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097B1 -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097B1
KR102052097B1 KR1020170163146A KR20170163146A KR102052097B1 KR 102052097 B1 KR102052097 B1 KR 102052097B1 KR 1020170163146 A KR1020170163146 A KR 1020170163146A KR 20170163146 A KR20170163146 A KR 20170163146A KR 102052097 B1 KR102052097 B1 KR 10205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cp2
alzheimer
dementia
present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950A (ko
Inventor
이상준
임혜인
천유림
유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0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는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발병하는 퇴행성 뇌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증후군을 치료하고, 알츠하이머 증후군에 의해 발생하는 인지기능 저하 및 사회성 결여 증상을 호전 또는 개선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ECP2 protein or polynucleotide encoding the MECP2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는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발병되는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는데 사 용될 수 있는 물질을 직접적으로 투여하거나, 이를 발현하는 바이러스를 전달함으로써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증상 개선에 사용될 수 있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노화와 관련된 질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뇌졸중,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신경 질환들 중에서도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뇌혈관의 협착이나 폐색으로 생기는 혈관성 치매(20 내지 30%)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뇌 내에 축적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츠하이머 치매(50%), 그리고 이들 두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기는 혼합형 치매(15 내지 2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현재까지 치매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원인규명이 미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아직 미진한 수준이다. 비록 알츠하이머 치매의 치료제로서 타크린(tacr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amine), 도네페질(donepezil) 및 메만틴(memantine)이 FDA로부터 인가되었지만 현재 사용되는 치매 치료제는 치료를 가능하게 해주는 약물이 아니라 진행이나 증세를 일시적으로 경감시켜 주는 것에 불과하며, 더욱이 신경세포의 사멸이 진행될수록 약물의 효과는 저하되며, 중증치매의 경우 효과가 없다. 또한, 이들 중 대부분은 소염작용을 하는 약물로서 간독성과 소화기관의 점막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궁극적인 원인치료라기보다는 대증적인 요법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현재 치매 관련 약물 개발을 위해 여러 제약회사에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신약 개발이 가져오는 경제적, 사회적 효과는 지대하나 그 개발 비용이 막대하여 쉽게 개발에 나서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내 부작용이 없고, 치매 치료 효과가 우수한 치료제를 연구하던 중,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에서 인지 능력 개선 효과 및 사회성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5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MECP2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의 MECP2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세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ECP2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행성 뇌질환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성 치매), 뇌졸중, 루게릭병, 픽크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헌팅톤병, 진행성 핵상마비, 척수소뇌 변성증, 소뇌 위축증, 다발성 경화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기억상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세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성 치매), 뇌졸중, 루게릭병, 픽크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헌팅톤병, 진행성 핵상마비, 척수소뇌 변성증, 소뇌 위축증, 다발성 경화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기억상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MECP2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a) 피검체에서 분리된 시료에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a)에서 선택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면 퇴행성 뇌질환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료는 뇌 조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a) 피검 물질을 MECP2의 mRNA의 발현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
b)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mRNA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피검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인 MECP2를 치료용 물질로 바이러스를 통해 발현시켜 효과적으로 뇌로 전달하였으며, 뇌에 존재하는 MECP2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은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발병하는 퇴행성 뇌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증후군을 치료하고, 알츠하이머 증후군에 의해 발생하는 인지기능 저하 및 사회성 결여 증상을 호전 또는 개선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을 준비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 도면으로,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 위치를 나타낸 동물모델의 뇌 구조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로부터 뇌를 적출한 부위를 나타낸 뇌 구조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로부터 뇌를 적출하여, 조직염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른 수동회피 실험을 위한 기구를 촬영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의 수동회피실험을 통한 인지기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 MECP2 OE)의 수동회피실험을 통한 인지기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에 4로부터 각 그룹(control, AD model)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보내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상호작용(sniffing)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에 4로부터 각 그룹(control, AD model, Over)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보내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 Over)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상호작용(sniffing)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라 음향 자극 응답에서 선행자극억제에 대한 각 실험군의 영향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1의 MECP2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MECP2는 메틸화 프로모터(methylated promotor)의 전사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단백질로, MECP2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뇌신경계 희귀 질환인 레트 증후군이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 없고,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효과에 관한 보고는 전무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이 MECP2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 및 축적에 의해 유도된 알츠하이머 치매와의 상관관계를 발견하고,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벡터를 통해 상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발견은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라 할 것이다.
상기 MECP2 단백질은 실질적으로 동등한 생리활성을 갖는 단백질인 서열번호 1의 MECP2 단백질과 그 기능적 동등물 및 기능적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ECP2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MECP2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염기서열에는 DNA, cDNA, RNA 서열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MECP2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로 표시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구체적으로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성 치매), 뇌졸중, 루게릭병, 픽크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헌팅톤병, 진행성 핵상마비, 척수소뇌 변성증, 소뇌 위축증, 다발성 경화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기억상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로 투여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으로 인해, 초기 알츠하이머 질환일 때, 뇌 조직의 MECP2 발현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MECP2 단백질은 신경계 질환 중에서 희귀 질환으로 알려진 레트 증후군을 유발하는 원인물질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알츠하이머 질환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에 의한 뇌실에서의 MECP2 증가가 인지기능 장애 및 사회성 결여 등의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궁극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를 발병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에 직접 주입한 마우스에서 인지기능 장애 저하 및 사회성 결여와 같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초기 특징들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상기 동물모델로부터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가 유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를 투여함으로써, MECP2 단백질이 증가하게 되면, 사망률이 증가하는 등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동회피, 사회성 및 선행자극억제 실험을 수행하여, 인지기능이 개선되며, 사회성 결여가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개선 및 치료 효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퇴행성 뇌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거나, 증상이 호전되거나 개선되거나 완화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개선되거나 완화되는 등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생리식염수,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 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리퀴드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 요법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국부 투여를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그 투여 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녹나무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일 0.5 내지 5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kg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원료에 대하여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 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1의 MECP2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세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MECP2는 메틸화 프로모터(methylated promotor)의 전사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단백질로, MECP2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뇌신경계 희귀 질환인 레트 증후군이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 없고,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효과에 관한 보고는 전무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이 MECP2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 및 축적에 의해 유도된 알츠하이머 치매와의 상관관계를 발견하고,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벡터를 통해 상기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발견은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라 할 것이다.
상기 MECP2 단백질은 실질적으로 동등한 생리활성을 갖는 단백질인 서열번호 1의 MECP2 단백질과 그 기능적 동등물 및 기능적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ECP2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MECP2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염기서열에는 DNA, cDNA, RNA 서열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MECP2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로 표시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구체적으로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성 치매), 뇌졸중, 루게릭병, 픽크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헌팅톤병, 진행성 핵상마비, 척수소뇌 변성증, 소뇌 위축증, 다발성 경화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기억상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로 투여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으로 인해, 초기 알츠하이머 질환일 때, 뇌실에서 MECP2가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MECP2 단백질은 신경계 질환 중에서 희귀 질환으로 알려진 레트 증후군을 유발하는 원인물질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알츠하이머 질환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에 의한 뇌실에서의 MECP2 감소가 인지기능 장애 및 사회성 결여 등의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을 유발하며 궁극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를 발병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에 직접 주입한 마우스에서 인지기능 장애, 운동능력 저하 및 사회성 결여와 같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초기 특징들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상기 동물모델로부터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가 유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를 투여함으로써, MECP2 단백질이 증가하게 되면, 사망률이 증가하는 등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동회피, 사회성 및 선행자극억제 실험을 수행하여, 인지기능이 개선되며, 사회성 결여가 완화되고, 인지 및 운동기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개선 및 치료 효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벡터"는 숙주 세포로 염기의 클로닝 및/또는 전이를 위한 임의의 매개물을 말한다. 벡터는 다른 DNA 단편이 결합하여 결합된 단편의 복제를 가져올 수 있는 복제단위 (replicon)일 수 있다. "복제단위"란 생체 내에서 DNA 복제의 자가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즉, 스스로의 조절에 의해 복제가능한, 임의의 유전적 단위(예를 들면,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염색체, 바이러스)를 말한다. 용어 "벡터"는 시험관 내, 생체 외 또는 생체 내에서 숙주 세포로 염기를 도입하기 위한 바이러스 및 비 바이러스 매개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러스벡터는 구체적으로 아데노조력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AAV), 아데노 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벡시니아 바이러스 및 허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이러스벡터에 탑재한 재조합 바이러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벡터"는 원하는 세포, 조직 및/또는 기관으로 치료 유전자 또는 유전물질을 전달할 수 있는 바이러스벡터이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 혹은 재조합 세포는 MECP2 유전자를 발현함으로써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질환을 개선된 효능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퇴행성 뇌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거나, 증상이 호전되거나 개선되거나 완화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개선되거나 완화되는 등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생리식염수,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 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리퀴드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전자 요법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국부 투여를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그 투여 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녹나무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일 0.5 내지 5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kg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재조합 벡터인 경우 구체적으로 0.01 내지 500 mg을 함유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300 mg을 함유하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의 경우, 구체적으로 103~1012 IU(10 내지 1010 PFU)를 함유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105 내지 1010 IU를 함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세포인 경우, 구체적으로 103 내지 108개를 함유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104 내지 107개를 함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용량은 체중 1㎏당 재조합 벡터의 경우에는 0.05 내지 12.5 ㎎/㎏, 재조합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107 내지 1011 바이러스 입자(105 내지 109 IU)/㎏, 세포의 경우에는 103 내지 106 세포/㎏이고, 구체적으로 재조합 벡터의 경우에는 0.1 내지 10 ㎎/㎏, 재조합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108 내지 1010 입자(106 내지 108 IU)/㎏, 세포의 경우에는 102 내지 105세포/㎏이며, 일일 2 내지 3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발병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원료에 대하여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 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MECP2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피검체로부터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 또는 주입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로 투여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으로 인해, 초기 알츠하이머 질환일 때, 뇌 조직의 MECP2 발현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에 직접 주입한 마우스에서 인지기능 장애 저하 및 사회성 결여와 같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초기 특징들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상기 동물모델로부터 아밀로이드 베타의 주입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가 유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MECP2의 증가는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이 있고, MECP2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체에서 분리된 시료에서 MECP2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면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 또는 주입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a) 피검체에서 분리된 시료에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a)에서 선택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면 퇴행성 뇌질환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 측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조직화학, RT-PCR, 웨스턴 블랏(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 분석법(FAC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MECP2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은 mRNA의 발현 수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mRNA 발현수준은 역전사 중합효소 반응(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generation sequencing, NG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피검 물질을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
b)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피검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구체적으로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 또는 주입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상기 피검물질은 천연화합물, 합성화합물, RNA, DNA, 폴리펩티드, 효소, 단백질, 리간드, 항체, 항원, 박테리아 또는 진균의 대사산물 및 생활성 분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재조합 바이러스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바이러스는 아래 개열지도와 같이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7119801686-pat00001

실험예 1. 동물모델
가. Aβ 1~42 준비
사람 아밀로이드 베타에 해당하는 4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는 합성하였다. 이들의 섬유형성을 위해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를 멸균된 PBS (with 10 % DMSO) 로 용해하고, 사용하기 전에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나. 실험동물 및 알츠하이머 동물모델(AD model) 준비
본 실험에서 25 내지 30 g 내외의 8주령 B6 수컷 생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하였고, 실험과정은 표준 설치류 식이와 물을 원하는 대로 섭취하게 하였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ACUC의 동물 보호 및 사용위원회의 엄격한 인가에 따라 처리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1 주 동안 적응기간을 가지게 하였고, 일반 행동이상여부를 관찰하여 이상이 관찰되는 동물은 본 실험에 사용하지 않았다. 모든 실험동물은 실험기간동안 항온, 항습이 가능한 사육장에서 12 시간 채광, 12 시간 차광의 조건에서 식수와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동물은 ketamine과 xylazine을 복강주사 하여 마취시킨 다음 뇌정위수술틀 (Stereotaxic frame, Narishige, Japan)을 준비한다. 모든 실험은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Kim 방법에 따라 동물의 뇌실에 주입하였다(J. Alzheimers Dis. 2010 Kim). 각 생쥐는 26-gauge needle이 달려있는 50 μL Hamilton microsyringe로 정수리에서 2.2 mm 깊이로 주입하였다. 주입한 용량은 5 μL이다(도 1).
실험예 2. 조직염색( Thioflavin S staining) 실험
가. 실험군
본 발명에서는 실험예 1을 통해 제조된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동물모델과 MECP2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예 1에 따라 2 그룹의 동물모델을 준비하였다.
제1 그룹 :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지 않고, PBS를 주사한 군(대조군;control)
제2 그룹 : 아밀로이드 베타를 주입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한 군(AD model)
나. 조직염색 실험 및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 주입한 지 3일 후, 실험동물을 ketamine과 xylazine를 복강주사하여 마취하고, 4% paraformaldehyde(0.1 M phosphate buffer, pH 7.4)로 관류 고정하였다. 뇌를 꺼내어 20% sucrose가 포함된 PBS에 하루 동안 담가놓고, 동결 박절기를 이용하여 40 μm 두께로 연속관상절편을 만든다. 상기 절편된 조직은 thioflavin S (Sigma-Aldrich) solution 으로 8 min 분간 염색하였다. 100% ethanol 에 한번 80% ethanol/water에 2번 씻어내고 10 min 분간 증류수에 혼들어준뒤 관찰하였다 (Tasai et al.,JEM, 2007).
면역표지된 슬라이드는 수치화하고 CoolSNAP 카메라(Princeton, Trenton, NJ, USA)가 장착된 Leica DMR 현미경(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기록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로부터 뇌를 적출한 부위를 나타낸 뇌 구조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로부터 뇌를 적출하여, 면역조직염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의 뇌 조직에서 MeCP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 실험
가. 실험동물 및 실험군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 실험예 1에 따라 하기 실험군을 설정 및 준비하였다. 각 군단 최소 10 마리씩의 쥐를 사용하였다.
제1 그룹 :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지 않고, PBS를 주사한 군(대조군;control)
제2 그룹 : 아밀로이드 알파를 주입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한 군(AD model)
제3 그룹 : 실시예 1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투여하여 MECP2를 과발현 시킨(MECP2 OE) 후 아밀로이드 알파를 주입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한 군
나. 실험방법 및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 주입한 지 3일 후, 수동회피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동회피실험기구는 2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있는데, 각각 빛이 들어오는 구역과 어두운 구역이고 바닥은 철망으로 이루어져있다. 훈련시키는 동안, 각각의 생쥐는 밝은 구역에 놓여지고, 그 쥐가 어두운 구역으로 이동하자마자 문이 닫히고, 0.1mA의 전류가 3초간 흐르는 foot shock을 받게 된다. 훈련을 받은 지 하루 지나 테스트를 실시하는데, 쥐가 밝은 구역에 놓여지고, 다시 어두운 구역으로 이동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한다(최대시간은 600초로 정하였다)(도 3). 이러한 수동회피실험을 통해 공간학습 및 기억력(spatial learning and memory)를 평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의 수동회피실험을 통한 인기기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 MECP2 OE)의 수동회피실험을 통한 인지기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모든 자료는 mean(S.E.M)으로 표시하였고,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p>0.05인 경우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여 ****로 표기하였다.
도 4,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동물모델(control)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AD model)의 경우, Elapse time이 2 배 이상 짧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실 주입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인지 기능이 현저히 감소된 알츠하이머 치매가 발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①).
그러나 상기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 실시예 1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주입하여 MECP2를 과발현 시킨 경우, PBS 완충용액을 주입한 동물모델(AD model)에 비해 Elapse time이 2 배 이상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②).
종합하면 아밀로이드 베타를 뇌실로 주입할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를 동물로부터 발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렇게 제조된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통해 MECP2를 과발현시키는 경우, 저하되었던 인기기능(기억)이 정상동물모델과 동등한 정도로 회복됨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동물 체내에서 MECP2의 과발현을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을 현저히 치료 및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사회성 실험
가. 실험군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 실험예 1에 따라 하기 실험군을 설정 및 준비하였다. 각 군단 최소 10 마리씩의 쥐를 사용하였다.
제1 그룹 :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지 않고, PBS를 주사한 군(대조군;control)
제2 그룹 : 아밀로이드 알파를 주입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한 군(AD model)
제3 그룹 : 실시예 1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투여하여 MECP2를 과발현 시킨(OVER) 후 아밀로이드 알파를 주입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한 군
나. 실험방법 및 결과
사회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테스트를 3개의 방 사회적 상호작용 시험(Three chamber social interaction test)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3-chamber test는 익숙한 마우스와 새로운 마우스를 넣고, 익숙한 마우스(target1)와 새로운 마우스(target2) 사이에서 동물모델(control 또는 AD model)이 보내는 시간과 상호작용(sniffing)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평가하였다.
상기 상호작용은 동물모델이 낯선 동물의 냄새를 맡으려고 할 때, 낯선 동물을 향해 코를 지향하고 가까이 가는 각 경우로 정의하여 그 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에 4로부터 각 그룹(control, AD model)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보내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상호작용(sniffing)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에 4로부터 각 그룹(control, AD model, Over)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보내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각 그룹(control, AD model, Over)의 사회적 선호도 지수를 나타내는 tager1, target2와 상호작용(sniffing)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모든 자료는 mean(S.E.M)으로 표시하였고,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p>0.05인 경우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여 ****로 표기하였다.
도 6,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동물모델(control)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AD model)은 익숙한 마우스와 새로운 마우스에서 잔류 시간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상호작용하는 정도는 정상 동물모델(control)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AD model)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 동물모델(AD model)은 정상 동물모델(control)보다 익숙한 마우스에 대하여 상호작용을 현저히 적어졌고 결국, 낯선 마우스들과 동등한 정도까지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실 주입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인지기능이 현저히 감소되어 사회적 행동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는 바, 알츠하이머 치매가 발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①, ②).
도 8,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 재조합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MECP2를 과발현시킨 경우(Over), PBS 완충용액을 주입한 동물모델(AD model)에 비해 낯익은 마우스와 함께 보내는 시간과 상호작용하는 정도가 40~50% 더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③, ④). 이는 정상 동물모델(control)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다시 말해 알츠하이머 치매가 유발된 동물모델(AD model)에 재조합 바이러스를 이용해 MECP2를 과발현시킨 경우(Over), 저하되었던 사회성 결여 증상이 정상동물모델보다 현저하게 높게 회복됨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바이러스를 이용해 MECP2의 과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을 현저히 치료 및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선행자극억제 실험
본 실험은 선행되는 신호음에 의해 쥐들의 놀람반응(startle response)이 영향받는 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을 위한 실험기구는 투명한 플렉시글라스로 만든 챔버로 구성되었고, 플랫폼에 두었다; 상기 플랫폼은 소리 절연 챔버 안쪽에 두었다. 청각 자극을 전달하는 고주파 음파 컬럼은 플랫폼으로부터 2 cm 떨어진 곳에 설치하였다. 동물의 놀람은 플랫폼의 진동으로 야기되고, 이는 아날로그 변환기 및 컴퓨터의 기록에 의해 측정되었다. 배경 소음의 레벨은 65 dB로 만들었다. 각각 동물은 50 ms 기간의 단순 실험(펄스) 및 120 dB 또는 20 ms 기간의 펄스전 자극(프리-펄스) 및 74, 82, 90 dB의 자극의 3 가지 자극들을 받고, 30 ms 후에, 뒤따라 50 ms 기간 및 120 dB의 펄스 자극을 주었다. 펄스 자극과 조합된 반복된 펄스 또는 펄스 전 사이의 시간 간격은 10초였다. 상기 펄스 전-후-펄스 자극에 대응하는 놀람 억제는 단일 펄스 자극에 대응하는 놀람 간격에 대한 백분률로 계산하였다. 이때 동물의 % PPI가 낮아질수록 인지기능(감각운동게이팅)이 저하되었음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라 음향 자극 응답에서 선행자극억제에 대한 각 실험군의 영향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로, 이에 따르면 PBS 완충용액을 주입한 동물모델(AD model)이 정상 동물모델(control)보다 놀람 억제가 총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아밀로이드 베타의 투여가 놀람 반응을 저해하였고, 동물모델에서 감각 자극 필터에 대해 CNS(중추신경계) 능력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실 주입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인지기능(감각운동게이팅)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는 바, 효과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가 발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1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Composition comprising MECP2 protein or polynucleotide encoding the MECP2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130> HPC7732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8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ECP2 <400> 1 Met Val Ala Gly Met Leu Gly Leu Arg Glu Glu Lys Ser Glu Asp Gln 1 5 10 15 Asp Leu Gln Gly Leu Arg Asp Lys Pro Leu Lys Phe Lys Lys Ala Lys 20 25 30 Lys Asp Lys Lys Glu Asp Lys Glu Gly Lys His Glu Pro Leu Gln Pro 35 40 45 Ser Ala His His Ser Ala Glu Pro Ala Glu Ala Gly Lys Ala Glu Thr 50 55 60 Ser Glu Ser Ser Gly Ser Ala Pro Ala Val Pro Glu Ala Ser Ala Ser 65 70 75 80 Pro Lys Gln Arg Arg Ser Ile Ile Arg Asp Arg Gly Pro Met Tyr Asp 85 90 95 Asp Pro Thr Leu Pro Glu Gly Trp Thr Arg Lys Leu Lys Gln Arg Lys 100 105 110 Ser Gly Arg Ser Ala Gly Lys Tyr Asp Val Tyr Leu Ile Asn Pro Gln 115 120 125 Gly Lys Ala Phe Arg Ser Lys Val Glu Leu Ile Ala Tyr Phe Glu Lys 130 135 140 Val Gly Asp Thr Ser Leu Asp Pro Asn Asp Phe Asp Phe Thr Val Thr 145 150 155 160 Gly Arg Gly Ser Pro Ser Arg Arg Glu Gln Lys Pro Pro Lys Lys Pro 165 170 175 Lys Ser Pro Lys Ala Pro Gly Thr Gly Arg Gly Arg Gly Arg Pro Lys 180 185 190 Gly Ser Gly Thr Gly Arg Pro Lys Ala Ala Ala Ser Glu Gly Val Gln 195 200 205 Val Lys Arg Val Leu Glu Lys Ser Pro Gly Lys Leu Val Val Lys Met 210 215 220 Pro Phe Gln Ala Ser Pro Gly Gly Lys Gly Glu Gly Gly Gly Ala Thr 225 230 235 240 Thr Ser Ala Gln Val Met Val Ile Lys Arg Pro Gly Arg Lys Arg Lys 245 250 255 Ala Glu Ala Asp Pro Gln Ala Ile Pro Lys Lys Arg Gly Arg Lys Pro 260 265 270 Gly Ser Val Val Ala Ala Ala Ala Ala Glu Ala Lys Lys Lys Ala Val 275 280 285 Lys Glu Ser Ser Ile Arg Ser Val His Glu Thr Val Leu Pro Ile Lys 290 295 300 Lys Arg Lys Thr Arg Glu Thr Val Ser Ile Glu Val Lys Glu Val Val 305 310 315 320 Lys Pro Leu Leu Val Ser Thr Leu Gly Glu Lys Ser Gly Lys Gly Leu 325 330 335 Lys Thr Cys Lys Ser Pro Gly Arg Lys Ser Lys Glu Ser Ser Pro Lys 340 345 350 Gly Arg Ser Ser Ser Ala Ser Ser Pro Pro Lys Lys Glu His His His 355 360 365 His His His His Ser Glu Ser Thr Lys Ala Pro Met Pro Leu Leu Pro 370 375 380 Ser Pro Pro Pro Pro Glu Pro Glu Ser Ser Glu Asp Pro Ile Ser Pro 385 390 395 400 Pro Glu Pro Gln Asp Leu Ser Ser Ser Ile Cys Lys Glu Glu Lys Met 405 410 415 Pro Arg Gly Gly Ser Leu Glu Ser Asp Gly Cys Pro Lys Glu Pro Ala 420 425 430 Lys Thr Gln Pro Met Val Ala Thr Thr Thr Thr Val Ala Glu Lys Tyr 435 440 445 Lys His Arg Gly Glu Gly Glu Arg Lys Asp Ile Val Ser Ser Ser Met 450 455 460 Pro Arg Pro Asn Arg Glu Glu Pro Val Asp Ser Arg Thr Pro Val Thr 465 470 475 480 Glu Arg Val Ser <210> 2 <211> 14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ECP2 <400> 2 atggtagctg ggatgttagg gctcagggag gaaaagtcag aagaccagga tctccagggc 60 ctcagagaca agccactgaa gtttaagaag gcgaagaaag acaagaagga ggacaaagaa 120 ggcaagcatg agccactaca accttcagcc caccattctg cagagccagc agaggcaggc 180 aaagcagaaa catcagaaag ctcaggctct gccccagcag tgccagaagc ctcggcttcc 240 cccaaacagc ggcgctccat tatccgtgac cggggaccta tgtatgatga ccccaccttg 300 cctgaaggtt ggacacgaaa gcttaaacaa aggaagtctg gccgatctgc tggaaagtat 360 gatgtatatt tgatcaatcc ccagggaaaa gcttttcgct ctaaagtaga attgattgca 420 tactttgaaa aggtgggaga cacctccttg gaccctaatg attttgactt cacggtaact 480 gggagaggga gcccctccag gagagagcag aaaccaccta agaagcccaa atctcccaaa 540 gctccaggaa ctggcagggg tcggggacgc cccaaaggga gcggcactgg gagaccaaag 600 gcagcagcat cagaaggtgt tcaggtgaaa agggtcctgg agaagagccc tgggaaactt 660 gttgtcaaga tgcctttcca agcatcgcct gggggtaagg gtgagggagg tggggctacc 720 acatctgccc aggtcatggt gatcaaacgc cctggcagaa agcgaaaagc tgaagctgac 780 ccccaggcca ttcctaagaa acggggtaga aagcctggga gtgtggtggc agctgctgca 840 gctgaggcca aaaagaaagc cgtgaaggag tcttccatac ggtctgtgca tgagactgtg 900 ctccccatca agaagcgcaa gacccgggag acggtcagca tcgaggtcaa ggaagtggtg 960 aagcccctgc tggtgtccac ccttggtgag aaaagcggga agggactgaa gacctgcaag 1020 agccctgggc gtaaaagcaa ggagagcagc cccaaggggc gcagcagcag tgcctcctcc 1080 ccacctaaga aggagcacca tcatcaccac catcactcag agtccacaaa ggcccccatg 1140 ccactgctcc catccccacc cccacctgag cctgagagct ctgaggaccc catcagcccc 1200 cctgagcctc aggacttgag cagcagcatc tgcaaagaag agaagatgcc ccgaggaggc 1260 tcactggaaa gcgatggctg ccccaaggag ccagctaaga ctcagcctat ggtcgccacc 1320 actaccacag ttgcagaaaa gtacaaacac cgaggggagg gagagcgcaa agacattgtt 1380 tcatcttcca tgccaaggcc aaacagagag gagcctgtgg acagccggac gcccgtgacc 1440 gagagagtta gctga 1455

Claims (9)

  1.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서열번호 1의 MECP2(methyl CpG binding protein 2)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세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MECP2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용 조성물.
  7. a) 피검체에서 분리된 시료에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a)에서 선택된 MECP2 단백질 혹은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면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뇌 조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β)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전자 검출 방법.
  9. 삭제
KR1020170163146A 2017-11-30 2017-11-30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46A KR102052097B1 (ko) 2017-11-30 2017-11-30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46A KR102052097B1 (ko) 2017-11-30 2017-11-30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50A KR20190063950A (ko) 2019-06-10
KR102052097B1 true KR102052097B1 (ko) 2019-12-05

Family

ID=6684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146A KR102052097B1 (ko) 2017-11-30 2017-11-30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13A (ko) 2020-01-23 2021-08-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 아밀로이드의 응집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9267A4 (en) * 2019-11-07 2022-11-23 Amyloid Solution Inc. COMPOSITION, COMPRISING TMEM176B, OR AN EXPRESSION OR ACTIVITY REGULATOR THEREOF, USED AS AN ACTIVE SUBSTANC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 DEGENERATIVE BRAIN DISEASE
KR20220132477A (ko) * 2021-03-23 2022-09-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5578A1 (en) * 2006-04-07 2007-10-18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Stiftung Öffentlichen Rechts Synthetic mecp2 sequence for protein substitution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46B1 (ko) 2009-12-11 2012-11-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TTP 프로모터 내 특정 단일 CpG 부위의 후생유전학적 지표를 이용한 암 발병/예후 진단 및 이의 조절을 통한 암 치료기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5578A1 (en) * 2006-04-07 2007-10-18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Stiftung Öffentlichen Rechts Synthetic mecp2 sequence for protein substitution therap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13A (ko) 2020-01-23 2021-08-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 아밀로이드의 응집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50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keuchi et al. Possible involvement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KR102052097B1 (ko)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09885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SM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orders
KR101865404B1 (ko) 혈관내피성장인자를 과발현한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033977A (ko)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고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 생성을저해하기 위한 화합물
Ravelli et al. NADPH oxidase contributes to streptozotocin-induced neurodegeneration
KR101988850B1 (ko) Ae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9620B1 (ko) 신경변성 장애
KR101407730B1 (ko) 안지오포이에틴-4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08873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eptide or pept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and medical use therefor
KR20150122043A (ko)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니만픽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3562A (ko) 지노스테마 론기페스 vk1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mpk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21060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ramalin
KR20070091928A (ko) 승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2210500B1 (ko) 감초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274B1 (ko) D-리모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650643B1 (ko) 인슐린 유사 펩티드 3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29980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0378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with diabetes
KR20200009907A (ko) 보체 성분 8 감마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17B1 (ko) 오스모틴 또는 이의 활성화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2144681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inotodiol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uscular disease
JP2022035562A (ja) 軸索伸展剤
KR20230079725A (ko) 황산아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7102B1 (ko) 뇌신경 질환 치료 타겟으로서 Brd2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