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53B1 -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53B1
KR102051553B1 KR1020180042897A KR20180042897A KR102051553B1 KR 102051553 B1 KR102051553 B1 KR 102051553B1 KR 1020180042897 A KR1020180042897 A KR 1020180042897A KR 20180042897 A KR20180042897 A KR 20180042897A KR 102051553 B1 KR102051553 B1 KR 10205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itting
fitting anchor
nut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443A (ko
Inventor
심석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Priority to KR102018004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피팅앵커(110)의 선단 체결공(111)에 체결되는 연결구(120); 일단은 연결구(120)의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장치(20)에 연결되어 피팅앵커(110)를 잡아 당기는 와이어로프(121);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며, 피팅앵커(110)가 구조물(10)의 통과시 피팅앵커(1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앵커파손방지수단(100);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이 구조물(10)을 통과하면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는 가설너트링(145)과 가설너트(140); 및 앵커파손방지수단(100) 제거 후 피팅앵커(110)에 조립 설치되는 결속너트(15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예: 각종 흙막이공사, 교량케이블, 바다계류장 등)을 정확하게 함과 아울러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Tie cable bind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예: 각종 흙막이공사, 교량케이블, 바다계류장 등)을 정확하게 함과 아울러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흙벽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판을 설치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설치되는 흙막이판(벽)이 토압에 견딜(저항할) 수 없을 때에는 타이케이블, 와이어로프, 철근 등을 사용하여 흙막이판(벽)을 보강하고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이 케이블을 이용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예: 각종 흙막이공사, 교량케이블, 바다계류장 등)이 정확하지 않음은 물론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H빔에 삽입시 별도의 파손방지 장치가 없기 때문에 삽입시 볼트가 파손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은 파손방지 장치가 없기 때문에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충격으로 인해 국부적인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종래 기술은 와이어로프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당김시 일정한 간격으로 텐션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종래 기술은 다양한 장소에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49160호(2010. 03. 16)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41405호(2007. 07. 13)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6252호(2015. 10. 3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3393호(2013. 08. 28)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앵커파손방지수단과 피팅앵커 그리고 연결구와 보호구 아울러 가설너트와 가설너트링 더하여 체결너트와 유압장치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예: 각종 흙막이공사, 교량케이블, 바다계류장 등)을 정확하게 함과 아울러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고, 제3목적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H빔에 삽입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충격 방지와 국부적인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와이어로프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당김시 일정한 간격으로 텐션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다양한 장소에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이로 인해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을 위해, 피팅앵커의 선단 체결공에 체결되는 연결구; 일단은 연결구의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장치에 연결되어 피팅앵커를 잡아 당기는 와이어로프;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며, 피팅앵커가 구조물의 통과시 피팅앵커의 파손을 방지하는 앵커파손방지수단; 앵커파손방지수단이 구조물을 통과하면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는 가설너트링과 가설너트; 및 앵커파손방지수단 제거 후 피팅앵커에 조립 설치되는 결속너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을 위해, 피팅앵커의 선단 체결공에 연결구를 체결하는 단계; 연결구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한 후 권취장치를 통해 피팅앵커를 잡아당기는 단계; 피팅앵커가 구조물의 통과시 피팅앵커의 파손을 앵커파손방지수단이 방지하는 단계; 앵커파손방지수단이 구조물을 통과시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가설너트링과 가설너트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 앵커파손방지수단 제거 후 피팅앵커에 결속너트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파손방지수단과 피팅앵커 그리고 연결구와 보호구 아울러 가설너트와 가설너트링 더하여 체결너트와 유압장치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예: 각종 흙막이공사, 교량케이블, 바다계류장 등)을 정확하게 함과 아울러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H빔에 삽입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충격 방지와 국부적인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당김시 일정한 간격으로 텐션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장소에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가 구조물에 체결되기 전 상
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구조물에 통과시켜 체결
한 후의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보호구를 제거한 후 가설
너트를 체결하는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에 일반너트를 체결하는 상
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설너트와 가설너트링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인
장시키는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전체적인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을 위해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피팅앵커(110)의 선단 체결공(111)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연결구(120)의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장치(20)에 연결되어 피팅앵커(110)를 잡아 당기는 와이어로프(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며, 피팅앵커(110)가 구조물(10)의 통과시 피팅앵커(1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이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이 구조물(10)을 통과하면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는 가설너트링(145)과 가설너트(14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구조물(10)은 주로 H빔(11)과 띠장(12) 그리고 플레이트(13)가 상호 조립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앵커파손방지수단(100) 제거 후 피팅앵커(110)에 조립 설치되는 결속너트(150)가 포함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은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선단이 구조물(10)의 구멍 통과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뽀족하게 콘 형상으로 형성된 보호구(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보호구(130)의 선단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부(1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기 충진부(131)는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가설너트(140)는 도 5 와 같이 구성된다.
즉,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조립할 수 있도록 몸체가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지되, 상기 몸체의 일측 외주면에는 가설너트링(145)이 끼워지도록 한 너트링삽입부(14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설너트(140) 몸체를 상호 체결구(142)로 조립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41)이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피팅앵커(110)를 제외한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을 제거 후 구조물(10)의 일측에는 피팅앵커(110)를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유압장치(20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유압장치(200)는 도 6 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피팅앵커(110)의 선단에 체결되는 커플러(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커플러(210)의 일단에 조립되는 텐션바(2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플러(210)의 외부인 구조물(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대(240)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240)의 선단에 구비되어 유압의 유입 및 배출을 담당하는 피스톤(230)이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230)의 선단에는 이동된 텐션바(220)를 잡아주는 스톱너트(25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예: 각종 흙막이공사, 교량케이블, 바다계류장 등)을 정확하게 함과 아울러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가 구조물(10)에 체결되기 전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권취장치(20)가 와이어로프(121)를 잡아 당겨 구조물(10)에 통과시켜 체결한 후의 상태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보호구(130)를 제거한 후 가설너트(140)를 체결하는 상태도이다.
아울러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에 결속너트(150)를 체결하는 상태도이다.
더하여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설너트(140)와 가설너트링(145)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유압장치(200)를 이용하여 인장시키는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전체적인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원발명의 시공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을 위해 피팅앵커(110)의 선단 체결공(111)에 연결구(120)를 체결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120)에 와이어로프(121)를 연결한 후 권취장치(20)를 통해 피팅앵커(110)를 잡아당기는 단계를 거친다.(도1)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피팅앵커(110)가 구조물(10)의 통과시 피팅앵커(110)의 파손을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이 방지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본 발명은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보호구(130)가 조립되어 피팅앵커(110)를 보호함과 아울러 구조물(10) 통과시 보호구(130)의 선단이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구조물의 구멍을 통과하게 되고, 아울러 보호구(130)의 선단 내부에 구비된 우레탄폼이 충진된 충진부(131)에 의해 충돌시에도 충격을 흡수하여 피팅앵커(11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파손방지수단(100)이 구조물(10)을 통과시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가설너트링(145)과 가설너트(140)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본 발명은 피팅앵커(110)가 구조물(10) 통과시 가설너트링(145)을 통과하여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가설너트링(145)이 위치하게 된다.(도2)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설너트(140)를 피팅앵커(110)의 외주면에 위치시킨 후 체결구(142)를 체결공(141)에 체결시켜 한 쌍의 가설너트(140)를 상호 조립하게 되고, 이후 상기 조립된 가설너트(140)의 일측 외주면 너트링삽입부(143)에는 상기 가설너트링(145)을 조립하여 한 쌍의 가설너트를 긴밀히 밀착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파손방지수단(100) 제거 후 피팅앵커(110)에 결속너트(150)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거쳐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피팅앵커(110)에 결속너트(150)를 체결 후 전술한 상기 가설너트링(145)과 가설너트(140)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피팅앵커(10)에 가설너트링(145)과 가설너트(140)가 조립된 상태에서 결속너트(150)를 조립하여 잡아 당긴 피팅앵커(110)가 후퇴하는 것을 막은 이후 결속너트(15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술한 역순으로 가설너트(140)를 제거함과 아울러 가설너트링(145)을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피팅앵커(110)에 결속너트(150)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 이후, 구조물(10)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장치(200)를 이용하여 피팅앵커(110)를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상기 피팅앵커(110)를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단계는 다음의 각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커플러(210)의 외부인 구조물(10)의 일측에 지지대(240)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피팅앵커(110)의 선단에 커플러(210)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상기 커플러(210)의 일단에 텐션바(220)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상기 지지대(240)의 선단에 피스톤(230)이 구비되어 유압의 유입 및 배출을 수행하여 피팅앵커(110)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즉, 피스톤(230) 내부에 유압의 유입에 의해 텐션바(220)와 커플러(210)에 연결된 피팅앵커(110)는 도면상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피팅앵커(110)가 일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결속너트(150)를 플레이트(13)의 일측면에 맞닿게 하면 타이 게이블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긴밀히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피스톤(230)의 선단에는 이동된 텐션바(22)를 스톱너트(250)가 잡아주는 단계를 거쳐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를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은 각종 흙막이공사시공 또는 교량케이블시공 또는 바다계류장시공 등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조물
100: 앵커파손방지수단
110: 피팅앵커
120: 연결구
130: 보호구
140: 가설너트
145: 가설너트링
150: 체결너트
200: 유압장치

Claims (10)

  1.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을 위해,
    피팅앵커의 선단 체결공에 체결되는 연결구;
    일단은 연결구의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장치에 연결되어 피팅앵커를 잡아 당기는 와이어로프;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며, 피팅앵커가 구조물의 통과시 피팅앵커의 파손을 방지하는 앵커파손방지수단;
    앵커파손방지수단이 구조물을 통과하면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는 가설너트링과 가설너트; 및
    앵커파손방지수단 제거 후 피팅앵커에 조립 설치되는 결속너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앵커파손방지수단은,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선단이 구조물의 구멍 통과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뽀족하게 콘 형상으로 형성된 보호구; 및
    보호구의 선단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가설너트는,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조립할 수 있도록 몸체가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지되,
    몸체의 일측 외주면에는 가설너트링이 끼워지도록 한 너트링삽입부; 및
    몸체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설너트 몸체를 상호 체결구로 조립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피팅앵커를 제외한 앵커파손방지수단을 제거 후 구조물의 일측에는 피팅앵커를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유압장치;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는,
    피팅앵커의 선단에 체결되는 커플러;
    커플러의 일단에 조립되는 텐션바; 및
    커플러의 외부인 구조물의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대;
    지지대의 선단에 구비되어 유압의 유입 및 배출을 담당하는 피스톤; 그리고
    피스톤의 선단에는 이동된 텐션바를 잡아주는 스톱너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7.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을 위해,
    피팅앵커의 선단 체결공에 연결구를 체결하는 단계;
    연결구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한 후 권취장치를 통해 피팅앵커를 잡아당기는 단계;
    피팅앵커가 구조물의 통과시 피팅앵커의 파손을 앵커파손방지수단이 방지하는 단계;
    앵커파손방지수단이 구조물을 통과시 피팅앵커의 외주면에 가설너트링과 가설너트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 및
    앵커파손방지수단 제거 후 피팅앵커에 결속너트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시공방법.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피팅앵커에 결속너트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 이후,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피팅앵커를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피팅앵커를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단계는,
    커플러의 외부인 구조물의 일측에 지지대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피팅앵커의 선단에 커플러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
    커플러의 일단에 텐션바를 조립 설치하는 단계;
    지지대의 선단에 피스톤이 구비되어 유압의 유입 및 배출을 수행하여 피팅앵커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피스톤의 선단에는 이동된 텐션바를 스톱너트가 잡아주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타이 케이블의 결속 시공은,
    흙막이공사시공 또는 교량케이블시공 또는 바다계류장시공시에 적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80042897A 2018-04-12 2018-04-12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5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897A KR102051553B1 (ko) 2018-04-12 2018-04-12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897A KR102051553B1 (ko) 2018-04-12 2018-04-12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43A KR20190119443A (ko) 2019-10-22
KR102051553B1 true KR102051553B1 (ko) 2019-12-05

Family

ID=6842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897A KR102051553B1 (ko) 2018-04-12 2018-04-12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37B1 (ko) 2021-06-01 2022-01-10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부력을 이용한 타이케이블 설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05B1 (ko) 2006-03-09 2007-07-20 심석래 타이케이블 결속장치
KR100832100B1 (ko) 2007-04-20 2008-05-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 및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291A (en) * 1982-06-21 1984-06-12 Harvey Hubbell Incorporated Grip for pulling fiber optic cable
JPH0529240Y2 (ko) * 1988-07-04 1993-07-27
JPH0618451U (ja) * 1992-08-18 1994-03-11 グラウ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ンカー先端部の止水構造
KR100949160B1 (ko) 2008-03-21 2010-03-25 심석래 타이케이블결속장치용 타이케이블결속금구
KR101303393B1 (ko) 2012-12-04 2013-09-05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KR101566252B1 (ko) 2014-03-06 2015-11-05 심석래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05B1 (ko) 2006-03-09 2007-07-20 심석래 타이케이블 결속장치
KR100832100B1 (ko) 2007-04-20 2008-05-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 및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37B1 (ko) 2021-06-01 2022-01-10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부력을 이용한 타이케이블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43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7675B2 (ja) ケーブル係留装置のための個別密閉構成
US3650112A (en) Method of shor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51553B1 (ko) 타이 케이블 결속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977177B2 (ja) 擁壁の耐震補強工法
JP647499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せん断補強方法
JP6872231B2 (ja) 長期耐久性を有する岩盤斜面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770250B1 (ko) 옹벽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옹벽 구조물
US4126001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soil structure
KR101588860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4181192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およ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WO2016077861A1 (en) Rock-bolt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gainst a hazard of rock-bolt failure
KR101285031B1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908901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스식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547320B1 (ko) 나선형 패커 확장구조를 갖는 영구앵커
KR101076695B1 (ko) 그라운드 앵커체를 위한 인장재 호스의 방수재 고정용 지그 어셈블리
JP3153491B2 (ja) 無受圧版のアンカーとその工法
JP6296963B2 (ja) 地山補強方法及び構造
KR20020014647A (ko) 제거식 앙카체용 쐐기를 이용한 앙카체 및 이를 이용한 제거 앙카 공법
KR20140049729A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JP5612500B2 (ja) 除去式薬液注入用管及び超多点同時注入工法
KR101582885B1 (ko) 자유장 구간이 강화된 유닛앵커
KR20090001743U (ko) 지압마찰형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JP3175418U (ja) ワイヤーアンカー
KR102591042B1 (ko) 그라우트재의 인장과 압축 및 복합형의 선택이 가능하고 긴장재의 제거가 가능한 가설 또는 영구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232634Y1 (ko) 제거식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