되며, 거치프레임의 저부와 지지관 간에는 레버축 지지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외측에는 레버축이 지나가는 스토퍼 브라켓이 더 장착되며, 레버축의 당김 길이를 한정하기 위하여 레버축의 외경에는 스토퍼 브라켓에 닿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1기어열 장치는 레버기어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슬립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메인기어 및 슬립링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는 제2메인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메인기어의 축과 상기 캠의 회전축은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메인기어의 축은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립링은 제1메인기어와 제2메인기어에 비하여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면은 레버기어의 좌우 이동 및 위치 한정을 위하여 원형의 볼록한 경계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2기어열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기어열 장치의 제1메인기어와 맞물리는 매개기어;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매개기어와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 제1전달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제1전달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웜기어; 상기 제1웜기어와 맞물리는 동시에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1웜기어의 회전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을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웜;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에는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1안내홀이 형성되고, 이 제1안내홀에는 제1웜과 일체로 된 제1이동핀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이동핀의 둘레부에는 제1안내홀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2기어열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기어열 장치의 제1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 제2전달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제2전달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웜기어; 상기 제2웜기어와 맞물리는 동시에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2웜기어의 회전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을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웜;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상부에는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2안내홀이 형성되고, 이 제2안내홀에는 제2웜과 일체로 된 제2이동핀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이동핀의 둘레부에는 제2안내홀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시트백에 장착되는 수동조작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단순한 제1조작만으로 시트백 볼스터부에 내장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을 후방의 본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시트백 볼스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시트백에 장착되는 수동조작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단순한 제2조작만으로 시트백 볼스터부에 내장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시트백 볼스터의 좌우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의 구성 중 다이얼 레버를 시트백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가 시트백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도 2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을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선을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로서, 볼스터의 높낮이 조절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로서, 볼스터의 좌우 폭 조절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의 구성 중 다이얼 레버를 시트백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가 시트백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A" 및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C-C선 및 도 4의 D-D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백(100)의 외면에 전후진 직선 이동 조작 및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레버(10)가 배치되고, 도 6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다이얼 레버(10)의 내면에는 레버축(12)이 일체로 연결되며, 이 레버축(12)은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에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관통 삽입된다.
이때,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에는 레버축(12)의 전후 움직임 을 허용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204)이 형성되는 바, 이 관통홀(204)을 통해 상기 레버축(12)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 외면에는 도 6에서 보듯이 레버축(12)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프레임(20)이 더 장착된다.
상기 거치프레임(20)에도 레버축(12)의 전후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21)이 형성되며, 이 슬롯(21)에 레버축(12)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상태가 된다.
더욱이, 상기 거치프레임(20)을 지나가는 레버축(12)의 외경에는 지지관(22)이 삽입되고, 거치프레임(20)의 저부와 지지관(22) 간에는 레버축 지지스프링(23)이 연결된다.
이에, 상기 레버축 지지스프링(23)의 탄성가압력이 지지관(22)에 가해짐에 따라, 지지관(22)이 삽입된 레버축(12)에도 탄성가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레버축(12)은 거치프레임(20)의 슬롯(21) 구간 중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에 형성된 관통홀(204) 내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프레임(20)의 외측에는 레버축(12)이 지나가는 스토퍼 브라켓(24)이 일체로 더 장착되며, 레버축(12)을 밀고 당기는 조작 길이를 한정하기 위하여 레버축(12)의 외경에는 스토퍼 브라켓(24)에 닿는 스토퍼(14)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이렇게 구비되는 상기 다이얼 레버(10) 및 레버축(12)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시트백(100)의 볼스터(110) 높낮이 및 좌우 폭(= 좌우 벌어짐 각도)이 조절되는 바, 실질적으로는 시트백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전후진 및 좌우 움직임에 의하여 볼스터(110)의 높낮이 및 좌우 폭이 조절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앞판(211)과 외판(212)으로 구분되어, 외판(212)은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 외면부에 전후진 및 좌우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고, 앞판(211)은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 전면부 쪽에 배열된다.
이때,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앞판(211) 내면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 전면 간에 볼스터 지지스프링(213)이 인장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하부 및 상부 즉, 외판(212)의 하부 및 상부에는 각각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1안내홀(214) 및 제2안내홀(215)이 관통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홀(214) 및 제2안내홀(215)에는 각각 제2기어열 장치의 제1웜과 일체로 된 제1이동핀(216) 및 제2이동핀(217)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전방으로 밀리면 시트백의 볼스터 높이가 높아지고, 본래 위치로 후진하면 시트백의 볼스터 높이가 낮아지게 조절되는 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에 캠(4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외판(212) 후면부에 가압 가능하게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레버축(12)의 내측단 끝에는 레버기어(16)가 장착되고, 상기 레버기어(16)와 캠(40) 사이에 소정의 제1기어열 장치(30)가 배열된다.
이에, 상기 다이얼 레버(10) 및 레버축(12)의 회전 조작에 따른 레버기어(16)의 회전력이 제1기어열 장치(30)를 통하여 캠(40)으로 전달됨으로써,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캠(4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기어열 장치(30)는 다이얼 레버(10)와 레버축(12)의 전후진 조작에 따라 레버기어(16)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제1메인기어(31)와 제2메인기어(32)이 슬립링(33)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구조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기어열 장치(30)는 슬립링(33)의 외측에 슬립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메인기어(31)와, 슬립링(33)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는 제2메인기어(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메인기어(31)의 축은 상기 캠(40)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메인기어(32)의 축은 시트백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힌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슬립링(33)은 제1메인기어(31)와 제2메인기어(32)에 비하여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슬립링(33)의 외경면은 레버기어(16)의 전후진 동작시 레버기어(16)가 제1메인기어(31) 또는 제2메인기어(32)로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그리고 레버기어(16)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레버기어(16)가 제1메인기어(31) 또는 제2메인기어(32)에 위치 한정되며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도록 볼록한 경계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기어열 장치(30) 외에 상기 레버기어(16)의 회전력을 캠(40)에 전달할 수 있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 기어열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은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전후진시켜 볼스터의 높낮이를 수동 조절함은 물론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좌우로 이동시켜 볼스터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점에 또 다른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기어열 장치(30)와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 간에는 제2기어열 장치(50)가 배열되며, 이 제2기어열 장치(50)는 제1기어열 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좌우 폭방향 이동 조절을 위하여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에 좌우 방향의 풀-푸시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2기어열 장치(50)는, 시트백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기어열 장치(30)의 제2메인기어(32)와 맞물리되 제2메인기어(32)의 하부 쪽에 맞물리는 매개기어(51)와, 시트백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매개기어(51)와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52-1)와, 제1전달기어(52-1)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제1전달기어(52-1)와 함께 회전하는 제1웜기어(53-1)와, 상기 제1웜기어(53-1)와 맞물리는 동시에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1웜기어(53-1)의 회전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하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웜(5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하부에는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1안내홀(214)이 형성된 바, 이 제1안내홀(214)에는 제1웜(54-1)의 외측단과 일체로 된 제1이동핀(216)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제1이동핀(216)의 둘레부에는 제1안내홀(214)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홈(218)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제1이동핀(216)의 레일홈(218)에 제1안내홀(214)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져 락킹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웜(54-1)의 좌우 이동시 제1이동핀(216)이 제1안내홀(21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에 제1웜(54-1) 및 제1이동핀(216)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하부에 대하여 좌우 폭 방향 조절을 위한 좌우 방향의 풀-푸시력을 용이하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기어열 장치(50)는 상기 제2메인기어(32)의 위쪽 위치에도 동일한 기어열 장치를 더 포함하며, 그 이유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상부에 대해서도 좌우 폭 방향 조절을 위한 좌우 방향의 풀-푸시력을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이에, 상기 제2기어열 장치(50)는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기어열 장치(30)의 제2메인기어(32)의 상부쪽과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52-2)와, 제2전달기어(52-2)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제2전달기어(52-2)와 함께 회전하는 제2웜기어(53-2)와, 상기 제2웜기어(53-2)와 맞물리는 동시에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2웜기어(53-2)의 회전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상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웜(5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상부에는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2안내홀(215)이 형성된 바, 이 제2안내홀(215)에는 제2웜(54-2)의 외측단과 일체로 된 제2이동핀(217)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제2이동핀(217)의 둘레부에도 제2안내홀(215)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홈(218)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제2이동핀(217)의 레일홈(218)에 제2안내홀(215)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져 락킹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웜(54-2)의 좌우 이동시 제2이동핀(217)이 제2안내홀(215)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에 제2웜(54-2) 및 제2이동핀(217)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상부에 대하여 좌우 폭 방향 조절을 위한 좌우 방향의 풀-푸시력을 용이하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기어열 장치(50)의 구성 중, 제2메인기어(32)의 하부쪽에 제1전달기어(52-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개기어(51)를 맞물리게 하고, 제2메인기어(32)의 상부쪽에는 매개기어없이 직접 제2전달기어(52-2)를 맞물리게 한 이유는 제1웜(54-1)과 제2웜(54-2)이 최종적으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궁국적으로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에 상부 및 하부에 동일한 풀-푸시력이 작용하도록 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볼스터 높낮이 조절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로서, 볼스터의 높낮이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레버(10)를 당겨주면, 레버축(12)이 당겨지는 동시에 레버기어(16)가 제1기어열 장치(30)의 제1메인기어(31)이 맞물리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레버축 지지스프링(23)의 탄성가압력이 레버축(12)에 삽입된 지지관(22)에 가해짐에 따라, 레버축(12)은 거치프레임(20)의 슬롯(21) 구간 중 가장 앞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에 형성된 관통홀(204) 내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되며, 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20)의 스토퍼 브라켓(24)에 레버축(12)의 외경에 형성된 스토퍼(14)가 닿게 되면서 다이얼 레버(10) 및 레버축(12)의 당김 길이가 한정된다.
연이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레버(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축(12) 및 그 내측단에 장착된 레버기어(16)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이 제1메인기어(31)에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메인기어(3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메인기어(31)와 동축으로 연결된 캠(40)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캠(40)이 회전을 하면서 그 외표면 중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쪽의 돌출단부가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후면을 전방을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전방으로 밀려나는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시트백(100)의 볼스터(110)가 전방으로 팽창하여 볼스터(1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과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 전면 간에 연결된 볼스터 지지스프링(213)이 늘어나는 상태가 되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레버(1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메인기어(3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메인기어(31)와 동축으로 연결된 캠(40)도 회전을 하여, 캠(40)의 외표면 중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쪽 면이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후면과 접하게 되면, 상기 볼스터 지지스프링(2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본래 위치로 후퇴하게 됨으로써, 시트백(100)의 볼스터(1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백(100)에 장착되는 수동조작레버인 다이얼 레버를 조작하는 단순한 제1조작만으로, 시트백 볼스터부에 내장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후방의 본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시트백 볼스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볼스터 좌우 폭 조절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로서, 볼스터의 좌우 폭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레버(10)를 밀어주면, 레버축(12)이 밀리는 동시에 레버기어(16)가 제1기어열 장치(30)의 제1메인기어(31)로부터 슬립링(33)을 타고 넘은 후, 제2메인기어(32)에 맞물리도록 한다.
연이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레버(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축(12) 및 그 내측단에 장착된 레버기어(16)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이 제2메인기어(32)에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제2기어열 장치(50)에서 제2메인기어(3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메인기어(32)의 회전력이 매개기어(51)에 전달되는 과정과, 매개기어(51)의 회전력이 제1전달기어(52-1) 및 이 제1전달기어(52-1)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1웜기어(53-1)로 전달되는 과정과, 상기 제1웜기어(53-1)의 회전력이 제1웜(54-1)에 전달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1웜(54-1)이 외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제1안내홀(214)에는 제1웜(54-1)의 외측단과 일체로 된 제1이동핀(216)이 장착된 상태이므로, 제1웜(54-1)의 외측 이동과 동시에 제1이동핀(216)이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1이동핀(216)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기어열 장치(50)의 구성 중, 상기 제2메인기어(32)에 직접 맞물린 제2전달기어(52-2)로부터 제2웜기어(53-2)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과, 제2웜기어(53-2)의 회전력이 제2웜(54-2)에 전달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2웜(54-2)이 외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제2안내홀(215)에는 제2웜(54-2)의 외측단과 일체로 된 제2이동핀(217)이 장착된 상태이므로, 제2웜(54-2)의 외측 이동과 동시에 제2이동핀(217)이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1이동핀(217)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상부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과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판(202) 전면 간에 연결된 볼스터 지지스프링(213)이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약간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는 이동을 함으로써,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내장된 시트백(100)의 볼스터(11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폭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레버(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와 같은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의 외측 이동을 위한 작동 과정의 역순에 의하여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내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이동을 함으로써,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210)이 내장된 시트백(100)의 볼스터(110)가 내측으로 오므려 들게 되는 폭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백에 장착되는 수동조작레버인 다이얼 레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단순한 제2조작만으로 시트백 볼스터부에 내장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좌우측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볼스터의 높낮이 뿐만 아니라 볼스터의 좌우 폭까지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10 : 다이얼 레버 12 : 레버축
14 : 스토퍼 16 : 레버기어
20 : 거치프레임 21 : 슬롯
22 : 지지관 23 : 레버축 지지스프링
24 : 스토퍼 브라켓 30 : 제1기어열 장치
31 : 제1메인기어 32 : 제2메인기어
33 : 슬립링 40 : 캠
50 : 제2기어열 장치 51 : 매개기어
52-1 : 제1전달기어 52-2 : 제2전달기어
53-1 : 제1웜기어 53-2 : 제2웜기어
54-1 : 제1웜 54-2 : 제2웜
100 : 시트백
110 : 볼스터 200 : 시트백 프레임
202 : 측판 204 : 관통홀
210 :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 211 : 앞판
212 : 외판 213 : 볼스터 지지스프링
214 : 제1안내홀 215 : 제2안내홀
216 : 제1이동핀 217 : 제2이동핀
218 : 레일홈

Claims (11)

  1. 시트백의 외면에 전후진 및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얼 레버;
    상기 다이얼 레버의 내면에 연결되어 시트백 프레임의 측판에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는 레버축;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외측부에 전후진 및 좌우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앞단 내면과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 간에 연결되는 볼스터 지지스프링;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후단부에 가압 가능하게 접촉되는 캠;
    상기 레버축의 내측단에 장착되는 레버기어;
    상기 레버기어와 캠의 회전축 간에 연결되어, 레버기어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캠에 전달하는 제1기어열 장치;
    상기 제1기어열 장치와 연결되어, 제1기어열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에 좌우 방향의 풀-푸시력을 제공하는 제2기어열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판 외면에는 레버축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된 거치프레임이 장착되고, 거치프레임을 지나가는 레버축의 외경에는 지지관이 삽입되며, 거치프레임의 저부와 지지관 간에는 레버축 지지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의 외측에는 레버축이 지나가는 스토퍼 브라켓이 더 장착되며, 레버축의 당김 길이를 한정하기 위하여 레버축의 외경에는 스토퍼 브라켓에 닿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열 장치는 레버기어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슬립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메인기어 및 슬립링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는 제2메인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메인기어의 축과 상기 캠의 회전축은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메인기어의 축은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은 제1메인기어와 제2메인기어에 비하여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면은 레버기어의 좌우 이동 및 위치 한정을 위하여 원형의 볼록한 경계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열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기어열 장치의 제2메인기어와 맞물리는 매개기어;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매개기어와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
    제1전달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제1전달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웜기어;
    상기 제1웜기어와 맞물리는 동시에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1웜기어의 회전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을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웜;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에는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1안내홀이 형성되고, 이 제1안내홀에는 제1웜과 일체로 된 제1이동핀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핀의 둘레부에는 제1안내홀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열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기어열 장치의 제2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
    제2전달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제2전달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웜기어;
    상기 제2웜기어와 맞물리는 동시에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2웜기어의 회전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을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웜;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 서포트 브라켓의 상부에는 전후방을 향하여 길다랗게 연장된 제2안내홀이 형성되고, 이 제2안내홀에는 제2웜과 일체로 된 제2이동핀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핀의 둘레부에는 제2안내홀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KR1020180109928A 2018-09-14 2018-09-14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KR10205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28A KR102052387B1 (ko) 2018-09-14 2018-09-14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28A KR102052387B1 (ko) 2018-09-14 2018-09-14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387B1 true KR102052387B1 (ko) 2019-12-05

Family

ID=6900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28A KR102052387B1 (ko) 2018-09-14 2018-09-14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94U (ja) * 1991-10-04 1993-04-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KR970036472A (ko) * 1995-12-16 1997-07-22 전성원 시트 럼버 서포트(Seat Lumbar Support)
KR200299115Y1 (ko) * 2002-09-02 2003-01-0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101779758B1 (ko) * 2016-05-10 2017-09-19 주식회사 금창 위성기어를 이용한 캠 타입 럼버 서포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94U (ja) * 1991-10-04 1993-04-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KR970036472A (ko) * 1995-12-16 1997-07-22 전성원 시트 럼버 서포트(Seat Lumbar Support)
KR200299115Y1 (ko) * 2002-09-02 2003-01-0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101779758B1 (ko) * 2016-05-10 2017-09-19 주식회사 금창 위성기어를 이용한 캠 타입 럼버 서포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8179B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8672399B2 (en) Vehicle seat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KR101884741B1 (ko)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CA2951874C (en) Quick adjust power adjuster for a seat with a tubular lead screw
US10059233B2 (en) Seat adjuster and vehicle seat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JP4301014B2 (ja) シートバック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KR10205238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볼스터 수동 조절 장치
KR20130066346A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180060396A (ko) 차량용 플랫시트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110020965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5034327A (ja) 車両用シート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KR100455044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2005034325A (ja) 車両用シート
JP2006306251A (ja) 自動車シート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20200031225A (ko) 자동차용 워크-인 시트의 케이블 이탈 방지 장치
JP3915751B2 (ja) 車両用シート
JP501800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5306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JP2010202037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