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132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132B1
KR102046132B1 KR1020190118995A KR20190118995A KR102046132B1 KR 102046132 B1 KR102046132 B1 KR 102046132B1 KR 1020190118995 A KR1020190118995 A KR 1020190118995A KR 20190118995 A KR20190118995 A KR 20190118995A KR 102046132 B1 KR102046132 B1 KR 10204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ubstrate
central body
fixture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봉
Original Assignee
(주)티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케이씨 filed Critical (주)티케이씨
Priority to KR102019011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1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ly, the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is easy for transfer of a substrate and transfer of an overall following process and can more statically and stably perform overall loading, transferring and processing of the overall apparatus. The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unit, a first substrate staying unit, a first pick-up module, a second substrate staying unit and a second pick-up module.

Description

기판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본 발명은 기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적재, 이송 및 가공을 수행하되, 대량의 기판 취급을 보다 안정적이고 정적으로 취급하도록 하여 현장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기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transferring, and processing a substrate, and handling a large amount of substrates more stably and statically, thereby improving an on-site working environment. It is about.

기판(예 : 회로기판 등)의 이송을 위한 기술들은 대부분 초기 투입과 가공공정과 공정 간에서의 이송의 속도와 이송 과정에서의 낙하를 방지하는 등의 대한 부분으로 집중되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판들은 대부분 소량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대량으로 빠르게 투입 및 가공되도록 취급된다. 때문에 기판의 이송과 이송과정에서의 가공에 있어 안정적이고 정적인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판의 취급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Most technologie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such as circuit board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areas of initial input and processing, and the speed of transfer between processes and prevention of dropping during transfer. However, most of these substrates are not handled in small quantities, but are handled to be rapidly loaded and processed in large quantiti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ble and static handling is difficult in the processing of the substrate transfer and transfer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be able to perform the handling of the substrate more stably.

한국등록특허 제10-133231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2318

기판의 적재, 이송 및 가공을 수행하되, 대량의 기판 취급을 보다 안정적이고 정적으로 취급하도록 하여 현장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기판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strate transfer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loading, transfer and processing of substrates, and handling a large amount of substrates more stably and statically, thereby improving field 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기판 이송 장치로서, 대량의 기판을 취급하기 위한 본체부(10);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10) for handling a large amount of substrates;

전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기판이 체류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제1 기판 체류부(20); 상기 제1 기판 체류부(20)의 기판을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1 픽업모듈(30); 상기 제1 픽업모듈(30)에 의하여 상기 제1 기판 체류부(20)에서 픽업된 기판이 이송되어 체류되며, 체류되는 기판을 수직방향으로 리프트(lift) 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제2 기판 체류부(40); 상기 제2 기판 체류부(40)에 의하여 리프트된 기판을 픽업하여 후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픽업모듈(5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는 하부에 수용체(110)에 삽입되는 기둥(15)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수용체(110)는, 종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1 수용부(111)와 형합 대응되며 바(bar) 형상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 수용부(11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제2 수용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2 수용부(112)는 상호 대응되는 반구형 중공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15)의 내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수용체(110)는 높이방향 상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모듈(12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상방에 구비되는 상단 고정체(121)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체(123)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상기 상단 고정체(121)와 상기 하단 고정체(1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 고정체(122)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 고정체(121), 상기 중단 고정체(122) 및 상기 하단 고정체(123)는 상호간에 체결수단(124)으로 연동되어 결속되며, 상기 상단 고정체(121)는, 상기 수용체(110)를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1 중앙본체부(1211)와,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1 유동몸체부(1212)와,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2 유동몸체부(1213)가 구비되며, 상기 중단 고정체(122)는, 상기 수용체(110)에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2 중앙본체부(1221)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1 유동몸체부(1222)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2 유동몸체부(1223)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고정체(123)는, 상기 수용체(110)에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3 중앙본체부(1231)와,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1 유동몸체부(1232)와,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3-2 유동몸체부(12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와 상기 제2-2 유동몸체부(1223)는 제1 체결수단(1241)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와 상기 제3-2 유동몸체부(1233)는 제2 체결수단(1242)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 및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는 연동바(125)에 의하여 상호 연동되며,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는 연동바(125)를 매개로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도록 동작시키는 기판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A first substrate retention part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0 so that the substrate transferred from the previous process remains; A first pickup module 30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the substrate of the first substrate stayer 20; The substrate picked up by the first substrate staying part 20 is transported and stayed by the first pickup module 30, and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part 10 to lift the stayed subs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ubstrate retention portion 40; And a second pickup module 50 for picking up the substrate lifted by the second substrate holding part 40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a later process, wherein the main body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1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pillars 15 may be provided, and the receptor 11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having a longitudinally cut shap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12 for advancing or revers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is provided through the 113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12 are mutually provided. A corresponding hemispherical hollow groove is formed, pressurized to the inside of the pillar 15, the receptor 110 is provided with a fixing module 120 for generating a fix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xed module ( 120, the upper fixing body 121 provided abov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height of the container (110) The lower fixture 123 is provided at the bottom on the top, and the suspension fixture 122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ture 121 and the lower fixture 12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eptor 110 is provided The upper fixture 121, the suspension fixture 122, and the lower fixture 12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 fastening means 124, and the upper fixture 121 is connected to the receptor ( A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provided to surround and bind 110, a first-first flow body part 12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and the first central body part A second flow body portion 121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1211 is provided, and the suspension fixture 122 is provided with a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container 110 and bound. And a 2-1 floating body portion 122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The 2-2 fluid body part 1223 is provided, The lower fixed body 123, the third central body portion (1231) and the third central body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bound by the container 110, 3-1 flow body portion 123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1231), and 3-2 flow body portion (123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entral body portion (1231), The 1-1 moving body portion 1212 and the 2-2 moving body portion 1223 are interlocked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ans 1241, and the 2-1 moving body portion 1222 and the third 2 flow body portion 1233 is interlocked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2, the first central body portion 1211,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and the third central body portion 1231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interlocking bar 125,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is to hold the first central body portion 1211 and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via the interlocking bar 125. To transfer or push the substrate transfer device The ball.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적재, 이송 및 가공을 수행하되, 대량의 기판 취급을 보다 안정적이고 정적으로 취급하도록 하여 현장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기판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carrying out loading, transfer, and processing of a substrate, and handling a large amount of substrates more stably and statically, thereby improving an on-site working environmen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기판 이송 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1 내지 도 11에 따른 구성들 중 본체부, 저면패널부 및 기타 이치부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1 are views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FIG.
12 to 16 illustrate configurations for installing the main body portion, the bottom panel portion, and other portions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S. 1 to 1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기판 이송 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기판 이송 장치로서, 대량의 기판을 취급하기 위한 본체부(10); 전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기판이 체류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제1 기판 체류부(20); 상기 제1 기판 체류부(20)의 기판을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1 픽업모듈(30); 상기 제1 픽업모듈(30)에 의하여 상기 제1 기판 체류부(20)에서 픽업된 기판이 이송되어 체류되며, 체류되는 기판을 수직방향으로 리프트(lift) 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제2 기판 체류부(40); 상기 제2 기판 체류부(40)에 의하여 리프트된 기판을 픽업하여 후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픽업모듈(50)을 포함한다. 1 to 3 are views illustrating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the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1 to 11, a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10 for handling a large amount of substrates; A first substrate retention part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0 so that the substrate transferred from the previous process remains; A first pickup module 30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the substrate of the first substrate stayer 20; The substrate picked up by the first substrate staying part 20 is transported and stayed by the first pickup module 30, and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part 10 to lift the stayed subs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ubstrate retention portion 40; And a second pickup module 50 for picking up the substrate lifted by the second substrate stayer 40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a later process.

상기 본체부(10)는 하부에 수용체(110)에 삽입되는 기둥(15)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수용체(110)는, 종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1 수용부(111)와 형합 대응되며 바(bar) 형상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 수용부(11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제2 수용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2 수용부(112)는 상호 대응되는 반구형 중공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15)의 내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수용체(110)는 높이방향 상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모듈(120)이 구비된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15 to be inserted into the receptor 110 in the lower portion. The receptor 110 is formed in a longitudinally cut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1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r (bar) shaped body 113 through the first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12 is provided to move the accommodating part 111 forward or back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2 are formed with a hemispherical hollow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pressurized into the pillar 15, the receptor 110 is upward and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Fixing module 120 for generating a fixing force between the down is provided.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상방에 구비되는 상단 고정체(121)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체(123)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상기 상단 고정체(121)와 상기 하단 고정체(1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 고정체(122)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 고정체(121), 상기 중단 고정체(122) 및 상기 하단 고정체(123)는 상호간에 체결수단(124)으로 연동되어 결속된다.The fixing module 120 has an upper fixing body 121 provided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 and a lower fixing body 123 provided at a lower 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 A stop fixture 122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ture 121 and the lower fixture 12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eptor 110. The upper fixture 121, the suspension fixture 122, and the lower fixture 123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ans 124.

상기 상단 고정체(121)는 상기 수용체(110)를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1 중앙본체부(1211)와,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1 유동몸체부(1212)와,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2 유동몸체부(1213)가 구비된다.The upper stationary body 121 includes a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provided to surround the receptor 110 and a first-first flow body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1212 and a 1-2 flow body portion 121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entral body portion 1211 are provided.

상기 중단 고정체(122)는 상기 수용체(110)에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2 중앙본체부(1221)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1 유동몸체부(1222)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2 유동몸체부(1223)가 구비된다. 상기 하단 고정체(123)는 상기 수용체(110)에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3 중앙본체부(1231)와,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1 유동몸체부(1232)와,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3-2 유동몸체부(1233)가 구비된다.The suspension fixture 122 has a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provided to surround and bound the receptor 110 and a 2-1 fluid body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1222 and the second-2 fluid body portion 122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are provided. The lower fixing body 123 is provided with a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provided to be bound by the receptor 110 and a 3-1 fluid body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1232 and the third-2 fluid body 123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are provided.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와 상기 제2-2 유동몸체부(1223)는 제1 체결수단(1241)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와 상기 제3-2 유동몸체부(1233)는 제2 체결수단(1242)을 통해 연동된다.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 및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는 연동바(125)에 의하여 상호 연동되며,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는 연동바(125)를 매개로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도록 동작시킨다.The first-first flow body part 1212 and the second-second flow body part 1223 are interlocked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ans 1241, and the second-first flow body part 1222 and the second body are arranged. 3-2 the floating body portion 1233 is interlocked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2.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the second central body part 1221, and the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n interlocking bar 125, and the second central body part 1221 is provided.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and the second central body part 1221 are operated to pull or push through the interlocking bar 125.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는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승강 또는 하강 유동되는 제1 가이드부(1212a)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1212a)에는 상기 제1 체결수단(1241)의 일단이 결속된다.The first-first flow body portion 1212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ortion 1212a which is moved up or down in the first-first flow body portion 1212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he first guide portion (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means 1241 is engaged with 1212a).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는,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승강 또는 하강 유동되는 제2 가이드부(1212b)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1212b)에는 상기 제2 체결수단(1242)의 일단이 결속된다.The 2-1 flow body portion 1222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portion 1212b which is moved up or down in the 2-1 flow body portion 1222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he second guide portion 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2 is coupled to 1212b.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는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수단(1241)을 매개로 상기 제2-2 유동몸체부(1223)와의 결속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는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체결수단(1242)을 매개로 상기 제3-2 유동몸체부(1233)와의 결속력의 조절이 가능하다.The first-first flow body part 1212 is rotatably provided in a forward rotation or a reverse rotation manner in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1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1. 2 The binding force with the floating body portion 1223 can be adjusted. The 2-1 flow body portion 1222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manner in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the third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2) 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inding force with the floating body portion (1233).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 및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는 각각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2 유동몸체부(1213), 상기 제2-2 유동몸체부(1223) 및 상기 제3-2 유동몸체부(1233)는 각각 X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에는 다수의 출몰돌기(T)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체결수단(1241), 상기 제2 체결수단(1242)은 각각 적어도 한 쌍의 출몰돌기(T)들 사이에 가이드 된다.The first-first flow body portion 1212 and the second-first flow body portion 1222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second flow body portion 1213 and the second. The -2 flow body part 1223 and the 3-2 flow body part 1233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central body portion 1211,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and the third central body portion 1231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 protrusions T,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means 1241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2 are guided between at least one pair of projection protrusions T, respectively.

상기 수용체(110)는 상기 제1 수용부(111)에 반구형 제1 돌출물(111a)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용부(112)에 반구형 제2 돌출물(112a)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기둥(15)은 상방 몸체부(121a)와, 상기 상방 몸체부(121a)와 내장봉(121e)으로 연동되어, 상기 내장봉(121e)을 매개로 상기 상방 몸체부(121a)가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하방 몸체부(121b)를 포함한다.The receptor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first protrusions 111a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1,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econd protrusions 112a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2. 15 is interlocked with the upper body portion 121a, the upper body portion 121a and the built-in rod 121e, and the upper body portion 121a is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built-in rod 121e. It includes a lower body portion 121b to flow.

상기 상방 몸체부(121a)와 상기 하방 몸체부(121b) 사이에서 상기 내장봉(121e)의 외주면에 제1 구획체(121c)와, 제2 구획체(121d)가 구비되며, 상기 내장봉(121e)은 상기 제1 구획체(121c)와 상기 제2 구획체(121d)를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제1 구획영역(SP1)과 제2 구획영역(SP2), 제3 구획영역(SP3)이 형성된다.Between the upper body portion 121a and the lower body portion 121b, a first compartment 121c and a second compartment 121d ar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rod 121e, and the built-in rod ( 121e is a first partition area SP1, a second partition area SP2, and a third partition area SP3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partition 121c and the second partition 121d. Is formed.

상기 제1 수용부(111)의 상기 제1 돌출물(111a)과 상기 제2 수용부(112)의 상기 제2 돌출물(112a)는 각각 상기 제1 구획영역(SP1) 내지 상기 제3 구획영역(SP3)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제1 돌출물(111a)과 상기 제2 돌출물(112a)이 상기 제1 구획영역(SP1) 내지 상기 제3 구획영역(SP3)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방 몸체부(121a)는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 돌출물(111a)과, 상기 제2 돌출물(112a)을 각각 가압한다.The first protrusion 11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12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12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first partition area SP1 to the third partition area ( SP3) is inserted and mounted. The upper body part 121a is downward when the first protrusion 111a and the second protrusion 112a are mounted in the first partition area SP1 to the third partition area SP3, respectively. It flows and presses the 1st protrusion 111a and the 2nd protrusion 112a, respectively.

상기 제1 돌출물(111a)과 상기 제2 돌출물(112a)는 각기 내부에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기 돌출되어 있거나 추후에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용체(1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저면패널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패널부(126)는, 상기 수용체(110)들 중 제1 수용체(1101)가 거치되는 제1 저면패널부(1261)와, 상기 수용체(110)들 중 제2 수용체(1102)가 거치되는 상기 제1 저면패널부(1261)에 수용되어 전진되거나 후진되는 제2 저면패널부(1262)가 구비된다.The first protrusion 111a and the second protrusion 112a are provid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inside, and protrude from each other or protrude later. The bottom panel unit 126 is provided below the container 1110. The bottom panel portion 126 includes a first bottom panel portion 1261 to which the first receptor 1101 is mounted, and a second receptor 1102 among the receptors 110 to be mounted. The second bottom panel portion 1262 is provided in the first bottom panel portion 1261 which is forward or backward.

상기 제1 저면패널부(1261)는 내부에 상기 제2 저면패널부(1262)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 수용된 상기 제2 저면패널부(1262)의 수용영역을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 저면패널부(1261)의 내부측으로 유동되는 제1 승하강 가압부(1261a)가 구비된다.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panel part 1262 is accommodated therein, the first bottom panel part 1261 may press the receiving area of the second bottom panel part 1262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The first raising and lowering pressure portion 1261a flowing to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anel portion 1261 is provided.

상기 제2 저면패널부(1262)는 가압된 상기 제1 승하강 가압부(1261a)와의 높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저면패널부(1262)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제2 승하강 가압부(1262a)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체(1101)는 상기 제1 승하강 가압부(1261a)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용체(1102)는 상기 제2 승하강 가압부(1262a)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승하강 가압부(1261a)에는 상기 제1 수용체(1101)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보강체(127)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승하강 가압부(1262a)에는 상기 제2 수용체(1102)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보강체(128)가 구비된다.The second bottom panel portion 1262 is a second rising / lowering portion 1262a that is lifted or lowered from the second bottom panel portion 1262 to correct a height with the pressurized first raising / lowering portion 1261a. ) Is provided, the first container 1101 is provided in the first elevating pressing unit (1261a), the second container 1102 is provided in the second elevating pressing unit (1262a). The first elevating pressure portion 1261a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reinforcement bodies 127 for pressing the first receptor 1101 therebetween, and the second elevating pressure portion 1262a includes A pair of second reinforcements 128 are provided to press the second receptor 1102 therebetween.

상기 제1 보강체(127)는 상기 제1 수용체(1101)의 외측에 접촉된 채 일방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수용체(1101)에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보강체(128)는 상기 제2 수용체(1102)의 외측에 접촉된 채 일방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수용체(1102)에 고정힘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수용체(1101)는 상기 제1 보강체(127)와 접촉되는 제1 영역(L1)이 횡단면 기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수용체(1102)는 상기 제1 보강체(127)와 접촉되는 제2 영역(L2)이 횡단면 기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reinforcement 127 generates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receptacle 1101 to generate a fixed force on the first receptacle 1101,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128 While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econd receptor 1102 generates a fixed force to the second receptor 1102, the first receptor 1101 is the first reinforcement 127 The first region L1 is in contact with the cross-sectional polygonal shape. The second receptor 1102 has a second region L2 in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ement 127 having a cross-sectional reference polygonal shape.

상기 제1 보강체(1271)는, 상기 제1 승하강 가압부(1261a)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 베이스부(1271)와, 상기 제1 베이스부(1271)에서 일정 범위로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1 수용체(1101)의 외측에 접촉되어 회전힘을 가하는 제1 접촉부(12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접촉부(1272)는 상기 제1 영역(L1)과 면접촉되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보강체(1281)는 상기 제2 승하강 가압부(1262a)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 베이스부(1281)와, 상기 제2 베이스부(1281)에서 일정 범위로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수용체(1102)의 외측에 접촉되어 회전힘을 가하는 제2 접촉부(128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접촉부(1282)는 상기 제2 영역(L2)과 면접촉되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reinforcement 1271 may b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irst base part 1271 and the first base part 1271 to be slid in the first lifting and lowering part 1261a. A first contact part 1272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eceptor 1101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he first contact part 1272 has a polygonal shap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area L1. The second reinforcement 1281 is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128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81 flowing in a sliding manner in the second elevating pressure portion 1262a. A second contact portion 128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receptor 1102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82 has a polygonal shap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region L2.

도 12 내지 도 16은 도 1 내지 도 11에 따른 구성들 중 본체부, 저면패널부 및 기타 이치부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 지지대(400)는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휠(340)과 밀착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12 to 16 illustrate configurations for installing the main body portion, the bottom panel portion, and other portions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S. 1 to 11. The elastic support 400 includes an upper plate 410, a case 420, and an upper plate support 430. At this time, the elastic support 400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The upper plate 4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340, and is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휠(340)과 대향하는 회동 프레임(362)의 하측면에 케이스(420)가 설치되며, 회동 프레임(362)이 휠(340) 방향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탄성력을 형성하는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410)과 휠(340) 밀착되어 휠(340)을 제동시킨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124)은 엘라스토머, 고무, 천, 금속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얇거나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ase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410 and forms an inner space for installing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The upper plate supporter 4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420 to support the upper plate 410 using elastic force. In the elastic support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ase 4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frame 362 facing the wheel 340, and the rotation frame 362 is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340. As the closer to the upper plate 410 is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430 to form an elastic for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340 to brake the wheel 340.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ans 124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containing an elastomer, rubber, cloth, metal and the like, the thickness thereof may be thin or thick.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431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The first support part 431 supports the center of the top plate 410, and supplies the filling liqui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in the inner space as the top plate 410 descends. . The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lower sides of the corners of the upper plate 410, and support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410 by using an elastic force while being moved upward and downward, and the upper plate 410. As the) is lowered,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braked by the filling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431. 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4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fficiently supports the upper plate 410 using elastic force by us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4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rtions 432a, 432b, 432c, and 432d. can do.

한편, 상기 체결수단(124)은 엘라스토머, 고무, 금속, 천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 두께도 필요한 강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ans 124 may be provided including a material such as elastomer, rubber, metal, cloth. The thickness can also vary depending on the strength required.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first support part 431 includes a first pivotal fastening part 4311, a first connecting ball 4312, a first support bar 4313, a filling liquid tank 4314, and a connection pipe 4315.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pivot fastening part 4311 is install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10, and forms a spherical inner space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balls 4312. The first connecting ball 4312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ortion 4311,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ortion 4311, and the first Supported by a support bar 4313.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The first support bar 4313 extend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ll 4312 to an inner space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in a downward direction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ng ball 4312, and the upper plate 410. As it descends, it descends together and compresses the filling liquid contained in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in the downward direction.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Filling tank 431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the filling liquid is received in the sealed inner spa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4313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When the upper plate 410 is lowered, a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4313 desc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the filling liquid is compressed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432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315.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bar 4313 is a rubb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so that the filling liquid contained in the filling space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can be compressed in the same way as the syringe driving method. Packing material P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connecting pipe 4315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to the respective second supporting portions 432a, 432b, 432c, and 432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ling liquid flows.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Hereinafter, the second support part 432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support part 432 includes a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4321, a second connecting ball 4322, a second support bar 4323, an elastic support part 4324, and a lift adjusting part 4325. 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pivot fastening part 4321 is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410, and forms a spherical inner space to connect the second connection balls 4322.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econd connecting ball 4322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4321,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4321. Supported by support bars 4323.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bar 4323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ball 4322 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in a downward direction to support the second connection ball 4322, an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4324. Is supported. The elastic support part 4324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support bar 4323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4323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by using an elastic force.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충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adjustment part 432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that forms the through hole 4325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bar 432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25h, and the upper plate 410 is lowered. In this case, as the fill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315 and expande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4325h is reduced so that the second support bar 4323 is not moved. The lifting control unit 4325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so that the outer wall 4325o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so that the filling liquid can be expanded into the inner space where the through hole 4325h is located, and the second support bar ( The inner side 4325i facing the 43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or contrac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3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3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3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3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3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3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upports the upper plate 310 by using the first support part 4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and forms an elastic force. By using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432a, 432b, 432c, and 432d, each corner of the top plate 310 is basically supported, and the upper plate 310 has elastic force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s 432a, 432b, 432c, and 432d. When the first support 431 is lowered by lowering the pressure, the fill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first support 431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which are being lowered together. Due to expansion due to the supply of the filling liquid, the lowering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is prevented, so that the lowering of the upper plate 310 is gradually increased. That is, the upper plate 310 is initially supported using only the elastic force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but is suppli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431 as the first support part 431 descends together. The downward driving of the upper plate 310 is reduced by adding up to a resistance value generated by the adhesion force due to the filling liquid.

높이조절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210), 제1 지지바아(220), 상부 링크(230), 중간 프레임(240), 제2 지지바아(250), 제3 지지바아(260), 하부 링크(270), 하부 프레임및 제4 지지바아(29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측면이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면(212)을 형성하며, 경사면(212)으로부터 제1 지지바아(220)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210)이 경사면(212)을 형성하는 것은, 상부 링크(230)가 경사면(212)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하 후술하는 중간 프레임(240) 및 하부 프레임(280)에 형성되는 각 경사면 역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Height adjustment frame 200, the upper frame 210, the first support bar 220, the upper link 230, the intermediate frame 240, the second support bar 250, the third support bar 260, A lower link 270, a lower frame and a fourth support bar 290. The upper frame 210 forms an inclined surface 212 so that the lower surface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support bar 220 extends from the inclined surface 212.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210 forms the inclined surface 212, so that the upper link 230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212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the intermediate frame 240 and will be described later Each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lower frame 280 also serves to play the same role.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링크(2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측 경사면(212)에 상부 링크(230)의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삽입홀(2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바아(220)는, 상부 프레임(21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링크(230)가 회동 및 승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홀(221)이 연장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frame 2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link 230 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212 so that one side of the upper link 23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s shown in FIG. 1 Insertion holes 211 may be formed. The first support bar 22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0, and the bolt B and the nut N allow the upper link 230 to sl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liding hole 221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by a fastening means.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바아(220)는, 제4 지지바아(290)의 상측이 밀착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측에 탄성체(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링크(230)는, 일측이 제1 슬라이딩홀(221)에 회동 및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제2 지지바아(250)의 제2 슬라이딩홀(251)에 회동 및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부 링크(230)는, 상부 프레임(210) 또는 중간 프레임(240)의 각 경사면에 지지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결 설치되거나,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10) 또는 중간 프레임(240)의 각 삽입홀에 체결되어 상부 프레임(210)과 중간 프레임(240)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support bar 290 is in close contact, the first support bar 22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222 to absorb the impact using the elastic force. The upper link 2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liding hole 221 so as to be rotated and vertically slidably moved,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pivoted to the second sliding hole 251 of the second support bar 250. It is connected to enable sliding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upper link 230 is supported on each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0 or the intermediate frame 240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as shown in FIG. 6 or to be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FIG. 9C. As it is fastened to each insertion hole of the upper frame 210 or the intermediate frame 24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10 and the intermediate frame 240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후술하는 하부 링크(270) 역시 상부 링크(2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중간 프레임(240)은, 상측면이 상부 프레임(210)의 하측 경사면(212)에 대응하여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면(243)을 형성하며, 하측면이 상측면과 대칭되도록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면(244)을 형성한다.Hereinafter, the lower link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so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upper link 230. The intermediate frame 240 forms an inclined surface 243 so that the upper side thereof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212 of the upper frame 210, and the lower side is symmetrical with the upper side. The inclined surface 244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일 실시예에서, 중간 프레임(240)은, 상부 링크(230)의 다른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 경사면(243)에 제2 삽입홀(241)을 형성하고, 하부 링크(270)의 다른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측 경사면(244)에 제3 삽입홀(24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지지바아(250)는, 중간 프레임(24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제2 슬라이딩홀(251)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링크(230)의 다른 일측이 회동 및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frame 240, the other side of the upper link 230 forms a second insertion hole 241 in the upper inclined surface 243 so that the other side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nd the lower link 270 The third insertion hole 242 may be formed in the lower inclined surface 244 so that the other side is inserted and fastened. The second support bar 250 is formed to exten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rame 240, and a second sliding hole 251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link 230 rotates. And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sliding movement.

제3 지지바아(260)는, 중간 프레임(24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제3 슬라이딩홀(261)이 연장 형성된다. 하부 링크(270)는, 일측이 제4 슬라이딩홀에 회동 및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제3 슬라이딩홀(261)에 회동 및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third support bar 26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rame 240, and the third sliding hole 261 extends in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The lower link 27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sliding hole so as to be rotatable and vertically slidably moved,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link 27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nd up and down to the third sliding hole 261.

여기서, 제4 슬라이딩홀은, 제1 슬라이딩홀(221)과 대칭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하부 프레임(280)은, 상측면이 상부 프레임(210)의 하측면과 대칭되도록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면(281)을 형성한다.Here, the fourth sliding hole corresponds to the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sliding hole 221 and is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overlapping the description. The lower frame 280 forms an inclined surface 281 so that the upper side is gradually lowe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upper side is symmetrical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210.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280)은, 하부 링크(270)의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 경사면(281)에 제4 삽입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지지바아(290)는, 하부 프레임(28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제4 슬라이딩홀이 연장 형성되어 하부 링크(270)이 일측이 회동 및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rame 280 may form a fourth insertion hole (not shown) in the upper inclined surface 281 so that one side of the lower link 270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The fourth support bar 29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80 in the upper direction, the fourth sliding hole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lower link 270 is rotated one side and the vertical sliding movement It is installed so that the connection i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높이조절 프레임(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링크(230)와 하부 링크(270)가 모두 폴딩된 경우 전체적인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되고, 상부 링크(230)만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인 높이가 중간 높이로 형성되고, 상부 링크(230)와 하부 링크(270)가 모두 펼쳐진 경우 전체적인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 프레임(200)의 각 구성을 폴딩시키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upper link 230 and the lower link 270 are both folded, the height adjusting frame 2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lowest overall height, and the upper link 230 ) If only the entire height is formed in the middle height, and if the upper link 230 and the lower link 270 are both unfolded, the overall height is formed the highest,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rame 200 Each configuration of can be folded or expand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본체부
20 : 제1 기판 체류부
30 : 제2 기판 체류부
50 : 제2 픽업모듈
110 : 수용체
10: main body
20: first substrate retention portion
30: second substrate retention portion
50: second pickup module
110: receptor

Claims (1)

기판 이송 장치로서,
대량의 기판을 취급하기 위한 본체부(10);
전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기판이 체류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제1 기판 체류부(20);
상기 제1 기판 체류부(20)의 기판을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1 픽업모듈(30);
상기 제1 픽업모듈(30)에 의하여 상기 제1 기판 체류부(20)에서 픽업된 기판이 이송되어 체류되며, 체류되는 기판을 수직방향으로 리프트(lift) 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제2 기판 체류부(40);
상기 제2 기판 체류부(40)에 의하여 리프트된 기판을 픽업하여 후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픽업모듈(5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는 기둥(15)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기둥(15)에는 진동를 방지하도록 삽입 장착되는 수용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체(110)는,
종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1 수용부(111)와 형합 대응되며 바(bar) 형상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 수용부(11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제2 수용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2 수용부(112)는 상호 대응되는 반구형 중공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15)을 내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수용체(110)에는 높이방향 상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고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정모듈(12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수용체(110)의 외주면 높이방향 상에서 상방에 구비되는 상단 고정체(121)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체(123)와,
상기 수용체(110)의 높이방향 상에서 상기 상단 고정체(121)와 상기 하단 고정체(1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 고정체(122)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 고정체(121), 상기 중단 고정체(122) 및 상기 하단 고정체(123)는 상호간에 체결수단(124)으로 연동되어 결속되며,
상기 상단 고정체(121)는,
상기 수용체(110)를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1 중앙본체부(1211)와,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1 유동몸체부(1212)와,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2 유동몸체부(1213)가 구비되며,
상기 중단 고정체(122)는,
상기 수용체(110)에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2 중앙본체부(1221)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1 유동몸체부(1222)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2 유동몸체부(1223)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고정체(123)는,
상기 수용체(110)에 둘러싸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제3 중앙본체부(1231)와,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1 유동몸체부(1232)와,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3-2 유동몸체부(12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몸체부(1212)와 상기 제2-2 유동몸체부(1223)는 제1 체결수단(1241)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2-1 유동몸체부(1222)와 상기 제3-2 유동몸체부(1233)는 제2 체결수단(1242)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 및 상기 제3 중앙본체부(1231)는 연동바(125)에 의하여 상호 연동되며,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는 연동바(125)를 매개로 상기 제1 중앙본체부(1211)와 상기 제2 중앙본체부(1221)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도록 동작시키는 기판 이송 장치.
As a substrate transfer device,
A main body portion 10 for handling a large amount of substrates;
A first substrate retention part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0 so that the substrate transferred from the previous process remains;
A first pickup module 30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the substrate of the first substrate stayer 20;
The substrate picked up from the first substrate staying part 20 is transported and stayed by the first pickup module 30, and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0 to lift the stayed subs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ubstrate retention portion 40;
And a second pickup module 50 for picking up the substrate lifted by the second substrate holding part 40 and transferring it to a later process.
The main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15, the pillar 15 is provided with a receptor 110 is inserted and mounted to prevent vibration,
The receptor 110,
Adva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which ar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bar shape 113. Or a second receiving part 112 for revers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12 have a hemispherical hollow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press the pillar 15 inward,
The receptor 110 is provided with a fixing module 120 for generating a fix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xed module 120,
An upper fixing body 121 provided upwar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
A lower fixture 123 provided at a lower end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receptor 110,
A stop fixture 122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ture 121 and the lower fixture 12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eptor 110,
The upper fixture 121, the suspension fixture 122 and the lower fixture 12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ans 124, and bound to each other,
The upper fixture 121,
A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provided to surround the receptor 110 and bound;
A first-first flow body part 121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A 1-2 flow body part 121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entral body portion 1211,
The suspension fixture 122,
A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provided to be bound by the container 110 and bound;
2-1 the floating body portion 122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and
The second-2 fluid body part 122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is provided,
The lower fixture 123,
A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provided to be bound by the container 110 and bound;
A 3-1 floating body part 123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3-2 the flow body portion (123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entral body portion (1231),
The first-first flow body 1212 and the second-second flow body 1223 are interlocked through first fastening means 1241,
The 2-1 flow body portion 1222 and the 3-2 flow body portion 1233 are interlocked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ans 1242,
The first central body part 1211, the second central body part 1221, and the third central body part 123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n interlocking bar 125.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is operable to pull or push the first central body portion 1211 and the second central body portion 1221 via the interlocking bar (125).
KR1020190118995A 2019-09-26 2019-09-26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KR102046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95A KR102046132B1 (en) 2019-09-26 2019-09-26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95A KR102046132B1 (en) 2019-09-26 2019-09-26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132B1 true KR102046132B1 (en) 2019-12-02

Family

ID=6884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95A KR102046132B1 (en) 2019-09-26 2019-09-26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1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49B1 (en)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Lifting device
KR102182150B1 (en)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Bending device
KR102242049B1 (en) * 2020-11-13 2021-04-19 남윤태 Lif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18B1 (en) 2013-06-28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asing vibration of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with beam shape
KR20180025074A (en) * 2016-08-31 2018-03-08 씨디에스(주) Device for floating substrate using sloped structure
KR20180027065A (en)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케이씨텍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18B1 (en) 2013-06-28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asing vibration of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with beam shape
KR20180025074A (en) * 2016-08-31 2018-03-08 씨디에스(주) Device for floating substrate using sloped structure
KR20180027065A (en)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케이씨텍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49B1 (en)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Lifting device
KR102182150B1 (en)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Bending device
KR102254116B1 (en) * 2020-06-29 2021-05-20 남윤태 Bending device
KR102242049B1 (en) * 2020-11-13 2021-04-19 남윤태 Lif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13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KR201100394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board-like work
KR20170015090A (en) Tempered Glass Door Assembly Apparatus
CN104609125A (en) Workpiece feeding device
CN206834156U (en) Substrate board treatment
CN101938894A (en) Apparatus for conveying electronic element
KR20190002483U (en) Packing body and packing container
KR101628928B1 (en) Telescopic arm robot
CN102015205A (en) Pallet loader and manipulator
CN1298515C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CN100510872C (en) Panel migrating apparatus
CN107310934A (en) Material transfer equipment
CN111564403A (en) Substrate bearing table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N103313913A (en) Packaging method and package
WO2011001472A1 (en) Transferring device
CN209441424U (en) Transport device is used in a kind of production of ecological board
JP2006319345A5 (en)
CN202111071U (en) Substrate correcting device
KR102062096B1 (en) Hand for conveying substrate and method for conveying substrate
CN208516408U (en) A kind of auxiliary mounting structures of distributed robot
CN104338802B (en) Target apparatus for correcting
KR20090116465A (en) A printed circuit board feeding system
CN108608195A (en) A kind of bushing press-mounting device
KR101662000B1 (en) Telescopic arm robot
CN206345050U (en) Packing support for seamless steel pipe of p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