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173B1 -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173B1
KR102045173B1 KR1020190001037A KR20190001037A KR102045173B1 KR 102045173 B1 KR102045173 B1 KR 102045173B1 KR 1020190001037 A KR1020190001037 A KR 1020190001037A KR 20190001037 A KR20190001037 A KR 20190001037A KR 102045173 B1 KR102045173 B1 KR 10204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idge
drive
bogie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수동
김남열
Original Assignee
조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동 filed Critical 조수동
Priority to KR102019000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1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a bridge is installed on a substructure of a bridge (500) to provide workers with a work space, and comprises: a rail (13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500); a frame structure (110)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111) and a vertical frame (112); and a driving cart (150) which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frame structure (110), and drives the frame structure (110) to move along the rail (130). While the rail (130) is fixed on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500), the driving cart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move along the rail (130). While the driving cart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are fixed on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500), the rail (130) is separated from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500) to move.

Description

교량 유지보수 장치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Bridge Maintenance Unit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유지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교량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교량을 점검하고 보수하는 과정에서 작업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tructure that serves as a support for work in the process of inspecting and repairing a bridge in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교량의 점검 및 보수, 특히 교량 하부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지 구조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당히 오래 전부터 교량 하부에서 설치되어,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교량 유지보수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 order to inspect and repair bridges, especially under bridg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structures for workers to work safely from high places. Bridge maintenance devices that have been installed under the bridge for a long time and ar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have been widely used.

대형 교량의 경우 교량 유지보수 장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교량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이럴 경우에는 교량 상판 위에 이동대차를 설치하고, 이동대차가 움직이면서 교량 유지 보수 장치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럴 경우 교량 상판의 일부에 이동대차의 작동을 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교량 위 교통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교량 유지보수 장치의 하중을 이동대차가 지지해야 하므로, 레일 방식에 비해서 외부 영향(돌풍 등)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 In the case of large bridges, rail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ridge maintenance device may be pre-installed, but in many cases, the rails are not installed under the bridge. In this case, the mobile bogie is installed on the bridge deck and the bridge maintenance device is operated as the mobile bogie moves. In this case, a part of the bridge deck requires a working space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bogie, thus obstructing traffic flow on the bridge. Since the trolley | bogie must support the load of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compared with the rail system, there exists a high risk of external influences (wind etc.).

결국 교량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서 교량 유지보수 장치가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나, 현실적으로 레일이 설치되지 아니한 교량이 더 많고, 유지보수를 위하여 레일을 설치하는 작업 자체가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Eventually, it would be desirable to install a rail under the bridge, and move the bridge maintenance device along the rail, but in reality, there are more bridges without rails installed, and the work of installing the rail for maintenance is a burden. Works.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9885호 (공개일: 2000.08.05.)[1] Publication 10-2000-0049885 (published: 2000.08.05.)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363호 (공고일:2000.09.15.)[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7363 (Announcement Date: September 15, 2000)

본 발명은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교량의 경우에도, 레일 방식으로 교량 유지보수 장치를 지지하고 이동시킴으로써, 안전성과 더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량 유지보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s well as safety by supporting and moving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in a rail system even when a bridge is not provided with a rail.

본 발명은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교량 유지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130); 수평 프레임(111) 및 수직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110); 및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레일(130)을 따라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대차(15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130)이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대차(150) 및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이 상기 레일(130)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상기 구동대차(150) 및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이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130)이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서 분리되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to provide a working space for the worker, the rail 13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A frame structure 110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111 and a vertical frame 112; And a driving bogie 150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110 to drive the frame structure 110 to move along the rail 130, wherein the rail 130 includes the bridge 500. In the state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drive cart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is moved along the rail 130, the drive cart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bridges 500 In the state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13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can move.

그리고 상기 레일(130)에는 구동 래크(13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대차(150)에는 상기 구동 래크(132)와 치합되는 구동 스프로켓(154)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대차(150)는 상기 구동 스프로켓(15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rive rack 132 is provided on the rail 130, and a drive sprocket 154 engaged with the drive rack 132 is provided on the drive cart 150, and the drive cart 150 is driven.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unit 155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sprocket 154.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는 레일 고정구(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일 고정구(140)는 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레일(130) 및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ail fastener 140, wherein the rail fastener 140 is fixed to the rail 130 and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y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는 구동대차 고정구(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대차 고정구(160)는 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구동대차(150) 및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이다. In addition,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rive bogie fixture 160, the drive bogie fixture 160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drive bogie 150 and the bridge 500 by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It can be fixed, the fastening means is a bolt.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움직이되, 작업자가 상기 레일 고정구(140)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하기 위하여 타고 움직일 수 있는 작업용 곤돌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astly,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orking gondola, which is movable along the rails 130 and which the worker can ride and move to work to install or remove the rail fasteners 140. have.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보수 장치는, 레일을 교량 하부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수단을 자체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레일이 설치되지 아니한 교량의 점검시에도 레일 방식으로 교량 유지보수 장치의 지지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안전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에 레일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레일의 설치 및 제거를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다.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ans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rail under the bridge itself, so that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can be supported and moved in a rail manner even when the bridge is not installed. Can improve the safety and work efficiency.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means for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rail to the bottom of the bridge, thereby mak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rail quick and eas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의 상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레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레일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레일 고정구에 의하여 레일이 교량 하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구동대차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보조대차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구동대차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구동대차의 구동 스프로켓이 레일의 구동 래크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의 작동 순서를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보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shows a schematic structure of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the structure of the rail.
6 shows the structure of a rail fixture.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ail is installed in a bridge undercarriage by rail fasteners.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drive bogie.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subsidiary bogie.
10 shows the structure of the drive bogie fixture.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e sprocket of the drive bogie is coupled with the drive rack of the rail.
12 to 18 show in sequence the operating sequence of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es to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have.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보수 장치(100)가 교량(5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레일 구조물이 교량(500)의 일부, 즉 도 2에 확대도시된 것과 같은 교량 하부의 플랜지 구조물(510)에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하여 가설되고, 교량 유지보수 장치(100)는 가설된 레일을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데, 자세한 구조 및 작동 방식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ridge 500. The rail structure is construct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to a portion of the bridge 500, ie the flange structure 510 of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as shown in FIG. 2, the bridge maintenance device 100 Therefore, the movement,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보수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교량 유지보수 장치(100)의 기본 구조물인 프레임 구조물(110)은 수평 프레임(110) 및 이와 연결된 수직 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데, 프레임 구조물(110)은 작업자에게 이동 통로 및 작업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이들 구조는 종래기술과 차이가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평 프레임(110)의 소정 부분에는 구동대차(150)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대차(150)는 레일(130)을 따라서 움직임으로써 프레임 구조물(110) 자체가 레일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구동대차(150)에는 동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별도로 동력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프레임 구조물(110)이 레일(13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대차(19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structure 110, which is a basic structure of the bridge maintenance device 10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frame 110 and a vertical frame 120 connected thereto, which provides a worker with a moving passageway and a work place. do. Since these structur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rive cart 15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drive cart 150 moves along the rail 130 to allow the frame structure 110 itself to move along the rail. The drive bogie 15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unit. In addition, the auxiliary bogie 190 assisting the frame structure 110 to be stably seated on the rail 130 without a power unit installed therein. More can be installed.

도 3에서는 교량(500)의 구조물이 생략되어 있지만, 레일(130)은 레일 고정구(140)에 의하여 교량의 하부 구조물 일부,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구조물(510)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110)의 앞 뒤로는 제1 작업용 곤돌라(170) 및 제2 작업용 곤돌라(180)가 레일(130)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3에는 레일(130) 및 위 레일(130) 상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이 한 쌍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프레임 구조물(110)의 사이즈 내지 교량 구조물의 형상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bridge 500 is omitted in FIG. 3, the rail 130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the rail fastener 140, preferably to a flange structure 510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orking gondola 170 and the second working gondola 180 can move along the rail 130. 3 shows a pair of various devices installed on the rail 130 and the upper rail 130, the number of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structure 110 to the shape of the bridge structure, etc. If you are a technician, it will not be difficult to understand.

도 4 및 도 5는 각각 레일(130)의 상부와 하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레일(130)의 상단에는 고정용 체결부(1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고정용 체결부(131)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130)의 하부에는 구동용 래크부(1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추후 설명할 구동대차(150)의 구동 스프로켓(154)과 결합하여 구동대차(150)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래크와 피니언 구조물에서, 래크 부분이 레일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기둥형 구조물이 병렬로 다수 개가 배열되어 래크부(132)를 형성하고 있지만, 기어 형태의 구동 스프로켓(154)이 맞물려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할 것이다. 4 and 5 show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of the rail 130, respectively. The fixing fastening part 131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ail 130. Preferably, the fixing fastening part 131 may have a bolt hole that may be bolted thereto. In addition, a driving rack portion 13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130, which is combined with a driving sprocket 154 of the driving bogie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bogie 150. . In a typical rack and pinion structure, it will be seen that the rack por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ail. In the embodiment of FIG. 5, a plurality of columnar structure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form a rack portion 132, but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gear sprocket 154 is meshe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will be.

도 6은 레일 고정구(140)를 도시한 것인데, 레일(130)과 체결되기 위한 고정용 체결부 결합부(143) 및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과 체결되기 위한 교량 구조물 결합부(14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용 체결부 결합부(143)에 레일(130)의 고정용 체결부(131)가 삽입된 상태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142)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교량(500) 하부 구조물,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구조물(510)과 같이 돌출된 구조물이 교량 구조물 결합부(144)에 놓여진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141)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레일 고정구(140)가 교량 구조물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FIG. 6 illustrates a rail fastener 140. The fastener coupling part 143 for fastening with the rail 130 and the bridge structure coupling part 144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are shown in FIG. Include. In more detail, the fixing fastening part 131 of the rail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fastening part coupling part 143 by a fastening means 142 such as a bolt / nut.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specifically, the structure protruding like the flange structure 510 is placed on the bridge structure coupling part 144,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141 such as a bolt, thereby providing a rail fastener ( 140 may be secured to a portion of the bridge structure.

도 7은 레일 고정구(140)에 의하여 레일(130)이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 예를 들면 플랜지 구조물(51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레일(130)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들(141,142)에 의하여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것이므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레일(130)을 교량 하부 구조물에 고정시켰다가 다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ail 130 is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for example the flange structure 510, by the rail fastener 140. Since the rail 130 is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y fastening means 141 and 142 such as bolts / nuts, the worker easily fixes the rail 130 to the bridge lower structure as needed and then separates it. You can do it.

도 8은 구동대차(150)를 도시한 것인데, 이는 프레임 구조물(110)에 연결되어 프레임 구조물(110)이 레일(130)을 따라서 움직이도록 하는 요소이다. 구동대차(150) 내에는 프레임 구조물(110)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레일(130)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지지 로울러(153)가 설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구동대차(150) 내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154)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일(130)의 구동 래크부(132)와 치합되어, 구동 스프로켓(154)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바로 구동대차(150) 및 이와 연결된 프레임 구조물(110)의 추진력으로 전환된다. 구동 스프로켓(154)은 기어장치를 통하여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155)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구동대차(150)의 하부에는 프레임 구조물(110)과의 연결을 위한 프레임 연결구(151)가 설치될 수 있다. 8 illustrates a drive cart 150,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structure 110 to allow the frame structure 110 to move along the rail 130. In the drive cart 150, a support roller 153 that can be rolled along the rail 130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frame structure 110 is installed. Furthermore, the drive sprocket 154 installed in the drive cart 150 is engaged with the drive rack portion 132 of the rail 130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e sprocket 154 is directly driven. Switched to the driving force of the bogie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connected thereto. The drive sprocket 154 may be connected to a power device 155 such as a motor through a gear device to obtain a driving force. In addition, a frame connector 151 for connecting to the frame structure 110 may be installed below the driving cart 150.

도 9는 보조대차(190)를 도시한 것인데, 그 구조는 구동대차(150)에서 구동 스프로켓(154) 및 동력장치(155)를 제거한 것과 다를 바 없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조대차(190)는 구동대차(150)와는 별도로 레일(130)과 프레임 구조물(110)을 연결하여, 프레임 구조물(1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레일(130)을 따라 움직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구동대차(150)에 걸리는 프레임 구조물(110)의 하중을 나누기 위한 요소라고 보면 된다. 9 illustrates the auxiliary bogie 190,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removing the driving sprocket 154 and the power unit 155 from the driving bogie 150, and thus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uxiliary bogie 190 is to connect the rail 13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separately from the driving bogie 150 so as to move along the rail 130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frame structure 110. . That is, it may be regarded as an element for dividing the load of the frame structure 110 applied to the drive cart 150.

도 10은 구동대차 고정구(160)를 도시한 것인데, 구동대차(150)를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구조물(5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량 구조물 결합부(163)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과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61)에 의하여 체결되어, 구동대차 고정구(160)가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구동대차 결합부(164)는 구동대차(150)에 부착된 상태에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62)에 의하여 구동대차(150)의 구동대차 고정구 연결용 개구(156)를 통하여 고정된다. 구동대차 고정구(160)의 구체적인 용도는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10 shows the drive bogie fixture 160, for securing the drive bogie 150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preferably the flange structure 510. Specifically, the bridge structure coupling part 163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161 such as a bolt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so that the drive bogie fixture 160 is attach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Furthermore, the drive balance coupler 164 is connected to the drive balance 150 through the opening 156 for connecting the drive balance fixture of the drive balance 150 by the fastening means 162 such as bolts / nuts. It is fixed. Specific use of the drive bogie fixture 16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보수 장치의 작동 방식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2는 레일(130)이 레일 고정구(140)에 의하여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대차(150) 및 이와 연결된 프레임 구조물(110)이 레일을 따라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제1 작업용 곤돌라(170)와 제2 작업용 곤돌라(180)는, 필요시 프레임 구조물(110)에 있는 작업자가 쉽게 옮겨탈 수 있도록 프레임 구조물(110)과 같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작업자가 작업용 곤돌라(170,180)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 구조물(110)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을 때, 작업용 곤돌라(170,180)를 프레임 구조물(110)쪽으로 불러들일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면, 작업용 곤돌라(170,180)와 프레임 구조물(110)이 꼭 같이 움직일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는 작업용 곤돌라(170,180)에 로프를 매달아서 프레임 구조물(110)에서 끌어 당길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작업용 곤돌라(170,180)에도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는 별도의 동력장치를 부착하였을 경우가 있을 것이다. 12 to 18 show the operation of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step. First, FIG. 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cart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connected thereto are moved along the rail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130 is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y the rail fastener 140. It is. At this time, the first working gondola 170 and the second working gondola 180 are preferably moved together with the frame structure 110 so that a worker in the frame structure 110 can be easily removed if necessary. However, when the worker is not aboard the working gondola (170, 180)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frame structure 110, if there is a means for bringing the working gondola (170, 180) towards the frame structure 110, working gondola The 170 and 18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may not necessarily move together. Such means may be that the working gondola (170, 180) by hanging the rope to pull from the frame structure 110, or to the working gondola (170, 180) may be attached to a separate power unit that can be operated remotely. .

도 13은 프레임 구조물(110)이 레일(130)의 종단에 도달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멈추어 있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황에 도달했을 때, 구동대차 고정구(160)를 구동대차(150) 혹은 보조대차(190)에 설치하여 구동대차(150) 및 프레임 구조물(110)이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대차 고정구(160)는 구동대차(150)를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프레임 구조물(110)을 직접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 13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frame structure 110 reaches the end of the rail 130 and stops moving further. FIG. 14 illustrates that whe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3 is reached, the drive bogie fixture 160 is installed on the drive bogie 150 or the subsidiary bogie 190 so that the drive bogie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of the bridge 500 are constructed. It shows a state to be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bogie fixture 160 has been described as fixing the drive bogie 150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u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fix the frame structure 110 to the bottom structure of the bridge 500. Do.

도 15는 프레임 구조물(110)이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 작업용 곤돌라(180)를 타고 레일(130)을 따라 움직이면서 레일 고정구(140)를 하나씩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레일(130)은 구동대차(150) 또는 보조대차(19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다시 구동대차(150) 또는 보조대차(190)는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직접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 고정구(140)가 제거되더라도 레일(130)은 본래의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15 is a state in which the frame structure 110 is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the operator removes the rail fasteners 140 one by one while moving along the rail 130 in the second working gondola 180 It is shown. At this time, the rail 130 is maintain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drive bogie 150 or the subsidiary bogie 190, and again the drive bogie 150 or the subsidiary bogie 19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Since it is connected and fixed, the rail 130 can maintain its original position even when the rail fastener 140 is removed.

도 16은 구동대차(150)의 구동 스프로켓(154)이 작동하여, 레일(130)을 진행방향 쪽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구동대차(150)는 현재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구동대차 고정구(16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고, 레일(130)을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시키던 레일 고정구(140)는 제거된 상태이므로, 구동 스프로켓(154)을 구동시키게 되면 레일(130) 자체가 슬라이딩 하여 움직이게 된다. FIG. 1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sprocket 154 of the driving cart 150 is operated to slide the rail 130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Drive bogie 150 is currently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y the drive bogie fixture 160, the rail fixture 140 that fixed the rail 130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is removed Since the drive sprocket 154 is driven, the rail 130 itself moves by sliding.

도 17은 레일(130)이 진행 예정 방향으로 충분히 슬라이딩 된 후, 작업자가 제1 작업용 곤돌라(170)에 탑승한 상태에서 레일 고정구(140)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8은 레일 고정구(140)가 다 설치된 후, 구동대차 고정구(160)가 제거되고 나서, 다시 프레임 구조물(110)이 레일(130)을 타고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FIG. 1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ail fixture 14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worker rides on the first working gondola 170 after the rail 130 is sufficiently sli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l is going to proceed. Finally, FIG. 1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rame structure 110 moves on the rail 130 after the rail fixing unit 140 is completely installed, and then the driving cart fixing unit 160 is removed.

이와 같이 하나의 레일(130)을 반복적으로 설치/해체하면서 전진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에 의하여, 레일(130)이 교량(5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교량 유지보수 장치(100)는 레일(130) 방식으로 교량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By adopting a method of advancing while repeatedly installing / removing one rail 130 in this way, even when the rail 130 is not installed in the bridge 500,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100 is a rail.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the bridge in the manner (130).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보주 장치(100)를 도시한 것인데, 교량(500)의 양단에서 대칭인 형상의 프레임 구조물(110)에서 수평 프레임(111)의 종단끼리 서로 체결함으로써, 교량의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FIG. 19 illustrates a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11 in the frame structure 110 having a symmetrical shape at both ends of the bridge 5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it has a structure which can form a working space as a whole in the width direction of a bridge.

100: 교량 유지보수 장치
110: 프레임 구조물 111:수평 프레임
112: 수직 프레임
130: 레일 131: 고정용 체결부
132: 구동 래크
140: 레일 고정구 141, 142: 체결 수단
143: 고정용 체결부 결합부 144: 교량 구조물 결합부
150: 구동대차 151: 프레임 연결구
153: 지지 로울러 154: 구동 스프로켓
155: 동력장치 156: 구동대차 고정구 연결용 개구
190: 보조대차
160: 구동대차 고정구 161,162: 체결수단
163: 교량 구조물 결합부 164: 구동대차 결합부
170: 제1 작업용 곤돌라 180: 제2 작업용 곤돌라
100: bridge maintenance device
110: frame structure 111: horizontal frame
112: vertical frame
130: rail 131: fastening portion for fixing
132: drive rack
140: rail fasteners 141, 142: fastening means
143: fastening portion coupling portion 144: bridge structure coupling portion
150: drive cart 151: frame connector
153: support roller 154: drive sprocket
155: power unit 156: opening for connecting the drive bogie fixture
190: subsidiary loan
160: drive bogie fixture 161,162: fastening means
163: bridge structure coupling portion 164: drive bogie coupling portion
170: gondola for first operation 180: gondola for second operation

Claims (7)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교량 유지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130);
수평 프레임(111) 및 수직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110); 및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레일(130)을 따라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대차(150);
레일 고정구(140)는 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레일(130) 및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각각 탈착될 수 있는 레일 고정구(140); 및
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구동대차(150) 및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각각 탈착될 수 있는 구동대차 고정구(16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130)에는 구동 래크(13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대차(150)에는 상기 구동 래크(132)와 치합되는 구동 스프로켓(154)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130)이 레일 고정구(140)에 의하여 상기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스프로켓(154)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대차(150) 및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이 상기 레일(130)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상기 구동대차(150) 및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이 상기 구동대차 고정구(160)에 의하여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레일 고정구(140)가 상기 레일(130)에서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스프로켓(154)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130)이 교량(500)의 하부 구조물에서 분리되어 슬라이딩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보수 장치.
Regarding the bridge maintenance device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to provide a work space for workers,
A rail 13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A frame structure 110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111 and a vertical frame 112; And
A driving bogie 150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110 to drive the frame structure 110 along the rail 130 to move;
Rail fasteners 140 are rail fasteners 140 that can be detach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rail 130 and the bridge 500 by fastening means; And
It includes; a drive bogie fixture 160 that can be detach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drive cart 150 and the bridge 500 by a fastening means;
The rail 130 is provided with a drive rack 132, the drive cart 150 is provided with a drive sprocket 154 meshing with the drive rack 132,
In the state in which the rail 130 is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y the rail fastener 140, the driving cart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are driven by the driving sprocket 154. Move along the rail 130,
In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bogie 150 and the frame structure 110 are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by the drive bogie fixture 160, and the rail fixture 140 is removed from the rail 130. By the drive of the drive sprocket 154, the rail 13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500,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and movabl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대차(150)는 상기 구동 스프로켓(15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1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보수 장치.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cart (150) further comprises a power unit (155)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procket (154).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보수 장치.
The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a bol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130)을 따라 움직이되, 작업자가 상기 레일 고정구(140)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하기 위하여 타고 움직일 수 있는 작업용 곤돌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보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orking gondola moving along the rail 130, the worker can ride and move to work to install or remove the rail fixture 140, Repair device.

KR1020190001037A 2019-01-04 2019-01-04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KR102045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37A KR102045173B1 (en) 2019-01-04 2019-01-04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37A KR102045173B1 (en) 2019-01-04 2019-01-04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173B1 true KR102045173B1 (en) 2019-12-02

Family

ID=6884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037A KR102045173B1 (en) 2019-01-04 2019-01-04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1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719B1 (en) * 2023-07-26 2024-05-10 김연화 The frame of the bridge inspection car getting up and dow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702A (en) * 1986-11-27 1988-06-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ethod for aerial assembling and suspension of moving type suspension scaffold
JPH09177310A (en) * 1995-12-27 1997-07-08 Yoneyama Kogyo Kk Movable scaffolding lift
KR20000049885A (en) 2000-05-04 2000-08-05 이석원 Working automobile for check and maintenance of bridges
KR200197363Y1 (en)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Working automobile hangar facility for check and maintenance of brid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702A (en) * 1986-11-27 1988-06-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ethod for aerial assembling and suspension of moving type suspension scaffold
JPH09177310A (en) * 1995-12-27 1997-07-08 Yoneyama Kogyo Kk Movable scaffolding lift
KR20000049885A (en) 2000-05-04 2000-08-05 이석원 Working automobile for check and maintenance of bridges
KR200197363Y1 (en)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Working automobile hangar facility for check and maintenance of brid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719B1 (en) * 2023-07-26 2024-05-10 김연화 The frame of the bridge inspection car getting up and d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173B1 (en)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Bridge
CN104527691A (en)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bases for locomotive underframe parts
CN103711077B (en) A kind of running mechanism for suspension bridge inspection trolley
JP2015224641A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d removing turbine component
KR20160109081A (en) Carriage for Bridge
JP2001172920A (en) Work scaffolding for existing bridge
CN106627613B (en) A kind of unmanned inspection car of electric railway
CN106049681B (en) Large span butterfly-type space bending tubular trus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70123169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uspension scaffold pole
CN206417002U (en) A kind of unmanned inspection car of electric railway
KR101846788B1 (en) Prefabricated Gondola System and Method for Plant Boiler Waterwall Urgent Repairing
JP2006348576A (en) Rail laying device in tunnel
CN105984821A (en) Hoisting device used according to needs and used in wind power unit cabin
KR20090102342A (en) Jig for dismantal of scaffolding big girder
CN108528763B (en) Operation method for enlarging operation space in sealed cabin of spacecraft
CN110758421A (en) Vehicle maintenance vehicle suitable for air rail transit system
KR101816699B1 (en) Temporary pole apparatus for suspension scaffold
CN205293909U (en) Mobilizable assembled transport auxiliary device
SU1030463A1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reinforcing beam of suspended and guy-rope bridges
JP6368628B2 (en) Mobile scaffold and inspection / repair method using the mobile scaffold
CN211420880U (en) Integral traction hanging basket walking device
CN107161037A (en) A kind of wire casing dismounting erecting by overhang used for rail vehicle
JP2007186947A (en) Method of forming working scaffold on girder back face, and working scaffold on girder back face
KR100455787B1 (en) movable work truck for suspending construction of bridge
CN115070668B (en) Special tool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electrode plates of electrolytic cleaning tank and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