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34B1 - 납복 착용 기구 - Google Patents

납복 착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34B1
KR102179134B1 KR1020190164909A KR20190164909A KR102179134B1 KR 102179134 B1 KR102179134 B1 KR 102179134B1 KR 1020190164909 A KR1020190164909 A KR 1020190164909A KR 20190164909 A KR20190164909 A KR 20190164909A KR 102179134 B1 KR102179134 B1 KR 10217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neck
support member
suppor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재상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엠에스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6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21F3/02Clo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21F1/085Heavy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복 착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납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에서 상기 목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납복의 어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여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 시 편의성을 확보하며, 납복을 장기간 착용하는 영상의학과 시술자 등의 관절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납복 착용 기구{WEARING DEVICE LEAD PROTECTOR}
본 발명은 납복 착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거운 중량의 납복을 착용자가 착용 시 느끼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납복 착용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엑스레이 촬영실에서 사용하는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고정형이고,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것은 이동형인데, 이동형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그 형상이 C자 모양이라 하여 C-arm이라 하고, C-arm은 수술실에서 골절 환자, 디스크 환자나 척추 관련 환자 등을 수술할 때 뼈를 맞추거나 나사 또는 핀을 박을 때, 또는 여러 각도로 뼈의 구조를 살펴 본다든지 골절의 도수정복(수술을 하지 않고 뼈를 맞추는 일)을 할 때 정복(整復)이 잘 되었는지 등을 볼 때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컴퓨터로 영상을 처리해서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처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로서, 특히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수술에서 꼭 필요한 장비이다.
C-arm의 경우 고정식 엑스레이 촬영장치에 비해 피폭량은 적지만, 수술시 C-arm을 켜고 있는 동안(즉 스위치를 밟고 있는 동안, 엑스레이 촬영장치를 운영하는 사람에 따라 30초∼1분 정도임)에는 수술자(여기서 '수술자'라 함은 의사, 간호사, 수술보조자, 엑스레이 촬영장치 운영자 등을 모두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같다)가 지속적으로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몇 시간이 걸리는 큰 수술을 하고 나면 수술자들이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술 후에는 극도의 피로감은 물론 이와 같이 방사선에 장시간씩 노출되어 있는 일이 반복되다 보면 암이나 백혈병 등 방사선으로 인한 많은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병원에서는 C-arm과 같이 수술 중 사용되는 X레이 장치 이외에도 골절 등을 검사하기 위한 X레이 촬영 장치등과 같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장비가 다수 구비되고 있다.
이에 방사선에 노출되는 장비가 있는 공간에서 장시간 업무를 하게 되는 모든 의료진들에게는 업무 중에 방출된 방사선에 피폭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방사선 차단 성분이 함유된 방호복을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사선을 차폐하는 방호복은 통상적으로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납성분으로 제조된 방사선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납복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납복은 납성분을 포함한 방사선 차폐시트를 포함하여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으나 무게가 무거워 착용 시 착용자의 활동에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납복을 장기간 착용하는 경우 납의 무게로 인해 신체에 피로감을 급격하게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특히 병원에서 X레이를 촬영하는 영상의학과 시술자 등의 경우 무거운 납복을 장기간 착용하게 되므로 허리, 무릎 등의 관절 질환이 발병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510858호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2015.04.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차폐를 위한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납복 착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는 납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에서 상기 목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납복의 어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 지지부는 목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휘어진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 지지부의 하부에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목 받침용 완충부가 위치되며, 상기 어깨 지지부의 하부에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어깨 받침용 완충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지지부의 내부에는 중량 감소용 공간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과 일 체로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가로 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전, 후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원호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지지부는 어깨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어깨 지지 패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지지 패널부재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된 구멍 또는 홈 형태를 가지는 중량 감소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과 일 체로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가로 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전, 후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원호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 지지부재는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 지지부재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개방되고 상기 가로 지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안내 슬릿부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지지부는 가로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원호 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에 가로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이동 안내 슬릿부 내에 위치된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위치 고정용 슬릿부 및 상기 위치 고정용 슬릿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에 체결되며 머리부로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 시 편의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크게 줄여 납복을 장기간 착용하는 영상의학과 시술자 등의 관절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에서 어깨 지지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납복(10)은 납성분으로 제조된 방사선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착용자 즉, 의사, 영상의학과 시술자, X레이 촬영을 하는 환자 등이 착용할 수 있는 의류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납복(10)은 통상적으로 조끼 형태의 의류로 납성분으로 제조된 방사선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방사선 차폐용 의류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는 납복(10)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100)를 포함한다.
목 지지부(100)는 목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휘어진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목 지지부(100)의 하부에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목 받침용 완충부(300)가 위치되고, 목 받침용 완충부(300)는 목 지지부(100)를 착용자의 목에 걸어 하중을 지지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딱딱한 재질의 목 지지부(100)가 착용자의 목을 누르면서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착용자가 장기간 착용 시 불편함을 해소한다.
또한, 목 지지부(100)의 양 측에는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200)가 일체로 연결되어 위치된다.
어깨 지지부(200)는 납복(10)의 어깨 부분과 착용자의 어깨 사이로 삽입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게 된다.
어깨 지지부(200)의 하부에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어깨 받침용 완충부(400)가 위치되고, 어깨 받침용 완충부(400)는 어깨 지지부(200)를 착용자의 어깨에 올려 하중을 지지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딱딱한 재질의 어깨 지지부(200)가 착용자의 목을 누르면서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착용자가 장기간 착용 시 불편함을 해소한다.
어깨 지지부(200)는 목 지지부(100)의 양 측과 일 체로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가로 지지부재(210), 가로 지지부재(210)의 전, 후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원호 지지부재(220)를 포함한다.
가로 지지부재(210)는 목 지지부(100)의 단부 측에서 꺾여진 형태로 목 지지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가로 지지부재(210)와 원호 지지부재(22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가 납복(10)을 착용할 때 어깨 지지부(200)가 납복(10)의 어깨 부분과 착용자의 어깨 사이로 삽입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게 되고, 목 지지부(100)가 착용자의 목 뒷쪽에서 목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부분과 어깨 부분에 납복(10)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목부분과 어깨 부분에 납복(10)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10)의 무게를 크게 줄이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는 어깨 지지부(200)는 어깨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어깨 지지 패널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지지 패널부재(230)는 가로 지지부재(210)의 단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목 지지부(100)의 단부 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위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가로 지지부재(210)는 목 지지부(100)의 단부 측에서 꺾여진 형태로 목 지지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이고, 어깨 지지 패널부재(230)는 막대 형상의 가로 지지부재(210)의 단부 측에 고정된 어깨 부분의 앞부분의 일부와 뒷부분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패널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어깨 지지 패널부재(230)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된 구멍 또는 홈 형태를 가지는 중량 감소부(231)가 위치될 수 있다.
중량 감소부(231)는 어깨 지지 패널부재(230)의 중량을 감소시켜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에 의해 착용자에게 더 해지는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목 지지부(100)는 목의 뒷부분에서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목 지지부재(101), 목의 앞부분에서 목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목 지지부재(102)를 포함하고, 어깨 지지부(200)는 제1목 지지부재(101)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어느 한쪽 어깨에 올려지는 제1어깨 지지부재(201), 제2목 지지부재(102)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어느 한쪽 어깨에 올려지며 제1어깨 지지부재(201)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어깨 지지부재(202), 제1목 지지부재(101)의 타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다른 한쪽 어깨에 올려지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 제2목 지지부재(102)의 타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다른 한쪽 어깨에 올려지며 제3어깨 지지부재(20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어깨 지지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목 지지부재(101)와 제2목 지지부재(102)는 각각 반원형 목삽입부(100a)를 안쪽에 구비하고 반원형 목삽입부(100a)가 서로 연결되어 원형 목삽입부(100b)를 형성하게 된다.
반원형 목삽입부(100a)의 내주면에는 각각 탄성 재질로 제조된 목 보호용 완충부(310)가 위치되고, 목 보호용 완충부(310)는 목 지지부(100)를 착용자의 목에 걸어 하중을 지지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딱딱한 재질의 목 지지부(100)가 착용자의 목을 누르면서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착용자가 장기간 착용 시 불편함을 해소한다.
그리고, 제1목 지지부재(101)와 제2목 지지부재(102)의 하부에는 각각 목 받침용 완충부(300)가 위치된다.
제1어깨 지지부재(201)와 제3어깨 지지부재(203)는 어깨 뒷쪽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어깨의 뒷쪽으로 휘어진 원호형 패널로 형성되고, 제2어깨 지지부재(202)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는 어깨 앞쪽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어깨의 앞쪽으로 휘어진 원호형 패널로 형성된다.
또한, 제1어깨 지지부재(201), 제3어깨 지지부재(203), 제2어깨 지지부재(202),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하부면에는 각각 어깨 받침용 완충부(400)가 위치된다.
어깨 지지부(200)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여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지지 결합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지지 결합부(205)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어느 한 측에서 돌출되는 결합 안내 돌기부(205a),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다른 한측에 위치되고 결합 안내 돌기부(205a)가 삽입되는 결합 안내 삽입부(205b),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다른 한측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 안내 삽입부(205b) 내의 결합 안내 돌기부(205a)를 가압하는 결합 고정 볼트부재(205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고정 볼트부재(205c)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다른 한측의 상면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 안내 삽입부(205b) 내로 돌출되면서 결합 안내 삽입부(205b)에 이치된 결합 안내 돌기부(205a)를 가압하거나 결합 안내 돌기부(205a)에 위치된 체결홈 또는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결합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 고정 볼트부재(205c)는 상단부에 착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 핸들이 위치되어 착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켜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다른 한측에 체결하거나 풀 수 있게 된다.
결합 고정 볼트부재(205c)를 풀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제1목 지지부재(101), 제1어깨 지지부재(201),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제2목 지지부재(102), 제2어깨 지지부재(202), 제4어깨 지지부재(204)는 제1어깨 지지부재(201)와 제2어깨 지지부재(20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벌어짐으로써 원형 목삽입부(100b)가 2개의 반원형 목삽입부(100a)로 분리되면서 개방되어 착용자의 목을 반원형 목삽입부(100a) 내로 위치시킬 수 있다.
개방된 원형 목삽입부(100b) 내에 착용자의 목을 삽입한 상태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제1목 지지부재(101), 제1어깨 지지부재(201),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제2목 지지부재(102), 제2어깨 지지부재(202), 제4어깨 지지부재(204)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형 목삽입부(100b)를 닫고 결합 고정 볼트부재(205c)를 체결하여 원형 목삽입부(100b)가 닫힌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에서 어깨 지지 결합부(20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로써 도 5를 참고하면 어깨 지지 결합부(205)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어느 한 측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고리부재(205d),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다른 한측의 상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고리부재(205d)가 걸어지는 고리 걸림부(205e)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재(205d)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어느 한 측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회전되어 고리 걸림부(205e)에 걸어지거나 고리 걸림부(205e)에서 분리되어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거나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결합 해제하여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어깨 지지 결합부(205)는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어느 한 측에서 돌출되는 결합 안내 돌기부(205a),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 중 다른 한측에 위치되고 결합 안내 돌기부(205a)가 삽입되는 결합 안내 삽입부(205b)를 더 포함하여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가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3어깨 지지부재(203)와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결합된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4의 A-A'단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제1어깨 지지부재(201), 제3어깨 지지부재(203), 제2어깨 지지부재(202),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내부에는 각각 중량 감소용 공간부가 위치될 수 있다.
제1어깨 지지부재(201), 제3어깨 지지부재(203), 제2어깨 지지부재(202), 제4어깨 지지부재(204)의 내부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량 감소용 공간부가 위치되어 어깨 지지부(20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에 의해 착용자에게 더 해지는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복 착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어깨 지지부(200)는 목 지지부(100)의 양 측과 일체로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가로 지지부재(210), 가로 지지부재(210)의 전, 후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원호 지지부재(220)를 포함하며, 원호 지지부재(220)는 가로 지지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로 지지부재(210)의 하부면과 원호 지지부재(220)의 하부면에는 각각 어깨 받침용 완충부(400)가 위치된다.
가로 지지부재(210)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개방되고 가로 지지부재(210)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안내 슬릿부(211)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다.
원호 지지부재(220)는 이동 안내 슬릿부(211)를 따라 이동되어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원호 지지부재(220)는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납복을 착용 시 착용자의 만족도를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잇다.
어깨 지지부(200)는 가로 지지부재(210)를 따라 이동되는 원호 지지부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고정부(240)는 가로 지지부재(210)의 상면에 가로 지지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이동 안내 슬릿부(211) 내에 위치된 가로 지지부재(210)의 상면을 개방하는 위치 고정용 슬릿부(241), 위치 고정용 슬릿부(241)를 통과하여 가로 지지부재(210)의 상면에 체결되며 머리부로 가로 지지부재(2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호 지지부재(220)의 상부면에는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242)가 체결되는 체결홈 또는 체결구멍이 위치되고, 원호 지지부재(220)는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242)가 체결홈 또는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머리부가 가로 지지부재(21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원호 지지부재(220)는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242)가 풀리면 가로 지지부재(210)의 이동 안내 슬릿부(211)를 따라 이동되어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착용자는 원호 지지부재(220)를 가로 지지부재(210)의 이동 안내 슬릿부(211)를 따라 이동시켜 납복 착용 시 본인의 체형에 맞게 원하는 위치로 조절함으로써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납복 착용 시 납복의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납복의 무게를 크게 줄여 납복을 장기간 착용하는 영상의학과 시술자 등의 관절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납복 100 : 목 지지부
100a : 반원형 목삽입부 100b : 원형 목삽입부
101 : 제1목 지지부재 102 : 제2목 지지부재
200 : 어깨 지지부 200a : 중량 감소용 공간부가
201 : 제1어깨 지지부재 202 : 제2어깨 지지부재
203 : 제3어깨 지지부재 204 : 제4어깨 지지부재
205 : 어깨 지지 결합부 205a : 결합 안내 돌기부
205b : 결합 안내 삽입부 205c : 결합 고정 볼트부재
205d : 고리부재 205e : 고리 걸림부
210 : 가로 지지부재 211 : 이동 안내 슬릿부
220 : 원호 지지부재 230 : 어깨 지지 패널부재
231 : 중량 감소부 240 : 위치 고정부
241 : 위치 고정용 슬릿부 242 :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
242a : 머리부 300 : 목 받침용 완충부
310 : 목 보호용 완충부 400 : 어깨 받침용 완충부

Claims (11)

  1. 납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에서 상기 목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납복의 어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 지지부의 내부에는 중량 감소용 공간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는 목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휘어진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의 하부에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목 받침용 완충부가 위치되며,
    상기 어깨 지지부의 하부에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어깨 받침용 완충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4. 삭제
  5. 납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에서 상기 목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납복의 어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과 일 체로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가로 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전, 후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원호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6. 납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에서 상기 목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납복의 어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 지지부는 어깨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어깨 지지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깨 지지 패널부재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된 구멍 또는 홈 형태를 가지는 중량 감소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8. 납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목 지지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에서 상기 목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납복의 어깨 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어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의 양 측과 일 체로 연결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분에 올려지는 가로 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전, 후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원호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 지지부재는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부재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개방되고 상기 가로 지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안내 슬릿부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어깨 지지부는 가로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원호 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에 가로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이동 안내 슬릿부 내에 위치된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위치 고정용 슬릿부; 및
    상기 위치 고정용 슬릿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에 체결되며 머리부로 상기 가로 지지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위치 고정용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복 착용 기구.
KR1020190164909A 2019-12-11 2019-12-11 납복 착용 기구 KR10217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09A KR102179134B1 (ko) 2019-12-11 2019-12-11 납복 착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09A KR102179134B1 (ko) 2019-12-11 2019-12-11 납복 착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34B1 true KR102179134B1 (ko) 2020-11-16

Family

ID=7367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909A KR102179134B1 (ko) 2019-12-11 2019-12-11 납복 착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391A (ja) * 2000-04-13 2001-10-26 Lion Do:Kk 放射線防護衣
KR20150009812A (ko) * 2013-07-17 2015-0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
JP2017219346A (ja) * 2016-06-03 2017-12-14 有限会社ラン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放射線防護服、放射線遮蔽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放射線防護服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391A (ja) * 2000-04-13 2001-10-26 Lion Do:Kk 放射線防護衣
KR20150009812A (ko) * 2013-07-17 2015-0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
KR101510858B1 (ko) 2013-07-17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
JP2017219346A (ja) * 2016-06-03 2017-12-14 有限会社ラン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放射線防護服、放射線遮蔽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放射線防護服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0585B2 (ja) 放射線吸収アセンブリ
JP5016774B2 (ja) 放射線保護装置
EP2084713B1 (en) Fluoroscopy operator protection device
US8188453B2 (en) Short use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radiation protection
US20210145376A1 (en) Lock-block shield device
KR101225241B1 (ko) 방사선 차폐장치 및 이를 부착한 엑스레이 촬영장치
KR101510858B1 (ko) 방사선 촬영용 방사선 방호장비
US10431346B2 (en) Radiation shielding liquid filter, and X-ray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JP7345500B2 (ja) 医療環境におけるユーザに対する人間工学的支持装置
US20130320246A1 (en) Radiation shield with disposable sterile drape for protecting the hands and arms during interventional cardiovascular fluoroscopy
US20200051705A1 (en) Neck support with radiation protection
KR101880620B1 (ko) 외골격 지지체와 환기시스템을 적용한 중재시술용 납가운 장치
US20150124941A1 (en) C-arm sleeve
US20070116176A1 (en) X-ray device for making an image of a part to be examined
US4280056A (en) Protective shield for arthrograms
KR102179134B1 (ko) 납복 착용 기구
US20080035159A1 (en) Protective lead shield for spinal surgery
KR102076713B1 (ko) 납복 착용 기구
JP2017006358A (ja) 台等に対する設置用x線防護テーブル
KR101967579B1 (ko) 방사선 차폐 장치
CN114051392A (zh) 手术台的辐射屏蔽件
Choi et al. A Study on the indirect radiation exposure of the medical personnel who is responsible for patient safety in CT examination
Vaithialingam et al. Ergonomic challenges and intraoperative concerns during O-arm®–guided neurosurgical procedures
CN211609837U (zh) 一种心内科介入手术防辐射面罩
Hughes Introduction to Intra-operative and Surgical Radi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