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652B1 - 좌변기 커버 - Google Patents

좌변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652B1
KR102044652B1 KR1020190032668A KR20190032668A KR102044652B1 KR 102044652 B1 KR102044652 B1 KR 102044652B1 KR 1020190032668 A KR1020190032668 A KR 1020190032668A KR 20190032668 A KR20190032668 A KR 20190032668A KR 102044652 B1 KR102044652 B1 KR 10204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eet
seat
toilet seat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박증후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설정 면적을 갖는 시트; 및 상기 시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시트를 덮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시트를 하는 시트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좌변기 커버{Toilet stool cover}
본 발명은 좌변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사용과정에서 청결 상태가 유지되는 좌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에는 좌변기 커버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좌변기 커버는 좌변기 상에 직접 위치되어 사람이 앉는데 사용되는 시트와, 시트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를 뒤로 젖힌 후, 시트에 앉는 방식으로 좌변기를 사용한다.
사용후에 좌변기의 수조의 일측에 장착된 물내림 레버를 작동시키면 수조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며 이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좌변기 커버는 시트를 커버로 덮은 상태로 물을 내리더라도, 시트와 커버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물을 내리는 과정에서 물방울이 튀어 올라 시트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과정에서 청결상태가 유지되는 좌변기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좌변기가 막힌 경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이를 인식 가능하게 하는 좌변기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설정 면적을 갖는 시트; 및 상기 시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시트를 덮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시트를 하는 시트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좌변기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외측 둘레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용부; 및 상기 외측 수용부와 중앙 영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측 수용부와 상기 내측 수용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수용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시트를 덮은 상태가 되면, 상기 시트의 외측 단부에 접한 상태가 되게 제공되고,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시트를 덮은 상태가 되면, 그 측면이 상기 시트의 내측 단부와 접한 상태가 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저면과 상면을 관통 연결하는 경로상에 위치되는 알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알람 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보다 밀도가 큰 소재로 제공되는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을 연결하는 경로상에 위치되는 알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과정에서 청결상태가 유지되는 좌변기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좌변기가 막힌 경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이를 인식 가능하게 하는 좌변기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좌변기 커버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시트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좌변기 커버에서 커버가 시트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변기 커버(1)는 시트(10) 및 커버(20)를 포함한다.
시트(10)는 사람이 위쪽에 앉을 수 있도록 설정 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시트(10)는 내측 중앙 영역에 개방부(11)가 형성된다. 일 예로, 시트(10)는 내측 중앙 영역에 개방부(11)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시트(10)의 상면은 사용 편의성을 위해 설정 형태의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10) 상면의 내측 영역은 안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좌변기 커버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트(10)는 저면이 평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10)가 좌변기(ts)의 상면에 위치되면, 시트(10)의 저면은 좌변기(ts)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시트(10)의 저면에는 좌변기(ts)와 접하는 영역에 패킹(12)이 위치될 수 있다. 패킹(12)은 시트(10) 저면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어, 시트(10)와 좌변기(ts)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커버(20)는 시트(10)의 위쪽에 위치되어, 시트(10)를 덮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커버(2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재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20)의 후단부와 시트(10)의 후단부는 체결부(30)를 통해 연결되어, 커버(20)는 시트(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커버(20)의 외측 둘레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용부(21)가 형성된다. 외측 수용부(21)의 내측면은 시트(10)의 외측 단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커버(20)의 저면에는 외측 수용부(21)와 중앙 영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용부(22)가 형성되어, 커버(20)의 저면에는 외측 수용부(21)와 내측 수용부(22) 사이에 상방으로 설정 높이를 갖는 시트 수용 공간(23)이 형성된다. 외측 수용부(21)와 내측 수용부(22)의 이격 거리는 시트(1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가 시트(10)를 덮은 상태가 되면, 시트(10)는 시트 수용 공간(23)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시트(10)의 외측 단부는 외측 수용부(21)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가 되고, 시트(10)의 내측 단부는 내측 수용부(22)의 측면에 접한 상태가 되어, 시트(10)의 상면은 밀폐 상태의 시트 수용 공간(23)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수용 공간(23)의 높이는 시트(10)의 두께 보다 크게 제공되어, 시트(10)의 상면은 커버(20)와 이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20)에는 저면과 상면을 관통 연결하는 경로상에 알람 부재(25)가 위치된다. 알람 부재(25)는 공기가 내측을 유동하면, 소리가 발생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커버(20)의 저면에는 알람 부재(25) 방향으로 갈수로 상방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의 아래쪽 공간의 압력이 증가되면 공기가 알람 부재(25) 방향으로 안내된 후, 알람 부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20)에는 중량 부재(26)가 제공된다. 중량 부재(26)는 금속 소재 등과 같이 커버(20)보다 밀도가 큰 소재로 제공된다. 중량 부재(26)는 커버(20)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중량 부재(26)는 커버(2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20)가 시트(10)를 덮은 상태가 되면, 커버(20)는 중량 부재(26)의 무게에 의해 가압 되고, 이에 따라, 커버(20)와 시트(10) 사이, 또는 시트(10)와 좌변기(ts)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시트(10)를 좌변기(ts)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커버(20)를 개방한 상태로, 좌변기 커버(1)를 사용한다. 이 후, 시트(10)로 커버(20)를 덮은 상태에서 좌변기(ts)의 물을 내려 보낸다. 좌변기(ts)의 물을 내려 보내는 과정에서 물 방울이 비산하며, 또한 세균 등이 함께 비산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커버(1)는 시트(10)가 거푸집 구조를 갖는 시트 수용 공간(23)에 위치되어, 비산된 물방울이나 세균이 시트(10)의 상면에 내려 않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시트(10)의 상면은 커버(20)와 이격된 상태로 시트 수용 공간(23)에 노출되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시트(10)의 상면이 물체와 접촉한 상태로 방치되어, 접촉면에서 세균이 증식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좌변기(ts)와 좌변기 커버(1) 사이의 공간과 외부는 좌변기 커버(1)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비산된 물, 세균이 외부 공간으로 퍼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 과정에서 좌변기(ts)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좌변기(ts)에 수용되는 물이 차오름에 따라, 좌변기(ts)와 커버(2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 경우, 좌변기(ts)와 커버(20) 사이의 공간의 공기는 알람 부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공기의 배출과정에서 알람 부재(25)는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어, 커버(20)를 덮은 상태에서도 청각적으로 좌변기(ts)가 막혔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 커버의 시트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좌변기 커버에서 커버가 시트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좌변기 커버(1a)는 시트(10a) 및 커버(20a)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의 좌변기 커버(1)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10a)에는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을 연결하는 경로상에 알람 부재(16)가 위치된다. 일 예로, 시트(10a)의 저면에는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을 연결하는 홈이 형성되고, 알람 부재(16)는 시트(10a)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트(10a)에는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을 연결하는 홀이 형성되고, 알람 부재(16)는 시트(10a)에 형성된 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시트(10a)의 저면에 패킹(12a)이 제공되는 경우, 알람 부재(16)는 패킹(12a)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시트(10a)에는 알람 부재(16)의 내측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홈 또는 홀의 폭이 커지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10a)의 저면에 패킹(12a)이 제공되는 경우, 가이드부(15)는 패킹(12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외측 수용부(21a)에는 알람 부재(16)의 외측 단부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출홀(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시트 11: 개방부
20: 커버 21: 외측 수용부
22: 내측 수용부 23: 시트 수용 공간
25: 알람 부재 30: 체결부

Claims (8)

  1.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설정 면적을 갖는 시트; 및
    상기 시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시트를 덮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시트를 하는 시트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저면과 상면을 관통 연결하는 경로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시트의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을 연결하는 경로상에 위치되는 알람 부재를 더 포함하는 좌변기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측 둘레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용부; 및
    상기 외측 수용부와 중앙 영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측 수용부와 상기 내측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좌변기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용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시트를 덮은 상태가 되면, 상기 시트의 외측 단부에 접한 상태가 되게 제공되고,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시트를 덮은 상태가 되면, 그 측면이 상기 시트의 내측 단부와 접한 상태가 되게 제공되는 좌변기 커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알람 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좌변기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보다 밀도가 큰 소재로 제공되는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하는 좌변기 커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좌변기 커버.
KR1020190032668A 2019-03-22 2019-03-22 좌변기 커버 KR10204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68A KR102044652B1 (ko) 2019-03-22 2019-03-22 좌변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68A KR102044652B1 (ko) 2019-03-22 2019-03-22 좌변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652B1 true KR102044652B1 (ko) 2019-11-13

Family

ID=6853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68A KR102044652B1 (ko) 2019-03-22 2019-03-22 좌변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85U (ko) 2021-12-03 2023-06-12 김완수 변기커버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717U (ko) * 2014-02-04 2014-03-25 석동희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20140086035A (ko) * 2012-12-28 2014-07-08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035A (ko) * 2012-12-28 2014-07-08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살균장치
KR20140001717U (ko) * 2014-02-04 2014-03-25 석동희 세균의 비산 방지를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85U (ko) 2021-12-03 2023-06-12 김완수 변기커버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4937A (en) Urinal screen
US5791287A (en) Splash-resistant pet water vessel
KR102044652B1 (ko) 좌변기 커버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KR100370438B1 (ko)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US5860170A (en) Toilet plunging shield
JP2007050182A (ja) 漉し網内蔵の蓋付きカップ及び漉し網。
US20180155911A1 (en) Solution supply
US6615416B1 (en) Portable toilet or potty for children
US3388840A (en) Shielded dome and actuator assembly for foam valves
US1134556A (en) Water-closet tank.
KR200489745Y1 (ko)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JP6749580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
US658982A (en) Cover for water-closets.
US20230119847A1 (en) Chemical solution supply device
US1109824A (en) Toilet vessel.
KR101977571B1 (ko)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JP6973935B2 (ja) 発泡用ウィジェット
JP2021138375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7145411A (ja) エアゾール式液噴出器
JPH11324062A (ja) 薬液供給装置
KR200209514Y1 (ko)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KR20210130961A (ko)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JP2021010676A (ja) 洋式便器
JP6437264B2 (ja) 芳香洗浄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