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571B1 -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7571B1 KR101977571B1 KR1020170042189A KR20170042189A KR101977571B1 KR 101977571 B1 KR101977571 B1 KR 101977571B1 KR 1020170042189 A KR1020170042189 A KR 1020170042189A KR 20170042189 A KR20170042189 A KR 20170042189A KR 101977571 B1 KR101977571 B1 KR 101977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ap
- protruding member
- lower cap
- contain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체와 외관을 형성하는 외체의 복층으로 이루어지고, 외체의 바닥면에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가 내부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공기 출입공이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의 내부 저면의 중앙부에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재는, 그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3개 이상의 대칭면을 갖는 방사 대칭이거나 또는 임의 각의 회전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상단이 상기 절개선을 가르면서 상기 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절개선에 틈을 형성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틈과 상기 공기 출입공을 통해 상기 내체 및 상기 외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이중 용기의 외부 간에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음료수, 또는 액상의 약재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층과 용기의 외관을 이루는 외층으로 구성되고, 그 내층과 외층 사이로의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절개선이 외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중 용기 및 그 하부에 장착되는 캡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소재의 이중 용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중 용기는, 특별한 목적, 예를 들어 그 내용물의 산소와의 접촉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그 내용물의 외부 배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중 용기는, 일반적으로, 외층을 이루는 용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외체'라 칭한다. )의 바닥면에 소정 폭의 슬릿(slit)을 형성하여, 이 슬릿을 통해,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내층 용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내체'라 칭한다. )와의 사이에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조된다.
사용자가 이중 용기를 파지하여 외체에 압력을 가할 때 그 내체가 함께 압축됨으로써 그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사용자가 압력을 해제하였을 때, 슬릿 형태의 공기 출입공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외체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그런데, 이중 용기를 두는 장소에 따라서는,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 출입공을 통해서 용기 내부, 즉 외체와 내체 사이의 공간에 불순물, 예를 들어 물, 또는 먼지 등이 유입될 수가 있다. 이렇게 되면, 그 이중 용기의 사용자는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위생상 불결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또한, 이중 용기의 내용물을 상당량 음용 또는 사용하게 되면, 탄력성의 재질의 내체는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정해진 형상의 외체와 내체 사이의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그 사이 공간의 공기가 공기 출입공으로 유출되면서 사용자가 외층에 가하는 압력이 상당 크기 유실되면서 내층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이중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위와 같은 이중 용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고안이 출원되어 제 20-0482051호로 등록된 바 있다. 이 등록 고안은,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태의 공기 출입공(3)이 구비된 용기의 바닥면을 커버하기 위해 별도의 캡(5)이 용기(1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하부캡(5)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상단에서 하부까지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오목홈(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5a)은, 캡 내부와 용기 외부 간의 공기 출입통로로 작용하는데, 이 오목홈(5a)은 그 유로(流路) 단면적이 공기 출입공(3)의 유로 단면적보다 훨씬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외체(2)와 내체(1) 사이에 상당한 빈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의 외체(2)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빈공간의 공기는 공기 출입공(3)으로도 유출될 수 있지만, 그 유출량은 상기 오목홈(5a)의 유로 단면적에 의해 제한되므로, 빈공간에 있던 공기가 상기 공기 출입공(3)을 통해 배출되는 양은, 하부캡(5)이 없을 때에 비해서 매우 적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외체(2)에 가하는 압력의 대부분이 빈공간 내의 공기를 매개로 내체(1)에 가해지게 되어 용기의 내용물에 대한 배출이 이전에 비해서 훨씬 용이해 진다.
또한, 빈공간으로 공기 출입이 이루어지는 최종 출입구는, 용기의 바닥면이 아니고 상기 오목홈(5a)의 상단이 되므로, 용기를 임의 위치에 세워 둘 때, 하부캡 내로, 이어서 외체(2) 내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거의 유입되지 못한다.
그런데, 이중 용기가, 블로우 몰딩 방식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조될 때, 내체는 외체에 붙어서 제조되므로, 외체에만 정확히 개방된 슬릿을 형성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공기 출입공을 만들 외체의 영역을 매우 얇은 상태로 제조한 후, 공기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얇은 영역을 별도의 작업 또는 공정에 의해 절개 또는 절단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 고안과 같이 용기의 바닥을 별도의 하부캡으로 씌우게 되면, 외체의 압착된 얇은 영역의 절개가 용이하지 않게 되며, 별도의 절개 작업 또는 공정 후에 하부캡을 장착하는 경우라면, 절개와 하부캡의 장착이라는 각각의 작업 또는 공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중 용기의 하부에 장착될 때 그 외층의 바닥면에 공기 출입을 위한 틈을 형성하는 하부장착용 캡과 그와의 결합을 위한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바닥면에 공기 출입용 틈을 형성하기 위한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하부장착용 캡과 그와의 결합을 위한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 시에 형성하는 공기 출입용 틈에 의한 공기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하부장착용 캡과 그와의 결합을 위한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체와 외관을 형성하는 외체의 복층으로 이루어지고, 외체의 바닥면에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가 내부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공기 출입공이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의 내부 저면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부재는, 그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3개 이상의 대칭면을 갖는 방사 대칭이거나 또는 임의 각의 회전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상단이 상기 절개선을 가르면서 상기 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절개선에 틈을 형성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틈과 상기 공기 출입공을 통해 상기 내체 및 상기 외체 사이와 외부 간에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하부캡을 서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환홈과 걸림환턱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 외주면과 하부캡의 내주면에 각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재의 측면에 그 둘레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오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하로 연장된 돌기가 서로 등간격으로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서, 그 측면 상에 둘레를 따라 요철(凹凸)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재에 그 상단과 측면 간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의 상기 측면 상의 출입구가, 상기 외체의 상기 바닥면보다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측면 상에 복수개의 서로 연통된 출입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용기의 제조 시에 형성된 외체 바닥면의 미개봉 절개선이 그 용기 본체에의 하부캡의 장착만으로 갈라져 공기 출입의 틈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내체와 외체 사이의 공간에 대한 공기 출입의 정도를 제한하거나 또는 그 틈으로 이물질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캡을 장착시키더라도, 별도의 작업이나 공정을 통해 외체 바닥면에 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중 용기의 생산 과정을 보다 단순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미개봉 절개선에 실제의 틈을 만드는 천공의 공정이나 작업에서, 용기 본체와 하부캡을 서로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결합시키기만 하면, 외체 바닥면의 절개선이 관통되면서 공기 출입용 틈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중 용기에 공기 출입공을 형성하면서 하부캡을 결합시키는 작업이나 공정이 매우 간편해진다.
도 1은, 종래의 하부캡이 장착된 이중 용기와 그 용기 본체의 외체 바닥면에 공기출입을 위한 슬릿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본체 하부에 장착하기 위한 하부캡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도 2의 하부캡이 용기 본체에 장착된 형태를 부분 단면으로써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의 (b)와 (c)는, 도 3의 (a)와 같은 결합상태가 될 때까지의 외체 바닥면에 대한 스플릿 과정 및 그 결과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절개선 스플릿(split)용 돌출부재의 형상을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공기 출입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 절개선 스플릿용 돌출부재의 형상에 대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본체 하부에 장착하기 위한 하부캡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도 2의 하부캡이 용기 본체에 장착된 형태를 부분 단면으로써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의 (b)와 (c)는, 도 3의 (a)와 같은 결합상태가 될 때까지의 외체 바닥면에 대한 스플릿 과정 및 그 결과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절개선 스플릿(split)용 돌출부재의 형상을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공기 출입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 절개선 스플릿용 돌출부재의 형상에 대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하기 위한 캡( 이하, '하부캡'이라 약칭한다. )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부캡이 용기 본체에 장착된 이중 용기의 상태를, 부분 단면으로써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캡(20)은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제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돌출부재(21)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의 일 측에는 공기 출입통로를 위한 오목홈(2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주면의 소정 높이에는, 이중 용기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걸림환턱(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21)는, 적어도 그 상단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캡이 이중 용기 본체와 결합하였을 때 그 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게 되는 상부가, 수직의 중심축에 대해 3개 이상의 대칭면을 갖는 방사 대칭(radial symmetry)이 되는 형상이거나, 또는 임의 각의 회전에 대해서 회전 대칭이 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상단부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5각 이상의 정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21)는, 전체적으로 하부로 갈수록 그 단면의 면적이 넓어지는 형태일 수 있고, 적어도 그 상단의 모서리들은 라운드(round) 처리되어 있다.
이중 용기의 본체(30)( 이하, '용기 본체'로 약칭한다. )는, 블로우 몰딩 방식 등에 의해 제조될 때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내체가 외체에 붙은 채로 제조된다. 이런 이유로, 내체가 외체로부터 이격되어 서로 분리된 경우가 아니면, 도면 상에서는 내체가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외체의 내피가 곧 내체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걸림환턱(23)은, 용기 본체(30)에서 단차져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부(31)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홈(32)에 삽입 안착됨으로써, 상기 하부캡(20)을 용기 본체(30)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결합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또는 자동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환홈과 걸림환턱이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환홈이 하부캡의 내주면에 걸림환턱이 용기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캡(20)을 상기 용기 본체(30)에 결합하여 완전한 이중 용기를 만들 때는, 소정의 힘으로 하부캡(20)과 상기 용기 본체(30)를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캡(20)이 상기 하단부(31)에 끼워져 장착되게 한다. 이 때, 상기 하단부(31)의 외체 바닥면(311)의 중앙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제조 시에 기 형성된 쉽게 절개되도록 처리된 선(311a)( 이하에서는, 이 절개 예정된 선과, 실제 절개되어 틈이 생긴 선을 통칭하여 '절개선'이라 칭한다. )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하부캡(20)이 어떤 방향으로 정렬되어도, 상기 돌출부재(21)의 수평 단면은 항상 완전한 대칭을 이루거나 또는 거의 대칭에 가깝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재(21)의 상단부가, 외체 바닥면(311)에 형성된 현재 붙어 있는 절개선(311a)에 가하게 되는 압력은, 상기 하부캡(20)이 용기 본체에 대해 어떻게 정렬되어 서로 밀착되느냐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 전에 하부캡을 용기 본채에 대해 특정의 방향으로 정렬할 필요없이 용기 본체에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하부캡(20)은, 그 상단이 상기 용기 본체(30)의 단차면까지 밀착되면서 하단부(31)에 장착되었을 때, 양 바닥면 간에 소정 간극, 예를 들어 10mm 정도의 여유 공간(fC)( 이하, '유로 챔버'라 칭한다. )이 형성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상기 하부캡(20)이 위와 같이 용기 본체(30)에 결합된 상태일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21)는 외체 바닥면(311)보다 다소 높아지는 높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상단부가 미개봉된 절개선(311a)에 압박을 가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311b)을 스플릿(split)하여 실제의 틈(320)을 내면서 그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도 3의 (b)와 (c)에서는 이러한 외체 바닥면에 대한 스플릿 과정 및 그 결과를 잘 보여주기 위해서 상기 돌출부재(21)의 상단을 덮고 있는 내체는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도 3의 (b)의 미개봉 절개선(311a)의 표시에서, 점선은 그 선의 부분이 완전히 절개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점선이 보여주는 것처럼 간헐적으로 절개되어 있음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점선으로 표시된 미개봉 절개선(311a)은, 외체 바닥면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만큼 얇은 연속된 선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내체 바닥면(312)은,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재(21)가 외체 바닥면보다 더 돌출된 높이만큼 상부로 약간 밀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21)의 상단은 라운드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외체의 절개선을 스플릿하는 바닥면 천공 과정에서 얇은 두께의 내체(312)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캡(20)이 상기 용기 본체(30)에 장착되면, 절개선 스플릿용 상기 돌출부재(21)에 의해 갈라진 절개선(311b)이 만든 틈(320)( 벌어진 틈에서 돌출부재에 의해 차단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 이하 이러한 영역을 '공기 출입공'이라 칭한다. )을 통해( 그리고, 상기 하부캡(20)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된 오목홈(22)을 통해 ), 내체와 외체 사이의 공간과 이중 용기 외부와의 공기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유로 챔버(fC)와 하부캡 외부와의 공기 출입을 위해서, 전술한 바의 오목홈(22) 대신, 유로 챔버(fC)로 통하는 통기구를 상기 하부캡의 측면에 관통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외체 바닥면에 실제로 공기 출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출입공이, 용기 본체에 상기 하부캡(2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부캡에 형성하는 절개선 스플릿용 돌출부재는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주면 상에 둘레를 따른 요철(凹凸)이 있도록 구성된 절개선 스플릿용 돌출부재들의 형상을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실시예의 돌출부재(41)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인 수직방향의 채널(411)이 서로 균등 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이 3개의 채널(411)들은, 상기 돌출부재(41)의 상단부가 용기 본체의 외체 바닥면 절개선을 스플릿했을 때, 그 벌어진 절개선에 만들어지는 돌출부재 양측의 공기 출입공(320)에 더하여, 각 채널의 수평단면이 모두 공기 출입통로 기능을 하게 되므로, 도 2의 실시예의 돌출부재(21)에 비해 보다 넓은 유로 단면적의 공기 출입공을 형성하게 된다.
돌출부재의 상단부가 외체의 절개선을 스플릿하여 관통함으로써 그 양측에 형성되는 절개선(311b)의 벌어진 틈(320)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는 단면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돌출부재(41)에 형성하는 채널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적은 수로도 필요로 하는 양의 공기 출입을 보장할 수 있다면, 채널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된 3개 이외의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돌출부재(42)는, 외주면에 상하로 길게 돌출된, 서로 균등 간격의 세로 리브(421) 4개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세로 리브(421)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돌출부재(42)가 용기 본체의 외체 바닥면의 절개선(311a)을 가르면서 관통했을 때, 공기 출입공의 일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세로 리브가 4개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로 하는 공기 출입공의 확보를 위해 다른 개수의 세로 리브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세로 리브 자체가 아닌 그 사이 간격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이 되므로, 돌출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세로 리브의 수는 3개 이상이어야 하며, 그 수가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는, 절개선을 관통하는 방향( 즉, 절개선의 길이 방향에 대한 돌출부재 단면의 위상 )에 따른 채널들의 단면적의 합의 변화가 적어지기 하여 이중 용기들의 공기 유출입 능력에 편차가 없게 하기 때문이다.
도 4의 (b)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로 리브(421)의 상단(421a)은, 상기 돌출부재(42)의 라운드진 상단과 단차없이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갖는다. 이는, 측면에 세로 리브가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42)가 가능한 한 큰 저항없이, 용기 본체의 절개선을 가르면서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절개선을 관통하는 돌출부재에 둘레를 따라 요철을 이루는 구조를 그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돌출부재의 외면에 공기 출입공이 되는 평면적 틈을 추가적으로 만드는 것들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돌출부재의 내부에 공기 출입공이 되는 통로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돌출부재에 대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재(5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과 상단 간을 서로 연통하는 관통홀(511)이 구비된다. 다르게는, 양 측면이 상단과 연통되게 하지 않고, 상단과 일 측면 간에만 연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511)은, 돌출부재 측면의 출입구(511a)가, 하부캡이 용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외체 바닥면(311)의 아래쪽, 즉 유로 챔버(fC)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재(51)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재가 절개선을 스플릿하면서 만든 돌출부재 외측의 틈(320) 이외에, 상기 관통홀(511)의 측면 출입구(511a)와 상단 출입구(511b)를 통해서도, 외체와 내체 사이의 공간과, 오목홈(22)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유로 챔버(fC) 간의 공기 유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되는 캡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20: 하부캡 21, 41, 42, 51: 돌출부재
22: 오목홈 30: 용기 본체
31: 하단부 32: 환홈
311: 외체 바닥면 311a, 311b: 절개선
312: 내체 바닥면 411: 채널
511: 세로 리브 511: 관통홀
22: 오목홈 30: 용기 본체
31: 하단부 32: 환홈
311: 외체 바닥면 311a, 311b: 절개선
312: 내체 바닥면 411: 채널
511: 세로 리브 511: 관통홀
Claims (5)
-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체와 외관을 형성하는 외체의 복층으로 이루어지고, 외체의 바닥면에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가 내부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공기 출입공이 형성된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캡의 내부 저면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재는, 그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3개 이상의 대칭면을 갖는 방사 대칭(radial symmetry)이거나 또는 임의 각의 회전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상단이 상기 절개선을 가르면서 상기 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절개선에 틈을 형성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틈과 상기 공기 출입공을 통해 상기 내체 및 상기 외체 사이와 외부 간에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돌출부재의 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오목홈(4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하로 연장된 돌기(421)가 서로 등간격으로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 그 측면 상에 둘레를 따라 요철(凹凸)을 형성하고 있는 것인 하부캡이 장착된 이중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하부캡을 서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환홈(32)과 걸림환턱(23)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 외주면과 하부캡의 내주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것인 하부캡이 장착된 이중 용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는 그 상단과 측면 간에 연통되는 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관통홀의 상기 측면 상의 출입구(511a)가, 상기 외체의 상기 바닥면(311)보다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하부캡이 장착된 이중 용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측면 상에 복수개의 서로 연통된 출입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인 하부캡이 장착된 이중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2189A KR101977571B1 (ko) | 2017-03-31 | 2017-03-31 |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2189A KR101977571B1 (ko) | 2017-03-31 | 2017-03-31 |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348A KR20180111348A (ko) | 2018-10-11 |
KR101977571B1 true KR101977571B1 (ko) | 2019-05-10 |
Family
ID=6386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2189A KR101977571B1 (ko) | 2017-03-31 | 2017-03-31 |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757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69001A (ja) * | 2014-09-30 | 2016-05-0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スクイズ容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28120B1 (en) * | 2002-10-18 | 2011-02-09 | Yoshino Kogyosho Co., Ltd. | Discharge Container |
KR200482051Y1 (ko) * | 2015-05-22 | 2016-12-08 | 마루니 코리아 주식회사 | 플라스틱 이중 용기 |
-
2017
- 2017-03-31 KR KR1020170042189A patent/KR1019775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69001A (ja) * | 2014-09-30 | 2016-05-0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スクイズ容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348A (ko) | 2018-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5126B2 (en) | Leak resistant drinking cup | |
US10117533B2 (en) | Straw cup | |
US7185784B2 (en) | Drinking containers | |
JP6790087B2 (ja) |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 |
US11014715B2 (en) | Safety cap spout | |
JP5960037B2 (ja) | 泡吐出容器 | |
US10945546B2 (en) | Drinking attachment for a drinking vessel and drinking vessel with such attachment | |
BRPI0720391A2 (pt) | Conjuntos de válvulas de ventilação para mamadeiras | |
KR20120054565A (ko) | 고무 젖꼭지 유닛 | |
CN112399953A (zh) | 用于制作饮料的胶囊 | |
KR101977571B1 (ko) |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 |
JP2005512914A (ja) | 改良型封鎖システム | |
JP4411632B2 (ja) | 点眼薬容器の滴下ノズル | |
JP2008174268A (ja) | 薬液容器の中栓 | |
KR101808049B1 (ko) | 이중 용기와 그 하부에 장착하는 캡 | |
JP6820169B2 (ja) | 吐出容器 | |
KR101110035B1 (ko) | 잉크 카트리지 개폐장치 | |
KR102044652B1 (ko) | 좌변기 커버 | |
EP4056492B1 (en) | Cap for an opening of a container | |
WO2020225739A1 (en) | Lid for a cup, especially a lid mountable on a spray gun for paint | |
JP6118640B2 (ja) | 吐出容器 | |
KR20230027204A (ko) | 벤트 시스템 | |
KR101877555B1 (ko) |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 |
JP6214218B2 (ja) | 吐出容器 | |
KR101999205B1 (ko) | 전도 방지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