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297B1 -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297B1
KR102048297B1 KR1020190079931A KR20190079931A KR102048297B1 KR 102048297 B1 KR102048297 B1 KR 102048297B1 KR 1020190079931 A KR1020190079931 A KR 1020190079931A KR 20190079931 A KR20190079931 A KR 20190079931A KR 102048297 B1 KR102048297 B1 KR 10204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romide
cleaning
dimethyl carbonat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묵
박영기
오주영
Original Assignee
이준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묵 filed Critical 이준묵
Priority to KR102019007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11/0047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11D7/30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09Amines or imines with one to four nitrogen atoms;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2Electronic devices, e.g. PCB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금속, 비금속 세정제에 관한 것으로, 금속가공유, 타발유와 같은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1,2 디클로로프로판(1,2 DCP)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서, 규제 대상 물질들을 피해갈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또한,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고, 가격적으로도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NON-WATER SOLUBLE ECO-FRIENDLY METAL DETERGENT AND NON-METAL DETERGENT}
본 발명은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 반도체 산업의 발달에 따라 전자부품산업도 급속히 시장이 커가고 있다. 전자부품을 제조,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속류에 타발유, 금속가공유와 같은 오일 성분을 사용하게 되는데, 최종적으로는 상기 오일성분 및 오염원을 제거해야만 한다. 이러한 오일성분 및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제가 사용되는데, 세정효과가 우수하고, 세척공정에서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인체 및 환경에 영향이 없는 우수한 세정제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세정제로 오랫동안 사용해오고 있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및 1,2-디크로로프로판(DCP) 등의 염소계 용제는 화재 염려가 없고 세척력 등이 양호하며, 가격적인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염소계 용제는 인체에 발암성 및 생식독성을 유발한다는 각종보고서와 함께 세계 각국에서 심한 규제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및 1,2 디크로로프로판(DCP)과 같은 염소계 용제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인화성, 세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 세정제 개발이 필요하다.
대체 세정제로서 비염소계 유기용제 타입은 세척력은 좋지만 화재 위험이 높고, 휘발성이 강하며, 인체 발암성이 있고,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적 문제가 있으므로, 대체 세정제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112호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을 대체하는 성분으로 1,2-디크로로프로판(DCP)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1,2-디크로로프로판(DCP)은 생식독성 문제로 2019년부터 규제 대상물질로서 세정제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7387호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를 60 내지 70 부피부로, 디브로모메탄 성분을 20 내지 35 부피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제는 원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며,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의 빠른 휘발성으로 인해 세정액의 소모가 많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세정제를 활용하여 세척작업을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상기 세정제를 사용하기 여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경제적인 문제도 해결하고, 세척력도 우수하며, 친환경적인 세정제 개발이 시급한 현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112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738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사용하던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및 1,2-디크로로프로판(DCP) 등의 용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브롬화물 및 플루오르화물을 주원료로 이용하여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 변이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적인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T-Voc 유발물질인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고, 원가가 높은 브로민화 메틸렌(DBM) 등의 브롬화물의 함량을 최대한 줄이면서, 세척성 및 내부식성, 내인화성이 우수한 세정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브롬화물 및 플루오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브롬화물은 브로민화 메틸렌(DBM), 이소부틸 브로마이드 및 tert-부틸브로마이드로 이우러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플루오르화물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헥사플루오로크실렌 및 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을 전술한 세정제 조성물로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기존에 세정제로 사용하던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및 1,2-디크로로프로판(DCP) 등의 염소계 용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세정성, 내부식성 및 내인화성이 우수하고, 발암성, 생식독성 및 생식 변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원료 가격이 높은 브롬화물, 즉, 브로민화 메틸렌(DBM)의 사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내인화성을 확보하여 세척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환경 친화적이며 인체친화적인 세정제로서, 디메틸카보네이트(DMC)의 빠른 휘발성과 인화성을 보완하므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세척 조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 대상의 금속 또는 비철금속의 표면 부식성을 완전히 보완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세정제들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브롬화물 및 플루오르화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척력은 양호하지만, 인화성이 있어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화재 염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메틸카보네이트와 난연성 원료인 브롬화물 및 플루오르화물을 혼합하여 인화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비수용성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및 1,2 디클로로프로판(1,2 DCP)의 용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는 세정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단독으로 사용가능한 친환경적인 용제이다.
상기 디메틸카보네이트는 종래 사용되었던 1,2 디클로로 프로판과 유사한 용해력과 세정성을 가지지만, 세정 대상의 금속 소지 표면에 부식을 일으키고, 인화성을 가지므로 세정 조건에서 불안정할 우려가 있다.
상기 디메틸카보네이트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5 중량% 또는 52 내지 59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우수한 용해력 및 세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량이 65 중량%를 초과하면 내인화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50 중량% 미만이면 세척성이 떨어지고, 세정제의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브롬화물은 난연성 원료로서 상기 디메틸카보네이트의 세정력을 보완하고, 난연성을 부과하는 난연용매이다.
상기 브롬화물은 브로민화 메틸렌(methylene bromide, Dibromo methane, DBM), 이소부틸 브로마이드 및 tert-부틸브로마이드로 이우러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브로민화 메틸렌(DBM)일 수 있다.
상기 브롬화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 15 내지 20 중량% 또는 16 내지 19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세정력 및 난연성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브롬화물, 특히 브로민화 메틸렌(DBM)은 가격 자체가 높아 세정제 조성물로 사용시 비용적인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10 중량% 미만이면 세정력이 저하되고 디메틸카보네이트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루오르화물은 세정제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세정액의 소비성을 줄일 수 있는 용매이다. 전술한 브로민화 메틸렌(DBM) 등의 브롬화물은 난연성 원료로서 디메틸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필수적이지만, 가격이 높아 사용 함량이 올라가면 세정제 원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루오르화물을 추가로 사용하여 난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화물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헥사플루오로크실렌 및 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일 수 있다. 상기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은 끓는점이 139℃로 높아 세정제에 난연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세정제의 소비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화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 20 내지 30 중량% 또는 21 내지 29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브롬화물을 25 중량% 이하로 사용하면서도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35 중량%를 초과하면 세정력이 약화되고, 금속 표면의 건조속도가 느려지며, 금속표면에 잔상이 남을 우려가 있다. 또한, 15 중량% 미만이면 내인화성을 확보할 수 없고, 세척공정 중 세정액이 휘발되어 세정액 양이 줄어들므로, 액을 보충하는데 필요한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성분, 즉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브롬화물 및 플루오르화물 외에 부식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정제 성분들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표면을 부식 시키며, 산화반응을 초래하므로, 상기 부식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식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께 사용하여 금속 또는 비금속 표면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식 방지제로는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N,N-dimethyl acetamide), 트리에탄올아민(Tri ethanol amine), 트리에틸아민(Tri ethyl amine), 머캅토 벤조트리아졸(Mercapto benzotriazole), 니트로에탄(Nitro ethane) 및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또는 2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세정제 조성물의 냄새가 심하고 액상인 세정제 조성물의 색상이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2 중량% 미만이면 세척 후 금속표면에 부식에 의한 얼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2,6-디 tert 부틸 메틸 페놀(2,6-Di tert butyl methyl phenol) 및 2,6-디-3-부틸 크레졸(2,6-Di-3-butyl creso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100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0.03 중량% 또는 0.01 내지 0.0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세정 작업후 금속표면의 산화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이 0.03 중량%를 초과하면 세척 작업후 세정제에 부유물 또는 찌꺼기가 발생되어 세정제 사용주기를 단축시키고, 금속표면에 얼룩이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전술한 성분들 외에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합기에 세정제 성분들을 첨가한 후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안정성을 위하여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순물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을 전술한 세정제 조성물로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정 대상, 즉, 금속 또는 비금속은 철 등의 금속, 세라믹,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천연 및 합성섬유(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직물), 및 전술한 물질들의 복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금속 가공에 사용되는 기름, 전자기판의 후락스(flux) 및 금속 가공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도출되는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수정 또는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57.0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19.0중량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21.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15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3.5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2.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52.0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17.0중량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29.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20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2.5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3.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59.0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16.0중량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25.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10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2.5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4.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55.0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17.0중량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26.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20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2.0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1.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67.0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30.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20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3.0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2.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45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40.0중량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10.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50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5.0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3.
1,2-디크로로프로판(DCP) 92.0중량부, 브로민화 메틸렌(DBM) 5.0중량부, 2,6-Di-3-butyl cresol 0.030중량부,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 3.0중량부를 뚜껑이 달린 글라스 라이닝된 배합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306)에 정확히 배합후 질소가스를 주입하면서 60 rpm 교반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조성물이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세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디메틸카보네이트 57.0 52.0 59.0 55.0 67.0 45.0 0
브로민화 메틸렌 19.0 17.0 16.0 17.0 30.0 40.0 5.0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 21.0 29.0 25.0 26.0 0 10.0 0
1,2-디크로로프로판 0 0 0 0 0 0 92.0
2,6-Di-3-butyl cresol 0.015 0.020 0.010 0.020 0.020 0.050 0.030
니트로프로판 3.5 2.5 2.5 2.0 3.0 5.0 3.0
실험예 . 물성 측정
1) 내인화성 .
폴리에스테르 섬유(천)를 길이 x 폭 = 10 cm x 8 cm의 크기로 준비하고, 이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세정액에 함침하고 꺼낸 다음, 불을 붙여 내인화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전혀 연소되지 않음
○: 일부가 인화되었다가 연소됨
△: 1 분후 인화되어 불이 붙음
×: 곧바로 인화됨
2) 세정성 .
동박(Cu판)을 길이 X 폭 = 5cm X 2cm의 크기로 준비하고, 이를 금속가공유(타발유)에 함침한 후 꺼내어 상온상태에서 5 분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세정액에 2 분간 함침 세정한 후 건조시켜 세정된 상태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 동박 표면에 오일성분 및 오염원이 완벽히 제거된 상태(매우양호)
○: 동박 표면에 오일성분 및 오염원이 제거된 상태(양호)
△: 동박 표면에 오일성분 및 오염원이 일부분 남아있는 상태(다소미흡)
×: 동박 표면에 오일성분 및 오염원이 30%이상 남아있는 상태(미흡)
3) 내부식성
동박(Cu판)을 길이 X 폭 = 5cm X 2cm의 크기로 준비하고, 이를 금속가공유(타발유)에 함침한 후 꺼내어 상온상태에서 5 분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세정액에 2 분간 함침 세정한 후 건조시켜 동박표면의 부식상태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 동박 표면에 부식이 젼혀 일어나지 않음(매우양호)
○: 동박 표면에 부식이 일부(5% 미만) 나타남(양호)
△: 동박 표면에 부식이 일부(10% 미만) 나타남(다소미흡)
×: 동박 표면에 부식이 50% 이상 나타남(미흡)
4) 액상 변색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세정액을 9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액상의 변색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가열전과 90℃ 가열후 색상의 변화 없음
○: 가열전과 90℃ 가열후 색상이 약간 변화(미황색)
△: 가열전과 90℃ 가열후 색상이 변화(황색)
×: 가열전과 90℃ 가열후 색상이 크게 변화(녹변, 황변)
5) 세정액 소모성
세정 공정 중 휘발에 의해 소모될 수 있는 세정액 양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세정제 100 mL를 증류시험기에 넣고 100℃에서 4 시간동안 유지시킨후 휘발되는 양으로 소모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휘발되는 양이 3% 미만(매우양호)
○: 휘발되는 양이 10% 미만(양호)
△: 휘발되는 양이 10% 이상(다소미흡)
×: 휘발되는 양이 30% 이상(미흡)
6) 친환경성
금속세정제 내에 산업안전보건공단의 화학물질정보에서 규정하고 있는 환경유해물질의 함유여부에 따라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함유하고 있지 않음
×: TCE 및 DCP 등의 환경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음
7) 가격 경제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세정액의 제조원가 및 세정액 소모를 고려하여 고객입장에서 판단될 세정액 구입비용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제조원가 3 7 5 6 8 10 1
세정액소모 4 1 3 2 8 7 5
점수합계 7 8 8 8 16 17 6
*제조원가 점수: 1(가장낮음) ~ 10(가장높음)
*세정액 소모 점수: 1(가장낮음) ~ 10(가장높음)
(합산기준 낮을수록 가격 경제성이 우수함)
◎: 합산점수 7 이하(매우양호)_
○: 합산점수 7-10(양호)
△: 합산점수 11-14(다소미흡)
×: 합산점수 15 이상(미흡)
상기 물성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내인화성
세척성 Х Х
내부식성
액상 변색성
세정액 소모성 (90℃)
친환경성 Х
가격경제성 Х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인화성의 경우, 실시예의 세정제 조성물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및 브로민화 메틸렌(DBM)을 각각 13 내지 19%, 15 내지 21%로 사용하여 내인화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는 브로민화 메틸렌(DBM)을 고함량으로 사용하여 내인화성에서 매우 안정성을 부여하지만, 고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
세척성의 경우, 디메틸카보네이트(DMC),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및 브로민화 메틸렌(DBM)의 양을 실시예 1과 같이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브로민화 메틸렌(DBM) 및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함량을 적정 비율로 사용할 때 세척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비교예 2와 같이, 산화방지제 및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내인화성, 세척성 및 가격적인 부분에서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세정액 소모성의 경우,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의 함량을 증가 시켰을 때 가장 적게 나타났으나, 상기 물질 자체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이상으로 사용시 고비용 문제와 세정력이 미세하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부식성의 경우, 비교예 1, 비교예 2와 같이 산화방지제 및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세정 대상물 소지의 얼룩 및 세정성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친환경성 및 가격적인 사항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1,2-디크로로프로판(DCP) 사용시 가장 저가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DCP는 규제 대상 물질로서 사용 하지 못한다.
실시예와 같이 친환경적인 성분 조성으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규제 대상 물질들을 피해갈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을 적정 비율로 사용하여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격적으로도 경제적인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4)

  1.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50 내지 65 중량%, 브롬화물 10 내지 25 중량% 및 플루오르화물 15 내지 35 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브롬화물은 브로민화 메틸렌(methylene bromide, DBM), 이소부틸 브로마이드 및 tert-부틸브로마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플루오르화물은 파라-클로로벤조 트리플루오리드(PCBTF), 헥사플루오로크실렌 및 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N,N-dimethyl acetamide), 트리에탄올아민(Tri ethanol amine), 트리에틸아민(Tri ethyl amine), 머캅토 벤조트리아졸(Mercapto benzotriazole), 니트로에탄(Nitro ethane) 및 니트로프로판(Nitro propa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식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부식 방지제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인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2,6-디 tert 부틸 메틸 페놀(2,6-Di tert butyl methyl phenol) 및 2,6-디-3-부틸 크레졸(2,6-Di-3-butyl creso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화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량은 0.005 내지 0.03 중량%인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메틸렌클로라이드(MC) 및 1,2 디클로로프로판(1,2 DCP)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세정제 조성물.
KR1020190079931A 2019-07-03 2019-07-03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KR10204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931A KR102048297B1 (ko) 2019-07-03 2019-07-03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931A KR102048297B1 (ko) 2019-07-03 2019-07-03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289A Division KR101999100B1 (ko) 2019-01-15 2019-01-15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297B1 true KR102048297B1 (ko) 2019-11-25

Family

ID=6873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931A KR102048297B1 (ko) 2019-07-03 2019-07-03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2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43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210128825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102371815B1 (ko) 2020-09-22 2022-03-10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220052387A (ko)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비수용성 세정제 조성물
KR20220150654A (ko) * 2021-05-04 2022-11-11 풍원화학(주)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 방법
KR102488772B1 (ko) * 2022-03-02 2023-01-17 동해케미칼공업주식회사 아민계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금속세정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554A (ko) * 1998-06-05 2001-06-25 캐롤린 에이. 베이츠 세정 및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127112B1 (ko) 2011-10-12 2012-03-22 바이켐 주식회사 금속 세정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7387B1 (ko) 2016-09-26 2017-06-28 이범환 비염소계 타입의 비수용성 금속 세정제 및 비염소계 타입의 비수용성 비금속 세정제
KR101922140B1 (ko) * 2018-08-20 2018-11-26 진정복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554A (ko) * 1998-06-05 2001-06-25 캐롤린 에이. 베이츠 세정 및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127112B1 (ko) 2011-10-12 2012-03-22 바이켐 주식회사 금속 세정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7387B1 (ko) 2016-09-26 2017-06-28 이범환 비염소계 타입의 비수용성 금속 세정제 및 비염소계 타입의 비수용성 비금속 세정제
KR101922140B1 (ko) * 2018-08-20 2018-11-26 진정복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43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210128825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102371815B1 (ko) 2020-09-22 2022-03-10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220052387A (ko)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비수용성 세정제 조성물
KR20220150654A (ko) * 2021-05-04 2022-11-11 풍원화학(주)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 방법
KR102525612B1 (ko) * 2021-05-04 2023-04-26 풍원화학(주)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 방법
KR102488772B1 (ko) * 2022-03-02 2023-01-17 동해케미칼공업주식회사 아민계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금속세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297B1 (ko)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KR101999100B1 (ko) 비수용성 친환경 금속 및 비금속 세정제 조성물
KR101747387B1 (ko) 비염소계 타입의 비수용성 금속 세정제 및 비염소계 타입의 비수용성 비금속 세정제
JP6226144B2 (ja) 洗浄剤組成物原液、洗浄剤組成物および洗浄方法
KR101043033B1 (ko) 세 가지 성분으로 된 불연성 세척 용매
KR101922140B1 (ko)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방법
KR101127112B1 (ko) 금속 세정제 및 그 제조 방법
AU2006249488B2 (en) Corrosion inhibitor formula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lower toxicity and reduced manufacturing hazards
JPH0457899A (ja) ロジン系ハンダフラックスの洗浄剤および該洗浄剤を用いてなるロジン系ハンダフラックスの洗浄方法
KR102433757B1 (ko) 비수용성 세정제 조성물
JP2018199808A (ja) 鉛フリーはんだフラックス用洗浄剤組成物、鉛フリーはんだフラックスの洗浄方法
CN109706008B (zh) 一种含八氟戊基烯烃醚的卤代烃组合溶剂及其应用
KR102525612B1 (ko) 금속 세정제 및 금속의 세정 방법
KR102332197B1 (ko)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CN114571138B (zh) 一种环保助焊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71110A (ko) 비인화성 세정 조성물
CN109401859B (zh) 一种松香型助焊剂用水基清洗剂及清洗方法
CN107636135A (zh) 清洁溶剂组合物及它们的用途
KR20100073018A (ko) 고점도 금속 가공유용 세정 조성물
JPH04122800A (ja) 非ハロゲン系洗浄剤組成物
JP3233886B2 (ja) 洗浄用組成物
KR102558848B1 (ko) 친환경 금속 세정제
JPH06122897A (ja) 脱脂洗浄剤
JPH0374496A (ja) 浄化用組成物及び浄化法
WO1998016617A1 (en) Environmentally safe bromopentane composition for cleaning metallic, electrical and plastic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