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404B1 - 구근류 채굴장치 - Google Patents

구근류 채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404B1
KR102051404B1 KR1020190081411A KR20190081411A KR102051404B1 KR 102051404 B1 KR102051404 B1 KR 102051404B1 KR 1020190081411 A KR1020190081411 A KR 1020190081411A KR 20190081411 A KR20190081411 A KR 20190081411A KR 102051404 B1 KR102051404 B1 KR 10205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zeto
crops
lug
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욱
Original Assignee
윤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filed Critical 윤태욱
Priority to KR102019008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2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conveyors arranged above the siev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류 채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하는 굴취삽과, 굴취삽에 의해 채굴된 작물과 함께 제공되는 흙을 털어내 제거하여 작물을 이송시키는 제토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채굴유니트를 갖는 구근류 채굴장치로서, 굴취삽은 그 선단부가 두둑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되, 굴취삽의 후단부는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하부 영역에서 제토컨베이어와 이격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굴취삽에 의해 작물과 두둑이 파내어짐과 동시에 제토컨베이어에 접하여 작물과 흙이 분리되도록 한 구근류 채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근류 채굴장치{Digging apparatus for bulbous plants}
본 발명은 구근류 채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둑의 작물을 채굴할 때 흙밀림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을 채굴할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채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근류 작물은 감자, 고구마, 양파 등과 같은 알뿌리 식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구근류 작물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확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389701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구근류 채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구근류 채굴장치는, 구근을 지중으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굴할 수 있도록 한 채굴장치로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의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삽날부와,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상호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과, 상기 스프로킷휠의 피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삽날부로부터 제공된 대상물이 흙과 분리되어 후방 상부 영역으로 선별 이송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지게 상기 스프로킷휠에 결합되는 제토컨베이어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채굴된 상기 대상물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제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토컨베이어구동부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측에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각 상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및 제4회전축과,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의 양단부영역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롤러구동부와, 상기 롤러의 회전시 주행가능하게 상기 롤러의 둘레에 폐루프를 이루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일체로 주행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로프를 구비한 낙하방지부재구동부와, 상기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로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낙하방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채굴장치는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연결되어 주행되고, 채굴장치의 주행방향을 따라 전진 이동되는 삽날부가 전방의 지중을 소정 깊이로 파고들어가 감자 등의 구근류 작물을 채굴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삽날부와 제토컨베이어의 위치 관계를 자세히 도시한 것으로, 삽날부(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굴취삽"이라 한다)(21)는 제토컨베이어(20)의 전방 하부 영역에서 제토컨베이어(20)의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각도를 갖도록 구비된다.
특히, 삽날부(21)의 경사각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날부(21)의 선단부가 지면을 향한 상태로 삽날부(21)의 후단부가 제토컨베이어(20)의 상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된 삽날부(21)에 의해 채굴된 구근류의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0)의 상면으로 바로 안내되어 이송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삽날부의 후단부에는 삽날부와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을 연결하는 회동가이드가 구비되어, 삽날부에 의해 채굴된 작물이 회동가이드에 의해 삽날부와 제토컨베이어 사이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삽날부(21)는 그 후단부가 제토컨베이어(20)의 전방에서 제토컨베이어(20)의 상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구비되고, 이로 인해 지면에 대해 삽날부(21)가 큰 각도로 벌어진 기울기를 갖게 되므로 채굴장치의 이동시 삽날부(21)가 두둑을 파고들어가 흙을 파내고, 파내어진 흙은 작물과 같이 제토컨베이어(20)의 상면으로 안내되는데, 이때 삽날부(21)에 의해 두둑에서 파내어진 흙이 제토컨베이어(20)의 상면으로 안내되기 전에 파내어진 또 다른 흙이 연속해서 삽날부(21) 위로 쌓이게 됨으로써 결국에는 흙이 삽날부(21) 위의 접선 방향으로 불룩하게 쌓여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와 같이 부풀어 오른 흙은 채굴장치의 이동에 저항으로 작용되어 큰 부하로 인해 채굴 작업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삽날부는 도 3의 삽날부(21)보다는 낮은 기울기로 구비될 수 있지만, 삽날부의 기울기가 낮아짐에 따라 삽날부와 제토컨베이어 사이의 간극은 더 넓게 벌어지게 되므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반드시 삽날부와 제토컨베이어 사이에 회동가이드를 구비해야만 하는데, 채굴된 작물과 흙이 제토컨베이어에 도달하기 전에 삽날부와 회동가이드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쌓이게 되므로 결국에는 삽날부 및 회동가이드 상면의 접선 방향으로 흙이 불룩하게 쌓여 부풀어 오르는 단점이 그대로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897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둑의 작물을 채굴할 때 굴취삽에 의해 작물과 같이 파내어진 두둑의 흙을 이동되어 오는 제토컨베이어에 의해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흙밀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채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는, 작업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하는 굴취삽과, 굴취삽에 의해 채굴된 작물과 함께 제공되는 흙을 털어내 제거하여 작물을 이송시키는 제토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채굴유니트를 갖는 구근류 채굴장치로서, 굴취삽은 그 선단부가 두둑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되, 굴취삽의 후단부는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하부 영역에서 제토컨베이어와 이격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굴취삽에 의해 작물과 두둑이 파내어짐과 동시에 제토컨베이어에 접하여 작물과 흙이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두둑을 향하는 굴취삽의 선단부는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하부 영역을 벗어나 제토컨베이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에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제토컨베이어의 상단부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제토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오는 풀을 걸러내 제거하는 다수의 제거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제거가이드에는 이의 회전시 프레임에 걸림되어 제거가이드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고, 스톱퍼에 설치되어 신축되면서 회전된 제거가이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토컨베이어의 하면에는 이에 접한 상태에서 제토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거롤러가 구비되어, 제거가이드에 걸러진 풀을 제거롤러와 제토컨베이어 사이로 빼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토컨베이어에는 이와 반대로 회전되면서 채굴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을 따라 이송시키는 다수의 러그바를 갖는 러그컨베이어가 구비되되, 제토컨베이어는 러그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상부에는 채굴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올려 이송시키는 다수의 러그플레이트를 갖는 회동러그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근류 채굴장치에 따르면,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의한 채굴장치의 이동시 굴취삽에 의해 작물과 같이 파내어진 두둑의 흙이 이동되어 오는 제토컨베이어의 하단부 전면에 바로 접촉되어 분쇄됨으로써 채굴시 흙의 부풀어 오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굴취삽에 의한 흙밀림을 최소화하여 채굴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구근류 채굴장치에 구성되는 채굴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굴유니트의 굴취삽과 제토컨베이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굴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굴유니트의 굴취삽과 제토컨베이어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 및 이에 구성되는 채굴유니트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본 발명의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의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100)을 통해 구현된다.
이러한 채굴장치에는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100)과,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감자 등과 같은 구근류의 작물을 채굴하는 채굴유니트(200)와, 작업 차량(10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채굴된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유니트(300)와, 작업 차량(100)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선별된 작물을 별도로 담아 수집하는 수집유니트(400)로 구성될 수 있다.
채굴유니트(200)는 두둑 속의 작물을 캐내 채굴하는 장치로서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선별유니트(300)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서 채굴된 작물을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채굴된 작물을 크기 및 중량별로 선별하는 장치이며, 수집유니트(400)는 선별유니트(300)에서 선별된 작물을 각각의 저장조에 담아 수집하는 장치이다.
특히, 채굴유니트(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201)과, 프레임(201)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하는 굴취삽(230)과, 굴취삽(230) 상부의 프레임(201)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굴취삽(230)에 의해 채굴된 작물과 함께 제공되는 흙을 털어내 제거하여 작물을 이송시키는 제토컨베이어(220)를 포함한다.
프레임(201)은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으로 구비되고, 프레임(201)의 전방 하측에는 두둑 속의 작물을 캐내 채굴하는 굴취삽(230)이 경사지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201)은 작업 차량(100)의 전면에 장,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굴취삽(230)은 프레임(201)의 전방 하부에서 그 선단부가 두둑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때, 굴취삽(230)의 후단부는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방 하부 영역(223) 내에서 제토컨베이어(220)와 이격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부 영역(223)이라 함은 제토컨베이어(220)의 선단부에서 회전축(222)의 후단부 외측면까지의 면적을 그대로 두둑 즉 지면으로 투영한 면적의 영역을 말하는 것이고, 굴취삽(230)의 후단부가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라 함은 굴취삽(23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선이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 하단부와 만나는 선의 기울기이다.
이때, 굴취삽(230)의 기울기가 이보다 크면, 굴취삽(230)의 후단부와 회전축(222) 사이의 간격이 너무 협소하여 간섭의 우려가 있고 굴취삽(230)의 급격한 경사로 인해 굴취삽(230)이 두둑을 파고들어가 종래와 같이 흙밀림 현상이 재현될 수 있으며, 굴취삽(230)의 기울기가 이보다 작으면, 굴취삽(230)의 경사도가 두둑의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되어 채굴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굴취삽(230)의 기울기는 굴취삽(230)의 후단부가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써, 굴취삽(230)에 의한 작물의 채굴시는 굴취삽(230)이 두둑의 흙을 종래보다 낮은 깊이로 파내고, 이 과정에서 작물과 같이 파내어진 두둑의 흙이 채굴과 동시에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단부 전면에 직접 접촉되어 잘게 분쇄됨으로써 흙의 쌓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굴취삽(230)의 이동시 흙밀림 현상이 해소되어 채굴 작업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작용효과는 굴취삽(230)의 후단부가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방 하부 영역(223)에서 제토컨베이어(220)와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굴취삽(230)을 종래보다 낮은 완만한 기울기로 구비할 수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굴취삽(230)을 제토컨베이어(220)의 후방 측으로 더 이동시켜 굴취삽(230)의 선단부까지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방 하부 영역(223) 내에 구비하면, 채굴시 파헤쳐진 두둑의 흙이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면과 바로 접하는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흙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반대로 제토컨베이어(220)에 그만큼 더 큰 부하가 작용되므로 인해 제토컨베이어(220)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굴취삽(230)의 선단부는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방 하부 영역(223)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후단부는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방 하부 영역(223) 내에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제토컨베이어(220)는 굴취삽(230)과 이격된 상부의 프레임(201)에서 45도 정도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경사진 제토컨베이어(220)의 전면은 상면이라 하고, 후면은 하면이라 한다.
이러한 제토컨베이어(220)의 상,하단부에는 제토컨베이어(22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미도시)과 회전축(222)이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고, 구동축은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에서 동력원에 의해 직접 회전되면서 제토컨베이어(220)를 회전 구동시키며, 회전축(222)은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단부에서 회전되는 제토컨베이어(220)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토컨베이어(22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로써, 제토컨베이어(220)는 구동축과 회전축(222) 사이에서 무한궤도를 이룬 상태로 무한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토컨베이어(220)에는 프레임(20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로드바(221)가 설치되고, 다수의 로드바(221)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데, 이때 로드바(221) 간의 간격은 채굴된 작물이 로드바(221) 사이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 간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면에는 제토컨베이어(220)와는 별도의 구동원으로 무한 회전되는 러그컨베이어(210)가 제토컨베이어(220)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러그컨베이어(210)에는 채굴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러그바(211)가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다수의 러그바(211)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선단부가 러그컨베이어(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특히, 러그바(211)의 돌출된 길이는 러그바(211)가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면을 향해 위치되었을 때 러그바(211)의 선단부가 제토컨베이어(220)의 로드바(221)에 최대한 근접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220)와 러그컨베이어(2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즉,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하여, 제토컨베이어(2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러그컨베이어(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두둑에서 채굴된 작물을 러그컨베이어(210)와 제토컨베이어(220) 사이에서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이송되는 작물은 러그컨베이어(210)의 러그바(211)에 받쳐진 상태로 안전하게 이송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작물의 이송과정에서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러그컨베이어(210)에 의해 상단부로 이송되는데, 이때 작물이 이송시의 진동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20)의 로드바(221)에 부딪치면서 작물에 묻은 흙이 자동으로 털어져 제거되며, 이와 같은 흙털림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제토컨베이어(220)와 러그컨베이어(210)의 회전속도를 달리 구비할 수 있다.
즉, 제토컨베이어(220)의 회전속도를 러그컨베이어(210)보다 빠르게 구성하여, 제토컨베이어(220)의 다수의 로드바(221)가 러그컨베이어(210)의 러그바(211)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딪치면서 작물을 연속적으로 흔들어 주게 됨으로써 작물에 묻은 흙을 깨끗이 털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는 달리, 러그컨베이어(210)의 회전속도를 제토컨베이어(220)보다 빠르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러그컨베이어(210)에 의한 작물의 이송속도가 너무 빨라져 작물에서 흙이 채 털리기도 전에 작물의 이송이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제토컨베이어(220)를 러그컨베이어(210)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토컨베이어(220) 상부의 프레임(201)에는 채굴된 작물과 같이 이송되어 오는 잡초류(이하 "풀"이라 한다)를 걸러내 제거하기 위한 제거가이드(2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거가이드(240)는 그 상단부가 제토컨베이어(220) 상부의 프레임(20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241) 결합되고, 반대편의 하단부는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에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거가이드(240)는 다수개로서,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에서 축방향(구동축 또는 회전축(222)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구비되어, 작물은 제거가이드(240) 사이를 통과하여 선별유니트(300)로 공급되고, 작물과 같이 이송되어 오는 풀은 제거가이드(240)에 걸림되어 걸러지게 된다.
특히, 제거가이드(240)에 의한 풀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거가이드(240)의 하단부를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에 대응한 곡률로서 만곡된 만곡부(244)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거가이드(240)의 만곡부(244)가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 즉 상면에서 하면으로 방향 전환되어 굴곡된 곡률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에 면접촉되게 구비됨으로써 풀의 제거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만곡부(244)를 갖는 제거가이드(240)는 그 상단부의 힌지부(241)가 프레임(2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힌지부(241) 후방에는 회전되는 제거가이드(240)를 정지시키는 스톱퍼(242)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 스톱퍼(242)에는 압축 코일스프링(243)이 끼워져 구비되어 스프링(243)의 일단부는 스톱퍼(242)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프레임(201)에 접하여 구비된다.
이로써, 제거가이드(240)의 회전시는 스톱퍼(242)가 프레임(201) 측으로 회전되면서 프레임(201)과의 사이에서 스프링(243)을 압축시키고, 압축된 스프링(243)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되었던 제거가이드(240)는 역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작물과 같이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로 이송되어 오는 풀은 제거가이드(240)에 걸러지고, 제거가이드(240)에 걸러진 풀은 후술될 제거롤러(245)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제거롤러(245)는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에 접한 상태로 제거가이드(240)의 만곡부(244)와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토컨베이어(2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거가이드(240)에 걸림된 풀은 회전되는 제거롤러(245)와 제토컨베이어(220) 사이로 유입되어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 채굴유니트(200)를, 중앙부에는 선별유니트(300)를, 후방에는 수집유니트(400)를 연결하고, 작업 차량(100)의 동력을 감속기를 매개로 하여 채굴유니트(200)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 차량(100)을 작동시켜 두둑 상에서 전진 주행시키면, 채굴유니트(200)의 굴취삽(230)이 두둑의 흙을 파내면서 작물을 채굴하게 된다.
이때, 채굴된 작물과 함께 파헤쳐진 두둑의 흙은 전진 이동되어 오는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단부 전면에 직접 접촉되어 잘게 분쇄된다. 따라서, 채굴유니트(200)의 전방 즉 굴취삽(230)의 상면에 흙의 쌓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채굴유니트(200)의 이동시 흙밀림 현상이 해소되어 채굴 작업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채굴된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러그컨베이어(210)의 러그바(211)에 의해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면으로 올려져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러그컨베이어(210)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는 제토컨베이어(220)의 로드바(221)에 의해 이송되는 작물이 제토컨베이어(220)와 러그컨베이어(210) 사이에서 계속 유동하게 됨으로써 작물에 묻은 흙을 완전히 털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흙이 완전히 제거된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로 이송되어 제토컨베이어(220)의 상단부 후방에 구비된 다수의 제거가이드(240) 사이를 통해 선별유니트(300)로 이송되고, 작물과 같이 이송되어 온 풀은 제거가이드(240)에 걸림되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걸러진 풀은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에 접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2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거롤러(245)에 의해 제거롤러(245)와 제토컨베이어(220) 사이로 유입되어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풀이 제거롤러(245)에 의해 제거롤러(245)와 제토컨베이어(220) 사이로 유입되어 당겨지면, 풀을 당기는 힘에 의해 제거가이드(24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거가이드(240)의 만곡부(244)가 제토컨베이어(220)에서 이격됨으로써 제거가이드(240)에 걸림된 풀이 제토컨베이어(220)의 하면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굴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점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굴유니트(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토컨베이어(220a)가 전술한 실시예의 제토컨베이어보다 지면에 더 평행한 기울기로 경사져 구비된다.
이러한 제토컨베이어(220a)의 전방 하부 영역(223)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굴취삽(230)이 구비된다.
즉, 굴취삽(230)은 그 선단부가 두둑을 향한 상태에서 후단부가 제토컨베이어(220a)의 전방 하부 영역(223) 내에서 제토컨베이어(220a)와 이격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220a)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이러한 굴취삽(230)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토컨베이어(220a)의 전방 상부 영역에는 회동러그(210a)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동러그(210a)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러그플레이트(211a)가 회동러그(210a)의 축방향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회동러그(210a)는 제토컨베이어(220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채굴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220a)의 상면으로 올려 이송시키게 된다.
특히, 다수의 러그플레이트(211a)는 회동러그(210a)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선단부는 제토컨베이어(220a)의 상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길이로 구비된다.
따라서, 굴취삽(230)에 의해 채굴된 작물이 제토컨베이어(220a)의 선단부에 걸려 쌓이면, 회동러그(210a)에 의한 러그플레이트(211a)가 회전되면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220a)의 상면으로 들어올리고, 제토컨베이어(220a)의 상면으로 올려진 작물은 제토컨베이어(220a)에 의해 작업 차량(100)의 후방으로 이송되며, 이송과정에서 제토컨베이어(220a)의 진동에 의해 작물에 묻은 흙은 자연적으로 털려 제거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작업 차량 200 : 채굴유니트
201 : 프레임 210 : 러그컨베이어
211 : 러그바 210a : 회동러그
211a : 러그플레이트 220,220a : 제토컨베이어
221 : 로드바 222 : 회전축
223 : 하부 영역 230 : 굴취삽
240 : 제거가이드 241 : 힌지부
242 : 스톱퍼 243 : 스프링
244 : 만곡부 245 : 제거롤러
300 : 선별유니트 400 : 수집유니트

Claims (7)

  1. 작업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두둑 속의 작물을 채굴하는 굴취삽과, 굴취삽에 의해 채굴된 작물과 함께 제공되는 흙을 털어내 제거하여 작물을 이송시키는 제토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채굴유니트를 갖는 구근류 채굴장치로서,
    굴취삽은 그 선단부가 두둑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굴취삽의 후단부는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하부 영역 내에서 제토컨베이어와 이격된 상태로 제토컨베이어의 하면을 향하는 기울기인 제토컨베이어의 하면 하단부와 만나는 선을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굴취삽에 의해 작물과 두둑이 파내어짐과 동시에 제토컨베이어에 접하여 작물과 흙이 분리되도록 하되,
    두둑을 향하는 굴취삽의 선단부는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하부 영역을 벗어나 제토컨베이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구근류 채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에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제토컨베이어의 상단부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제토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오는 풀을 걸러내 제거하는 다수의 제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거가이드에는 이의 회전시 프레임에 걸림되어 제거가이드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고, 스톱퍼에 설치되어 신축되면서 회전된 제거가이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구근류 채굴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토컨베이어의 하면에는 이에 접한 상태에서 제토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거롤러가 구비되어, 제거가이드에 걸러진 풀을 제거롤러와 제토컨베이어 사이로 빼내 배출시키는 구근류 채굴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토컨베이어에는 이와 반대로 회전되면서 채굴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을 따라 이송시키는 다수의 러그바를 갖는 러그컨베이어가 구비되되, 제토컨베이어는 러그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구근류 채굴장치.
  7.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토컨베이어의 전방 상부에는 채굴된 작물을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올려 이송시키는 다수의 러그플레이트를 갖는 회동러그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근류 채굴장치.
KR1020190081411A 2019-07-05 2019-07-05 구근류 채굴장치 KR10205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11A KR102051404B1 (ko) 2019-07-05 2019-07-05 구근류 채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11A KR102051404B1 (ko) 2019-07-05 2019-07-05 구근류 채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04B1 true KR102051404B1 (ko) 2019-12-04

Family

ID=6900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11A KR102051404B1 (ko) 2019-07-05 2019-07-05 구근류 채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063A (ko) 2020-06-05 2020-06-24 윤태욱 수확기용 채굴장치
CN112470669A (zh) * 2020-11-24 2021-03-12 贵州省生物技术研究所(贵州省生物技术重点实验室、贵州省马铃薯研究所、贵州省食品加工研究所) 一种马铃薯挖掘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19A (ja) * 1992-12-08 1994-06-21 Ueda Noki Kk 茎葉、根除去装置を備えた掘取機
KR100389701B1 (ko) 2001-04-12 2003-06-27 윤태욱 구근류 채굴장치
KR100413189B1 (ko) * 2001-12-03 2003-12-31 윤태욱 구근류 채굴카
JP2012055252A (ja) * 2010-09-10 2012-03-22 Iseki & Co Ltd 作物掘起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19A (ja) * 1992-12-08 1994-06-21 Ueda Noki Kk 茎葉、根除去装置を備えた掘取機
KR100389701B1 (ko) 2001-04-12 2003-06-27 윤태욱 구근류 채굴장치
KR100413189B1 (ko) * 2001-12-03 2003-12-31 윤태욱 구근류 채굴카
JP2012055252A (ja) * 2010-09-10 2012-03-22 Iseki & Co Ltd 作物掘起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063A (ko) 2020-06-05 2020-06-24 윤태욱 수확기용 채굴장치
CN112470669A (zh) * 2020-11-24 2021-03-12 贵州省生物技术研究所(贵州省生物技术重点实验室、贵州省马铃薯研究所、贵州省食品加工研究所) 一种马铃薯挖掘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2019A (en) Earth surface cleaning machine
JP5780386B2 (ja) 石礫除去機
KR102183647B1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US5133413A (en) Beach cleaning apparatus
KR102051404B1 (ko) 구근류 채굴장치
US4040489A (en) Rock picker
KR20200062622A (ko) 땅속작물 수확기
US4221265A (en) Rock picker
JP2979298B2 (ja) 貝類の採集機
CN210247534U (zh) 一种后置拖动式药材收获机
US4616880A (en) Continuous excavating machine
US2725700A (en) Rock picker
KR102201118B1 (ko) 수확기용 평탄장치
CN210766955U (zh) 水下抓斗式栅格绞龙清淤机器人
JP2013172684A (ja) 作物掘取収穫機
US4609050A (en) Root and rock picker
US7156236B2 (en) Machine for removing articles deposited on the ground
US1573125A (en) Automatic loader
US3512282A (en) Conveyor type loader
US2462128A (en) Beet harvesting means
SU1752246A1 (ru) "Машина дл уборки картофел "Русь"
US2291716A (en) Excavating elevator
KR20190095758A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SU1817987A1 (ru) Корнеклубне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US2784544A (en) Cotton lifter for cotton harve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