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743B1 -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743B1
KR102050743B1 KR1020190108562A KR20190108562A KR102050743B1 KR 102050743 B1 KR102050743 B1 KR 102050743B1 KR 1020190108562 A KR1020190108562 A KR 1020190108562A KR 20190108562 A KR20190108562 A KR 20190108562A KR 102050743 B1 KR102050743 B1 KR 10205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 pipe
collecting channel
concre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용대
추혜진
Original Assignee
추용대
추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용대, 추혜진 filed Critical 추용대
Priority to KR102019010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구의 경사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링과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해 배수관 관통공이 중앙에 천공된 누수방지판과, 상기 누수방지판을 걸림링에 매달아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철사로 구성되는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걸림링은 집수구의 경사면에 걸리고, 누수방지판은 철사에 의해 걸림링에 걸려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을 막아주게 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물이 교량, 즉 집수구의 배수공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누수되지 않아 재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또 본 발명은 걸림링에 연결된 철사가 누수방지판을 홀딩한 상태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고 양생까지 완료할 수 있어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교량 상부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손쉽게, 또 작업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한 상태로 집수구의 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Mold for construction of bridge drai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mold}
본 발명은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교량 상판에 집수구를 새로 시공하거나 또 기존에 시공된 집수구나 배수관이 노후되었거나 손상되었을 때 이를 시공함에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시공비용의 현저한 절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비나 눈 등으로 교량 상판에 고이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로 배수장치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교량에 배수장치를 시공하여 교량의 상판에 발생한 빗물 등을 신속히 배수시켜야 하기 위해 집수구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상기 집수구에 배수관이 설치되어 교량 상부에 발생된 우수 또는 청소용 물등을 교량 하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집수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량 형성을 위한 거푸집 상에 집수구 형성을 위한 형틀을 덧대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다음, 형틀을 제거하게 되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수관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집수구 덮개를 덮으면 모든 집수구의 시공이 완료된다.
그런데 노후되거나 손상된 집수구의 수리(교량 상판에 집수구를 새로 시공하는 경우도 포함된다)를 위해서는 기존 배수관의 제거가 필요하게 되고, 기존 배수관의 제거를 위해서는 기존 집수구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를 까내야 하는데, 이처럼 까낸 집수구에 새로운 배수관을 설치하고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을 콘크리트로 막을려고 하면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됨으로 인해 제대로된 콘크리트의 타설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집수구의 보수를 위해서는 교량의 하단에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에 형틀을 덧대주어야 하는데, 이는 교량의 높이 때문에 크레인을 동원해야 하는 작업이라 형틀 제작 및 형틀 고정작업이 쉽지 않고, 크레인 임대비용 및 시공비용이 상승되며, 특히 고소작업이라 사고의 우려가 높고, 교량하부의 환경이 열악하면 크레인이 진입할 수 없음으로 인해 배수관교체작업 마저도 힘든 단점을 갖는다.
결국 종래 집수구의 보수는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형틀을 손쉽게, 또 안전하게 설치함에 있다할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88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구의 보수 및 시공을 위해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교량 상부에서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형틀을 손쉽게, 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는, 집수구의 경사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링과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해 배수관 관통공이 중앙에 천공된 누수방지판과, 상기 누수방지판을 걸림링에 매달아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철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수방지판의 중간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되어 철사의 하단이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은 기존 집수구에서 배수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집수구의 경사면에 걸림링을 걸고 누수방지판을 배수공 하단에 배치한 다음 걸림링과 누수방지판을 철사로 매다는 단계와, 상기 걸림링과 누수방지판 사이에 배수관을 배치하고 상기 배수관과 집수구 내측면 사이의 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양생후 도로 덧씌움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걸림링은 집수구의 경사면에 걸리고, 누수방지판은 철사에 의해 걸림링에 걸려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을 막아주게 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물이 교량, 즉 집수구의 배수공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누수되지 않아 재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걸림링에 연결된 철사가 누수방지판을 홀딩한 상태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고 양생까지 완료할 수 있어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교량 상부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손쉽게, 또 작업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한 상태로 집수구의 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로써. (가)도는 기존 배수관을 제거한 상태의 집수구의 단면도이고, (나)도는 기존 배수관을 제거한 집수구에 배수관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며, (다)도는 집수구의 배수공과 배수관 사이의 틈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라)도는 콘크리트 양생 후 도로를 덧채움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로써. (가)도는 기존 배수관을 제거한 상태의 집수구의 단면도이고, (나)도는 기존 배수관을 제거한 집수구에 배수관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며, (다)도는 집수구의 배수공과 배수관 사이의 틈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라)도는 콘크리트 양생 후 도로를 덧채움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100)는, 집수구(A)의 경사면(B)에 걸리기 위한 걸림링(110)과, 집수구(A)과 배수관(200)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막아주되 배수관 관통공(131)이 중앙에 천공된 누수방지판(130)과, 상기 누수방지판(130)을 걸림링(110)에 매달아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철사(120)로 구성된다.
집수구(A)는 경사면(B)과 배수공(C)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걸림링(110)은 배수공(C)의 직경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배수공(C)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걸림링(110)의 직경을 배수공(C)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면 걸림링(110)은 경사면(B)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림링(110)의 형상은 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나, 사각 또는 육각은 물론 배수관(200)과 간섭되지만 않는다면 그 형상이나 두께, 재질 등에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누수방지판(130)은 배수관(200)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배수관 관통공(131)이 천공된 상태로 그 직경은 최대한 배수관(200)의 직경과 같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집수구(A)과 배수관(200)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믈론 상기 누수방지판(130)의 배수관 관통공(131)에 배수관(200)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어쩔 수 없는 틈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200)의 외측에 누수방지링(140)을 끼워 누수방지판(130)에 밀착되도록 하여 배수관(200)과 배수관 관통공(131) 사이의 미세틈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누수방지링(140)을 배수관(200)이 아닌 누수방지판(130)의 배수관 관통공(131)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철사(120)는 누수방지판(130)을 걸림링(110)에 매달아 처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철사(120)는 와이어나 합성수지 끈 등으로 대신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있어 철사(120)를 상기 누수방지판(130)에 연결함에 있어 교량 위에서 철사(120)를 잡아당겨 누수방지판(130)이 집수구(A)과 배수관(200) 사이의 틈을 막게된다.
이때 누수방지판(130)을 철사(120)로 잡아당김에 있어 균형이 틀어지면 누수방지판(130)이 비틀어지게 되면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누수방지판(130)의 비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누수방지판(130)의 가장자리와 배수관 관통공(131)의 가장자리의 중간지점에 통공(13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공(132)들은 누수방지판(130)의 안정적인 견인을 위해서 무게중심이 맞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통공(132)은 적어도 3개 이상 천공되되 그 간격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기존 집수구에서 배수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집수구(A)의 경사면에 걸림링(110)을 걸고 누수방지판(130)을 배수공(C) 하단에 배치한 다음 걸림링(110)과 누수방지판(130)을 철사(120)로 매다는 단계와, 상기 걸림링(110)과 누수방지판(130) 사이에 배수관(200)을 배치하고 상기 배수관(200)과 집수구(A) 내측면 사이의 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양생후 도로 덧씌움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존 집수구(A)에서 배수관(200)을 제거함에 있어 설치할 배수관(20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배수공(C)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배수관(200)을 설치할 후 집수구(A)과 배수관(200) 사이의 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따라서 집수구(A)의 경사면에 걸림링(110)을 걸고 누수방지판(130)을 철사(120)를 잡아당겨 누수방지판(130)이 배수공(C) 하단에 배치한 상태로 배수관(200)과 집수구(A) 내측면, 즉 배수공(C) 사이의 틈 하단을 밀폐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누수방지판(130)은 배수공(C)을 관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외측 직경이 배수공(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휨이 가능하도록 금속판이나 합성수지 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관(200)과 집수구(A) 내측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채움(F)하고 이들이 양생되어 배수관(200)이 집수구(A)에 고정되면 교량(D) 위의 도로(E)에 도로덧씌움(G)을 하여 집수구(A) 시공을 마무리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110: 걸림 링(ring)
120: 철사
130: 누수방지판
140: 누수방지 링(ring)
200: 배수관
A: 집수구
B: 경사면

Claims (3)

  1. 집수구의 경사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링과 교량과 배수관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해 배수관 관통공이 중앙에 천공된 누수방지판과, 상기 누수방지판을 걸림링에 매달아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철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판의 중간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되어 철사의 하단이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3. 기존 집수구에서 배수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집수구(A)의 경사면에 걸림링(110)을 걸고 누수방지판(130)을 배수공(C) 하단에 배치한 다음 걸림링(110)과 누수방지판(130)을 철사(120)로 매다는 단계와,
    상기 걸림링(110)과 누수방지판(130) 사이에 배수관(200)을 배치하고 상기 배수관(200)과 집수구(A) 내측면 사이의 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양생후 도로 덧씌움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KR1020190108562A 2019-09-03 2019-09-03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KR10205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62A KR102050743B1 (ko) 2019-09-03 2019-09-03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62A KR102050743B1 (ko) 2019-09-03 2019-09-03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743B1 true KR102050743B1 (ko) 2019-12-03

Family

ID=6883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62A KR102050743B1 (ko) 2019-09-03 2019-09-03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7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94B1 (ko) * 2011-11-29 2013-08-05 박민철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KR101535669B1 (ko) * 2014-07-07 2015-07-13 다산기업 주식회사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94B1 (ko) * 2011-11-29 2013-08-05 박민철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KR101535669B1 (ko) * 2014-07-07 2015-07-13 다산기업 주식회사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900B2 (en) Rough-in adapter
KR100848855B1 (ko) 교량상부슬래브에 설치되는 조립식배수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조립식집수구설치방법
KR101535669B1 (ko)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KR102050743B1 (ko) 교량 집수구 형성용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집수구 시공방법
CN207469307U (zh) 一种市政道路管线的检查井现浇施工的组合模板结构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EP3394346B1 (en) Adapter
KR10077641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235246B1 (ko)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KR200197327Y1 (ko) 배수로용 집수구
KR200414770Y1 (ko)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
KR101232309B1 (ko) 배수설비가 구비된 신축이음의 시공방법
KR200470426Y1 (ko) 누수 차단 배수구
KR101319819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CN207847694U (zh) 一种隧道排水装置及隧道整体道床
KR102498039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JP5324366B2 (ja) 下水路系内作業安全装置
KR101173406B1 (ko) 배관용 슬리브
CN108131162B (zh) 一种隧道排水装置及隧道整体道床
KR200417100Y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101854161B1 (ko) 교량용 배수 장치
KR100755997B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CN208762820U (zh) 一种漫排管排结合的雨水边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