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648B1 -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648B1
KR102047648B1 KR1020130117001A KR20130117001A KR102047648B1 KR 102047648 B1 KR102047648 B1 KR 102047648B1 KR 1020130117001 A KR1020130117001 A KR 1020130117001A KR 20130117001 A KR20130117001 A KR 20130117001A KR 102047648 B1 KR102047648 B1 KR 10204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mplifier
power
signal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425A (ko
Inventor
문용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 오디오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CAN 신호를 생성하는 제1 CAN 통신부, 엔진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2 CAN 신호를 생성하는 제2 CAN 통신부, 카 오디오가 출력하는 음향을 증폭하여 재생하는 제1 디지털 앰프부, 가상엔진음 또는 소음제거용 음향을 증폭하여 재생하는 제2 디지털 앰프부, 제1 및 제2 CAN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디지털 앰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제1 및 제2 CAN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디지털 앰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의 디지털 앰프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카 오디오 및 엔진 중 동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음향을 재생 및 증폭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일부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S OF DIGITAL AMPLIFIER SYSTEMS FOR VEHICLES USING DOUBLE CAN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 오디오 및 차량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하는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는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매우 낮아지며, 이는 특히 시각 장애인을 포함한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상의 엔진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차량의 접근을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가상 엔진음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서는 가상 엔진음을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하여 주행 도중 오디오 앰프가 동작하게 되며, 또한 차량에 편의 시설로 장착되어 있는 카 오디오가 재생하는 음악을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해서도 오디오 앰프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차량 내부의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역위상의 음향을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하여 소음을 역위상의 음향으로 상쇄시키는 능동 소음 제거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콘솔을 통하여 이러한 능동 소음 제거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선택적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디오 앰프로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및 증폭기를 포함하고, 디지털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앰프가 사용되고 있다.
차량에 탑재된 각종 전자 기기 및 엔진 등과 이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부(Electric Control Unit, ECU)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표준으로서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카 오디오, 콘솔 및 전기 모터 등도 CAN 통신을 통하여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103430호(2004.12.8 공개, 발명의 명칭 :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가 있다.
본 발명은, 카 오디오 또는 엔진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디지털 앰프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카 오디오, 콘솔 및 전기 모터 중 동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음향을 재생 및 증폭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일부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는 카 오디오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CAN 신호를 생성하는 제1 CAN 통신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능동 소음 제거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2 CAN 신호를 생성하는 제2 CAN 통신부, 카 오디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제1 디지털 앰프부, 가상엔진음 음향 신호 및 능동 소음 제거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제2 디지털 앰프부, 상기 제1 및 제2 CA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제1 디지털 앰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CA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제2 디지털 앰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CAN 통신부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CAN 통신부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상기 제2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제1 제어부가 제1 CAN 통신부가 생성한 제1 CAN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제2 제어부가 제2 CAN 통신부가 생성한 제2 CAN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시동 키 조작에 따라 ACC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CAN 통신부에 인가되는 단계를,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보다 먼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CAN 통신부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CAN 통신부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상기 제2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디지털 앰프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카 오디오, 콘솔 및 전기 모터 중 동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음향을 재생 및 증폭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일부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는 제1 CAN 통신부(100), 제1 제어부(200), 제2 CAN 통신부(300), 제2 제어부(400), 제1 디지털 앱프부(600), 제2 디지털 앰브푸(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CAN 통신부(100)는 카 오디오(미도시)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CAN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 오디오는 자신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차량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시동키 조작에 따라 차량의 액세서리(Accessary, ACC) 전원이 켜질 때 카 오디오 및 제1 CAN 통신부(100)에 ACC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카 오디오는 자신에게 전원이 인가되었다는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카 오디오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게 되거나, 반대로 음향을 재생하지 않게 될 때, 카 오디오가 자신이 음향을 재생하거나 재생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CAN 통신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 오디오가 송신한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따라 제1 CA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CAN 통신부(100)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제1 CAN 신호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CAN 신호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제1 CAN 신호에 응답하여 카 오디오의 음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CAN 통신부(300)는 엔진의 동작 상태 및 능동 소음 제거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2 CAN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미도시) 및 능동 소음 제거 동작 기능을 선택하는 콘솔(미도시)은 자신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차량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시동키 조작에 따라 차량의 ACC 전원이 켜질 때 차량의 콘솔 및 제2 CAN 통신부(300)에 ACC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가 전기 모터를 통하여 구동되고 있는 경우, 차량은 이미 시동이 걸려 있으므로 ACC 전원이 전기 모터 및 제 2 CAN 통신부(300)에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전기 모터 및 콘솔은 자신에게 전원이 인가되었다는 정보 또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는 CAN 통신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콘솔을 통하여 차량 내부의 능동 소음 제거 기능을 동작시키는 경우, 차량의 콘솔이 능동 소음 제거 기능이 동작하고 있다는 정보를 CAN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 2 CAN 통신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기 모터 또는 콘솔이 송신한 차량의 구동 상태 또는 능동 소음 제거 기능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따라 제2 CA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CAN 통신부(300)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제2 CAN 신호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CAN 신호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거나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제2 CAN 신호에 응답하여 가상 차량 의 음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디지털 앰프부(600)는 카 오디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한다.
이 때, 카 오디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지털 앰프부(60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AC(610) 및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제1 증폭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카 오디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는 이퀼라이저 또는 음장처리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500)를 통하여 처리된 뒤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디지털 앰프부(700)는 가상엔진음 음향 신호 및 소음제거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한다.
이 때, 제 1 디지털 앰프부(6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디지털 앰프부(700) 역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DAC(710) 및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제2 증폭기(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상엔진음 음향 신호 및 소음제거 음향 신호 역시 신호 처리부(500)를 통하여 신호 처리된 뒤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신호 처리부(500)가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제공되는 신호 및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제공되는 신호를 모두 처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디지털 앰프부(600) 및 제2 디지털 앰프부(700) 각각에 분리된 신호 처리부(500)가 할당되어 별도로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200)는 제1 및 제2 CA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제1 디지털 앰프부(600)의 전원을 제어한다.
제1 제어부(200)는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CAN 신호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인에이블되므로,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에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제1 제어부(200)는 제1 CAN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지 않을 경우, 사용되지 않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할 수 있고 동시에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주행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제어부(200)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 뿐 아니라 신호처리부(500)의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CAN 신호와 제2 CAN 신호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신호처리부(5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 CAN 신호 및 제2 CAN 신호가 모두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신호처리부(500)에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CA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제2 디지털 앰프부(700)의 전원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2 CAN 신호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해서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인에이블되므로,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해서 주행하거나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이 재생되는 경우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제2 제어부(300)는 제2 CAN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해서 주행되지 않으며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도 재생되지 않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할 수 있고 동시에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주행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제어부(300)는 제2 디지털 앰프부(700) 뿐 아니라 신호처리부(500)의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CAN 신호와 제2 CAN 신호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신호처리부(5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 CAN 신호 및 제2 CAN 신호가 모두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신호처리부(500)에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운전자의 시동 키 조작에 따라 ACC 전원이 제1 및 제2 CAN 통신부(100, 300)에 인가된다(S110).
이 때, ACC 전원은 카 오디오, 차량의 콘솔 및 전기 모터 등에도 인가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부(200)가 제1 CAN 통신부(100)가 생성한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 되어있는지 판단한다(S120).
여기서, 제1 CAN 통신부(100)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제1 CAN 신호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제1 제어부(200)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S130).
따라서,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제1 제어부(200)는 제1 CAN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지 않을 경우, 사용되지 않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할 수 있고 동시에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주행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이후, 제2 제어부(400)가 제1 CAN 통신부(300)가 생성한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 되어있는지 판단한다(S140).
여기서, 제2 CAN 통신부(300)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제2 CAN 신호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40)의 판단 결과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제2 제어부(400)는 제1 디지털 앰프부(6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S150)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단계(S140)의 판단 결과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전원 인가가 불필요하므로,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따라서, 차량이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해서 주행하거나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이 재생되는 경우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제2 제어부(400)는 제2 CAN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는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해서 주행되지 않으며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도 재생되지 않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 제2 디지털 앰프부(7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할 수 있고 동시에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주행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제1 CAN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제1 디지털 앰프부(6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이후 제2 CAN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제2 디지털 앰프부(7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지털 앰프부(700)의 전원 공급을 먼저 제어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디지털 앰프부(600, 700)의 전원 공급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디지털 앰프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카 오디오, 콘솔 및 전기 모터 등 중에서 동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음향을 재생 및 증폭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일부만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 CAN 통신부 200 : 제1 제어부
300 : 제2 CAN 통신부 400 : 제2 제어부
500 : 신호처리부 600 : 제1 디지털 앰프부
610 : 제1 DAC 620 : 제1 증폭기
700 : 제2 디지털 앰프부 710 : 제2 DAC
720 : 제2 증폭기

Claims (11)

  1. 카 오디오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CAN 신호를 생성하는 제1 CAN 통신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능동 소음 제거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2 CAN 신호를 생성하는 제2 CAN 통신부;
    카 오디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제1 디지털 앰프부;
    가상엔진음 음향 신호 및 능동 소음 제거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제2 디지털 앰프부;
    상기 제1 및 제2 CA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제1 디지털 앰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CA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제2 디지털 앰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CAN 통신부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제2 CAN 통신부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상기 제2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제어부가 제1 CAN 통신부가 생성한 제1 CAN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제2 제어부가 제2 CAN 통신부가 생성한 제2 CAN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운전자의 시동 키 조작에 따라 ACC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CAN 통신부에 인가되는 단계를,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보다 먼저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CAN 통신부는 카 오디오가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CAN 통신부는 차량이 전기 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경우 및 능동 소음 제거용 음향을 재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 상기 제2 CAN 신호를 인에이블하며,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1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CAN 신호가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제2 디지털 앰프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17001A 2013-09-30 2013-09-30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001A KR102047648B1 (ko) 2013-09-30 2013-09-30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001A KR102047648B1 (ko) 2013-09-30 2013-09-30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25A KR20150037425A (ko) 2015-04-08
KR102047648B1 true KR102047648B1 (ko) 2019-11-22

Family

ID=5303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001A KR102047648B1 (ko) 2013-09-30 2013-09-30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33A (ko)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무선 공용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526602B1 (ko) * 2009-11-30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
KR101735837B1 (ko) * 2010-12-16 2017-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25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9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in response to auto-cruise speed settings
US10224017B2 (en) Active sound desensitization to tonal noise in a vehicle
US20170323631A1 (en) Vehicle including noise management system having automotive audio bus (a2b) interface
CN107426649A (zh) 用于控制车辆的声音特性的系统和方法
US20180261200A1 (en) In-vehicle nois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11152B2 (en) Multiple sound localizations for improved internal sound synthesis
KR102358968B1 (ko) 신호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4148254B (zh) 一种汽车低速提示音实现系统
CN110096252A (zh) 车内媒体声音抑制
US201402941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mping or amplifying a sound introduced in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CN114312558A (zh) 一种用于在汽车上实现低速提示音avas和主动声增强ase的系统
CN107071696A (zh) 主连接装置的次级连接装置同伴应用控制
CN107310466B (zh) 行人警示方法、装置及系统
KR102047648B1 (ko) 이중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디지털 앰프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523900A (zh) 一种集成行人警示音与引擎声浪功能的控制系统及方法
EP3807870B1 (en) System for adaptive magnitude vehicle sound synthesis
EP2716501B1 (en) Decel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decel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N111452779A (zh) 用于运行混合动力电动车辆的方法及混合动力电动车辆
KR101570408B1 (ko) 차량의 능동 소음 제어 장치
KR101640055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오디오 장치 및 차량
WO2008015293A3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and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and arrangement
KR20130142492A (ko) 가상 엔진음 시스템 및 생성 방법
CN103287363B (zh) 一种车用人机接口系统及汽车
DE102017210688A1 (de) Schallerzeu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KR10167513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신호 증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