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08B1 -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08B1
KR102051508B1 KR1020180085412A KR20180085412A KR102051508B1 KR 102051508 B1 KR102051508 B1 KR 102051508B1 KR 1020180085412 A KR1020180085412 A KR 1020180085412A KR 20180085412 A KR20180085412 A KR 20180085412A KR 102051508 B1 KR102051508 B1 KR 10205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d
ester deriv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linked
propionyl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훈
송지호
장지호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eur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소아 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CCALD) 환자로부터 유래된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 없이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VLCFAs의 수준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X-ALD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comprising propionyl ester derivative}
본 발명은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은 포화된 매우 긴사슬지방산의 증가 수준과 연관된 선천성 대사장애이다 (VLCFAs, ≥C22:0).
ABCD1(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D member 1) 유전자의 변형에 따른 X-ALD 질환 환자의 피부 섬유아세포에서는 헥사코사노믹 산(hexacosanoic acid; C26:0)의 β-산화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헥사코사노믹 산을 포함하여 VLCFAs의 비정상적인 축적은 척수병증(myelopathy), 부신백질이영양증 및 대뇌 탈수초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학적 증후들과 연관된다.
그러나 X-ALD에서 VLCFAs의 축적을 이루는 분자 매커니즘은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으며, 몇몇의 연구가 X-ALD에 대한 다양한 치료법을 설명하고 있더라도 현재 이 질병의 진행을 멈추기 위한 임상적인 치료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몇 가지 연구에서는 하이드록시메틸글루타릴 효소 A(HMG-CoA) 환원의 잠재적 억제제인 로바스타틴 처리가 적은 수의 환자와 동물모델에서 섬유아세포 내 VLCFAs의 수준이 HMG-CoA 환원효소의 억제와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정상화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X-ALD 환자에 대한 로바스타틴의 임상 연구에서는 유의적인 VLCFAs의 플라즈마 수준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까지는 식이 보조제로서의 로렌조 오일의 식이 제한 및 투여가 혈장 내 VLCFA의 축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나, 로렌조 오일 역시 X-ALD의 진행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X-ALD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VLCFAs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신규한 화합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8960호(2015.07.08. 공개)
본 발명은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화합물이 희귀병으로 알려진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을 유발시키는 긴사슬지방산(VLCFAs) 수준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프로피오닐 에스테러 화합물을 X-ALD 치료제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72571083-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소아 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CCALD) 환자로부터 유래된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 없이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VLCFAs의 수준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로바스타틴과 합성된 분자의 구조이다.
도 2는 환자 유래 피부 섬유아세포 내 매우 긴사슬지방산의 수준에 대한 MSX01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 C26:0 및 C22:0의 함량비로 MSX01 및 로바스타틴을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p<0.0001, *p<0.05).
도 3은 다른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의 구조이다.
도 4는 환자 유래 피부 섬유아세포 내 매우 긴사슬지방산에 대한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 MSX02 내지 MSX08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로, C26:0 및 C22:0의 함량비로 5 μM 농도의 MSX02 내지 MSX08과 5 μM 농도의 로바스타틴을 처리하여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p<0.05).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72571083-pat00002
상기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는 소아 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CCALD) 및 성인 부신척수신경병증 (AMN, adult adrenomyeloneuropathy) 및 뇌 부신척수신경병증(cAMN, cerebral adrenomyeloneur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세포 내 긴사슬지방산(VLCFAs)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X-ALD 환자로부터 유래된 섬유아세포에 합성된 화합물 MSX01을 5일간 처리한 후 세포를 수집하여 C26:0 및 C22:0의 함량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매스 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2와 같이 반복 스크리닝을 통해 오직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MSX01)만이 C26:0/C22:0의 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과 같이 MSX01과 유사한 구조의 유도체에서도 긴사슬지방산(VLCFAs)을 감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 확인한 결과, 도 4와 같이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낮은 VLCFAs 감소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 MSX01은 매우 효과적인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MSX01)는 LDL 콜레스테롤를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고됨(J Antibiot (Tokyo) 2010, 63, 499-505.)에 따라,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LDL 콜레스테롤를 감소 없이 효과적으로 긴사슬지방산(VLCFAs)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72571083-pat00003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합성예 >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propionyl ester) 유도체 합성
1. 화학적 성질 분석
모든 시약 및 용액은 상업적인 공급자로부터 구매하였으며,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반응 과정은 Merck TLC 실리카 겔 60 F254 250 μm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모니터하였다. Teledyne ISCO CombiFlash와 사전에 충전된 플래쉬 컬럼 카트리지(WeluxTM Silica gel Flash Column)를 이용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녹는점(mp)은 Buchi B-540 녹는점 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적외선(IR) 스펙트라는 Thermo Scientific Nicolet 6700 (wavenumbers in cm- 1)로 기록되었다. JEOL RESONANCE ECZ 600R (1H, 600 MHz; 13C, 150 MHz)에서 1H 및 13C NMR 스펙트라가 기록되었으며, 모든 화학적 이동은 테트라메틸실레인(tetramethylsilane)으로부터 백만(ppm, δ) 당 단위 부분으로 기록되었다.
결합 상수(Coupling constants; J)는 헤르츠(Hz)로 제공되었으며, 스플리팅 패턴은 다음의 약어으로 나타내었다: s, 단일선(singlet); d, 이중선(doublet); t, 삼중선(triplet); dd, doublet of doublets; m, 다중선(multiplet).
HRMS(High resolution mass spectra)는 Agilent 6530 Q-TOF LC/MS/MS 시스템 또는 Thermo Ultimate 3000/Q Exactive LC/MS 시스템에서 기록되었다.
2. 화합물 합성
[반응식 1]
Figure 112018072571083-pat00004
다양한 스타틴 중 로바스타틴만으로 생체 외에서 VLCFAs의 수준이 정상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심바스타틴은 로바스타틴과 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하지만 X-ALD를 불활성화시켰으며, 도 1과 같이 로바스타틴의 2-메틸부타노에이트 곁사슬이 2,2-메틸부타노에이트 곁사슬로 대체되어 있었다.
이러한 단중차(single difference)를 기반으로 잠재력있는 화합물을 발굴하이 위해 로바스타틴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반응식 1과 같은 과정으로 합성하였다.
화합물 1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J Med Chem 2013, 56, 3645-3655. 및 J Am Chem Soc 2011, 133, 8078-8081.]에 따라 로바스타틴으로부터 얻었다.
알콜 1을 아실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에스테르 2를 얻었으며, 상기 에스테르 2는 TBS 탈보호화를 통하여 목적 유도체를 얻었다.
2-1. (4R,6R)-4-((털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6(2-((1S,2S,6R,8S,8aR)-8-하이드록시-2,6-디메틸-1,2,6,7,8,8a-헥사하이드로나프탈렌-1-일)에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온 [(4R,6R)-4-((tert-butyldimethylsilyl)oxy)-6-(2-((1S,2S,6R,8S,8aR)-8-hydroxy-2,6-dimethyl-1,2,6,7,8,8a-hexahydronaphthalen-1-yl)ethyl)tetrahydro-2H-pyran-2-one (1).
화합물 1은 이미 보고되어진 방법으로 합성되었다[J Med Chem 2013, 56, 3645-3655. 및 J Am Chem Soc 2011, 133, 8078-8081.].
mp: 143-145℃; IR (neat): 3480, 3016, 2953, 1713, 1255, 1080, 837, 780 cm-1; 1H NMR (600 MHz, CDCl3) δ 5.98 (d, J = 9.6 Hz, 1H), 5.80 (dd, J = 9.6, 6.1 Hz, 1H), 5.55 (t, J = 2.8 Hz, 1H), 4.74-4.62 (m, 1H), 4.35-4.27 (1H), 4.24 (dd, J = 7.6, 3.1 Hz, 1H), 2.68-2.51 (m, 2H), 2.50-2.32 (m, 2H), 2.17 (dd, J = 12.2, 2.7 Hz, 1H), 1.94-1.74 (m, 6H), 1.74-1.65 (m, 1H), 1.56-1.43 (m, 2H), 1.33 (d, J = 8.2 Hz, 1H), 1.19 (d, J = 7.6 Hz, 3H), 0.95-0.82 (m, 13H), 0.08 (d, J = 3.4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0.49, 133.75, 131.34, 130.05, 128.44, 76.49, 65.30, 63.57, 39.32, 38.85, 36.92, 36.50, 35.81, 33.06, 30.83, 27.39, 25.72, 24.37, 23.86, 17.98, 13.99, -4.87; HRMS (ESI): m/z calcd for C25H43O4Si [M+H]+ 435.2925, found 435.2932.
2-2. (1S,3R,7S,8S,8aR)-8-(2-((2R,4R)-4-((털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6-옥소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에틸)-3,7-디메틸-1,2,3,7,8,8a-헥사하이드로나프탈렌-1-일 프로피오네이트 [(1S,3R,7S,8S,8aR)-8-(2-((2R,4R)-4-((tert-butyldimethylsilyl)oxy)-6-oxotetrahydro-2H-pyran-2-yl)ethyl)-3,7-dimethyl-1,2,3,7,8,8a-hexahydronaphthalen-1-yl propionate (2).
DCM에 화합물 1(87 mg, 0.2 mmol), 건조 피리딘(1 mL), 및 DMAP (5 mg, 0.04 mmol)를 용해시킨 혼합물에 프리피오닐 클로라이드(70 μL, 0.8 mmol)를 실온에서 드롭방식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Et2O으로 희석하고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combiflash를 이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를 무색 시럽 형태 (80 mg, 0.163 mmol, 82 %)로 얻었다; IR (neat): 2955, 1732, 1254, 1191, 1082, 837, 779 cm-1; 1H NMR (600 MHz, CDCl3) δ 5.99 (d, J = 9.6 Hz, 1H), 5.78 (dd, J = 9.5, 6.1 Hz, 1H), 5.53 (s, 1H), 5.40-5.30 (1H), 4.68-4.56 (m, 1H), 4.35-4.24 (m, 1H), 2.65-2.51 (m, 2H), 2.44 (t, J = 3.6 Hz, 1H), 2.40-2.20 (m, 4H), 2.02 (dd, J = 14.8, 3.5 Hz, 1H), 1.95-1.78 (m, 3H), 1.78-1.68 (m, 1H), 1.68-1.57 (m, 1H), 1.57-1.45 (m, 1H), 1.42-1.28 (m, 2H), 1.12 (t, J = 7.6 Hz, 3H), 1.07 (d, J = 7.3 Hz, 3H), 0.93-0.84 (m, 12H), 0.08 (d, J = 1.9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4.34, 170.27, 133.22, 131.88, 129.66, 128.39, 75.94, 67.97, 63.66, 39.38, 37.24, 36.74, 36.71, 33.07, 32.49, 30.91, 28.06, 27.57, 25.76, 23.65, 22.66, 18.02, 14.00, 9.35, -4.80, -4.82; HRMS (ESI): m/z calcd for C28H47O5Si [M+H]+ 491.3188, found 491.3191.
2-3. ( 1S,3R,7S,8S,8aR )-8-(2-(( 2R,4R )-4- 하이드록시 -6- 옥소테트라하이드로 -2H-피란-2-일)에틸)-3,7-디메틸-1,2,3,7,8,8a-헥사하이드로나프탈렌-1-일 프로피오네이트 [( 1S,3R,7S,8S,8aR )-8-(2-(( 2R,4R )-4- hydroxy -6- oxotetrahydro -2H- pyran -2-yl)ethyl)-3,7-dimethyl-1,2,3,7,8,8a-hexahydronaphthalen-1-yl propionate (MSX01).
THF (489 μL, 0.489 mmol)에 화합물 2(80 mg, 0.163 mmol), AcOH (37 μL, 0.652 mmol) 및 1.0 M TBAF를 용해시킨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2O 희석하고 1M HCl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combiflash를 이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 MSX01(54 mg, 0.142 mmol, 87 %)을 얻었다; mp: 128-130℃; IR (neat): 3446, 3016, 2958, 1730, 1251, 1195, 1078 cm-1; 1H NMR (600 MHz, CDCl3) δ 5.99 (d, J = 9.6 Hz, 1H), 5.79 (dd, J = 9.5, 6.1 Hz, 1H), 5.53 (s, 1H), 5.36 (d, J = 2.5 Hz, 1H), 4.72-4.59 (m, 1H), 4.37 (d, J = 1.4 Hz, 1H), 2.94 (d, J = 2.1 Hz, 1H), 2.71 (dd, J = 17.6, 5.0 Hz, 1H), 2.68-2.56 (m, 1H), 2.44 (t, J = 3.4 Hz, 1H), 2.41-2.20 (m, 4H), 2.03-1.95 (m, 2H), 1.95-1.79 (m, 2H), 1.79-1.62 (m, 2H), 1.57-1.44 (m, 1H), 1.43-1.32 (m, 2H), 1.12 (t, J = 7.6 Hz, 3H), 1.06 (d, J = 7.4 Hz, 3H), 0.95-0.84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74.82, 170.72, 133.25, 131.78, 129.68, 128.38, 76.08, 68.18, 62.64, 38.70, 37.27, 36.63, 36.05, 32.94, 32.56, 30.87, 28.16, 27.55, 23.84, 22.72, 14.00, 9.39; HRMS (ESI): m/z calcd for C22H33O5 [M+H]+ 377.2323, found 377.2329.
< 실시예 > 배양된 X- ALD 세포에서 매우 긴사슬지방산( VLCFAs )의 수준 변화 확인
1. VLCFA Assay
사람 X-ALD 섬유아세포(GM04904)를 Coriell Institute에서 구입하였으며, 10% 태아소혈청(FBS), 페니실린(100 U/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U/mL)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에 적절한 농도의 MSX01, 로바스타틴(양성대조군) 및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음성대조군)을 3일간 처리하였다.
VLCFAs의 수준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으로 VLCFAs의 메틸 에스테르를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섬유아세포 펠렛을 250 μL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부유시킨 후 헵타코사노익 산(heptacosanoic acid, C27:0, 20 μg/mL)을 각 시료에 내부표준으로 첨가하였다.
로바스타틴의 메틸 에스테르를 5 mL의 헥산으로 추출하고 헥산 층을 증발시켰다. 그 후, 지방산을 100 μL 헥산으로 용해시키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상기 층을 확인하였다.
2. MSX01 화합물의 VLCFAs 억제 효과 확인
해당 메틸 에스테르의 수준으로 VLCFAs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X-ALD 환자로부터 유래된 섬유아세포에 합성된 화합물을 5일간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수집하고 헵타코사노익 산을 내부표준으로 첨가하였다. C26:0 및 C22:0의 함량 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매스 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반복 스크리닝을 통해 오직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MSX01만이 C26:0/C22:0 비율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다른 에스테르(ester), 카보네이트(carbonate) 또는 카르바메이트(carbamate) 유도체는 어떠한 활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에스테르 부분에서 오직 한 개의 메틸 그룹만을 가지는 심바스타틴은 어떠한 활성도 나타나지 않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artier et al., 2000, FEBS_Letters simvastatin).
한편, 도 3과 같은 MSX01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의 다른 MSX 화합물들 역시 VLCFAs에 대한 감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다른 화합물들은 로바스타틴과 비교하여 뚜렷한 VLCFAs 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 MSX01 화합물은 효과적인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에스테르 부분은 VLCFAs 수준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72571083-pat00005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는 소아 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CCALD) 및 성인 부신척수신경병증 (AMN, adult adrenomyeloneuropathy) 및 뇌 부신척수신경병증(cAMN, cerebral adrenomyeloneur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는 세포 내 긴사슬지방산(VLCFAs)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트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AL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8072571083-pat00006
KR1020180085412A 2018-07-23 2018-07-23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5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412A KR102051508B1 (ko) 2018-07-23 2018-07-23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412A KR102051508B1 (ko) 2018-07-23 2018-07-23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508B1 true KR102051508B1 (ko) 2019-12-03

Family

ID=6883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412A KR102051508B1 (ko) 2018-07-23 2018-07-23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5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6920A1 (en) * 1993-05-11 1994-11-24 Merck & Co., Inc. PROCESS FOR SYNTHESIS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S
KR20150078960A (ko) 2013-12-31 2015-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6920A1 (en) * 1993-05-11 1994-11-24 Merck & Co., Inc. PROCESS FOR SYNTHESIS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S
KR20150078960A (ko) 2013-12-31 2015-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gelen M et al., Lovastatin in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N. Engl J Med. 2010,362:276-277 *
Engelen M et al.,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2012, 7:51 *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6;24(3):71-83 *
Singh I et al.,Lovastatin for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N Engl J Med 1998, 339: 702-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972A (ko) 멀티바이오틱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7377220B2 (ja) 代謝障害およ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治療のための活性薬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7645748B2 (en) Sterol/stanol phosphorylnitroderivatives and use thereof
US9169230B2 (en) (−)-Epigallocatechin gallate derivatives for inhibiting proteasome
US20080015248A1 (en) Polyphenol proteasome inhibitors, synthesis, and methods of use
AU2010230770A1 (en) New salvianolic acid compound L,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US20170283837A1 (en) BIOENZYMATIC SYNTHESIS OF THC-v, CBV AND CBN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JPH05262694A (ja) ファルネシルタンパク質トランスフェラーゼの阻害剤
WO2005115397A2 (en) Compositions and treatments for modulating kinase and/or hmg-coa reductase
EP2468741A1 (en) Novel quercetin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JP2014523413A (ja) 合成没食子酸エピガロカテキン(egcg)類似体
KR102051508B1 (ko) 프로피오닐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JPH075509B2 (ja) ファルネシルタンパク質トランスフェラーゼの阻害剤
SK2172003A3 (en) Highly purified simvastatin compositions
Theodosiou et al. Biocatalytic synthesis and antitumor activities of novel silybin acylated derivatives with dicarboxylic acids
JP2006527169A (ja) ポリヒドロキシフェノール及びp−セレクチン結合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KR102126038B1 (ko) 25-하이드로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86032B2 (ja) 化合物、その分離方法、合成方法及び使用
KR20050044352A (ko) 심혈관 병리의 역전 및 예방 방법
KR102057773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22504A (ko) 신규 세스퀴테르펜 유도체(1) 및 이의 용도
US20060135489A1 (en) Chemical compounds containing tocopherol and at least one additional pharmaceutical active substrate
CN106608824B (zh) 芳酸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42925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cytokine storm
US7528166B2 (en) Lignan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