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57B1 - 스마트 테이블 - Google Patents

스마트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57B1
KR102051557B1 KR1020190036966A KR20190036966A KR102051557B1 KR 102051557 B1 KR102051557 B1 KR 102051557B1 KR 1020190036966 A KR1020190036966 A KR 1020190036966A KR 20190036966 A KR20190036966 A KR 20190036966A KR 102051557 B1 KR102051557 B1 KR 10205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hinge point
rod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9003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57B1/ko
Priority to PCT/KR2020/003585 priority patent/WO20202043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을 밀어 올린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을 밀어 올려 세우는 작동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이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올려지지 않도록 잡고 있는 가이드부 및 상기 작동부를 세우고 눕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 끝은 올려지지 않고 상기 일측의 회동 중심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테이블{Smart table}
본 발명은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상판,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책상, 식탁, 회의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용도는 다양하다.
최근 기술발달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테이블에 결합시켜 제품화한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가 테이블 내부에 보관되고, 사용 시 상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테이블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와, 디스플레이장치가 테이블의 상판 일부분에 눕혀져 있는 구조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인출되는 구조는 인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회의 자들이 영상 시청은 용이하나 상판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테이블을 사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판에 눕혀져 있는 구조는, 회의 자들이 테이블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관계로 영상 시청 불편하였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지는 스마트 테이블이 개발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질 때 테이블을 벗어나면서 세워지거나, 세워진 디스플레이장치가 테이블에 위치하되 다리보다 앞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테이블이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3097호 (2014.06.03.) 등록특허 제10-1693735호 (2017.01.02.)
본 발명은 스마트 테이블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질 때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을 밀어 올린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을 밀어 올려 세우는 작동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이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올려지지 않도록 잡고 있는 가이드부 및 상기 작동부를 세우고 눕히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 끝은 올려지지 않고 상기 일측의 회동 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제1 힌지점, 제2 힌지점 및 제3 힌지점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점과 상기 제3 힌지점은 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아래에서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작동 베이스, 상기 제1 힌지점으로 상기 작동 베이스와 연결된 제1 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2 힌지점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3 힌지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과 연결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점은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 구동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세워지며, 상기 제2 힌지점은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아래에서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베이스,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와 상기 연결 브래킷을 연결하는 제1 로드 및 제2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1 로드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 및 상기 연결 브래킷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세워지며,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가 세워질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이 들릴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은,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놓이며, 상기 작동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구동부가 위치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워진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는 상기 다리를 기준으로 형성한 가상의 수직선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워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가 테이블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기준으로 형성한 가상의 수직선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에, 세워진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무게중심이 수직선 내측에 위치하므로 스마트 테이블은 넘어지지 않는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에서 스마트 테이블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워진 디스플레이장치의 중앙 부분을 작동부가 지지하고 양측을 가이드부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들리어 테이블 본체의 상면과 떨어진 상태에서 테이블 본체 위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와 테이블 본체가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세워짐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테이블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작동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작동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4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가이드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가이드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6의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작동부의 1차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작동부 2차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7의 가이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가이드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가이드부의 1차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가이드부 2차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8의 작동부가 세워져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도 7의 가이드부가 세워져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테이블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작동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작동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4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가이드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가이드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은, 테이블 본체(10), 디스플레이장치(30), 작동부(40), 구동부(50) 및 가이드부(60)를 포함하며 테이블 본체(10)에 눕혀져 있던 디스플레이장치(30)가 세워졌을 무게 중심에 의해 테이블 본체(1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영상, 문자 따위를 출력하며, 터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30)를 통해 영상을 보거나 정보 따위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테이블 본체(10)에 눕혀져 보관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30)는 세워질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테이블 본체(10)는 기설정된 넓이와 높이를 갖는다. 테이블 본체(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30)가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30)는 상면에서 세워질 수도 있다. 테이블 본체(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30)를 작동부(40), 가이드부(60) 및 구동부(50)가 위치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 및 출력 포트(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 본체(1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테이블 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20)들이 배치되어 있다. 다리(20)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로 이루어진 다리는 스마트 테이블(1)의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다리(20)를 바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리(20)는 테이블 본체(10)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작동부(40)는 수용공간(11)의 중앙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의 중앙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가이드부(60)는 작동부(40)를 기준으로 수용공간(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좌우 양측과 연결되어 있다. 작동부(40)와 가이드부(60)는 수용공간(11)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부(40)는, 제1 힌지점(41), 제2 힌지점(42), 제3 힌지점(43), 작동 베이스(44), 제1 프레임(45) 및 제2 프레임(46)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30)를 세우거나 눕힌다.
작동 베이스(44)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디스플레이장치(3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수용공간(11)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 베이스(44)는 눕혀진 디스플레이장치(30)와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은 작동 베이스(44)보다 길이가 짧으며 눕혀진 디스플레이장치(30)와 작동 베이스(44)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의 일측은 제2 힌지점(42)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눕혀진 상태에서 작동 베이스(44)의 일측과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제2 프레임(46)은 디스플레이장치(30)와 접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 프레임(45)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힌지점(42)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제1 프레임(45)의 타측은 제1 힌지점(41)으로 작동 베이스(44)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제2 프레임(46)의 타측은 제3 힌지점(43)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제1 힌지점(41)과 제3 힌지점(43)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은 각 힌지점(41, 42, 4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작동 베이스(4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전동 실린더의 하우징은 작동 베이스(44)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한 로드는 제1 프레임(45)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즉, 로드는 제1 프레임(45)에서 제1 힌지점(41)과 제2 힌지점(42)의 사이에서 제1 힌지점(41)에 근접되어 있다. 에에 로드와 제1 프레임(45)이 연결된 지점은 제1 프레임(45)의 타측에서 제1 프레임(45)의 전체 길이의 중심(45c)과 가까운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로드는 제1 프레임(45)을 민다. 제1 프레임(45)은 제1 힌지점(4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세워질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점(42) 부분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은 들릴 수 있다. 제1 프레임(45)이 세워질 때 제1 힌지점(41)과 제3 힌지점(43)의 간격은 벌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45)이 세워진 상태에서 로드가 하우징으로 삽입되면 제1 프레임(45)을 당긴다. 제1 프레임(45)은 제1 힌지점(4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눕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이 세워지고 눕혀질 때 구동부(50)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동부(50)와 일치하는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의 일측 일부분은 제거되어 있다.
위 설명에서 구동부(50)가 작동 베이스(44)의 일측에 위치한 것으로 하였으나, 구동부(50)는 작동 베이스(44)의 타측에 위치하여 당기여 제1 프레임(45)을 세우거나 밀어서 제1 프레임(45)을 눕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50)의 동력을 통해 작동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1차로 밀어 올린 후, 2차로 타측을 밀어 올려 디스플레이장치(30)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60)는, 가이드 베이스(61), 제1 로드(62), 제2 로드(63) 및 연결 브래킷(64)을 포함하며,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이 세워질 때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이 디스플레이장치(30)의 타측이 올려질 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잡고 있는다.
가이드 베이스(61)는 수용공간(11)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 브래킷(64)은 가이드 베이스(61)와 대각에서 마주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브래킷(64)은 가이드 베이스(61)보다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에 더 근접되어 있다. 이에 가이드 베이스(61)는 연결 브래킷(64)보다 수용공간(11)의 일측 내부 둘레에서 중앙 방향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가이드 베이스(61)와 연결 브래킷(64)의 위치 차이로 인해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경사지게 위치하여 하단은 가이드 베이스(61)와 힌지(65a, 65b)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연결 브래킷(64)과 힌지(65c, 65d)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힌지(65a, 65b, 65c, 65d)를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다.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되, 제2 로드(63)의 길이는 제1 로드(62)의 길이보다 짧다. 여기서 제2 로드(63)는 가이드 베이스(61)와 연결 브래킷(64)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 로드(62)는 가이드 베이스(61)와 연결 브래킷(64)의 타측에 위치한다.
작동부(40)의 작동으로 제2 힌지점(42)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이 들릴 때 연결 브래킷(64)은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의 연결을 통해 형성된 기설정된 유격 범위 내에서 들리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따라 들릴 수 있다.
그러나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의 하단과 상단이 가이드 베이스(61)와 연결 브래킷(64)에 각각 힌지(65a, 65b, 65c, 65d) 연결되어 있어 연결 브래킷(64)은 기설정된 유격 범위를 벗어나면 들리지 못한다.
구동부(50)의 구동으로 제1 힌지점(41)과 제3 힌지점(43)은 벌어지고,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의 길이 차이로 인해 연결 브래킷(64)이 세워진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30)의 타측은 들리고 일측은 테이블 본체(10)와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테이블 본체(10) 위로 당겨질 수 있다.
다음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스마트 테이블(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의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작동부의 1차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작동부 2차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7의 가이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가이드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가이드부의 1차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가이드부 2차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작동부가 세워져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도 7의 가이드부가 세워져 디스플레이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8의 (a)와 도 9의 (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장치(30)는 눕혀진 상태에서 테이블 본체(10) 상면에 놓여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30)의 가장자리 부분은 테이블 본체(10)의 상면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50)의 로드는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 그리고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눕혀져 있다.
제2 프레임(46)의 일측인 제2 힌지점(42) 부분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과 접하고 있으며, 가이드 베이스(61)와 연결 브래킷(64)의 위치 차이로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의 힌지(65c, 65d)가 위치한 상단은 힌지(65a, 65b)가 위치한 하단보다 수용공간(11)의 일측 내부 둘레(111)와 더 근접되어 있다.
도 8의 (b)와 도 9의 (b)를 참고하면, 구동부(50)의 로드는 하우징에서 인출되면서 제1 프레임(45)을 밀어 올린다. 제1 프레임(45)은 제1 힌지점(41)을 기준으로 제2 힌지점(42)이 들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힌지점(42) 부분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밀어 올린다. 테이블 본체(10)의 상면과 접하고 있던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은 들리면서 테이블 본체(10)의 일측으로부터 떨어진다.
그리고 연결 브래킷(64)은 들리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따라 들린다. 이때 연결 브래킷(64)은 기설정된 유격 범위 내에서 들린다. 유격 범위를 벗어나면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에 의해 연결 브래킷(64)은 디스플레이장치(30)를 따라 들리지 못한다. 이에 가이드부(6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이 들리지 못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잡는다.
도 8의 (c)와 도 9의 (c)를 참고하면, 구동부(50)의 로드가 하우징에서 지속적으로 인출되므로 제1 프레임(45)은 제1 힌지점(4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세워지려고 한다. 이때 가이드부(60)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을 잡고 있으므로 제3 힌지점(43)이 디스플레이장치(30)의 타측을 밀어 올리게 된다. 제3 힌지점(43)은 제1 힌지점(41)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리고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세워지며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의 길이차로 인해 테이블 본체(10) 상면에서 들려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은 테이블 본체(10) 내부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일측이 들려 있는 상태에서 당겨지므로 디스플레이장치(30)와 테이블 본체(10)의 상면은 간섭되지 않는다.
구동부(50)의 로드가 하우징에서 지속적으로 인출되면서 제1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6), 그리고 제1 로드(62)와 제2 로드(63)는 도면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지고, 디스플레이장치(30) 또한 세워진다. 이때 연결 브래킷(64)과 디스플레이장치(30)의 위치가 테이블 본체(10) 위에 위치하여 테이블 본체(10)를 벗어나지 않는다.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30)가 테이블 본체() 내에 위치하면서 다리(20)(도 5참조)를 기준으로 형성한 가상의 수직선(H) 내측에 위치한다. 세워진 디스플레이장치(30)에 의해 무게중심이 수직선(H) 내측에 위치하므로 스마트 테이블(1)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워진 디스플레이장치(30)의 중앙 부분을 작동부(40)가 지지하고 양측을 가이드부(60)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30)는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위 설명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 작동부(40), 구동부(50) 및 가이드부(60)가 테이블 본체(10)에 설치된 것으로 하였으나, 테이블 본체(1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때 작동부(40), 구동부(50) 및 가이드부(60)는 벽체 또는 바닥 등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스마트 테이블 10: 테이블 본체
11: 수용공간 111: 내부 둘레
20: 다리 30: 디스플레이장치
40: 작동부 41: 제1 힌지점
42: 제2 힌지점 43: 제3 힌지점
44: 작동 베이스 45: 제1 프레임
46: 제2 프레임 50: 구동부
60: 가이드부 61: 가이드 베이스
62: 제1 로드 63: 제2 로드
64: 연결 브래킷 65a, 65b, 65c, 65d: 힌지

Claims (7)

  1. 상면에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상태로 놓일 수 있는 테이블 본체,
    상기 테이블 본체와 연결된 제1 힌지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는 제3 힌지점 및 상기 제1 힌지점과 상기 제3 힌지점 사이에 위치한 제2 힌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며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세우는 작동부,
    상기 테이블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양측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을 잡는 가이드부 및
    상기 테이블 본체에 배치되어 하우징이 상기 테이블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로드가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를 세우고 눕히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작동부가 상기 테이블 본체에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힌지점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의 로드는 상기 제1 힌지점과 상기 제2 힌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1 힌지점과 근접하게 상기 작동부의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의 로드가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상기 작동부는 세워지면서 상기 제2 힌지점이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을 밀어 올리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 끝은 올려지지 않고 상기 일측의 회동 중심이 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밀어 올려진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이 들리지 못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을 잡으며, 상기 로드의 인출로 상기 작동부가 세워지면서 상기 제3 힌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을 밀어 올리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테이블 본체 상에서 세워지며 들어 올려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은 상기 테이블 본체의 상면과 간섭되지 않는
    스마트 테이블.
  2. 제1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점과 상기 제3 힌지점은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스마트 테이블.
  3. 제2항에서,
    상기 작동부는,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아래에서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작동 베이스,
    상기 제1 힌지점으로 상기 작동 베이스와 연결된 제1 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2 힌지점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3 힌지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과 연결된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작동 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힌지점은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세워지는
    스마트 테이블.
  4.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아래에서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베이스,
    눕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
    상기 가이드 베이스와 상기 연결 브래킷을 연결하는 제1 로드 및 제2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1 로드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 및 상기 연결 브래킷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세워지며,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가 세워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측이 들리는
    스마트 테이블.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다리를 더 포함하며,
    세워진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는 상기 다리를 기준으로 형성한 가상의 수직선을 벗어나지 않는
    스마트 테이블.
  7.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KR1020190036966A 2019-03-29 2019-03-29 스마트 테이블 KR10205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966A KR102051557B1 (ko) 2019-03-29 2019-03-29 스마트 테이블
PCT/KR2020/003585 WO2020204398A1 (ko) 2019-03-29 2020-03-16 스마트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966A KR102051557B1 (ko) 2019-03-29 2019-03-29 스마트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557B1 true KR102051557B1 (ko) 2019-12-05

Family

ID=6900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966A KR102051557B1 (ko) 2019-03-29 2019-03-29 스마트 테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1557B1 (ko)
WO (1) WO202020439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98A1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스마트 테이블
KR102174820B1 (ko) * 2020-05-11 2020-11-0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테이블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3B1 (ko) * 2020-09-22 2021-01-14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2B1 (ko) * 2020-08-06 2021-01-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28026B1 (ko) * 2020-10-26 2021-03-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침대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86B1 (ko) * 2008-01-24 2010-03-17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
KR101067812B1 (ko) * 2011-06-27 2011-09-27 고영종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KR200473097Y1 (ko) 2013-12-30 2014-06-11 안덕근 영상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101693735B1 (ko) 2014-05-29 2017-01-06 주식회사 디지털플레이 스마트테이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6537B2 (en) * 2015-03-03 2018-03-13 Pynk Systems, S.L. Smart office desk interactive with the user
KR102051557B1 (ko) * 2019-03-29 2019-12-05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스마트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86B1 (ko) * 2008-01-24 2010-03-17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
KR101067812B1 (ko) * 2011-06-27 2011-09-27 고영종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KR200473097Y1 (ko) 2013-12-30 2014-06-11 안덕근 영상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101693735B1 (ko) 2014-05-29 2017-01-06 주식회사 디지털플레이 스마트테이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98A1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스마트 테이블
KR102174820B1 (ko) * 2020-05-11 2020-11-0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테이블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2B1 (ko) * 2020-08-06 2021-01-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3B1 (ko) * 2020-09-22 2021-01-14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28026B1 (ko) * 2020-10-26 2021-03-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침대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398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557B1 (ko) 스마트 테이블
US7896299B2 (en) Support stand
CN207403774U (zh) 一种多功能乌龟车
CN208891874U (zh) 可折叠餐桌
JP4510194B2 (ja) 移動式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CN106088666A (zh) 一种超薄便携式集成全折叠住宅及住宅系统
JP2549559B2 (ja) 電動ステージ装置
CN212161154U (zh) 一种便携式党员电子信息展示支架
JP2005240294A (ja) パネル反転装置
JPH0848493A (ja) 簡易リフトの移動用台車装置
KR200163847Y1 (ko) 보조상이 수납되게 부설된 상
JP2004507302A (ja) コンピュータルーム用デスク
KR102387995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CN217471439U (zh) 一种便于折叠收纳的会议台
CN219685569U (zh) 一种工具架
JP3074741U (ja) 薄型モニター又は薄型ディスプレイの収納自在な教卓又は演台
CN214790197U (zh) 一种计算机教学互动装置
CN218219602U (zh) 一种防倾斜式钢平台货架
JP2975879B2 (ja) パネルの立起装置
CN214904792U (zh) 一种具有躺床功能的课桌
CN220937177U (zh) 一种具有收纳和屏风隐私功能的升降办公桌
CN211349725U (zh) 一种经济管理教学使用的多媒体装置
CN211578222U (zh) 一种小流域土地规划用沙盘
CN215837917U (zh) 一种带储物功能的吧台
CN113160660B (zh) 思想政治教育课堂用多功能助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