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12B1 -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12B1
KR101067812B1 KR1020110062283A KR20110062283A KR101067812B1 KR 101067812 B1 KR101067812 B1 KR 101067812B1 KR 1020110062283 A KR1020110062283 A KR 1020110062283A KR 20110062283 A KR20110062283 A KR 20110062283A KR 101067812 B1 KR101067812 B1 KR 10106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frame
upper frame
link por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종
Original Assignee
고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종 filed Critical 고영종
Priority to KR102011006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니터패널의 점검시에 모니터패널을 회동시키는 경우, 모니터패널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패널부; 상기 모니터패널부의 외곽부를 두루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는 모니터안착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안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및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부를 구비하는 받침부; 상기 모니터안착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1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2링크부; 를 포함하는 힌지부;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과 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회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수직한 상부영역에서 상기 모니터안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니터안착부를 상기 하부지지부의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모니터안착부를 일정 높이 들어올리면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를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니터패널부의 점검시 모니터안착부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모니터패널부의 점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AN INDUSTRIAL MONITOR SETTING DEVICE}
본 발명은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 패널을 설치시에 모니터 패널의 검검 및 관리가 용이한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운관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LCD, PDP 또는, OLED와 같은 평판형 모니터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이, 평판형 모니터가 주를 이루는 세대에 진입함에 따라, 평판형 모니터를 벽면이나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시 설치면에 따라 평판형 모니터를 안정적 및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중에서도, 바닥에 설치되는 평판형 모니터는 주로, 복수 개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강화유리를 장착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 경우, 강화유리는 사람이 발로 딛고 올라가는 발판 형태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평판형 모니터는 고장이 나거나 점검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먼저 강화 유리는 평판형 모니터에서 분리한 후, 고장난 평판형 모니터를 점검하게 된다.
이때, 고장난 평판형 모니터는 다른 평판형 모니터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는데, 고장난 평판형 모니터를 들어내기 위하여 회동시키는 경우에 고장난 평판형 모니터의 측부 모서리 부근이 다른 평판형 모니터와 맞닿게 되는 간섭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 경우, 서로 간에 간섭이 일어난 평판형 모니터는 바닥에서 들어내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어 점검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나아가, 서로 간에 간섭이 일어난 평판형 모니터는 간섭이 일어난 부위가 파손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니터패널의 점검시에 모니터패널을 회동시키는 경우, 모니터패널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는 모니터패널부; 상기 모니터패널부의 외곽부를 두루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는 모니터안착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안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및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부를 구비하는 받침부; 상기 모니터안착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1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2링크부; 를 포함하는 힌지부;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과 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회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수직한 상부영역에서 상기 모니터안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니터안착부를 상기 하부지지부의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모니터안착부를 일정 높이 들어올리면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제2링크부의 일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의 타단은 상기 제2링크부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는 양 측부가 상기 상부프레임과 핀결합되고, 일 측에 상기 상부프레임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나사결합의 해제시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일정각도 회동하는 컨트롤러박스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패널부의 점검시 모니터안착부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모니터패널부의 점검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힌지부가 연결된 부위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부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서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힌지부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서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힌지부의 비교예에 관한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힌지부에 핀결합된 컨트롤러박스체가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한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힌지부가 연결된 부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부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서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힌지부의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서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는 모니터패널부(10), 모니터안착부(20), 하부지지부(30), 받침부(40), 힌지부(50) 및, 실린더(60)를 포함하며, 컨트롤러박스체(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패널부(10)는 산업용 모니터로서, 바닥에 설치되는 모니터이다. 이 경우, 모니터패널부(10)는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패널과,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출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안착부(20)는 모니터패널부(10)의 외곽부를 두루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니터안착부(20)는 모니터패널부(10)의 측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모니터안착부(20)는 모니터패널부(10)의 외곽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30)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모니터안착부(2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지지부(30)는 모니터안착부(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모니터안착부(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40)는 하부지지부(30)가 안착되며, 하부지지부(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40)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지지부(30)는 높이가 조절되어 모니터패널부(10)의 수평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40)의 일예로서, 받침부(40)는 받침프레임(41) 및 높이조절나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41)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지지부(3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프레임(41)은 하부지지부(30)를 지지함으로써 하부지지부(30)의 높이가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프레임(52)과 체결됨으로써 하부프레임(52)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부(42)는 받침프레임(41)에 결합된다. 이 경우, 높이조절나사부(42)는 받침프레임(41)과 나사 체결되며, 나사 체결되는 높이에 따라 받침프레임(41)을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받침프레임(41)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50)는 상부프레임(51), 하부프레임(52), 제1링크부(53) 및, 제2링크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51)은 일방으로 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의 모니터안착부(20)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프레임(51)은 모니터패널부(10)를 지지하여 모니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마련하게 된다. 또한, 상부프레임(51)은 제1링크부(53)의 일단과 핀결합되고, 제2링크부(54)의 일단과 핀결합된다. 따라서, 상부프레임(51)은 제1링크부(53)와 제2링크부(54)의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51)은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부프레임(51)은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프레임(51)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제1링크부(53)의 일단과 제2링크부(54)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52)은 일방으로 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의 하부지지부(30)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 하부프레임(52)은 제1링크부(53)의 타단과 핀결합되며, 제2링크부(54)의 타단과 핀결합된다. 여기서, 하부프레임(52)은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하부프레임(52)은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프레임(52)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제1링크부(53)의 타단과 제2링크부(54)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로 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53)는 일단이 상부프레임(51)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하부프레임(52)에 핀결합된다. 따라서, 제1링크부(53)는 양단 각각의 핀결합된 지점이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1링크부(53)의 일단은 제2링크부(54)의 일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부(54)는 일단이 상부프레임(51)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하부프레임(52)에 핀결합된다. 따라서, 제2링크부(54)는 양단 각각의 핀결합된 지점이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링크부(53)의 타단은 제2링크부(54)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된다.
상기한 힌지부(50)는 제1링크부(53)와 상기 제2링크부(54)에 의해 회동에 의해 상부프레임(51)이 하부프레임(52)에서 회동된다. 이 경우, 제1링크부(53)의 일단은 제2링크부(54)의 일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고, 제1링크부(53)의 타단은 제2링크부(54)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므로, 하부지지부(30)의 수직한 상부영역에서 모니터안착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모니터안착부(20)를 하부지지부(30)의 중앙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모니터안착부(20)를 일정 높이 들어올리면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안착부(20)는 측부에 배치되는 다른 모니터안착부(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실린더(60)는 일단이 상부프레임(51)과 핀결합하고, 타단이 하부프레임(52)과 핀결합된다. 이러한 실린더(60)는 모니터안착부(20)가 하부지지부(30)에서 회동하는 경우, 상부프레임(51)과 하부프레임(52)에서 회동하는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전진되어 회동된 상태의 모니터안착부(2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박스체(7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가 상부프레임(51)과 핀결합된다. 따라서, 컨트롤러박스체(70)는 핀결합된 지점(71)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박스체(70)는 일 측에 나사(72)가 상부프레임(51)을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컨트롤러박스체(70)의 회동을 정지한 채로 상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니터패널부(10)의 점검를 위해 모니터안착부(20)를 하부지지부(30)에서 회동시키는 경우, 컨트롤러박스체(70)는 나사(72)를 풀어 핀결합된 지점(7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동되고, 점검자는 회동된 컨트롤러박스체(70)의 내부 컨트롤러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의 구동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바닥에 설치시에 모니터안착부(20)와 하부지지부(30)가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안착부(20)의 상부에는 강화유리(8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강화유리(80)는 바닥의 발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모니터패널부(10)는 복수 개가 서로 간에 수평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강화유리(80), 모니터안착부(20), 하부지지부(30) 및, 받침부(40)도 하나의 모니터패널부(10)에 종속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는 도 4를 도시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상태로 이용되다가, 모니터패널부(10)의 불량 발생이나 모니터패널부(10)의 점검시점이 도래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는 상부프레임(51)을 하부프레임(52)에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50)의 상부프레임(51)은 제1링크부(53)와 제2링크부(54)들의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프레임(52)에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모니터안착부(30)도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실린더(60)는 실린더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전진하여 상부프레임(51)이 갑작스럽게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상부프레임(51)과 하부프레임(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
여기서, 제1링크부(53)의 일단은 제2링크부(54)의 일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고, 제1링크부(53)의 타단은 제2링크부(54)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므로, 상부프레임(51)이 제1링크부(53)와 제2링크부(54)의 일단에서 일정 높이 들어올려지면서 사선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모니터패널부(10)는 일정 높이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안착부(20)는 측부에 배치되는 다른 모니터안착부(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박스체(70)의 핀결합된 지점(71)을 기준으로 회동시켜 컨트롤러를 점검하거나 모니터패널부(10)를 매우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어 점검시간을 대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51)과 하부프레임(52) 사이에 전술한 제1링크부(53)와 제2링크부(54)가 설치되지 않고, 상부프레임(51)과 하부프레임(52)이 직접적으로 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부프레임(51)의 회동시에 모니터안착부(20)가 측방에 배치되는 다른 모니터안착부(20)가 맞닿아 간섭(1a)이 발생하게 되므로, 특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모니터안착부(20)간에 간섭(1a)으로 인하여 점검할 모니터패널부(10)의 주변에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 전부를 분해한 상태로 점검 작업을 하거나 매우 협소한 공간내에서 점검작업을 해야 하게 되므로, 점검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패널부(10)의 점검시 모니터안착부(20)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모니터패널부(10)의 점검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 모니터패널부 20 ; 모니터안착부
30 ; 하부지지부 40 ; 받침부
50 ; 힌지부 51 ; 상부프레임
52 ; 하부프레임 53 ; 제1링크부
54 ; 제2링크부 60 ; 실린더
70 ; 컨트롤러박스체

Claims (3)

  1. 모니터패널부;
    상기 모니터패널부의 외곽부를 두루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는 모니터안착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안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및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부를 구비하는 받침부;
    상기 모니터안착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1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2링크부; 를 포함하는 힌지부;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과 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회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수직한 상부영역에서 상기 모니터안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니터안착부를 상기 하부지지부의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모니터안착부를 일정 높이 들어올리면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제2링크부의 일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의 타단은 상기 제2링크부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양 측부가 상기 상부프레임과 핀결합되고, 일 측에 상기 상부프레임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나사결합의 해제시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일정각도 회동하는 컨트롤러박스체; 를 더 포함하는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KR1020110062283A 2011-06-27 2011-06-27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KR10106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83A KR101067812B1 (ko) 2011-06-27 2011-06-27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83A KR101067812B1 (ko) 2011-06-27 2011-06-27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812B1 true KR101067812B1 (ko) 2011-09-27

Family

ID=4495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83A KR101067812B1 (ko) 2011-06-27 2011-06-27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557B1 (ko) * 2019-03-29 2019-12-05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스마트 테이블
EP3926612A1 (de) * 2020-06-19 2021-12-22 Cala.media GmbH Anzeigevorrichtung mit elektronischer bildanzei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683Y1 (ko) 2000-09-26 2001-04-16 조한경 탈착 가능한 독서대
US6384877B1 (en) * 1999-08-02 2002-05-07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 S.A. Monitor for sports stadiu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877B1 (en) * 1999-08-02 2002-05-07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 S.A. Monitor for sports stadiums
KR200220683Y1 (ko) 2000-09-26 2001-04-16 조한경 탈착 가능한 독서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557B1 (ko) * 2019-03-29 2019-12-05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스마트 테이블
WO2020204398A1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스마트 테이블
EP3926612A1 (de) * 2020-06-19 2021-12-22 Cala.media GmbH Anzeigevorrichtung mit elektronischer bildanzeige
WO2021255259A1 (de) * 2020-06-19 2021-12-23 Cala.Media Gmbh Anzeige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8396A (zh) 具有可移动的送风机的计算机室环境调节单元
KR101067812B1 (ko)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CN105736921A (zh) 一种适用于型材与模架连接的三维调节器
CN102080758A (zh) 一种拼接墙显示单元拼缝调整结构
JP2016069100A (ja) 乗客コンベアの脱落抑制装置
JP5456837B2 (ja) エスカレータ
US20130145893A1 (en) Ceiling-mounted scara robot
JP51003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用空調機器の取付構造
KR20150007372A (ko) 선박용 액세스 플로어의 지지장치 및 그 고정방법
CN106799589A (zh) 铁矿石筛分机振动筛的安装调试方法
CN201096884Y (zh) 一种可调式激光测距仪安装架
KR101097356B1 (ko)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US20150362800A1 (en) Backlight module fitting platform
CN108377647B (zh) 电梯装置的对重和电梯装置
JP6045741B1 (ja) 太陽電池パネル施工方法
KR101312501B1 (ko) 리프트 핀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JP57339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
US20120192964A1 (en) Fluid control apparatus
KR20110000380U (ko) 벽 판넬의 높은 베이스
CN207244973U (zh) 一种吊顶检修口结构
KR101620044B1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JP6160548B2 (ja) 半導体製造装置用の設置構造
KR200376612Y1 (ko) 사다리의 고정 구조
JP2010089917A (ja) エレベータ用マシンビーム
KR100808623B1 (ko) 보호필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