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112B1 - 방사선 차폐 포 - Google Patents

방사선 차폐 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112B1
KR102051112B1 KR1020190037897A KR20190037897A KR102051112B1 KR 102051112 B1 KR102051112 B1 KR 102051112B1 KR 1020190037897 A KR1020190037897 A KR 1020190037897A KR 20190037897 A KR20190037897 A KR 20190037897A KR 102051112 B1 KR102051112 B1 KR 10205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adiation shielding
patient
radiation
shield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문
황영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9003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12Laminated shielding materi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에 장착되는 방사선 차폐 포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환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폐될 수 있는 개폐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차폐 포 {A SCRAP FOR SHIELDING THE RADIA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방사선 차폐 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엑스레이 촬영실에서 사용되는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고정형이고,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이동형이다. 상기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C-arm)는 그 형상이 C자 모양이라 하여 C-arm이라 하고, C-arm은 방사선 중재적 시술 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컴퓨터로 영상을 처리한 후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처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로서, 특히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수술시에서 유용한 장비이다.
C-arm의 경우 고정식 엑스레이 촬영장치에 비해 피폭량은 비교적 적으나, 중재적 시술 시 C-arm이 작동되는 동안(30초∼1분 정도 환자는 지속적으로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몇 시간이 걸리는 시술을 하고 나면 방사선 피폭량이 많아지게 되며, 이에 대한 현실적인 대응책은 나와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방사선은 사람에게 피폭될 경우 발암, 유전적 장애, 백내장과 같은 심각한 질병과 장애를 일으키는 등 사람에게 매우 유해하므로 제한적으로 피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병원의 방사선사, 의사, 원전 관계자 등 업무 특성상 지속적으로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는 사람들은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정당화된 의료 피폭이라도 환자의 진료 부위를 제외한 건강 조직은 최대한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사선의 피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084호에는 방사선 차폐 성능이 부여된 옷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인 C-arm을 이용할 경우, 환자의 신체에 대한 방사선의 피폭량을 현저히 줄이기 위한 방사선 차폐 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방사선 차폐 포가 환자의 신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인 C-arm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사선 차폐 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지속적으로 반복 재사용할 수 있는 위한 방사선 차폐 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에 장착되는 방사선 차폐 포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환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폐될 수 있는 개폐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요소는 상기 제2 부분의 지면 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의 일 지점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로가 필요한 경우, 상기 개폐요소는 힌지식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원상태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경로가 불필요한 경우, 상기 개폐요소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경로를 차단하며, 제2 부분의 절개된 부분 및 상기 개폐요소의 테두리에는 자성체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경로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개폐요소는 서로 부착되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에 장착되는 방사선 차폐 포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테이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의 지면 측까지 연장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지면 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테이블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 부분의 일 지점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연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은 연질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4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경질 부분, 연질 부분, 경질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연질 부분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 포는, 상기 제1 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층 및 상기 제1 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층이 상기 환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 차폐 포는, 상기 방사선 차폐 포의 일단을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방사선 차폐 포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방사선 차폐 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방사되는 방사선에 노출되는 상기 환자의 신체의 일 부분의 주위를 감싸는 제1 층의 일 부분은 타 부분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방사선 차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는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인 C-arm을 이용할 경우, 환자의 신체에 대한 방사선의 피폭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는 방사선 차폐 포가 환자의 신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인 C-arm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는 지속적으로 반복 재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의 개폐요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개폐요소 및 제2 부분을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의 개폐요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제2 층 및 제3 층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낸다.
도7은 부분적으로 상이한 농도의 방사선 차폐 물질을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내며,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의 개폐요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개폐요소 및 제2 부분을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내며,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의 개폐요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제2 층 및 제3 층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내며, 도7은 부분적으로 상이한 농도의 방사선 차폐 물질을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 포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T)에 장착되는 방사선 차폐 포(10)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100)은, 환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환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제1 부분(110) 및 제1 부분(110)의 일측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120)은 방사선 촬영 장치(D)의 이동에 따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폐될 수 있는 개폐요소(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사선 차폐포에는 방사선 촬영 장치(D)에 의하여 촬영이 용이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환자의 신체 부분에 대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D)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1 층(100)은 납 성분을 고무에 분산시킨 후 압출하여 성형될 수 있으며, 또는,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텅스텐, 바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D)는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것은 이동형으로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C-arm)일 수 있으며, 이는 그 형상이 C자 모양이라 하여 C-arm이라 하고, C-arm은 방사선 중재적 시술시 사용되며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컴퓨터로 영상을 처리해서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처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로서, 특히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수술 시 유용한 장비이다.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D)는 다각도로 촬영하기 위하여 환자 및 테이블의 위치를 구심점으로 하여 그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요소(121)는 방사선 촬영 장치(D)의 회전 시 필요에 따라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C-arm)의 헤드는 개폐요소(121)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를 참조하면, 도2의 (a)와 같이 개폐요소(121)는 제2 부분(120)의 지면 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제2 부분(120)의 일 지점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며, 방사선 촬영 장치(D)의 이동에 따라 경로가 필요한 경우, 개폐요소(121)는 힌지식으로 회전되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2의 (b)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D)가 원상태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경로가 불필요한 경우, 개폐요소(121)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도3과 같이, 제2 부분(120)의 절개된 부분 및 개폐요소(121)의 테두리에는 자성체(1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122)를 통하여, 개폐요소(121)가 닫혀 경로가 차단된 경우 제2 부분(120)과 개폐요소(121)는 서로 부착되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개폐요소(121) 부분에는 아크릴, 금속판 등 구성이 개폐요소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경질의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T)에 장착되는 방사선 차폐 포(10')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00')은, 테이블(T)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의 지면 측까지 연장되는 제3 부분(110') 및 상기 제3 부분(110')의 지면 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테이블 상에 위치되는 제3 부분(110)'의 일 지점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4 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부분(110')은 연질로 형성되며, 제4 부분(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연질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4 부분(120')은 상기 제4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경질 부분(121'), 연질 부분(122'), 경질 부분(123')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부분(120')은 연질 부분(122')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도5의 (a)와 같이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C-arm)의 헤드가 테이블(T)의 하측에 배치될 경우, 제4 부분(120')의 경질 부분(123')은 환자의 신체에 접해지면서 환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5의 (b)와 같이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C-arm)의 헤드가 촬영을 위하여 회전하면서 환자 및 테이블의 측면에 배치될 경우, 제4 부분(120')의 연질 부분(122')의 형상이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C-arm)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제4 부분(120')의 경질 부분(123')이 환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커니즘을 통하여, 제4 부분(120')은 연질 부분(122')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라 절곡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D)는 방사선 차폐 포(1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를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방사선 차폐 포는, 제1 층(100, 1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제1 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층(200) 및 제1 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제1 층이 환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층(200)은 내구성이 강한 섬유로써 폴리머, 스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층의 상면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층 대신에 제1 층의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제2 층을 통하여 방사선 차폐 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사선 차폐 포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한, 제3 층은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스폰지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지닌 기타 다른 물질로 제3 층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방사선 차폐 포는, 방사선 차폐 포의 일단을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방사선 차폐 포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요소(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고정요소는 방사선 차폐 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요소는 후크 형상의 부재, 밸크로, 자성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방사되는 방사선에 노출되는 환자의 신체의 일 부분의 주위를 감싸는 제1 층의 일 부분(A)은 타 부분(B)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방사선 차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층의 일 부분(A)을 텅스텐, 바륨 분말의 농도를 타 부분(B)에 비하여 높임으로써, 상기 제1 층의 일 부분(A)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방사선 차폐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는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인 C-arm을 이용할 경우, 환자의 신체에 대한 방사선의 피폭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 포는 방사선 차폐 포가 환자의 신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인 C-arm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방사선 차폐 포는 지속적으로 반복 재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10' : 방사선 차폐 포
100, 100' : 제1 층
110 : 제1 부분
120 : 제2 부분
121 : 개폐요소
122 : 자성체
110' : 제3 부분
120' : 제4 부분
200 : 제2 층
300 : 제3 층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에 장착되는 방사선 차폐 포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 포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테이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의 지면 측까지 연장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지면 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테이블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 부분의 일 지점까지 절개되어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4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연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은 연질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경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4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경질 부분, 연질 부분, 경질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연질 부분에 의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이동에 따라 절곡될 수 있는,
    방사선 차폐 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층; 및
    상기 제1 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층이 환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층;
    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 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 포의 일단을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방사선 차폐 포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방사선 차폐 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방사선 차폐 포.
  7. 제6항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방사되는 방사선에 노출되는 상기 환자의 신체의 일 부분의 주위를 감싸는 제1 층의 일 부분은 타 부분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방사선 차폐 물질을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 포.
KR1020190037897A 2019-04-01 2019-04-01 방사선 차폐 포 KR10205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97A KR102051112B1 (ko) 2019-04-01 2019-04-01 방사선 차폐 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97A KR102051112B1 (ko) 2019-04-01 2019-04-01 방사선 차폐 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112B1 true KR102051112B1 (ko) 2019-12-02

Family

ID=6884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97A KR102051112B1 (ko) 2019-04-01 2019-04-01 방사선 차폐 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250265A1 (en) * 2022-02-25 2023-08-26 Texray Ab Radiation protection shield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6024A1 (en) * 2004-10-01 2006-04-13 Duarte Luis E Surgical draping system for a patient on an operating table and an adjacent movable medical tool and related methods
JP2008104491A (ja) * 2006-10-23 2008-05-08 Shimadzu Corp X線透視撮影装置
KR20110004806A (ko) * 2010-09-27 2011-01-14 남태욱 찜질용 침대
KR20190012660A (ko) * 2017-07-28 2019-02-1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차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6024A1 (en) * 2004-10-01 2006-04-13 Duarte Luis E Surgical draping system for a patient on an operating table and an adjacent movable medical tool and related methods
JP2008104491A (ja) * 2006-10-23 2008-05-08 Shimadzu Corp X線透視撮影装置
KR20110004806A (ko) * 2010-09-27 2011-01-14 남태욱 찜질용 침대
KR20190012660A (ko) * 2017-07-28 2019-02-1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차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250265A1 (en) * 2022-02-25 2023-08-26 Texray Ab Radiation protection shielding system
WO2023163643A1 (en) * 2022-02-25 2023-08-31 Texray Ab A radiation protection shiel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vering a pati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241B2 (ja) X線透視技術者防護装置
US7344305B2 (en) Remote visual feedback of collimated area and snapshot of exposed patient area
US7303334B2 (en) Radiation attenuation system
JP5855119B2 (ja) 放射線防護装置
RU2756817C2 (ru) Передвижной экран радиационной защиты
KR101225241B1 (ko) 방사선 차폐장치 및 이를 부착한 엑스레이 촬영장치
US10431346B2 (en) Radiation shielding liquid filter, and X-ray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US20050213712A1 (en) Radiation attenuation system
KR102051112B1 (ko) 방사선 차폐 포
KR101783937B1 (ko) 이동식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방사선 차폐포
JP2021532960A (ja) 改良された撮像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040713A (zh) 在医学成像中使用的屏蔽设备
US4280056A (en) Protective shield for arthrograms
DE69828744T2 (de) Röntgenbildgebung
JP6410261B2 (ja) 台等に対する設置用x線防護テーブル
Nakatani et al. Radiation exposure and protection in computed tomography fluoroscopy
US20080035159A1 (en) Protective lead shield for spinal surgery
KR102050543B1 (ko) 이동형 방사선 차폐장치
KR102179134B1 (ko) 납복 착용 기구
KR101967579B1 (ko) 방사선 차폐 장치
US20230248324A1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and medical couch apparatus
KR102151199B1 (ko) 엑스선 차폐장치
US20230181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adiation exposure
KR102206732B1 (ko) 방사선 차폐 매트
KR102167313B1 (ko) 레이저 에이머가 구비된 방사선 차폐장치 및 이를 장착한 엑스레이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