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672B1 -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 Google Patents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672B1
KR102045672B1 KR1020180050415A KR20180050415A KR102045672B1 KR 102045672 B1 KR102045672 B1 KR 102045672B1 KR 1020180050415 A KR1020180050415 A KR 1020180050415A KR 20180050415 A KR20180050415 A KR 20180050415A KR 102045672 B1 KR102045672 B1 KR 10204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ing unit
specimen
folding plate
folding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486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5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6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91Peeling or tea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은 표면에 도장층이 형성된 시편이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직선홀이 형성된 접이부 및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진 접이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직선홀에 관통되어 상기 도장층을 절개하는 절개핀이 구비된 라이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제1직선홀이 형성된 제1접이판 및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상기 제1접이판에 형성된 제1직선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제2직선홀이 형성된 제2접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상기 드로잉유닛 및 상기 드로잉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드로잉유닛에 의해서 절개선이 형성된 도장층에 접착테이프를 밀착 후 이탈시키는 탈락측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Drawing unit and coating test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재표면 전착도장을 통해 각종실험을 진행하며, 실험방법의 하나로 도장밀착성 측정실험이 있다.
이러한 도장밀착성 측정실험은 소재표면 도장층에 다수의 직선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긋고 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 사각 부분이 각각 분리 형성되며 이 부분을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 후 이탈시켜 도장층의 탈락여부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러한 소재표면 도장층에 선긋기를 위한 장치는 핀이 조립된 플레이트가 서보모터를 통해 반복적 전후진으로 진행되는데 핀이 하나로 다수의 선긋기 작업을 위해서는 많은 공정과 시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선을 긋기 때문에, 선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센터링 작업이 매우 까다롭다.
특히,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자 교차선 긋기 작업은 복수의 가로 선 및 세로 선을 소재표면에 핀으로 선을 긋는 과정이므로, 소재의 고정이 완벽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격자 형태의 도장층 형성시에 센터링 작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10-2013-0169250호
본 발명은 시편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층에 복수의 절개선을 그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개선을 그어 형성되는 교차점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은 표면에 도장층이 형성된 시편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직선홀이 형성된 접이부 및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진 접이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직선홀에 관통되어 상기 도장층을 절개하는 절개핀이 구비된 라이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일측 방향으로 절개선의 형성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직선홀이 형성된 제1접이판 및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상기 제1접이판에 형성된 제1직선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선의 형성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직선홀이 형성된 제2접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제2접이판은, 상기 제1접이판이 힌지결합된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제1접이판 또는 상기 제2접이판에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베이스부는, 적어도 상기 시편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어 상기 시편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이 복수 개로 나란히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절개핀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 복수의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지지블럭이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블럭이 내부에 수용되는 연결박스 및 상기 연결박스의 내벽면과 상기 지지블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블럭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연결박스는, 개방된 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탭이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지지블럭의 플랜지부가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절개핀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핀의 타단부가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접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블럭에 자중을 인가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의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절개핀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상기 접이부 또는 상기 시편과 자성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핀의 타단부가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는 전자석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상기 드로잉유닛 및 상기 드로잉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드로잉유닛에 의해서 절개선이 형성된 도장층에 접착테이프를 밀착 후 이탈시키는 탈락측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시편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층에 복수의 절개선을 그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개선을 그어 형성되는 교차점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장밀착성 실험시의 시간과 공정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 또는 가압력을 조정하여 도장층에 절개선을 그을 수 있어, 세밀한 도장밀착성 실험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2접이판이 베이스부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접이판이 베이스부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제2접이판이 베이스부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에서 라이너부가 연결박스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에서 라이너부가 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에서 라이너부가 전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로잉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편(S)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층에 복수의 절개선을 그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개선을 그어 형성되는 교차점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장밀착성 실험시의 시간과 공정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2접이판(22)이 베이스부(10)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도 3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1)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제1접이판(21)이 베이스부(10)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제2접이판(22)이 베이스부(10)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은 표면에 도장층이 형성된 시편(S)이 안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S) 상으로 포개지며, 직선홀(23)이 형성된 접이부(20) 및 상기 시편(S) 상으로 포개진 접이부(20)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직선홀(23)에 관통되어 상기 도장층을 절개하는 절개핀(31)이 구비된 라이너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S) 상으로 포개지며,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제1직선홀(23a)이 형성된 제1접이판(21) 및 상기 베이스부(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S) 상으로 포개지며, 상기 제1접이판(21)에 형성된 제1직선홀(23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제2직선홀(23b)이 형성된 제2접이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이부(20)가 직선홀(23)을 형성하여 상기 도장층에 절개선을 긋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접이부(20)의 제1접이판(21)의 제1직선홀(23a)과 제2접이판(22)의 제2직선홀(23b)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라이너부(30)에 의한 절개선 형성시에 절개선의 교차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교차점은 상기 베이스부(10)에 힌지 결합된 제1접이판(21) 및 제2접이판(22)이 항상 일정하게 상기 베이스부(10)에 포개지므로,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유도되므로, 상기 절개선에 의한 격자 형태의 도장층 형성시에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장밀착성 실험시에 도장층을 일정한 격자 형태로 절개할 수 있어, 실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실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는 도장층이 형성된 시편(S)이 안착되고, 상기 접이부(20)가 포개져서 상기 라이너부(30)에 의한 절개선 형성시에 상기 시편(S)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라이너부(30)는 상기 접이부(20)에 형성된 직선홀(23)에 삽입되는 절개핀(31)에 의해서 상기 도장층에 절개선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시편(S)이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절개선 형성시에 하자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접이부(20)가 포개진 경우에서 상기 시편(S)에 상기 접이부(20)가 균일하게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1)은 상기 시편(S)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에 복수 개의 시편(S)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1)은 복수 개가 형성되며,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베이스부(10)는, 적어도 상기 시편(S)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어 상기 시편(S)이 안착되는 안착홈(11)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11)이 복수 개로 나란히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이부(20)는 상기 도장층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접이부(20)는 상기 시편(S)이 안착된 상기 베이스부(10) 상으로 포개지게 구비되고, 절개선의 형성을 가이드하는 직선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홀(23)은 상기 라이너부(30)에 구비되는 절개핀(31)의 개수의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절개핀(31)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20)는 제1접이판(21), 제2접이판(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이판(21)에는 제1직선홀(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이판(22)에는 제2직선홀(23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직선홀(23a)과 제2직선홀(23b)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선이 그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접이판(21)에 횡 방향으로 제1직선홀(23a)이 형성되면, 상기 제2접이판(22)에는 종 방향으로 제2직선홀(2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접이판(21), 제2접이판(22)은 상기 베이스부(1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 상면에 포개지게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제1접이판(21)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면, 상기 제2접이판(22)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면에 마주보는 방향의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제2접이판(22)은, 상기 제1접이판(21)이 힌지결합된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단부에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포개져서 배치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24)이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제1접이판(21) 또는 상기 제2접이판(22)에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10)에 부착되는 영구자석(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10)의 안착홈(11)에 안착된 시편(S) 상으로 상기 접이부(20)가 배치된 후에 상기 라이너부(30)로 절개선을 긋는 작업에서 상기 접이부(20)가 위치 이동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1)에서 라이너부(30)가 연결박스(33)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라이너부(30)는, 상기 절개핀(31)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32), 복수의 상기 안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지지블럭(32)이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블럭(32)이 내부에 수용되는 연결박스(33) 및 상기 연결박스(33)의 내벽면과 상기 지지블럭(3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블럭(32)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너부(30)가 절개핀(31)이 구비된 지지블럭(32) 복수 개를 하나의 연결박스(33)로 연결하여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시편(S) 상에 절개선을 그을 수 있게 되어, 실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부(10)에 복수 개의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20)에는 안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홀(23)이 형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안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직선홀(23)에 복수의 지지블럭(32)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복수의 시편(S)을 일회적 선 긋기 작업을 통하여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도 6은 세 개의 안착홈(11)에 각각의 시편(S)이 안착되고 이러한 시편(S) 상에 접이부(20)가 포개지며, 그 상면에 세 개의 지지블럭(32)이 배치되도록 연결박스(33)가 세 개의 지지블럭(32)을 연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박스(33) 내부에는 가압스프링(34)이 구비되어, 복수의 시편(S) 상에 절개선을 긋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시편(S)에 대한 절개선 긋기 작업에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박스(33)는 복수의 지지블럭(32)이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블럭(32)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연결박스(33)는 상기 지지블럭(3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탭(3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연결박스(33)는, 개방된 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탭(33a)이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지지블럭(32)의 플랜지부(32a)가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탭(33a)에 의하면, 상기 지지블럭(32)은 플랜지부(32a)가 상기 가이드탭(33a)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어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1)에서 라이너부(30)가 웨이트부재(35)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라이너부(30)는, 상기 절개핀(31)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32) 및 상기 지지블럭(32)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핀(31)의 타단부가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접이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블럭(32)에 자중을 인가하는 웨이트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부재(35)는 중력에 의해서 상기 절개핀(31)을 상기 시편(S)의 도장층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절개핀(31)이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가압력을 부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부재(35)는 복수의 절개핀(31)을 연결하는 핀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된 삽입봉에 삽입되는 개수를 조정하여, 중력에 의해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드로잉유닛(1)에서 라이너부(30)가 전자석부재(36)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유닛(1)의 상기 라이너부(30)는, 상기 절개핀(31)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32) 및 상기 지지블럭(32)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상기 접이부(20) 또는 상기 시편(S)과 자성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핀(31)의 타단부가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는 전자석부재(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부재(36)는 자성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절개핀(31)을 상기 시편(S)의 도장층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절개핀(31)이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가압력을 부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부재(36)는 상기 지지블럭(32) 내부에 구비되는 봉 형상의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겨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절개핀(31)을 상기 도장층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정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상기 드로잉유닛(1) 및 상기 드로잉유닛(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드로잉유닛(1)에 의해서 절개선이 형성된 도장층에 접착테이프(2a)를 밀착 후 이탈시키는 탈락측정유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상기 드로잉유닛(1)에 의해서 일정하게 절개선을 형성하여 균일한 격자 형태로 시편(S)의 도장층을 절개하고, 상기 탈락측정유닛(2)이 절개된 도장층의 탈락 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드로잉유닛(1)은 시편(S)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층에 복수의 절개선을 그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개선을 그어 형성되는 교차점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장밀착성 실험장치는 도장밀착성 실험시의 시간과 공정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드로잉유닛 2: 탈락측정유닛
10: 베이스부 11: 안착홈
20: 접이부 21: 제1접이판
22: 제2접이판 23: 직선홀
24: 영구자석 30: 라이너부
31: 절개핀 32: 지지블럭
33: 연결박스 34: 가압스프링
35: 웨이트부재 36: 전자석부재

Claims (9)

  1. 표면에 도장층이 형성된 시편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직선홀이 형성된 접이부; 및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진 접이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직선홀에 관통되어 상기 도장층을 절개하는 절개핀이 구비된 라이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일측 방향으로 절개선의 형성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직선홀이 형성된 제1접이판; 및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시편 상으로 포개지며, 상기 제1접이판에 형성된 제1직선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선의 형성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직선홀이 형성된 제2접이판;
    을 포함하는 드로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이판은, 상기 제1접이판이 힌지결합된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판 또는 상기 제2접이판에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적어도 상기 시편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어 상기 시편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이 복수 개로 나란히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절개핀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
    복수의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지지블럭이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블럭이 내부에 수용되는 연결박스; 및
    상기 연결박스의 내벽면과 상기 지지블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블럭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는 드로잉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는, 개방된 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탭이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지지블럭의 플랜지부가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절개핀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핀의 타단부가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접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블럭에 자중을 인가하는 웨이트부재;
    를 포함하는 드로잉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절개핀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에 결합되며,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상기 접이부 또는 상기 시편과 자성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핀의 타단부가 상기 도장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는 전자석부재;
    을 포함하는 드로잉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드로잉유닛; 및
    상기 드로잉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드로잉유닛에 의해서 절개선이 형성된 도장층에 접착테이프를 밀착 후 이탈시키는 탈락측정유닛;
    을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KR1020180050415A 2018-05-02 2018-05-02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KR10204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15A KR102045672B1 (ko) 2018-05-02 2018-05-02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15A KR102045672B1 (ko) 2018-05-02 2018-05-02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486A KR20190126486A (ko) 2019-11-12
KR102045672B1 true KR102045672B1 (ko) 2019-11-15

Family

ID=6857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15A KR102045672B1 (ko) 2018-05-02 2018-05-02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98B2 (ja) * 1989-03-21 2000-10-03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チオン重合性物質のための開始剤
US20170089851A1 (en) 2015-09-30 2017-03-30 King Saud University Method of ascertaining fully grown passive film formation on steel rebar embedded in concrete
US20170122862A1 (en) 2015-10-28 2017-05-04 Universal Global Technology (Shanghai) Co., Ltd. Test jig for coating adhesion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250B1 (ko) 1996-07-05 1999-02-01 양승택 공중전화교환망 연동용 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 회로
JP3094298U (ja) * 2002-11-26 2003-06-13 芳紀 益子 線引用定規
KR20070039991A (ko) * 2005-10-11 2007-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막 부착성 평가 장치
KR20070105703A (ko) * 2006-04-27 2007-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막 부착성 시험 장치
KR20080102840A (ko) * 2007-05-22 2008-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막의 내용제성 평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98B2 (ja) * 1989-03-21 2000-10-03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チオン重合性物質のための開始剤
US20170089851A1 (en) 2015-09-30 2017-03-30 King Saud University Method of ascertaining fully grown passive film formation on steel rebar embedded in concrete
US20170122862A1 (en) 2015-10-28 2017-05-04 Universal Global Technology (Shanghai) Co., Ltd. Test jig for coating adhesion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486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2487B2 (en) Optical fiber holder
JP2018513389A (ja) 様々な動作状態での試験ヘッドでのプローブ保持を適正化し、各々のガイドホールでのスライドを改善するバーチカルプローブをもつ試験ヘッド
KR20190039122A (ko) 전자 기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의 접촉 프로브 및 대응하는 테스트 헤드
CN103545238A (zh) 带扩张装置
JP6369420B2 (ja) 回転子の製造方法
KR102045672B1 (ko) 드로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US20140026358A1 (en) Assist device for movable body, and housing
CA2697732A1 (en) Mounting device for disk-shaped substrates such as solar wafers
JP5993469B2 (ja) 巻線方法及びその装置
JP4596780B2 (ja) シート材料から製品を切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関連装置
JP2017131023A (ja) 皮膜剥離装置
KR101170144B1 (ko) 신율계의 시편 클램핑 장치
JP6251077B2 (ja) ワーククランプト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21823A (ja) 基板バックアップ装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なら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基板バックアップ装置
CN203688843U (zh) 光纤把持装置以及光纤熔接机
CN213456345U (zh) 胶黏剂拉拔力测试用治具
KR20150049624A (ko) 단위 철심 적치 공급 장치
JP2013243835A (ja) 電機子用のインシュレータ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8030191A (ja) 磁性体の位置決め装置及び組立体の製造装置
JP6623868B2 (ja) 磁性体の位置決め装置及び組立体の製造装置
CN219684398U (zh) 螺柱焊接定位工装
CN207675629U (zh) 显微镜检测平台
CN206696392U (zh) 电路板测试用治具
JP6449000B2 (ja) 厚さ測定器
CN214440466U (zh) 一种用于衣服标签生产的点胶控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