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565A - 고무 젖꼭지 유닛 - Google Patents

고무 젖꼭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565A
KR20120054565A KR1020117029459A KR20117029459A KR20120054565A KR 20120054565 A KR20120054565 A KR 20120054565A KR 1020117029459 A KR1020117029459 A KR 1020117029459A KR 20117029459 A KR20117029459 A KR 20117029459A KR 20120054565 A KR20120054565 A KR 2012005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ifier
valve
air
fixing part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383B1 (ko
Inventor
에리히 페니게르
마리오 리게르트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5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Aesthetic properties for imitating a nip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rigidity, e.g. anti-bite-through or anti-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12Dummy teats, pacif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heck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젖꼭지(4), 이 고무 젖꼭지(4)를 액체 용기(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2, 3) 및 공기 밸브(23, 310)를 포함하는 고무 젖꼭지 유닛에 관한 것으로, 고정 장치는 제 1 고정부(2)와 제 2 고정부(3)를 갖는다. 공기 밸브(23, 310)는 제 1 고정부(2)에 배치되는 적어도 제 1 밸브부(23)와 제 1 고정부 또는 제 2 고정부(3)에 배치되는 제 2 밸브부(310)를 갖는다. 상기 공기 밸브(23, 310)는 제 2 고정부(3)에 대해 개폐된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막 밸브이고 제 1 밸브부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막이다. 상기 고무 젖꼭지 유닛은 병과 주변 환경 사이의 매우 작은 압력차에서도 매우 신뢰적으로 기능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다른 고무 젖꼭지 유닛의 기능 범위는 비교적 좁아서, 다른 고무 젖꼭지 유닛도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고 공기 밸브는 유사한 압력차에서 작동된다.

Description

고무 젖꼭지 유닛{NIPPLE UNIT}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유 수유를 받지 않는 아기들은 일반적으로 고무 젖꼭지가 제공되어 있는 병으로 마실 것을 취하게 된다.
상기 병은 일반적으로 딱딱하다. 즉, 그 병은 수유 중에 변형되지 않으며, 손으로 가해지는 일반적인 힘으로 함께 눌려질 수 없다. 그러므로 수유 동안에는 공기가 병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보통 고무 젖꼭지를 병에 고정시켜주는 나사 링을 그 병의 목부에 대해 완전히 시일링하지 않음으로써 달성된다. 나사 링을 병의 목부에 너무 단단히 비틀어 조이면, 너무 적은 공기가 병에 들어가게 되고, 아기는 수유시에 너무 많은 애를 써야 한다. 그러나, 나사 링을 병의 목부에 너무 느슨하게 가하면, 우유가 나사 링에서 병 밖으로 새게 된다.
DE 23 41 762 에는, 고무 젖꼭지의 흡입 개구에 비복귀 밸브를 제공하고 또한 고무 젖꼭지의 고정용 플랜지에는 공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 공기 밸브는 2단 구멍 및 X형 또는 Y형 절개부가 있는 U형 또는 V형 다이어프램부로 형성된다.
WO 2007/137440 에는 고무 젖꼭지 및 이 고무 젖꼭지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 안정성 수용 헤드를 갖는 고무 젖꼭지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일체형의 수용 헤드에는 나사 링이 제공되어 있어, 수유병이나 음료 컵의 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무 젖꼭지는 반구형 수용 헤드에 장착되며 나사 링에 고정되지 않는다. 고무 젖꼭지는 수용 헤드에 있는 공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 시일링 립을 갖는다.
US 2008/0237176, US 2 529 794, US 2 516 084, US 2 084 099, US 4 730 744, US 5 499 729 및 US 4 865 207 에는 고무 젖꼭지를 갖는 수유병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수유병에는 고무 젖꼭지로부터 먼쪽에 있는 단부에서 공기 입구가 제공되어 있다.
US 2 745 568 에는 비복귀 밸브와 제 2 밸브를 갖는 고무 젖꼭지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고무 젖꼭지에 모인 액체는 이 제 2 밸브를 통해 다시 병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유 동안에 최적의 공기 흐름을 가능케 해주는 고무 젖꼭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적 구성을 갖는 고무 젖꼭지 유닛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은 고무 젖꼭지, 이 고무 젖꼭지를 액체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및 공기 밸브를 가지며, 상기 고정 장치는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공기 밸브는 적어도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밸브부는 제 1 고정부에 배치되고, 제 2 밸브부는 제 2 고정부 및/또는 제 1 고정부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 밸브는 제 2 고정부에 대해 개폐된다.
공기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어프램 밸브이고, 제 1 밸브부는 밸브 다이어프램이다. 제 2 밸브부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표면이며, 이 표면은 다이어프램에 배치되어 있는 또는 이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자유롭게 된 개구를 폐쇄한다.
이렇게 배치되고 설계된 공기 밸브를 사용하여, 비교적 좁은 소정의 범위내에서 액체 용기에 공기를 넣을 수 있다. 액체 용기내의 과소압은 양적으로 소정의 과소압을 초과하지 않는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와 주변 압력간의 대략 30 mmHg의 압력차에서 열린다. 공기 밸브는 병의 내부 압력과 가해지는 외부 흡입 압력 사이의 비교적 작은 압력차에서 신뢰적으로 작동한다. 공기 밸브는 고무 젖꼭지 유닛과 액체 용기 사이의 연결이 얼마나 타이트한지에 거의 상관 없이 작동한다. 이렇게 해서, 고무 젖꼭지 유닛을 사용하는 사람들, 즉 부모나 돌보는 사람은 공기 밸브의 기능 모드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한편으로 부정확한 사용이 배제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종류의 다양한 고무 젖꼭지 유닛이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 또는 기능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그래서 아기는 한 고무 젖꼭지 유닛에서 동일한 종류의 다른 고무 젖꼭지 유닛으로 바뀔 때의 차이를 알지 못하게 된다.
다른 이점은, 이러한 구성은 주변 압력에 대해 병안에 과압이 존재할 때 양호한 시일링 작용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이 고무 젖꼭지 유닛과 특히 공기 밸브는 쉽게 세정될 수 있으며 또한 빈번한 세정도 공기 밸브의 기능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는 것이다. 고무 젖꼭지 유닛은 제조하기가 비교적 간단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두 고정부는 외부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개구 안으로 열려 있는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이 공기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두 고정부 사이에서 래버린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밸브 개구를 통해 용기에서 나가는 어떠한 액체도 이 래버린스에 갖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두 고정부는 적어도 공기 밸브의 영역에서 강성적이고, 이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고무 젖꼭지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밸브에서 떨어져서 배치되며, 따라서 공기 밸브의 기능 모드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고무 젖꼭지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가지며, 이 플랜지는 제 1 기부와 제 2 기부 사이에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영구적으로 열리도록 설계되어 있는 공기 관류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는 제 2 고정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래서, 다이어프램은 바람직하게도 슬릿을 갖지 않으며, 대신에 자유 개구를 갖는다. 이 자유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타원형, 달걀형 또는 환형이다. 자유 개구는 밸브가 작은 압력차에서도 신뢰적으로 열릴 수 있게 보장해 준다. 공기 관류 개구가 그의 주변에서 강화되면 다른 개선이 얻어진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은 편평한 주 표면과 이 주 표면에 배치되는 깔대기 또는 절두 원추체를 가지며, 공기 관류 개구는 상기 깔대기나 절두 원추체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이어프램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전체 주변 또는 둘레에서 제 1 고정부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고정부는 새지 않도록 액체 용기의 끝면에 지지되기 위한 원주방향 시일링 링을 가지며, 다이어프램과 시일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면, 제조가 더욱 쉬워지고 최적의 시일링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고정부는 기부이고, 제 2 고정부는 수용 헤드이며, 고무 젖꼭지 유닛은 수용 헤드와 기부 사이에 잡히는 플랜지를 가지며, 수용 헤드와 기부는 분리가능한 플러그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런 목적을 위해 상기 수용 헤드는 기부에 플러깅될 수 있는 플러그 요소를 가지며, 이 플러그 요소는 결합된 기부와 수용 헤드를 액체 용기에 고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공기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종류의 플러그 연결부의 영역에 배치되며, 따라서 다이어프램의 폐쇄체로서 역할하는 제 2 고정부가 다이어프램상에 최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본체 및 이 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절두 원추체를 가지며, 액체 관류 통로가 절두 원추체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공기 밸브의 다이어프램은 절두 원추체의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다. 공기 밸브의 다이어프램은 바람직하게는 절두 원추체의 원주방향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을 이루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들의 원하는 조합 및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이 도면은 도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을 액체 용기 및 마개와 함께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 는 결합 상태에 있는 도 1 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을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에 따른 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에 따른 기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기부를 밑에서 본 것이다.
도 7 은 수용 헤드와 함께 플러깅된 기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도 7 에 따른 수용 헤드와 기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공기 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 8 에 따른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공기 밸브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도 9 에 따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 은 수용 헤드를 밑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수용 헤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액체 용기(여기서는 수유병(1)) 및 마개(7)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2, 3, 4)의 실례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는 손이나 수유 작용에 의해 함께 눌려질 수 없다.
고무 젖꼭지 유닛은 기부 링(2), 수용 헤드(3) 및 고무 젖꼭지(4)로 구성된다. 고무 젖꼭지(4)는 공지된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연질인 재료, 예컨대 실리콘이나 고무로 만들어진다. 고무 젖꼭지는 내향 원주방향 플랜지(41)가 있는 본체(40)를 가지며, 이 플랜지는 도 3 에서 볼 수 있다. 본체(40)는 바람직하게는 돔형이거나 절두 원추형이다. 본체(40)는 마우스피스(42) 쪽으로 가면서 좁아져 있으며, 이 마우스피스는 그의 자유 단부에서 흡입 개구(43)를 갖고 있다. 아기는 이 흡입개구(43)를 통해 병(1)에서 액체를 빨아낼 수 있다.
기부 링(2) 및 수용 헤드(3)은 고무 젖꼭지(4)를 병(1)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더 경질인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고정부의 개별 영역은 더 연질인 재료, 예컨대 실리콘, 고무 또는 TPE 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용 헤드(3)는 본체(31)를 가지며, 이 본체는 고무 젖꼭지(4)를 향해 있는 관형 또는 절두 원추형 융기부(35)를 갖고 있다. 관통공(32)이 이 융기부(35)의 자유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쿠션 형태로 설계된 지지 구조체(34)가 바람직하게 본체(31)에 존재한다. 이들 지지 구조체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본체(31) 보다 더 연질인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성분 또는 다성분 사출 성형으로 본체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31)는 PP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지며, 지지 구조체(34)는 실리콘, 고무 또는 TPE 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무 젖꼭지(4)는 그의 플랜지(41)로 본체(31)의 가장자리(320) 위에 눌릴 수 있다. 융기부(35)는 마우스피스(42)의 영역 안으로 들어가며, 관통공(32)은 병(1)과 흡입 개구(43)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지지 구조체(34)는 고무 젖꼭지(4)의 본체(40) 및/또는 이 본체(40)와 마우스피스(42) 사이의 천이 영역을 지지한다.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4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내부 스커트(46)를 고무 젖꼭지가 갖고 있으면, 이 스커트(46)는 융기부(35)에 시일링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융기부와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요소(30)가 또한 본체(3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러그 요소는 하향 연장 레그의 형태로 본체(3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플러그 요소(30)가 존재한다. 그러나, 더 많은 플러그 요소(30)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단지 두개의 플러그 요소(30) 또는 단지 하나의 플러그 요소(30)도 존재할 수 있다. 플러그 요소(30)의 내면에는 일반적인 내부 나사(301)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2)는 환형의 본체(20)를 갖는다. 이 기부(2)의 중앙 내부 영역에는 깔대기 또는 절두 원추체(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자유 단부에는 관통 개구(24)가 있다. 이 관통 개구는 흡입 개구(43)와 수용 헤드(3)의 관통 개구(32)를 병(1)의 개구에 연결해 준다. 이들 개구(43, 32, 24)는 바람직하게는 모두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배치되며, 이 축선을 따라 서로 동일 면을 이룬다.
상기 환형체(2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밸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33)를 갖는다. 공기 밸브는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환형체(20)에는 슬릿(21)이 있는데, 이 슬릿안에는 수용 헤드의 플러그 요소(30)가 끼워질 수 있다. 환형체(20)는 병(1)의 나사 목부(10)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플러그 요소(30)의 내부 나사가 이 나사 목부(10)과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기부 링(2)과 수용 헤드(3)가 병(1)에 고정될 수 있다. 기부 링(2)과 수용 헤드(3)는 단단하게 나사 결합되면 서로에 지탱된다. 고무 젖꼭지(4)가 이제 그의 플랜지로 수용 헤드(3)의 가장자리(320)를 둘러싸거나 고무 젖꼭지(4)가 다른 방식으로 수용 헤드(3)와 기부 링(2) 사이에 유지되면, 그 고무 젖꼭지는 이 위치에서 두 고정부 사이에서 시일링가능하게 죄여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2, 3)가 이미 함께 플러깅되었지만 병(1) 위에 나사결합되기 전에 고무 젖꼭지(4)를 가할 수 있으며, 또는 이 고무 젖꼭지를 먼저 수용 헤드(3)에 장착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수용 헤드만 기부(2)에 연결할 수 있다.
기부(2)와 수용 헤드(3)의 결합 상태가 도 7 에 나타나 있다. 도 2 는 고무 젖꼭지(4), 기부(2) 및 수용 헤드(3)를 갖는 고무 젖꼭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이 결합된 고무 젖꼭지 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절두 원추체(25)에 있는 관통 개구(24)를 폐쇄하는 비복귀 밸브(39)가 바람직하게 융기부(35)에 제공되어 있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관련된 밸브 개구(390)는 도 9 와 도 10 에서 볼 수 있다. 액체는 이 밸브 개구를 통과해 마우스피스(42)와 흡입 개구(43)로 흐르게 된다. 비복귀 밸브(39)와 지지 구조체(34)는 바람직하게는 수용 헤드(3)의 더 경질인 본체(31)와 함께 다성분 사출 성형으로 상기 연질 재료 중의 하나로 제조된다. 비복귀 밸브(39)의 다이어프램은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부(2)의 제 2 상부 시일링 가장자리(242)에 지지된다. 이 제 2 상부 시일링 가장자리(242) 주위에 있는 제 1 상부 시일링 가장자리(240)가 외부로부터 밸브 개구(390)의 영역을 시일링한다. 밸브 개구(390)의 영역에서 그리고 두 상부 시일링 가장자리(240, 242) 사이에서, 기부(2)는 편평한 원주방향 표면(241)을 갖고 있다.
기부(2)는 또한 연질 영역과 경질 영역을 갖고 있는데, 이들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다성분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원주방향 상부 시일링 링(270)이 존재하며, 이 링에는 고무 젖꼭지(4)의 플랜지(41)가 지지된다.
또한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는 바람직하게 원주방향 하부 시일링 링(22)을 갖는다. 이 링은 절두 원추체(25)의 다리부에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질 재료 중의 하나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 시일링 링은 병 목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며 병(1)에 대해 기부(2)의 외측 영역, 즉 환형체(20)를 시일링한다.
기부(2)는 도 4 - 6 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부는 3개의 슬릿(21)을 가지며, 이들 슬릿은 원형의 둘레를 따라 등 거리로 형성되어 있고 동일하게 만곡되어 있다. 슬릿(21) 다음에는 슬릿들 사이에 배치되는 웨브(210)가 있다. 환형체(20)의 원주방향 외부 가장자리는 외부 시일링 가장자리(27)를 가지며, 이 가장자리 다음에는 이미 언급한 상부 시일링 링(270)이 있다. 슬릿(21)의 내측면에는 내부 시일링 가장자리(28)가 따르는데, 이 가장자리에는 절두 원추체(25)가 인접한다. 내부 시일링 가장자리(28)는 하나 이상의 공기 구멍(281)을 제외하고는 원주 전체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웨브(210)와 슬릿(21) 사이에서 상부 시일링 링(270)은 내부 시일링 가장자리(28)를 가로지르는 핑거를 갖고 있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공기 구멍(281)이 절두 원추체(25)를 웨브(210)에 또는 슬릿(21)에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은 웨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부(2)에는 공기 밸브의 제 1 부분이 제공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이 제 1 부분은 다이어프램(23)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의 제 2 부분은 밸브 폐쇄 표면(310)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밸브는 두 고정부,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부(2)와 수용 헤드(3) 사이의 공기 구멍을 개폐한다. 공기 밸브는 고무 젖꼭지(4)에서 떨어져 배치되는데, 이는 공기 밸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밸브, 보다 정확히는 그의 다이어프램(23)은 절두 원추체(25)의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다. 그의 다이어프램(23)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그러나, 다이어프램은 다른 형상, 예컨대 환형, 달걀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23)은 대략 편평한 주 표면(232)을 갖는데, 이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절두 원추체(25)의 원주방향 표면과 동일 면을 이루거나 그 표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공기 관류 개구(230)가 이 주 표면(232)에 존재한다. 이 공기 관류 개구(230)는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으로 열려 있는데, 즉 재료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구의 바람직한 단면적은 0.2 - 1 mm 이다. 이 공기 관류 개구(230)는 바람직하게는 주 표면(232)의 상방에 있는 융기부, 여기서는 절두 원추체(231)에 위치된다. 절두 원추체(231)는 바람직하게는 주 표면(232)에 비해 더 큰 벽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공기 관류 개구(230)의 벽이 강화된다. 공기 관류 개구(23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기부의 선단에 위치된다. 이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주 표면(232)의 중심부에 위치되는데, 하지만 편심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공기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슬릿(21)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 밸브의 다이어프램(23)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시일링 링(22)에 연결된다.
도 4 는 공기가 외부에서 병(1)에 들어갈 때 지나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공기가 따르는 이 경로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기부(2)와 수용 헤드(3) 사이의 중공 공간은 이렇게 해서 공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수용 헤드(3)와 병(1) 사이의 나사 연결은 완전히 타이트한 것은 아닌데, 따라서 외부에서 공기가 슬릿을 통해 기부(2)의 웨브(210)의 상부 표면으로 갈 수 있다. 여기서, 공기는 외부 시일링 가장자리(28)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구멍(281)을 통과하여 절두 원추체(25)의 표면으로 가게 된다. 공기는 이 표면을 가로질러 흘러서 공기 밸브까지 가며, 공기 밸브가 열려 있으면 병(1) 안으로 들어간다.
공기 밸브는 도 8 에 나타나 있으며, 도 9 와 도 10 의 확대도에서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수용 헤드(3)는 그의 저면에서 편평한 밸브 폐쇄 표면(310)을 갖는다. 이 폐쇄 표면(310)은 도 11 및 12 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본체(31)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하향 돌출 폐쇄체(311)를 갖고 있으며, 이 폐쇄체의 자유 단부는 편평한 폐쇄 표면(310)으로 형성된다. 이 폐쇄 표면(310)은 바람직하게는 절두 원추체(25)의 원주방향 표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다. 폐쇄체(311)는 바람직하게는 기부(2)와 수용 헤드(3)를 함께 플러깅하기 위한 회전 위치와 같은 수로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릿(21)이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기부(2)에 대한 수용 헤드(3)의 회전 위치가 3개 있으며 또한 따라서 폐쇄체(311)도 3개 있다.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폐쇄체(310) 중의 하나는 공기 밸브의 절두 원추체(231)상에 가압되며, 폐쇄 표면(310)은 다이어프램(23)에 지지되며 공기 관류 개구(230)를 폐쇄한다. 절두 원추체(231)는 작은 지지 표면을 형성하므로, 표면 압력이 증가되어 최적의 시일링이 보장된다. 절두 원추체(231)의 상부 가장자리가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뾰족하게 되어 있으면, 누출 억제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제 액체가 병(1)에서 흡입 개구(43)를 통해 흡입되면, 병(1)내의 압력이 감소되고 공기 밸브가 열리게 된다. 외부에서 공기가 병(1) 안으로 들어간다. 액체가 공기 밸브에서 나가면, 도 4 에 나타나 있는 긴 래버린스 경로에 의해, 액체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액체는 바람직하게 깔대기 또는 절두 원추체(25)의 원주방향 표면상에 남아 있게 된다. 젖꼭지 유닛을 분리하면 절두 원추체(25)의 이들 원주방향 표면이 노출되어 세정을 위해 최적으로 접근가능하므로, 상기 원주방향 표면상에 남아 있는 액체는 고무 젖꼭지의 세정시 다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밸브는 그의 특별한 설계와 배치로 다르게 구성된 고무 젖꼭지 유닛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간단히, 다이어프램 밸브를 사용하고, 이 밸브를 고무 젖꼭지에 배치하지 않고 대신에 고무 젖꼭지를 고정하기 위한 이체형 또는 다체형 고정부에 배치하면 된다.
예컨대, 공기 밸브의 다이어프램은 또한 수용 헤드에 배치될 수 있는데, 기부는 공기 관류 개구를 위한 상응하는 폐쇄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젖꼭지 유닛은 병과 주변 환경 사이의 압력차가 매우 작더라도, 예컨대 30 mmHg 일 때도 매우 신뢰적으로 기능한다. 더욱이, 동일한 종류의 다양한 고무 젖꼭지 유닛의 기능 범위는 비교적 좁고, 따라서 다른 젖꼭지 유닛이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며 공기 밸브는 유사한 압력차에서 작동된다.
1 용기
10 나사 목부
2 기부
20 환형체
21 슬릿
210 웨브
22 하부 시일링 링
23 공기 밸브의 다이어프램
230 공기 관류 개구
231 절두 원추체
232 주 표면
233 밸브를 위한 수용 개구
24 관통 개구
240 제 1 상부 시일링 가장자리
241 편평한 표면
242 제 2 상부 시일링 가장자리
25 절두 원추체
27 외부 시일링 가장자리
270 상부 시일링 링
28 내부 시일링 가장자리
281 공기 개구
3 수용 헤드
30 플러그 요소
301 내부 나사
31 본체
310 밸브 폐쇄 표면
311 폐쇄체
320 가장자리
32 관통 개구
34 지지 구조체
35 융기부
39 비복귀 밸브
390 밸브 개구
4 고무 젖꼭지
40 본체
41 플랜지
42 마우스피스
43 흡입 개구
46 스커트
7 마개

Claims (15)

  1. 고무 젖꼭지(4), 이 고무 젖꼭지(4)를 액체 용기(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2, 3) 및 공기 밸브(23, 310)를 가지며, 상기 고정 장치는 제 1 고정부(2)와 제 2 고정부(3)를 가지며, 상기 공기 밸브(23, 310)는 적어도 제 1 밸브부(23)와 제 2 밸브부(310)를 갖는 고무 젖꼭지 유닛에 있어서,
    a) 상기 제 1 밸브부(23)는 제 1 고정부(2)에 배치되고, 제 2 밸브부(310)는 제 2 고정부(3)에 배치되거나, 또는
    b) 상기 공기 밸브(23, 310)는 제 2 고정부(3)에 대해 개폐되고, 제 1 밸브부(23) 및 제 2 밸브부(310)는 제 1 고정부(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젖꼭지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젖꼭지(4)는 두 고정부(2, 3) 사이에서 시일링가능하게 죄여질 수 있는 고무 젖꼭지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밸브(23, 310)는 다이어프램 밸브이고, 제 1 밸브부는 밸브 다이어프램(23)인 고무 젖꼭지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고정부(2, 3)는 적어도 공기 밸브(23, 310)의 영역에서 강성적이고, 이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고무 젖꼭지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젖꼭지(4)는 공기 밸브(23, 310)와는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고무 젖꼭지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부(2, 3)는 외부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개구(281) 안으로 열려 있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고무 젖꼭지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영구적으로 열리도록 설계되어 있는 공기 관류 개구(230)를 가지며, 이 개구는 제 2 고정부(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고무 젖꼭지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공기 관류 개구(230)는 그의 주변에서 강화되어 있는 고무 젖꼭지 유닛.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공기 관류 개구(230)는 원형, 타원형, 달걀형 또는 환형인 고무 젖꼭지 유닛.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편평한 주 표면(232)과 이 주 표면(232)에 배치되는 절두 원추체(231)를 가지며, 공기 관류 개구(230)는 상기 절두 원추체(231)에 배치되는 고무 젖꼭지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은 그의 전체 주변에서 제 1 고정부(2)에 고정되는 고무 젖꼭지 유닛.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부(2)는 새지 않도록 액체 용기(1)의 끝면에 지지되기 위한 원주방향 시일링 링(22)을 가지며, 다이어프램과 시일링 링(22)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는 고무 젖꼭지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부는 기부(2)이고, 제 2 고정부는 수용 헤드(3)이며, 이 수용 헤드(3)와 기부(2)는 분리가능한 플러그 연결부(21, 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런 목적을 위해 상기 수용 헤드(3)는 기부(2)에 플러깅될 수 있는 플러그 요소(30)를 가지며, 이 플러그 요소는 결합된 기부(2)와 수용 헤드(3)를 액체 용기(1)에 고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고무 젖꼭지 유닛.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부(2)는 환형 본체(20) 및 이 본체(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절두 원추체(25)를 가지며, 액체 관류 통로가 절두 원추체(25)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공기 밸브(23, 310)의 다이어프램은 절두 원추체(25)의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되는 고무 젖꼭지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공기 밸브(23, 310)의 다이어프램은 절두 원추체(25)의 원주방향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을 이루는 고무 젖꼭지 유닛.
KR1020117029459A 2009-08-20 2010-08-17 젖꼭지 유닛 KR10174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292/09A CH701676A1 (de) 2009-08-20 2009-08-20 Saugnippeleinheit.
CH1292/09 2009-08-20
PCT/CH2010/000198 WO2011020203A1 (de) 2009-08-20 2010-08-17 Saugnippel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65A true KR20120054565A (ko) 2012-05-30
KR101745383B1 KR101745383B1 (ko) 2017-06-09

Family

ID=4301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459A KR101745383B1 (ko) 2009-08-20 2010-08-17 젖꼭지 유닛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168204B2 (ko)
EP (1) EP2467118B1 (ko)
JP (1) JP5650741B2 (ko)
KR (1) KR101745383B1 (ko)
CN (1) CN102470075B (ko)
AU (1) AU2010283941B2 (ko)
BR (1) BRPI1010085B1 (ko)
CA (1) CA2765720A1 (ko)
CH (1) CH701676A1 (ko)
ES (1) ES2528165T3 (ko)
HK (1) HK1168529A1 (ko)
IL (1) IL216489A (ko)
MX (1) MX2011013659A (ko)
MY (1) MY153998A (ko)
PL (1) PL2467118T3 (ko)
RU (1) RU2554760C2 (ko)
SG (1) SG177401A1 (ko)
TW (1) TWI487518B (ko)
WO (1) WO2011020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8013131A (es) 2006-04-10 2009-05-11 Medical Instill Tech Inc Envase listo para beber con chupon y aguja penetrable y porcion resellable con laser, metodo relacionado.
DE102009035598B4 (de) * 2009-07-31 2011-04-14 Mapa Gmbh Verschlusssystem für ein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WO2011137413A1 (en) * 2010-04-30 2011-11-03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Ready to feed container and method
US10596073B1 (en) 2010-11-22 2020-03-24 Mimijumi, Llc Feeding bottle
EP2679214B1 (en) * 2011-02-25 2019-05-01 Yong Kwon Lee Silicone baby bottle
CH704758A1 (de) 2011-03-29 2012-10-15 Medela Holding Ag Saugnippeleinheit.
CN102397167A (zh) * 2011-12-19 2012-04-04 蒋一新 奶嘴
RU2643416C2 (ru) * 2012-12-07 2018-02-01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напитков
JP6157149B2 (ja) * 2013-02-28 2017-07-05 コンビ株式会社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CN103520001B (zh) * 2013-10-22 2016-08-17 冯雨顺 一种具有排气、示温功能的双色奶瓶
RU170367U1 (ru) * 2016-06-08 2017-04-24 Витал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Веселов Насадка на контейнер для кормления
EP3474932B1 (en) 2016-06-22 2021-01-20 Capster Oü Nasal rinsing cap for bottles
EP3372219A1 (en) * 2017-03-09 2018-09-12 Koninklijke Philips N.V. Partitioning component for a feeding bottle device and feeding bottle device
CN207470462U (zh) * 2017-05-25 2018-06-08 许文龙 一种杯盖式风扇以及水杯
TWI651245B (zh) * 2018-06-25 2019-02-21 美弗實業股份有限公司 一種具有洩壓裝置的水壺蓋
EP3878426A1 (en) 2020-03-13 2021-09-15 Koninklijke Philips N.V. Internal element for a feeding bottle
CA3191065A1 (en) * 2020-08-31 2022-03-03 Shilo Ben Zeev Method and product for a customized 3d printed nipple for breastfeeding mothers
US20240065941A1 (en) * 2022-08-23 2024-02-29 Proxamama, Inc. Flow control valve for infant fee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4099A (en) 1929-11-20 1937-06-15 Cilocon Corp Valve for feeding devices
US2516084A (en) 1944-10-04 1950-07-18 Willard Storage Battery Co Storage battery
US2529794A (en) 1947-06-02 1950-11-14 Abner E Brown Valved nursing bottle
US2745568A (en) 1951-04-03 1956-05-15 Harry A Newton Nursing bottle
GB1432798A (en) 1973-06-05 1976-04-22 Yamauchi A Nursing bottles
CA1035728A (en) * 1974-04-09 1978-08-01 Wright, Douglas G. Diaphragm nursing bottle
US4548157A (en) 1984-02-10 1985-10-22 Timothy L. Chrisman Sanitary scheduling device for dispenser closures
JPH0426106Y2 (ko) * 1987-05-15 1992-06-23
US4730744A (en) 1987-06-17 1988-03-15 Vinciguerra Mark T Baby bottle with valve
US4865207A (en) 1988-06-09 1989-09-12 Joyner Jack S Nursing bottle with microporous membrane
US5499729A (en) 1994-03-15 1996-03-19 Children On The Go, Inc. Infant feeding bottle including pressure equalizing diaphragm
US5791503A (en) * 1996-02-05 1998-08-11 Lyons; Richard A. Nursing bottle with anti-air ingestion valve
FR2748391B1 (fr) * 1996-05-10 1998-07-24 Allegre Puericulture Hygiene S Dispositif de controle et de regulation d'entree d'air dans un biberon
NL1005120C2 (nl) * 1997-01-29 1998-07-30 Ippc International Product Pro Drinkbeker.
CA2285962A1 (en) * 1997-04-11 1998-10-22 Andrew John Brandon Mules Disposable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US6161710A (en) * 1997-11-03 2000-12-19 Dieringer; Mary F. Natural nipple baby feeding apparatus
DE10157071C1 (de) * 2001-11-21 2003-03-06 Mapa Gmbh Gummi Plastikwerk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AUPR972401A0 (en) * 2001-12-21 2002-01-24 Kiehne, Mark William An improved closure system
FR2841127B1 (fr) * 2002-06-21 2004-11-26 Fonderie Et Plasturgie Sa Dispositif de mise a l'air destine a etre mis en place sur un recipient tel qu'un biberon
GB0410993D0 (en) 2004-05-17 2004-06-23 Jackel Int Ltd Feeding bottle
US8684201B2 (en) 2004-10-08 2014-04-01 Coralinda Trading Corporatio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US7575126B2 (en) * 2005-01-28 2009-08-18 Handi-Craft Company Leak resistant drinking cup
US20080237176A1 (en) 2005-02-18 2008-10-02 Ramiro Pillado Nursing Bottle Air-Inlet Regulating Valve
DE202005015828U1 (de) * 2005-10-08 2007-02-15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WO2007137440A2 (de) 2006-05-26 2007-12-06 Medela Holding Ag Saugnippel für milchflaschen
WO2007137436A1 (de) 2006-05-26 2007-12-06 Medela Holding Ag Saugnippel für milchflaschen
CA2673401C (en) * 2006-12-20 2013-08-13 Playtex Products, Inc. Vent valve assemblies for baby bottles
DE202007016416U1 (de) 2007-11-22 2008-02-21 Chou Huang, Wen-An Einweg-Milchflasche gegen Luftschlucken
US8333299B2 (en) * 2009-05-22 2012-12-18 Handi-Craft Company Leak resistant drinking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13659A (es) 2012-01-20
SG177401A1 (en) 2012-02-28
PL2467118T3 (pl) 2015-04-30
HK1168529A1 (en) 2013-01-04
RU2554760C2 (ru) 2015-06-27
JP2013502243A (ja) 2013-01-24
KR101745383B1 (ko) 2017-06-09
US9168204B2 (en) 2015-10-27
IL216489A (en) 2014-05-28
CN102470075A (zh) 2012-05-23
TW201110960A (en) 2011-04-01
US20110042339A1 (en) 2011-02-24
CH701676A1 (de) 2011-02-28
TWI487518B (zh) 2015-06-11
BRPI1010085A2 (pt) 2016-03-15
JP5650741B2 (ja) 2015-01-07
EP2467118B1 (de) 2014-10-29
RU2011147564A (ru) 2013-09-27
IL216489A0 (en) 2012-01-31
WO2011020203A1 (de) 2011-02-24
MY153998A (en) 2015-04-30
AU2010283941A1 (en) 2012-01-19
BRPI1010085B1 (pt) 2019-12-10
AU2010283941B2 (en) 2013-12-12
EP2467118A1 (de) 2012-06-27
CN102470075B (zh) 2014-08-27
CA2765720A1 (en) 2011-02-24
ES2528165T3 (es)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4565A (ko) 고무 젖꼭지 유닛
JP5950972B2 (ja) 乳首部
CA2830736C (en) Tea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