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55B1 -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55B1
KR101877555B1 KR1020180000993A KR20180000993A KR101877555B1 KR 101877555 B1 KR101877555 B1 KR 101877555B1 KR 1020180000993 A KR1020180000993 A KR 1020180000993A KR 20180000993 A KR20180000993 A KR 20180000993A KR 101877555 B1 KR101877555 B1 KR 10187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liquid storage
liquid
l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관
Original Assignee
강경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관 filed Critical 강경관
Priority to KR102018000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26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액체보관용기에 구조가 간단한 배출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용기가 어떤 방향으로 넘어지더라도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입구와 배출출구와 환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는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Spill-resistant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액체보관용기가 넘어져도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입구와 배출출구와 환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는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 등록특허 10-1064158에 의하면, 용기 입구에 다수의 유로날개를 가지는 부표부를 설치하는 바, 입구가 좁은 용기에서 쏟아짐을 방비하는 효과는 있으나 배출이 불편하고 컵과 같이 입구가 넓은 용기에는 적용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102362에 의하면,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쓰러짐을 방비하는 알코올램프가 제안되었으나 자이로스코프의 가격이 만만치 않은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413399에 의하면, 상단밀봉컵과 하단저장공간부를 통하는 유출구멍을 공기유통버튼으로 조작하여 내용물의 출입을 통제하는 바, 용기가 이중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공기유통버튼의 조작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액체보관용기에 구조가 간단한 배출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용기가 어떤 방향으로 넘어지더라도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입구와 배출출구와 환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는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장치는 배출입구와 배출출구와 환형관으로 이루어진다.
즉,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가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뚜껑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뚜껑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장치의 배출출구가 서로 호응하여 일측이 타측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장치와 상기 뚜껑의 결합은 상기 뚜껑의 중앙부가 상기 배출장치의 환형관이 이루는 원형공간 속으로 끼움삽입되고, 상기 뚜껑과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결합은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출구외측과 상기 뚜껑의 내측이 끼움결합 또는 나선홈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입구와 상기 배출출구는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상태이며 필요에 따라 빨대 등에 의해 상기 분리막은 찢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빨대는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부를 기준으로 상대와 하대로 나뉘며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이 예각일 때에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부의 통로는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빨대의 상대 끝단을 끼움고정시키는 빨대홀더가 상기 뚜껑의 외면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대의 끝단이 상기 빨대홀더에 끼움고정되면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은 예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입구에 흡입관의 일측끝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흡입관의 타측끝단을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바닥에 놓이도록 하며, 상기 배출출구에 흡입대를 형성시켜 상기 흡입대를 통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의 일측에 미세관이 형성된 통기공을 부설하되, 상기 미세관은 신축성이 뛰어난 얇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압이 없는 상태에서는 납작하게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미세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없고,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할 때에는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공기압이 외부의 공기압보다 낮아져서 상기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닫혀있던 미세관이 열리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미세관을 통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기가 용이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보관용기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지면 길이가 긴 가로 방향의 면이 바닥에 닿으므로 상기 배출장치의 환형관의 외경을 길이가 짧은 세로길이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형관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공간을 차단막으로 차단하여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원형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상측면에 손잡이를 부설하여 유류나 화학약품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액체보관용기에 구조가 간단한 배출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용기가 어떤 방향으로 넘어지더라도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입구와 배출출구와 환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는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와 배출입구 및 배출출구 및 분리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는 배출장치와 뚜껑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뚜껑과 액체보관용기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뚜껑과 액체보관용기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를 배출출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세로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5의 A와 B는 액체보관용기가 넘어졌을 때 액체의 수면과 환형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빨대가 분리막을 찢고 통과한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빨대의 상대 끝단을 빨대홀더에 끼움고정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7은 흡입대 및 흡입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확대도이고,
도 8의 A는 외부압이 없는 상태에서 미세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의 B는 외부압이 있는 상태에서 미세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9는 장방형 액체보관용기와 배출장치 및 뚜껑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A는 결합된 액체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를 배출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세로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11의 A와 B는 액체용기가 넘어졌을 때 액체의 수면과 환형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손잡이가 있는 액체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와 배출입구 및 배출출구 및 분리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는 배출장치와 뚜껑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뚜껑과 액체보관용기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뚜껑과 액체보관용기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를 배출출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세로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5의 A와 B는 액체보관용기가 넘어졌을 때 액체의 수면과 환형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출장치(10)는 배출입구(11)와 배출출구(12)와 환형관(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장치(10)는 뚜껑(20) 속에 내장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배출장치를 내장한 뚜껑은 액체보관용기(30)에 밀착끼움결합되거나 나선홈결합된다.
도 4의 A는 상기의 방식으로 뚜껑(20)과 배출장치(10)와 액체보관용기(30)가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B는 도 4의 A를 배출출구(12)의 중심을 지나도록 세로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장치(10)의 환형관(13)은 중앙에 원형공간(14)을 형성하며,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공간 속으로 상기 뚜껑(20)의 중앙부(22)가 끼움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보관용기(30)와 뚜껑(20)의 결합은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출구외측(31)과 상기 뚜껑의 내측(23)이 끼움결합 또는 나선홈결합되되, 상기의 결합은 상기 환형관(13)의 외곽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입구(11)와 배출출구(12)는 분리막(15)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보관용기(30) 속의 액체가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13)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도 1의 화살표가 상기 액체의 이동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용기 속의 액체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액체를 환형관(13)을 따라 일회전 시키는 이유는, 상기 액체보관용기(30)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17)을 형성하게 하여 상기 액체가 상기 공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관(13)은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출구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배출출구(12)가 어떤 높이로 넘어지더라도 상기 환형관 중에서 상기 액체의 수면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오는 부분, 즉 공기층(17)이 반드시 형성되게 되어 액체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르지 않는다는 간단한 원리에 의해 상기 액체는 상기 공기층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공기층이 상기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한편, 상기 배출장치(10)는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뚜껑(2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뚜껑의 배출구(21)와 상기 배출장치의 배출출구(12)가 서로 호응하여 일측이 타측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장치(10)의 배출출구(12)가 상기 뚜껑(20)의 배출구(21)를 통과하는 형태로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배출구가 상기 배출출구 속으로 끼움결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보관용기(30)를 90도 이상 기울이거나 상기 배출출구(12) 또는 배출구(21)에서 흡입력을 가하면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는 도 1의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의 A는 빨대가 분리막을 찢고 통과한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빨대의 상대 끝단을 빨대홀더에 끼움고정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출구(12)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상기 액체보관용기(30)를 90도 이상 기울여서 상기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지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빨대(40)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를 흡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흡입이 가능하려면, 상기 배출입구(11)와 상기 배출출구(12)는 분리막(15)에 의해 분리된 상태이며 필요에 따라 빨대(40) 등에 의해 상기 분리막은 찢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막(15)에 자른 금을 형성시켜 상기 빨대가 상기 자른 금을 찢고 통과하거나 상기 분리막을 빨대의 압력에 의해 찢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빨대(40)는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부(41)를 기준으로 상대(42)와 하대(43)로 나뉘며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이 예각일 때에는 상기 지그재그부의 통로는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확대도 중 A는 상기 빨대(40)의 상대(42)와 하대(43)가 이루는 각이 둔각이어서 액체가 상기 빨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이 예각이어서 액체가 상기 빨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빨대(40)의 상대(42)와 하대(43)가 예각을 이루어 상기 액체보관용기(30) 속의 액체가 상기 빨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해, 상기 빨대의 상대 끝단을 끼움고정시키는 빨대홀더(44)를 상기 뚜껑(20)의 외면일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빨대(40)의 상대(42) 끝단을 상기 빨대홀더(44)에 끼움고정시키고 상기 하대(43)의 끝단을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바닥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는 상기 빨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동시에 다른 어떤 곳도 외부로 통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상기 액체보관용기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
도 7은 흡입대 및 흡입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확대도이고, 도 8의 A는 외부압이 없는 상태에서 미세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의 B는 외부압이 있는 상태에서 미세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상기 액체보관용기(30) 속의 액체를 상기 배출출구(12) 또는 배출구(21)를 통해 배출시키거나 빨대(40)를 통해 배출시키는 프로세스를 보여주고 있는 데 반하여, 도 7 내지 도 8은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를 흡입대(5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즉, 상기 배출입구(11)에 흡입관(50)의 일측끝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흡입관의 타측끝단을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바닥에 놓이도록 하며, 상기 배출출구(12)에 흡입대(51)를 형성시켜 상기 흡입대를 통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7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입구(11)와 배출출구(12)는 분리막(15)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흡입관(50)의 일측끝단이 상기 배출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끝단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보관용기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대(51)는 상기 흡입대를 물고 흡입하기 용이한 형태로서 상기 배출출구에 형성되어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상기 흡입대를 입술로 물고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를 흡입한다.
이렇게 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보관용기(30) 속의 액체는 도 7의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의 프로세스에서 상기 액체보관용기(30)는 상기의 통로 이외의 다른 어떤 곳도 외부와 통하는 곳이 없는 상태이므로 상기 흡입대(51)를 입술로 물고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의 액체를 흡입할 때 상기 액체보관용기 속이 진공상태가 되어 흡입이 힘들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20)의 일측에 통기공(6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60)에는 미세관(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세관은 신축성이 뛰어난 얇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압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 8의 확대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작하게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액체보관용기(30) 내의 액체를 흡입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압이 없는 상태이므로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는 상기 미세관(6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액체보관용기(30) 내의 액체를 흡입할 때에는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공기압이 외부의 공기압보다 낮아져서 도 8의 확대도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닫혀있던 미세관(61)이 열리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미세관을 통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프로세스가 필요한 경우의 일예로서 유아용 젖병이나 주스병이 있다.
상기의 용품은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밀봉된 상태인 것이 보통인데 상기의 상태에서 유아가 내용물을 흡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기구멍을 만들면 상기 공기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새어나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미세관(61)이 형성된 통기공(60)을 형성시켜 내용물은 새어나오지 않고 공기는 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보관용기의 측면에 단수 또는 복수의 손잡이(34)를 부설할 수 있다.
도 9는 장방형 액체보관용기와 배출장치 및 뚜껑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A는 결합된 액체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를 배출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세로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11의 A와 B는 액체용기가 넘어졌을 때 액체의 수면과 환형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손잡이가 있는 액체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은 주로 원통 형태의 액체보관용기(30)에 대한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10)의 구조와 기능의 설명인 반면, 도 9 내지 도 12는 장방형 액체보관용기에 대한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의 구조와 기능의 설명이다.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보관용기(30)는 가로(32)길이가 세로(33)길이보다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방형 액체보관용기(30)와 원통형 액체보관용기의 차이점은 상기 원통형 액체보관용기는 몸체의 최대직경이 동일하여 넘어지는 방향을 예측할 수 없는 반면 상기 장방형 액체보관용기는 몸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상이하여 넘어지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가로(32)길이가 세로(33)길이보다 긴 장방형 액체보관용기(30)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질 때 특별하고 우연적이고 의도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가로 방향의 면이 바닥에 닿도록 넘어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 대한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10)를 설치하면 충분하다.
또한 도 1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당연히 배출구(21)가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혹시 거꾸로 뒤집히는 경우를 예상한다면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을 호형으로 형성하여 그러한 상황까지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장치(10)의 환형관(13)의 외경을 길이는 상기 장방형 액체보관용기(30)의 짧은 세로길이와 일치시키면 충분하고 그만큼 환형관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도 10의 상기 장방형 액체보관용기(30)의 배출장치(10)는 도 1 내지 도 9의 원통형 액체보관용기의 배출장치와 대부분 동일한데 단 하나의 차이는, 원통형 액체보관용기에서는 뚜껑의 중앙부(22)를 환형관(13)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공간(14)에 끼움삽입 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원형공간을 통한 액체의 유통을 차단하는 반면, 상기 장방형 액체보관용기에서는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공간을 차단막(16)으로 막아 액체의 유통을 차단한다는 점이다.
상기의 두 방법에 큰 차이는 없지만, 장방형 액체보관용기(30)에 보관될 액체, 이를테면 유류나 화학약품 등이 원통형보관용기에 보관될 액체, 이를테면 커피나 주스나 우유 등보다 쏟아졌을 때의 위험성과 불편함이 큰 경우를 예상하여 보다 더 확실한 차단을 위한 방안으로 볼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방형 액체보관용기(30)의 출구(35)와 뚜껑(20)의 결합을 나선형홈결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상측면에 손잡이(34)를 부설하여 유류나 화학약품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배출장치 11; 배출입구
12; 배출출구 13; 환형관
14; 원형공간 15; 분리막
16; 차단막 17; 공기층
20; 뚜껑 21; 배출구
22; 중앙부 23; 내측
30; 액체보관용기 31; 출구외측
32; 가로 33; 세로
34; 손잡이 35; 출구
40; 빨대 41; 지그재그부
42; 상대 43; 하대
44; 빨대홀더
50; 흡입관 51; 흡입대
60; 통기공 61; 미세관

Claims (11)

  1. 배출입구(11)와 배출출구(12)와 환형관(13)으로 이루어진 액체의 배출장치(10)에 있어서,
    액체보관용기(30) 속의 액체가 상기 배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환형관을 따라 일회전한 후 상기 배출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되,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졌을 때, 상기 환형관의 적어도 일정 부분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수면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하며 공기층(17)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10)는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뚜껑(2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뚜껑의 배출구(21)와 상기 배출장치의 배출출구(12)가 서로 호응하여 일측이 타측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10)와 상기 뚜껑(20)의 결합은 상기 뚜껑의 중앙부(22)가 상기 배출장치의 환형관(13)이 이루는 원형공간(14) 속으로 끼움삽입되고, 상기 뚜껑과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결합은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출구외측(31)과 상기 뚜껑의 내측(23)이 끼움결합 또는 나선홈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입구(11)와 상기 배출출구(12)는 분리막(15)에 의해 분리된 상태이며 필요에 따라 빨대(40)에 의해 상기 분리막은 찢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40)는 일측에 형성된 지그재그부(41)를 기준으로 상대(42)와 하대(43)로 나뉘며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이 예각일 때에는 상기 지그재그부의 통로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보관용기(30)를 덮는 뚜껑(20)을 설치하고 상기 빨대(40)의 상대(42) 끝단을 끼움고정시키는 빨대홀더(44)를 상기 뚜껑(20)의 외면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상대의 끝단이 상기 빨대홀더에 끼움고정되면 상기 상대와 하대가 이루는 각은 예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입구(11)에 흡입관(50)의 일측끝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흡입관의 타측끝단을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바닥에 놓이도록 하며, 상기 배출출구(12)에 흡입대(51)를 형성시켜 상기 흡입대를 통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보관용기(30)를 덮는 뚜껑(20)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20)의 일측에 미세관(61)이 형성된 통기공(60)을 부설하되, 상기 미세관은 신축성이 뛰어난 얇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압이 없는 상태에서는 납작하게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미세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없고,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할 때에는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공기압이 외부의 공기압보다 낮아져서 상기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닫혀있던 미세관이 열리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미세관을 통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보관용기(30)는 가로(32)길이가 세로(33)길이보다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체보관용기가 평평한 바닥에 넘어지면 길이가 긴 가로 방향의 면이 바닥에 닿으므로 상기 배출장치(10)의 환형관(13)의 외경을 길이가 짧은 세로길이와 일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관(13)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공간을 차단막(16)으로 차단하여 액체보관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원형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보관용기(30)의 상측면에 손잡이(34)를 부설하여 유류나 화학약품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KR1020180000993A 2018-01-04 2018-01-04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KR10187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93A KR101877555B1 (ko) 2018-01-04 2018-01-04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93A KR101877555B1 (ko) 2018-01-04 2018-01-04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555B1 true KR101877555B1 (ko) 2018-07-11

Family

ID=6291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993A KR101877555B1 (ko) 2018-01-04 2018-01-04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0451A1 (en) * 2021-01-08 2022-07-14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16A (ja) * 1994-06-23 1996-01-16 Nifco Inc 注ぎキャップ
JPH1016999A (ja) * 1996-04-30 1998-01-20 Yoshiharu Suzuki 液体容器
KR20050000855A (ko) * 2003-06-25 2005-01-06 정창록 액체수납용기
JP2013124130A (ja) * 2011-12-15 2013-06-24 Nifco Inc スパウト
KR20130132091A (ko) * 2012-05-25 2013-12-04 (주)썬켐 액체 배출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16A (ja) * 1994-06-23 1996-01-16 Nifco Inc 注ぎキャップ
JPH1016999A (ja) * 1996-04-30 1998-01-20 Yoshiharu Suzuki 液体容器
KR20050000855A (ko) * 2003-06-25 2005-01-06 정창록 액체수납용기
JP2013124130A (ja) * 2011-12-15 2013-06-24 Nifco Inc スパウト
KR20130132091A (ko) * 2012-05-25 2013-12-04 (주)썬켐 액체 배출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0451A1 (en) * 2021-01-08 2022-07-14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11712124B2 (en) 2021-01-08 2023-08-01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5571B (zh) 吸管杯
US8186537B2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6631823B2 (en) Drink spout system
US6629624B2 (en) Drink spout system
JP4847757B2 (ja) 哺乳瓶
JP5791853B1 (ja) 飲料容器用のカバーデバイス
EP2181933A2 (en) Drinking vessel having a vacuum venting valve
JP2004500282A (ja) プライミング液体損失を防止するバルブ付き供与システム
US20130020327A1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N103702651A (zh) 用于透析的容器
CN104125919A (zh) 具有自由浮阀的、用于无菌药物的管瓶
KR101877555B1 (ko) 쏟아짐 방지 배출장치
US4105141A (en) Pouring device
US20050096625A1 (en) Welding shuttle for a bag
US9511908B2 (en) Vented insert for a liquid pouch fitment
US20050006415A1 (en) Two-part closure system and nozzle with groove
EP0196198A1 (en) Drinking vessel
BR112014028393B1 (pt) Dispositivo para beber
KR200485719Y1 (ko)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JP2008007181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JP2022032744A (ja) 飲料用容器の飲み口装置
KR200281204Y1 (ko)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EP3664670B1 (en) Liquid frothing set, comprising a liquid frothing device including a liquid suction conduit, and a liquid container
CN113277213A (zh) 配备有吸管的奶瓶兼容盖子
JPH1016999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