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85B1 -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85B1
KR102048585B1 KR1020120156608A KR20120156608A KR102048585B1 KR 102048585 B1 KR102048585 B1 KR 102048585B1 KR 1020120156608 A KR1020120156608 A KR 1020120156608A KR 20120156608 A KR20120156608 A KR 20120156608A KR 102048585 B1 KR102048585 B1 KR 10204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ayer
reinforcing sheet
shee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297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5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preformed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elements being joined together, e.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32B37/06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resulting in the laminate being partially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판 강도 보강 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외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차체의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는, 상기 강판에 접착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위에 도포되며, 열에 의해 녹아 상기 강판에 점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위에 도포되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강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Reinforcement sheet for improving stiffness of auto-body steel sheets}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강판에 부착되어 강판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의 트렁크, 도어, 후드, 루프 등의 외판(강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해당 부위의 강판의 안 쪽에 보강 시트(2)를 부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 시트는 일반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 레진(Epoxy Resin)을 주성분으로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 시트(2)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시트(2)는 끈적끈적한 성질을 가지는 에폭시 레진층(10)과, 상기 에폭시 레진층(10)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층(20) 및, 에폭시 레진층(10)의 다른 일면에 부착되어 보강 시트(2)의 외면을 코팅하는 코팅층(30)을 포함한다.
먼저, 이형지층(20)을 제거하고, 에폭시 레진층(10)을 자동차(1)의 외판에 부착한다.
자동차(1)의 생산 공정에서, 페인팅 오븐을 이용해 열을 가해 자동차(1)의 외장 페인팅 경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보강 시트(2)는 자동차(1)가 페인팅 오븐에 들어가기 전에 부착되며, 오븐에 의한 열에 의해 에폭시 레진층(10)이 녹아 자동차 외판에 눌러 붙는다. 녹았던 에폭시 레진층(10)이 경화되면서 자동차 외판의 강도를 국부 향상시킨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에폭시 레진층(10)의 강한 접착 강도로 인해, 에폭시 레진층(10)이 외판에 눌러 붙으면서 외판을 잡아당겨 외판부 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83-00072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판 강도 보강 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외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차체의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는, 상기 강판에 접착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위에 도포되며, 열에 의해 녹아 상기 강판에 점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위에 도포되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강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강체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시트는 상기 자동차의 외판과 내판의 연결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외판에 접착되며, 상기 강체층에는 상기 내판에 부착된 마스틱 실러와 접착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아스팔트와 Fe3O4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에 점착되는 점착층 위에 강체층을 형성하여 자동차 강판의 국부 보강 효율을 증가시키면서도, 강체층에 의해 점착층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여 자동차 강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부착되는 보강 시트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보강 시트가 자동차의 외판과 내판의 연결부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시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시트(100)는 자동차 외판(강판)에 접착되는 접착층(110)과, 상기 접착층(110) 위에 도포되는 점착층(120)과, 상기 점착층(120) 위에 도포되며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강체층(130)을 포함한다.
접착층(110)은 점착층(120)에 비해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층으로서, 보강 시트(100)가 부착된 자동차를 페인팅 오븐을 통과시키기 전에 보강 시트(100)를 자동차 강판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120)은 열에 의해 녹는 물질로 형성되면, 본 실시에서는 아스팔트와 Fe3O4의 혼합물이 점착층(120)의 재료로 이용된다.
자동차가 페인팅 오븐을 통과하면, 그 열에 의해 점착층(120)이 녹아 자동차 강판에 눌러 붙는다. 이때, 접착층(110)은 점착층(120)에 비해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점착층(120)과 접착층(110)과 함께 녹아 자동차 강판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아스팔트와 Fe3O4로 이루어진 점착층(120)은 에폭시 레진에 비해 접착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자동차 외판에 눌러붙는 과정에서 외판부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아스팔트와 Fe3O4로 이루어진 점착층(120)의 비교적 낮은 강성 보강 효율은, 강체층(130)에 의해 보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체층(13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강체층(130)은 소정의 강성을 가져서, 외판을 지지함으로써 외판의 강성 보강 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강체층(130)은 점착층(120)이 경화되어 강판에 눌러붙는 과정에서 외판을 잡아당기는 것을 방지하여, 외판부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실험에 따르면, 강체층(13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강체층(130)이 구비된 경우 강성이 약 30N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레진을 이용한 종래기술의 보강 시트에 비해 비용이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시트(100)는 자동차의 외판(11)과 내판(12)의 연결부에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시트(100)가 자동차의 외판(11)과 내판(12)의 연결부에 적용된 전의 모습과 적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외판(11)과 내판(12)의 연결부는 마스틱 실러(mastice sealer)(13)에 의해 지지된다. 마스틱 실러(13)는 금속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마스틱 실러(13)의 재질과 기능 등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스틱 실러(13)는 금속을 부착하는 부착력은 우수하지만,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은 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시트(100)가 자동차의 외판(11)과 내판(12)의 연결부에 적용되어 강성을 보완해준다.
도 4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0)은 자동차의 외판(11)에 부착하고, 강체층(130)은 마스틱 실러(13)와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체층(130)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금속과의 접착 특성이 우수한 마스틱 실러(130)가 강체층(13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자동차는 페인팅 오븐에 통과시키면, 점착층(120)이 녹았다가 경화되면서, 자동차의 외판(11)과 내판(12)의 연결부를 강하게 지지하는 한편, 연결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1: 자동차
2, 100: 보강 시트
10: 에폭시 레진층
20: 이형지층
30: 코팅층
40: 외판
50: 내판
60: 마스틱 실러
110: 접착층
120: 점착층
130: 강체층

Claims (5)

  1. 자동차 차체의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로서,
    상기 강판에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도포되며, 열에 의해 녹아 상기 강판에 점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위에 도포되며,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강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점착층은, 아스팔트와 Fe3O4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시트는 상기 자동차의 외판과 내판의 연결부에 적용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외판에 접착되며,
    상기 강체층에는 상기 내판에 부착된 마스틱 실러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시트.
  5. 삭제
KR1020120156608A 2012-12-28 2012-12-28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KR10204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08A KR102048585B1 (ko) 2012-12-28 2012-12-28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08A KR102048585B1 (ko) 2012-12-28 2012-12-28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297A KR20140086297A (ko) 2014-07-08
KR102048585B1 true KR102048585B1 (ko) 2019-11-25

Family

ID=5173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608A KR102048585B1 (ko) 2012-12-28 2012-12-28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705B2 (ja) 1980-11-27 1985-05-04 日東電工株式会社 金属板補強用の接着性シ−トと金属板補強方法
KR100600098B1 (ko) * 2004-07-22 2006-07-13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금속 패널용 보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297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904B2 (en) Method of making a body part or chassis part of a motor vehicle
EP1089870B1 (en) Reinforcement laminate
KR101981832B1 (ko) 금속 지지체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구비되어 있는 경화성 코팅을 포함하는 반제품 또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04775489U (zh) 用于车身面板的阻尼和硬化组件、车身部件和车门
JP2009166408A (ja) 構造用部材
CN110843928A (zh) 两件式胶接车辆组件
JP2020536769A5 (ko)
US20080135166A1 (en) Method for Producing Steering Wheel Decorative Covers and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US20140079507A1 (en) Bolt, method and bolt arrangement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 base material
US8361583B2 (en) Resistive implant welding for adhesive curing for thermoplastic and thermoset applications
JP2009073088A (ja) インサート成形体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80078819A (ko)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차체부품 제조 방법
KR102048585B1 (ko) 자동차 차체 강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시트
JP2010064669A (ja) フレー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32030A (ja) 接着構造体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11142254B2 (en) System of a sealed and reinforced structural element
US20130140840A1 (en) Trim panel
US10145403B2 (en) Joining process, manufacturing process, arrangement of components and vehicle seat
US20160096351A1 (en) Dual coated film for bonding dissimilar materials
KR101798974B1 (ko) 차량용 대쉬패널
KR100844644B1 (ko) 차량의 외측 패널구조
EP3168116B1 (de) Flächiges fahrzeugkarosserieteil
KR100946382B1 (ko)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KR20190072222A (ko) 복합 소재 패널의 접합방법, 및 접합구조
KR100795390B1 (ko) 겹침 구조를 갖는 차량용 frp 중공형 구조물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