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696B1 - 봉제 장치 - Google Patents

봉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696B1
KR102044696B1 KR1020190081755A KR20190081755A KR102044696B1 KR 102044696 B1 KR102044696 B1 KR 102044696B1 KR 1020190081755 A KR1020190081755 A KR 1020190081755A KR 20190081755 A KR20190081755 A KR 20190081755A KR 102044696 B1 KR102044696 B1 KR 10204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ewing
conveyor
ba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걸
Original Assignee
이의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걸 filed Critical 이의걸
Priority to KR102019008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05B75/06Arrangements, e.g. hinges, for mounting sewing-machine casings to frames, stands, or tab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2Indicators for positioning work, e.g. with graduated sca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매트 둘레에 소재원단을 박음질하여 형성된 봉제매트를 이송하기 위한 매트봉제부; 및 매트봉제부 측으로 소재원단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공급부; 및 봉제되는 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매트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봉제 장치{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 또는 네트와 소재원단이 봉제수단에 의해 박음질로 접합됨과 동시에 접합된 봉제매트가 이송시 자동 정렬되어 컨베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봉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바닥은 직물로 직조된 바닥 매트가 접착되어 실내바닥을 보호하고,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실내바닥에는 각 시트의 전방 바닥에 별도의 차량 매트를 깔아 차량의 실내를 아늑하게 유지시켜 탑승자가 보다 안락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탑승자의 신발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별도의 차량 매트로 떨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이 차량의 바닥 매트에 직접 떨어져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로 오염된 차량 매트는 외부에서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세탁하여 청결을 유지시키고, 다시 차량의 바닥에 깔아 반복적 및 영구적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 매트는 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절단 작업으로 매트 형상이 되도록 펀칭하는 작업으로 매트를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유압 프레스로 펀칭하여 제작하는 매트의 경우 외둘레가 터짐으로 매트의 섬유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유압 프레스로 펀칭하는 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유압 프레스 내부로 매트원단을 넣어주는 것으로, 안전상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17583호
본 발명은 매트 둘레에 소재원단을 봉제수단을 이용하여 접합시킴과 동시에 접합된 봉제매트가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봉제가 완료된 봉제매트가 1차 수직방향으로 이송되고, 수직이송된 봉제매트가 2차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봉제매트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매트정렬수단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지지대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매트 둘레로 접합되는 소재원단의 무게을 감지하여 소재원단의 양을 감지하도록 하며, 소재원단의 소진이 가까워지는 경우 알람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소재원단의 높이가 매트의 두께 또는 봉제수단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원단공급부를 승하강시켜주는 공급회전판승하강수단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된 매트 둘레에 소재원단을 박음질하여 형성된 봉제매트를 이송하기 위한 매트봉제부; 및 매트봉제부 측으로 소재원단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공급부; 및 봉제되는 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매트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봉제 장치는, 매트봉제부와 원단공급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작업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프레임부는, 봉제부와 원단공급부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플레이트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봉제부지지프레임, 상기 봉제부지지프레임 상측으로 안착 형성되어 상부로 봉제부와 원단공급부가 형성되며, 매트의 봉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작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봉제부는, 원단공급부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원단을 매트의 둘레에 박음질로 봉제하기위해 형성되는 봉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공급부는, 소재원단이 안착되며, 소재원단이 봉제수단 측으로 회전하여 제공되도록 작업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단회전판, 상기 작업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원단회전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단회전판 하부 중앙에 작업플레이트와 연결 형성되는 원단고정축을 포함하되, 상기 원단공급부는, 봉제수단의 작업높이 또는 매트의 두께에 따라 소재원단이 매트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원단회전판을 승하강 하기 위해 작업플레이트와 원단회전판 사이에 승하강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공급회전판승하강수단, 및 원단회전판에 안착되는 소재원단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원단회전판 상면에 형성되는 무게감지센서, 및 원단회전판에 안착되는 소재원단의 소멸시 작업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려주기 위해 원단회전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알람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이송부는, 봉제수단에서 봉제된 매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작업프레임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매트이송컨베어, 상기 매트이송컨베어 좌우측과 하측으로 매트이송컨베어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어프레임, 상기 컨베어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이송부는, 봉제수단에서 봉제된 매트가 매트이송컨베어 측으로 이송되도록 작업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매트제공컨베어, 상기 매트제공컨베어 좌우측과 하측으로 매트제공컨베어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제공컨베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매트이송부는, 상기 매트이송컨베어를 따라 이송되는 매트를 일정하게 정렬하기 위해 컨베어프레임에 형성되는 매트정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매트정렬수단은, 상기 매트이송컨베어를 좌우측으로 움직여 매트가 컨베어프레임에 접촉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제1정렬수단, 및 상기 매트이송컨베어 양측으로 형성되는 컨베어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정렬바와 제2정렬바에 의해 매트가 정렬되도록 하는 제2정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수단은, 매트이송컨베어를 좌우측으로 움직이기 위해 컨베어프레임 일측면에 형성되는 매트정렬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렬수단은, 매트이송컨베어를 따라 이송되는 매트를 일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컨베어프레임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정렬바실린더, 상기 컨베어프레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매트이송컨베어 측으로 형성되는 제1정렬바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1정렬바, 매트이송컨베어를 따라 이송되는 매트를 일정하여 정렬시키기 위해 컨베어프레임 상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정렬바실린더, 상기 컨베어프레임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매트이송컨베어 측으로 형성되는 제2정렬바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2정렬바를 포함하며, 상기 봉제 장치는, 매트이송컨베어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판을 지지하는 상부판지지바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지지바는, 상기 상부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지지바; 상기 상부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바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바는, 상기 상부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회동체결부재;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볼; 상기 제1연결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볼을 지지하는 제1연결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연결바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지지바로 공급되는 충전액탱크; 상기 충전액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지지바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탱크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바는, 상기 상부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회동체결부재;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연결볼; 상기 제2연결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볼을 지지하는 제2연결바; 상기 제2연결바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연결바를 지지하는 탄성체;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연결바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탱크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연결바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봉제수단을 이용하여 매트 둘레에 소재원단을 접합시킴과 동시에 1차 수직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고, 1차 수직방향으로부터 이송된 봉제매트를 제공받아 2차 수평방향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직접 옮기지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봉제매트를 정렬시켜 봉제매트가 일정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이송함으로 최종 이송이 정지되는 위치에서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지지대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이송되는 봉제매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봉제매트 간의 엉킴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매트 둘레로 접합되는 소재원단의 무게을 감지하여 소재원단의 양을 감지하도록 하며, 소재원단의 소진이 가까워지는 경우 알람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여 소재원단의 끊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 생산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프레임부와 매트봉제부와 원단공급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원단공급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매트이송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 매트정렬수단의 제1정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 매트정렬수단의 제2정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수단이 매트이송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탄성수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연결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한 부분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대한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봉제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성형된 매트 둘레에 소재원단(W)을 박음질하여 형성된 봉제매트를 이송하기 위한 매트봉제부(100); 및 매트봉제부(100) 측으로 소재원단(W)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공급부(200); 및 매트봉제부(100)와 원단공급부(2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작업프레임부(300); 및 봉제되는 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매트이송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봉제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성형된 매트에 소재원단(W)을 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된 매트의 둘레를 마감처리 하기 위해 매트 둘레 를 소재원단(W)으로 감싸도록 하여 봉제수단(110)을 이용하여 박음질을 통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봉제매트가 형성된다.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매트 둘레로 접합되는 소재원단(W)이 구비된 것으로, 소재원단(W)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의 판 상측으로 안착구비된다.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매트봉제부(100) 측의 봉제수단(110)의 작동시 동시에 공회전으로 인해 소재원단(W)이 자동 공급된다.
상기 작업프레임부(300)는 매트봉제부(100)와 원단공급부(20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작업프레임부(300)는 매트봉제부(100)와 원단공급부(200)의 안착시 무게를 지지하며, 매트봉제부(100)의 작동시 진동에 의해 매트봉제부(100)가 고정되도록 하고, 원단공급부(200)가 작업프레임부(3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프레임부(300)와 매트봉제부(100)와 원단공급부(200)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봉제부(100)는, 봉제수단(110)을 포함한다.
상기 봉제수단(110)은, 매트와 소재원단(W)을 박음질하여 일체화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으로 박음질 하기 위한 실이 위치되며, 봉제수단(110)을 작동시킴으로 매트와 소재원단(W)이 박음질 되어 봉제매트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원단회전판(210), 원단고정축(220)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회전판(210)은, 소재원단(W)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의 회전판이며, 봉제수단(110)의 작동시 소재원단(W)이 당겨짐으로 소재원단(W)이 고정된 원단회전판(210)이 무동력으로 회전된다.
상기 원단회전판(210)은 소재원단(W)이 봉제수단(110)의 당겨짐의 힘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되는 것으로, 매트에 박음질되는 소재원단(W)의 소진의 길이에 따라 원단회전판(210)에서 소진되는 소재원단(W)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회전된다.
상기 원단고정축(220)은, 원단회전판(210)이 작업플레이트(32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단고정축(220)은 원단회전판(210)을 관통하여 원단회전판(210) 상측으로 돌출되어 롤 형태로 형성된 소재원단(W)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원단고정축(220)과 원단회전판(210)은 일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됨으로, 봉제수단(110) 측에서 소재원단(W)을 당김에 따라 당겨지는 힘에 의해 원단회전판(210)이 회전 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프레임부(300)는, 지지프레임(310), 작업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10)은, 작업플레이트(3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지지프레임(310)은 매트봉제부(100)와 원단공급부(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업플레이트(320)는, 지지프레임(31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매트봉제부(100)와 원단공급부(200)가 각각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매트봉제부(100)에 위치하는 성형된 매트에 원단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소재원단(W)을 매트 둘레에 감싸도록 하여 매트봉제부(100)의 봉제수단(110)을 이용하여 박음질함으로 봉제매트를 형성하며, 봉제가 완료된 봉제매트를 매트이송부(400) 측으로 제공하여 매트이송부(400)를 통해 자동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봉제가 완료된 봉제매트는 작업자가 매트이송부(400) 측으로 던져줌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매트이송부(400)에 의해 봉제매트가 이송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원단공급부(2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단공급부(200)는, 원단회전판승하강수단(230), 무게감지센서(240), 알람수단(250)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회전판승하강수단(230)은, 원단회전판(210)을 작업플레이트(320) 상에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승하강수단으로는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회전판승하강수단(230)은, 소재원단(W)의 안착높이를 승하강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매트봉제부(100) 측으로 제공되는 소재원단(W)의 높이가 매트봉제부(100)에 위치한 매트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매트의 두께가 두껍거나 얇은 경우 매트 측으로 제공되는 소재원단(W)의 높이가 매트를 감쌀 수 있도록 최적화된 높이로 공급되도록 승하강 조절되며, 매트봉제부(100)의 봉제수단(110) 위치가 높거나 낮은 경우 공급되는 소재원단(W)의 높이가 최적화된 높이로 공급되도록 승하강해주는 수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240)는, 소재원단(W)의 무게를 감지하여 소재원단(W)의 소진 여부를 알려줌으로 소재원단(W)의 교체시기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무게센서는 원단회전판(210)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재원단(W)의 무게 감지는 설정된 초기 소재원단(W)의 무게 값을 설정하고, 소재원단(W)의 완전 소진시 무게를 설정해 줌으로, 소재원단(W)의 소진시 감지하여 교체 주기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알람수단(250)은, 무게감지센서(240)를 통해 소재원단(W)의 소진이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알람수단(250)은 원단회전판(210) 상에 형성되거나, 작업플레이트(320)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원단회전판(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원단회전판(210)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작업플레이트(32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매트이송부(400)는, 매트이송컨베어(410), 컨베어프레임(411), 프레임지지대(412)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이송컨베어(410)는, 봉제가 완료된 봉제매트가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작업프레임부(300) 일측으로 형성된다.
즉, 봉제매트를 작업자가 매트이송컨베어(410) 측으로 던짐으로 매트이송컨베어(410)에 봉제매트가 안착되어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매트이송컨베어(410)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형성되고, 롤러를 감싸도록 컨베어벨트(미도시)가 형성되며, 컨베어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매트이송컨베어(410) 일측으로 구동모터(미도시)가 형성되어 매트이송컨베어(410)를 작동시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이송컨베어(410)의 구성으로 롤러, 컨베어벨트, 구동모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들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매트이송컨베어(410)로 지칭한다.
상기 컨베어프레임(411)은, 매트이송컨베어(41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프레임지지대(412) 상측으로 매트이송컨베어(410)가 고정 형성될 수 있도록 프레임지지대(412) 상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컨베어프레임(411) 내부로 매트이송컨베어(410)가 형성되어 컨베어프레임(411) 내부에서 매트이송컨베어(410)가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지지대(412)는, 상기 컨베어프레임(411)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어프레임(411)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형성되거나, 용접접합을 통해 고정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지지대(412)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다.
프레임지지대(412)를 높이거나 낮히는 경우 높낮이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승하강 시키거나, 높낮이 스크류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 승하강된다.
도 4는 본 발명 매트이송부(4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이송부(400)는, 매트제공컨베어(420), 제공컨베어프레임(421)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제공컨베어(420)는, 봉제수단(110) 측에서 봉제가 완료된 매트를 매트이송컨베어(41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중간단계의 이송컨베어로써, 작업플레이트(320) 일측으로 형성되며, 봉제수단(110)과 매트이송컨베어(410) 사이에 형성된다.
즉, 봉제수단(110)에서 작업이 완료된 봉제매트를 매트이송컨베어(410) 측으로 작업자가 던져 이송시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봉제매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봉제매트를 매트제공컨베어(420) 측으로 밀어주며, 매트제공컨베어(420)가 매트이송컨베어(410)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봉제매트가 매트이송컨베어(410) 측으로 이송후 낙하로 인해 매트이송컨베어(410) 측으로 이송된다.
이로인해, 봉제매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공컨베어프레임(421)은, 매트제공컨베어(420)를 작업플레이트(320) 상에서 고정 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으로, 양측으로 형성된 프레임 사이에 롤러와 컨베어벨트가 결합 형성된 매트제공컨베어(4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의 매트이송컨베어(4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매트제공컨베어(420)에서 구동모터와 롤러, 컨베어벨트는 컨베어수단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으며, 크게 매트제공컨베어(420)로 지칭한다.
도 5a과 도 5b는 본 발명 매트이송부(400)의 매트이송컨베어(410)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과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이송부(400)는 매트정렬수단(430)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정렬수단(430)은, 매트이송컨베어(410)를 따라 이송되는 봉제매트를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매트이송컨베어(410)를 흔들거나, 매트이송컨베어(410)에 구비된 푸싱바에 의해 봉제매트가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정렬수단(430)은, 제1정렬수단(431), 제2정렬수단(4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정렬수단(431)은, 매트이송컨베어(410)를 좌우측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컨베어프레임(411)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봉제매트가 접촉되어 매트이송컨베어(410) 중앙측으로 봉제매트가 정렬되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정렬수단(432)은, 매트이송컨베어(410)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단으로 매트이송컨베어(410)를 따라 이송되는 봉제매트를 제2정렬수단(432)이 매트이송컨베어(410) 중앙측으로 밀어 줌으로 봉제매트가 매트이송컨베어(410) 중앙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정렬해주는 수단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정렬수단(431)은, 매트정렬실린더(4311)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정렬실린더(4311)는 컨베어프레임(411) 외부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매트정렬실린더(4311)의 실린더 축은 컨베어프레임(411) 하부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실린더 축이 매트이송컨베어(410)의 일측 롤러에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매트정렬실린더(4311)가 컨베어프레임(411)에 고정되어 컨베어프레임(411)을 기준으로 매트이송컨베어(410)가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컨베어프레임(411) 내부에 복수개 형성된 돌출부에 봉제매트가 접촉되는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정렬수단(432)은, 제1정렬바실린더(4321), 제1정렬바(4322), 제2정렬바실린더(4323), 제2정렬바(43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정렬바실린더(4321)는, 컨베어프레임(411)의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더욱상세하게는 매트이송컨베어(41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봉제매트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컨베어프레임(411)을 기준으로 제1정렬바실린더(4321)의 실린더 축이 컨베어프레임(411)을 관통하여 컨베어프레임(411) 내측으로 전진과 후퇴의 작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정렬바(4322)는, 제1정렬바실린더(4321)의 실린더 축의 끝단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제1정렬바실린더(4321)의 전진시 제1정렬바(4322)가 매트이송컨베어(410)의 중앙측으로 전진되며, 제1정렬바실린더(4321)의 후퇴시 제1정렬바(4322)가 컨베어프레임(411) 측으로 후퇴되는 것으로 제1정렬바실린더(4321)를 통한 정렬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정렬바실린더(4323)는, 컨베어프레임(411)의 타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더욱상세하게는 매트이송컨베어(41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봉제매트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컨베어프레임(411)을 기준으로 제2정렬바실린더(4323)의 실린더 축이 컨베어프레임(411)을 관통하여 컨베어프레임(411) 내츠긍로 전진과 후퇴의 작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정렬바(4324)는, 제2정렬바실린더(4323)의 실린더 축의 끝단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제2정렬바실린더(4323)의 전진시 제2정렬바(4324)가 매트이송컨베어(410)의 중앙측으로 전진되며, 제2정렬바실린더(4323)의 후퇴시 제2정렬바(4324)가 컨베어프레임(411) 측으로 후퇴되는 것으로 제2정렬바실린더(4323)를 통한 정렬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정렬바실린더(4321)와 제2정렬바실린더(432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정렬바실린더(4321)와 제2정렬바실린더(4323)는 동시에 작동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작동방법은 봉제매트가 최적의 상태로 정렬되는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지지부(500)를 매트이송부(400)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탄성지지부(5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500)를 매트이송컨베어(410)에 적용함으로, 외부로부터 매트이송컨베어(41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무게에 의한 하중을 견디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지지부(500)는, 상부판(510), 케이스(520), 상부판지지바(5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5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컨베어프레임(411) 하측으로 밀착 고정되며, 상부판지지바(5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520)는, 상부판(5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판지지바(5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판지지바(530)는, 케이스(5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5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판(510)을 지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지지부(500)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판지지바(530)는, 제1지지바(531), 제2지지바(5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바(531)는, 상부판(5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부판(5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지지바(532)로 공급한다.
상기 제2지지바(532)는, 상부판(5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판(5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부판(5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지지바(5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판지지바(530)는, 제1지지바(531) 및 다수 개의 제2지지바(532)를 통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판(510)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탄성지지부(500)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바(531)는 제1회동체결부재(5311), 제1연결볼(5312), 제1연결바(5313), 충전액탱크(5314), 탱크연결관(53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5311)는, 상부판(510)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연결볼(5312)이 연결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볼(5312)은, 제1회동체결부재(5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제1회동체결부재(5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연결바(5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1연결바(5313)는, 제1연결볼(5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탱크(5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연결볼(5312)을 지지하며, 상부판(5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탱크(5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상기 충전액탱크(5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5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연결바(5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판(510)이 하강할 경우 제1연결바(5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탱크연결관(5315)을 통과하여 제2지지바(5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연결바(5313)는 충전액탱크(5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탱크(5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연결관(5315)은, 충전액탱크(5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연결바(5323)까지 각각 연장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바(532)는, 제2회동체결부재(5321), 제2연결볼(5322), 제2연결바(5323), 탄성체(5324), 승하강조절부재(53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5321)는, 상부판(5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연결볼(5322)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연결볼(5322)은, 제2회동체결부재(5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제2회동체결부재(5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연결바(5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2연결바(5323)는, 제2연결볼(5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5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연결볼(5322)을 지지하며, 탄성체(5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탄성체(5324)는, 제2연결바(5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연결바(5323)를 케이스(5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상기 승하강조절부재(5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5325a)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5325a)에 제2연결바(5323)가 삽입되며, 상부판(510)이 하강할 경우 탱크연결관(5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5325a)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연결바(5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상기 탄성지지부(500)의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조절부재(5325)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5325a)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부재외측벽(5325b)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연결바(5323)와 대향하는 부재내측벽(5325c)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판지지바(530)는 제1지지바(531) 및 다수 개의 제2지지바(532)를 이용하여 상부판(5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지지바(532)를 이용하여 상부판(5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부판(510)이 각 제2지지바(53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지지바(531)를 하강시키면, 제1지지바(5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지지바(532)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지지바(532)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부판(5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부판(510)이 처음에는 각 제2지지바(532)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지지바(5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지지바(5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부판(5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봉제 장치 W : 소재원단
100 : 매트봉제부 110 : 봉제수단
200 : 원단공급부 210 : 원단회전판
220 : 원단고정축 230 : 원단회전판승하강수단
240 : 무게감지센서 250 : 알람수단
300 : 작업프레임부 310 : 지지프레임
320 : 작업플레이트
400 : 매트이송부 410 : 매트이송컨베어
411 : 컨베어프레임 412 : 프레임지지대
420 : 매트제공컨베어 421 : 제공컨베어프레임
430 : 매트정렬수단 431 : 제1정렬수단
4311 : 매트정렬실린더 432 : 제2정렬수단
4321 : 제1정렬바실린더 4322 : 제1정렬바
4323 : 제2정렬바실린더 4324 : 제2정렬바
500 : 탄성수단 510 : 상부판
520 : 케이스 530 : 상부판지지바
531 : 제1지지바 5311 : 제1회동체결부재
5312 : 제1연결볼 5313 : 제1연결바
5314 : 충전액탱크 5315 : 탱크연결관
532 : 제2지지바 5321 : 제2회동체결부재
5322 : 제2연결볼 5323 : 제2연결바
5324 : 탄성체 5325 : 승하강조절부재
5325a : 관통홀 5325b : 부재외측벽
5325c : 부재내측벽

Claims (2)

  1. 봉제 장치에 있어서,
    성형된 매트 둘레에 소재원단을 박음질하여 형성된 봉제매트를 이송하기 위한 매트봉제부; 및
    매트봉제부 측으로 소재원단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공급부; 및 봉제되는 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매트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제 장치는,
    매트봉제부와 원단공급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작업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프레임부는,
    봉제부와 원단공급부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플레이트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봉제부지지프레임;
    상기 봉제부지지프레임 상측으로 안착 형성되어 상부로 봉제부와 원단공급부가 형성되며, 매트의 봉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작업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봉제부는,
    원단공급부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원단을 매트의 둘레에 박음질로 봉제하기위해 형성되는 봉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공급부는,
    소재원단이 안착되며, 소재원단이 봉제수단 측으로 회전하여 제공되도록 작업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원단회전판;
    상기 작업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원단회전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단회전판 하부 중앙에 작업플레이트와 연결 형성되는 원단고정축을 포함하되,
    상기 원단공급부는,
    봉제수단의 작업높이 또는 매트의 두께에 따라 소재원단이 매트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원단회전판을 승하강 하기 위해 작업플레이트와 원단회전판 사이에 승하강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공급회전판승하강수단; 및
    원단회전판에 안착되는 소재원단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원단회전판 상면에 형성되는 무게감지센서; 및
    원단회전판에 안착되는 소재원단의 소멸시 작업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려주기 위해 원단회전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알람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이송부는,
    봉제수단에서 봉제된 매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작업프레임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매트이송컨베어;
    상기 매트이송컨베어 좌우측과 하측으로 매트이송컨베어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어프레임;
    상기 컨베어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이송부는,
    봉제수단에서 봉제된 매트가 매트이송컨베어 측으로 이송되도록 작업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매트제공컨베어;
    상기 매트제공컨베어 좌우측과 하측으로 매트제공컨베어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제공컨베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매트이송부는,
    상기 매트이송컨베어를 따라 이송되는 매트를 일정하게 정렬하기 위해 컨베어프레임에 형성되는 매트정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매트정렬수단은,
    상기 매트이송컨베어를 좌우측으로 움직여 매트가 컨베어프레임에 접촉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제1정렬수단; 및
    상기 매트이송컨베어 양측으로 형성되는 컨베어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정렬바와 제2정렬바에 의해 매트가 정렬되도록 하는 제2정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수단은,
    매트이송컨베어를 좌우측으로 움직이기 위해 컨베어프레임 일측면에 형성되는 매트정렬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렬수단은,
    매트이송컨베어를 따라 이송되는 매트를 일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컨베어프레임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정렬바실린더;
    상기 컨베어프레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매트이송컨베어 측으로 형성되는 제1정렬바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1정렬바;
    매트이송컨베어를 따라 이송되는 매트를 일정하여 정렬시키기 위해 컨베어프레임 상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정렬바실린더;
    상기 컨베어프레임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매트이송컨베어 측으로 형성되는 제2정렬바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2정렬바를 포함하며,
    상기 봉제 장치는,
    매트이송컨베어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판을 지지하는 상부판지지바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지지바는, 상기 상부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지지바; 상기 상부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바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바는, 상기 상부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회동체결부재;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볼; 상기 제1연결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볼을 지지하는 제1연결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연결바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지지바로 공급되는 충전액탱크; 상기 충전액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지지바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탱크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바는, 상기 상부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회동체결부재;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연결볼; 상기 제2연결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볼을 지지하는 제2연결바; 상기 제2연결바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연결바를 지지하는 탄성체;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연결바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탱크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봉제 장치.


  2. 삭제
KR1020190081755A 2019-07-07 2019-07-07 봉제 장치 KR10204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55A KR102044696B1 (ko) 2019-07-07 2019-07-07 봉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55A KR102044696B1 (ko) 2019-07-07 2019-07-07 봉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696B1 true KR102044696B1 (ko) 2019-11-14

Family

ID=6857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755A KR102044696B1 (ko) 2019-07-07 2019-07-07 봉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23B1 (ko) * 2020-08-21 2021-12-02 (주)지케미 복합 원단 제조 시스템
KR20220078363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비제이 매트 이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79A (ja) * 1993-08-19 1995-02-28 Matsushita Kogyo Kk マットレステープエッヂング装置
JPH07299269A (ja) * 1994-04-28 1995-11-14 Koyo Senshoku Kk 毛布の縫製方法と装置
JPH08173664A (ja) * 1994-12-27 1996-07-09 Matsushita Kogyo Kk 布帛製品における周縁部処理装置
JPH08299640A (ja) * 1995-04-28 1996-11-19 Keiji Fujiwara 被縫製物の外周縫い装置
KR20110017583A (ko)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썬스타 미싱용 봉제틀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79A (ja) * 1993-08-19 1995-02-28 Matsushita Kogyo Kk マットレステープエッヂング装置
JPH07299269A (ja) * 1994-04-28 1995-11-14 Koyo Senshoku Kk 毛布の縫製方法と装置
JPH08173664A (ja) * 1994-12-27 1996-07-09 Matsushita Kogyo Kk 布帛製品における周縁部処理装置
JPH08299640A (ja) * 1995-04-28 1996-11-19 Keiji Fujiwara 被縫製物の外周縫い装置
KR20110017583A (ko)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썬스타 미싱용 봉제틀 교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23B1 (ko) * 2020-08-21 2021-12-02 (주)지케미 복합 원단 제조 시스템
KR20220078363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비제이 매트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696B1 (ko) 봉제 장치
KR100622412B1 (ko) 트레이 이송장치
CN103154376B (zh) 用于向由土工织物材料制成的容器内填充颗粒状、粉末状可灌注的材料的设备
KR100967422B1 (ko) 보강재 타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접착시스템
CN207223597U (zh) 一种适用于压缩机筒体焊缝清洁的设备
CN107628442A (zh) 一种cnc玻璃高效上下料机
CN105569103B (zh) 一种挖土运土装土装置
KR102004099B1 (ko) 마스크팩 자동 포장 장치
CN111530538B (zh) 一种研磨机
CN103130153B (zh) 加气砖搬运用抓抱机
KR101691506B1 (ko) 4주식 베드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KR102107904B1 (ko) 고속 부직포 자동 공급장치
CN103318464B (zh) 一种全自动给袋包装机
KR101789117B1 (ko) 2주식 리프트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CN210712077U (zh) 一种簇绒机的稳定张紧装置
CN207914031U (zh) 一种板材涂胶装置
CN111227408A (zh) 一种马甲生产用充绒装置
CN210856551U (zh) 厚料缝纫机
CN217732072U (zh) 一种高安全性的环保型水泥熟料散装机
CN111153110A (zh) 一种可自动上料的粮食输送装置
CN218201536U (zh) 一种新型络筒机的振动盘内管纱装置
CN211730665U (zh) 一种自动加料的撒粉机
KR102662982B1 (ko) 타이어 공기주입장치
CN210795086U (zh) 一种匣钵的粉料供料装置
CN212355517U (zh) 食品原料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