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995B1 -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995B1
KR102387995B1 KR1020210175285A KR20210175285A KR102387995B1 KR 102387995 B1 KR102387995 B1 KR 102387995B1 KR 1020210175285 A KR1020210175285 A KR 1020210175285A KR 20210175285 A KR20210175285 A KR 20210175285A KR 102387995 B1 KR102387995 B1 KR 10238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pper plate
furniture
bed frame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21017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는: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한 쌍의 측판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상판, 상판을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설정 범위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 안내하고 하강 또는 상승된 상판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판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는 테이블링크모듈, 한 쌍의 측판에 각각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침대프레임, 및 상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침대프레임이 세워져 보관되거나 펼쳐져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침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는 프레임링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HYBRID-FURNITURE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을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테이블링크모듈을 구비하고, 동시에 침대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 사용 가능하도록 프레임링크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상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침대프레임을 펼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테이블과 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과 침대는 별도로 구성되어 실내에 책상과 침대를 설치할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그런데, 오피스텔이나 원룸 등 공간이 협소한 경우, 책상과 침대를 따로 설치할 정도로 넓은 공간이 확보하기 어렵고, 방문자를 위한 별도의 엑스트라 베드가 준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7200호, 제10-1694245호 등에는 서랍식 침대가 구비된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1단에는 침대가 서랍식으로 구비되고 2단에는 책상과 운동기구가 구비되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게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서랍식 침대가 구비된 책상은 침대를 사용 상태로 펼칠 경우 테이블의 상판이 침대의 다리 역할을 함에 따라, 침대를 펼친 상태에서 테이블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을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테이블링크모듈을 구비하고, 동시에 침대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 사용 가능하도록 프레임링크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상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침대프레임을 펼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테이블과 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이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 이동됨에 따라, 침대프레임을 펼친 상태에서도 상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블과 침대의 동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는: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한 쌍의 상기 측판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을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설정 범위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 안내하고, 하강 또는 상승된 상기 상판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는 테이블링크모듈; 테이블링크모듈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침대프레임; 상기 상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침대프레임이 세워져 보관되거나 펼쳐져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침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는 프레임링크모듈; 및 한 쌍의 상기 측판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링크모듈은, 상기 측판 각각에 인접되는 위치의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서포터; 상기 메인서포터 각각에 링크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 1링크부재; 상기 제 1링크부재 각각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링크부재의 회동에 연동되는 제 1연동부재; 상기 측판 각각, 상기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 2링크부재; 상기 제 2링크부재 각각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링크부재의 회동에 연동되는 제 2연동부재; 상기 제 2연동부재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상판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연동부재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상판이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 이동 안내하는 제 3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링크모듈은, 상기 제 1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 2링크부재에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상기 측판 또는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 2링크부재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링크부재, 상기 제 2링크부재, 상기 고정부재, 상기 제 3링크부재 각각의 링크 연결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토핑부재에 의해 강제 회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판 각각, 상기 본체의 양측, 바닥 중 어느 하나는 서브서포터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서포터는 하향 회동된 상기 제 1연동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대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메인서포터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동되며 세워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링크모듈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서포터를 힌지 연결하는 회동핀; 및 상기 침대프레임의 일측 단부 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측판 또는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회동핀을 기준으로 상기 침대프레임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판을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테이블링크모듈을 구비하고, 동시에 침대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 사용 가능하도록 프레임링크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상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침대프레임을 펼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테이블과 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이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 이동됨에 따라, 침대프레임을 펼친 상태에서도 상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블과 침대의 동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테이블링크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프레임링크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테이블링크모듈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프레임링크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100)는 측판(110), 본체(120), 상판(130), 테이블링크모듈(200), 침대프레임(140) 및 프레임링크모듈(300)을 포함한다.
측판(110)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측판(110) 각각은 수납장(112)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편의상, 수납장(112)이 일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되고, 각 수납장(112)의 마주하는 패널이 측판(110)인 것으로 한다. 물론, 측판(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판(130)은 한 쌍의 측판(110)에 연결된다. 그래서, 상판(130)은 한 쌍의 측판(1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테이블링크모듈(200)은 상판(130)을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설정 범위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 안내하고, 하강 또는 상승된 상판(13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판(130)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된다. 즉, 테이블링크모듈(200)은 상판(13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본체(120)가 한 쌍의 측판(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판(110)과 일체 또는 분리된 채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테이블링크모듈(200)은 한 쌍의 측판(110)에 각각, 및 본체(12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 지지된 채, 측판(110)의 상측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침대프레임(140)은 테이블링크모듈(200) 특히, 메인서포터(2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된다. 침대프레임(1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매트리스를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침대프레임(140)이 세워질 경우, 매트리스와 침대프레임(140)은 본체(1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먼지 등 이물질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프레임링크모듈(300)은 상판(130)이 상승되도록 테이블링크모듈(200)이 작동된 상태에서, 침대프레임(140)이 세워져 보관되거나 펼쳐져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침대프레임(140)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된다.
상세히, 테이블링크모듈(200)은 메인서포터(210), 제 1링크부재(220), 제 1연동부재(230), 제 2링크부재(240), 제 2연동부재(250), 고정부재(260), 제 3링크부재(270) 및 작동부재(280)를 포함한다.
메인서포터(210)는 측판(110) 각각에 인접되는 위치의 바닥에 지지거나 본체(120)에 고정된다. 이때, 메인서포터(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대응되는 테이블링크모듈(200)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제 1링크부재(220)는 세워진 메인서포터(210) 각각의 상부에 링크 연결되어 회동된다. 즉, 제 1링크부재(220)는 제 1힌지핀(222)에 의해 대응되는 메인서포터(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 1연동부재(230)는 제 1링크부재(220) 각각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1링크부재(220)의 회동에 연동된다. 특히, 제 1연동부재(230)는 축 방향이 제 1링크부재(220)의 축 방향에 수직되게 배치된다. 이때, 제 1링크부재(220)와 제 1연동부재(230)는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샤프트나 플레이트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링크부재(240)는 측판(110) 각각 및 본체(12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어 회동된다. 편의상, 제 2링크부재(240)는 제 2힌지핀(242)에 의해 대응되는 측판(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2연동부재(250)는 제 2링크부재(240) 각각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2링크부재(240)의 회동에 연동된다.
이때, 제 2연동부재(250)는 축 방향이 제 2링크부재(240)의 축 방향에 수직되게 배치된다. 특히, 상판(1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제 1링크부재(220)와 제 1연동부재(230), 및 제 2링크부재(240)와 제 2연동부재(250)는 니은('ㄴ')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물론, 제 2링크부재(240)와 제 2연동부재(250)는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샤프트나 플레이트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판(130)이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승하강 이동되도록, 제 1힌지핀(222)과 제 2힌지핀(242)은 상하 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면서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60)는 피벗핀(262)에 의해 제 2연동부재(250)에 링크 연결되고, 상판(130)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래서, 고정부재(260)와 상판(130)이 함께 동일 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물론, 고정부재(260)는 상판(130)의 하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패드, 또는 나란한 한 쌍의 샤트트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부재(260)는 상판(130) 자체일 수도 있다.
또한, 제 3링크부재(270)는 고정부재(260)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고, 제 3힌지핀(272)에 의해 제 1연동부재(230)에 링크 연결되어, 상판(130)이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 이동 안내한다.
이때, 제 3힌지핀(272)이 제 2힌지핀(24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제 1힌지핀(22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판(130)의 하부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테이블링크모듈(200)은 제 1힌지핀(222)에 의해 제 1링크부재(220)의 타측을 메인서포터(210)의 일측에 힌지 연결하고, 제 1링크부재(220)의 일측에 제 1연동부재(230)의 타측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 3힌지핀(272)에 의해 제 3링크부재(270)의 타측을 제 1연동부재(230)의 일측에 힌지 연결하고, 고정부재(260)의 일측을 제 3링크부재(27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테이블링크모듈(200)은 제 2연동부재(250)의 일측을 피벗핀(262)에 의해 고정부재(260)의 타측에 힌지 연결하고, 제 2링크부재(240)의 일측에 제 2연동부재(250)의 타측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 2링크부재(240)의 타측을 제 2힌지핀(242)에 의해 대응되는 측판(110)에 힌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적어도, 제 1연동부재(230)와 제 3링크부재(270)를 힌지 연결하는 제 3힌지핀(272), 및 고정부재(260)와 제 2연동부재(250)를 힌지 연결하는 피벗핀(262)은 스토핑부재(290)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강제 회동 안내된다. 스토핑부재(29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작동부재(280)는 제 1링크부재(220) 또는 제 2링크부재(240)에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측판(110) 또는 본체(12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응되는 제 1링크부재(220) 또는 제 2링크부재(240)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부재(280)는 쇽업쇼바나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로, 작동부재(280)는 일측이 제 1링크부재(220)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측판(110)에 힌지 연결되어, 제 1링크부재(220)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판(130)이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판(130)을 잡고 들어 올리면, 제 1링크부재(220)가 제 1힌지핀(22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되며, 제 1연동부재(230)가 세워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링크부재(240)가 제 2힌지핀(24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되며, 제 2연동부재(250)가 세워지게 된다.
상판(130)이 외력에 의해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들어 올려지며, 제 1연동부재(230)와 제 2연동부재(250)가 세워지는 동작에 연동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 3링크부재(270)가 제 1연동부재(230)에 대해 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작동부재(280)는 축 방향을 따라 전진되며 제 1링크부재(220)를 지지함으로써, 상판(130)은 바닥에 대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판(130)을 눌러 하강시키면, 작동부재(280)는 축 방향을 따라 후진하게 되고, 제 2연동부재(250)가 피벗핀(262)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동되며, 제 2연동부재(250)와 제 2링크부재(240)가 제 2힌지핀(242)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 1연동부재(230)가 제 3힌지핀(272)으로 기준으로 세워진 상태의 제 3링크부재(270)에 대해 타방향으로 회동되고, 제 1연동부재(230)와 제 1링크부재(220)는 제 1힌지핀(222)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동된다.
상판(130)이 완전히 하강시, 제 2연동부재(250)는 상판(130)의 하측면에 접하여 지지한다.
아울러, 서브서포터(216)가 측판(110) 각각, 본체(120)의 양측, 바닥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서브서포터(216)는 하향 회동된 대응되는 제 1연동부재(230)를 지지한다. 물론, 서브서포터(2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제 1연동부재(23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서브서포터(216)에 지지되고, 타측이 메인서포터(210)에 구비되는 서포팅부재(212)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침대프레임(140)은 일측 가장자리가 메인서포터(210)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동되며 세워지거나 펼쳐지도록 구비된다. 특히, 침대프레임(140)은 일측 가장자리가 서포팅부재(212)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링크모듈(300)은 회동핀(310) 및 조작부재(320)를 포함한다.
회동핀(310)은 침대프레임(140)의 일측 가장자리와 메인서포터(210)를 힌지 연결한다. 이때, 회동핀(310)은 서포팅부재(212)와 침대프레임(140)의 일측 가장자리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조작부재(320)는 침대프레임(140)의 일측 단부 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측판(110) 또는 본체(120)에 힌지 연결되어, 침대프레임(140)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침대프레임(140)은 하강 후 서브서포터(216)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판(1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워진 침대프레임(140)의 상부를 전방으로 당기면, 침대프레임(140)은 메인서포터(210)와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된다. 이때, 조작부재(320)는 축 방향을 따라 전진 작동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펼쳐진 침대프레임(140)을 세우면, 침대프레임(140)은 메인서포터(210)와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다. 이때, 조작부재(320)는 축 방향을 따라 후진 작동한다.
특히, 조작부재(320)는 테이블링크모듈(20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조작부재(320)는 쇽업 쇼바 또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침대프레임(140)이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판(130)을 설정 위치로 내려서 테이블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판(130)을 상승시킨 후, 침대프레임(140)을 펼쳐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판(130)이 바닥에 대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는 침대프레임(140)과 상판(130)을 함께 사용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가구 110: 측판
112: 수납장 120: 본체
130: 상판 140: 침대프레임
200: 테이블링크모듈 210: 메인서포터
212: 서포팅부재 220: 제 1링크부재
230: 제 1연동부재 240: 제 2링크부재
250: 제 2연동부재 260: 고정부재
270: 제 3링크부재 280: 작동부재
290: 스토핑부재 300: 프레임링크모듈
310: 회동핀 320: 조작부재

Claims (7)

  1.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한 쌍의 상기 측판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을 바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 설정 범위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 안내하고, 하강 또는 상승된 상기 상판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는 테이블링크모듈; 상기 테이블링크모듈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침대프레임; 상기 상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침대프레임이 세워져 보관되거나 펼쳐져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침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는 프레임링크모듈; 및 한 쌍의 상기 측판 사이에 구비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링크모듈은, 상기 측판 각각에 인접되는 위치의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서포터;
    상기 메인서포터 각각에 링크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 1링크부재;
    상기 제 1링크부재 각각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링크부재의 회동에 연동되는 제 1연동부재;
    상기 측판 각각, 상기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 2링크부재;
    상기 제 2링크부재 각각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링크부재의 회동에 연동되는 제 2연동부재;
    상기 제 2연동부재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상판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연동부재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상판이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 이동 안내하는 제 3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한 쌍의 상기 측판에 각각, 및 상기 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링크모듈은,
    상기 제 1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 2링크부재에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상기 측판 또는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 2링크부재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부재, 상기 제 2링크부재, 상기 고정부재, 상기 제 3링크부재 각각의 링크 연결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토핑부재에 의해 강제 회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각각, 상기 본체의 양측, 바닥 중 어느 하나는 서브서포터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서포터는 하향 회동된 상기 제 1연동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7.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메인서포터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동되며 세워지거나 펼쳐지고,
    상기 프레임링크모듈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서포터를 힌지 연결하는 회동핀; 및
    상기 침대프레임의 일측 단부 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측판 또는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회동핀을 기준으로 상기 침대프레임의 회동을 보조하고 유지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1020210175285A 2021-12-09 2021-12-09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10238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285A KR102387995B1 (ko) 2021-12-09 2021-12-09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285A KR102387995B1 (ko) 2021-12-09 2021-12-09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995B1 true KR102387995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285A KR102387995B1 (ko) 2021-12-09 2021-12-09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9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77B1 (ko) * 2007-02-08 2008-04-21 김기정 침대 겸용 다용도 테이블 세트
KR101009226B1 (ko) * 2010-10-19 2011-01-19 정향숙 침대 겸용 책상
KR101162285B1 (ko) * 2011-12-29 2012-07-04 이용상 다용도 가구
KR20140121999A (ko) * 2013-04-09 2014-10-17 (주)대영이엔텍 책상 겸용 월 베드
WO2018060762A1 (en) * 2016-09-28 2018-04-05 Ajorlou Mohammadali Desk and accessories can change to sofa and b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77B1 (ko) * 2007-02-08 2008-04-21 김기정 침대 겸용 다용도 테이블 세트
KR101009226B1 (ko) * 2010-10-19 2011-01-19 정향숙 침대 겸용 책상
KR101162285B1 (ko) * 2011-12-29 2012-07-04 이용상 다용도 가구
KR20140121999A (ko) * 2013-04-09 2014-10-17 (주)대영이엔텍 책상 겸용 월 베드
WO2018060762A1 (en) * 2016-09-28 2018-04-05 Ajorlou Mohammadali Desk and accessories can change to sofa and b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56B1 (ko) 모니터 수납형 책상
KR102387995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US7017200B2 (en) Convertible furniture
KR10216194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CN210446090U (zh) 可折叠支架及应用其的折叠桌
CN207693192U (zh) 长度可调的升降桌桌架
JPH08182543A (ja) 移動式収納家具
CN201097795Y (zh) 床上桌
KR101866934B1 (ko)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
KR100658508B1 (ko) 높이 조절 책상
US20190024843A1 (en) Height adjustable stand
JP4430147B2 (ja) Oa機器収納型机
CN216316263U (zh) 一种桌子中间圆盘联动升降结构及桌子
CN216651709U (zh) 一种基于x型升降台的翻盖式多功能课桌
JP4641905B2 (ja) 移動作業台付き設備
CN210727064U (zh) 一种计算机键盘托架
CN217117788U (zh) 一种翻转餐桌
KR20130049680A (ko) 테이블 지지장치
CN214181482U (zh) 一种普外科用电烤灯
CN214595052U (zh) 一种可加长式办公桌
CN210248980U (zh) 双层轨架及活动餐桌
CN212729174U (zh) 一种结构稳固的功能型餐桌
CN108323967A (zh) 一种可折叠的多功能办公桌
CN220666233U (zh) 一种基坑防尘装置
KR200191510Y1 (ko) 장의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