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45Y1 -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 Google Patents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45Y1
KR200489745Y1 KR2020170006447U KR20170006447U KR200489745Y1 KR 200489745 Y1 KR200489745 Y1 KR 200489745Y1 KR 2020170006447 U KR2020170006447 U KR 2020170006447U KR 20170006447 U KR20170006447 U KR 20170006447U KR 200489745 Y1 KR200489745 Y1 KR 200489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drinking water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39U (ko
Inventor
이경만
Original Assignee
이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만 filed Critical 이경만
Priority to KR2020170006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4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는, 벌에게 연속적으로 음용수나 사양수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장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 하부에서 양봉통에 삽입되게 연결되되 기울어진 상기 양봉통의 저벽부에 대응되게 일구간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상기 벌에게 공급되도록 부분적으로 상면이 노출된 채 저류되는 저류부; 및 상기 탱크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부로 공급되는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는,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탱크본체 내부를 격리 및 차폐시킬 수 있어 탱크본체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일시에 배출됨이 저지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공급량만큼 저류부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BEE FEED TANK}
본 고안은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벌들에게 음용수 또는 사양수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는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에서, 계절 또는 기후에 따라 꽃이 없거나 외부 기온이 낮아서 꿀벌이 자체적으로 먹이를 조달할 수 없을 때 등과 같은 월동기, 장마철, 개화기 등과 같은 무밀기 뿐만 아니라 먹이가 많은 유밀기에도 벌들에게 음용수와 사양수의 공급은 지속되어야 한다.
종래 양봉통에는 음용수와 사양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기나 급수장치가 설치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수기에는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급수기 내부를 완전히 격리 및 차폐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일시에 배출되거나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공급량만큼 배출될 수 없어 벌들에게 음용수를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탱크본체 내부를 격리 및 차폐시킬 수 있어 탱크본체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일시에 배출됨이 저지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공급량만큼 저류부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를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는, 벌에게 연속적으로 음용수나 사양수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장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 하부에서 양봉통에 삽입되게 연결되되 기울어진 상기 양봉통의 저벽부에 대응되게 일구간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상기 벌에게 공급되도록 부분적으로 상면이 노출된 채 저류되는 저류부; 및 상기 탱크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부로 공급되는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패킹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개폐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는, 상기 탱크본체와 결합되되 내부에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개폐 샤프트의 상하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날개부가 마련되는 본체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며, 하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부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원주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패킹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결합부재 외면에는 결합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플랜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류부는, 상면이 개방된 채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저류되는 저류판; 상기 탱크본체에 결합되며, 일구간에 걸쳐 개방되어 상기 저류판에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하우징; 및 상기 캡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개폐용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탱크본체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하우징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부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용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판의 저벽에는 상기 벌의 익사를 방지하도록 상기 저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익사방지 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는,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탱크본체 내부를 격리 및 차폐시킬 수 있어 탱크본체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일시에 배출됨이 저지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공급량만큼 저류부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를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개략적인 분해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패킹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본체결합부재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저류부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류부에서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개략적인 분해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패킹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본체결합부재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저류부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저류부에서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에게 연속적으로 음용수나 사양수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장하는 탱크본체(100); 상기 탱크본체(100) 하부에서 양봉통(미도시)에 삽입되게 연결되되 기울어진 상기 양봉통의 저벽부에 대응되게 일구간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상기 벌에게 공급되도록 부분적으로 상면이 노출된 채 저류되는 저류부(200); 및 상기 탱크본체(100)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부(200)로 공급되는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탱크본체(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패킹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본체(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음용수나 사양수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인입구(101)와 인출구(102)가 마련될 수 있다. 탱크본체(100)의 재질은 pe 등의 수지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본체(100) 내부에는 개폐 샤프트(110)가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패킹부(300)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샤프트(110)의 일단부 즉, 상단부는 축관되게 마련되며, 타단부는 확관 플랜지(111) 및 확관 플랜지(111)의 단부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바아(1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샤프트(110)는 상부커버부재(320)가 닫힐 때 하방으로 이동되어 개폐부재(220)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100) 내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저류부(200)로 배출될 수 있다.
저류부(200)는 음용수나 사양수가 상기 벌에게 공급되도록, 음용수나 사양수가 일정 수위로 유지된 채 저류되는 부분이다. 저류부(200)는 도 1, 도 2 및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탱크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류부(200)는, 상면이 개방된 채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저류되는 저류판(210); 상기 탱크본체(100)에 결합되며, 일구간에 걸쳐 개방되어 상기 저류판(210)에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하우징(201); 및 상기 캡하우징(201) 내부에 마련되며, 개폐용 스프링(23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탱크본체(10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하우징(201)은 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탱크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캡하우징(201)은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내부는 중공 타입으로 마련되며, 캡하우징(201)의 내벽에는 부분적으로 암나사부(204)가 형성되어 탱크본체(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캡하우징(201)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 구역 상에 탱크본체(100)의 인출구(102)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배출홀(205)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205)은 완전히 개방되게 마련되지 아니하고 방사상 살(202)이 마련될 수 있다. 방사상 살(202)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뚫려있게 마련되어 음용수나 사양수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며, 이 구간에 개폐 샤프트(110)의 돌출바아(112)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개폐 샤프트(110)의 하방 이동 시 확관 플랜지(111)가 방사상 살(202)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캡하우징(201)의 하부에는 외면 둘레 일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절개면(206)은 저류판(210)이 길이 연장된 측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절개면(206)을 통해 음용수나 사양수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캡하우징(201)의 저면은 하부보강판(203)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보강판(203)은 판면이 캡하우징(201) 및 저류판(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반원을 형성하며 저류판(210)의 저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보강판(203)은 양봉통 내부에 지지되어 탱크본체(100) 및 수용된 음용수나 사양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캡하우징(201)의 절개면(206) 쪽으로 저류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봉통은 여러 가지 이유(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등)에 의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기울어진 경사에 맞춰, 저류판(210)은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 타입으로 마련되되, 탱크본체(100) 하부에서 양봉통에 삽입되게 연결되되 기울어진 상기 양봉통의 저벽부에 대응되게 일구간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봉통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어 저류부(200) 특히, 저류판(210) 상에 저류되는 음용수나 사양수는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저류판(210)의 상면은 부분적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저류판(210)의 나머지 구간은 상부덮개판(212)으로 막혀있다. 저류판(210)의 판면에는 상기 저류판(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판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익사방지 격벽(211)이 마련될 수 있다. 익사방지 격벽(211)을 통해, 음용수나 사양수를 먹는 와중에 벌들의 익사가 방지될 수 있다.
개폐부재(220)는 중앙에 위치된 배출홀(205) 및 방사상 살(202)을 기준으로 하방에 배치되어 배출홀(205)의 일면을 개폐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220)는 개폐 샤프트(110)에 연결되되, 개폐부재(220)의 일부분이 방사상 살(202)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바아(112)의 동작에 따라 개폐부재(220)가 배출홀(205)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홀(205)과 접촉되는 개폐부재(220)의 상면부는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테이퍼진 테이퍼 구간(221)이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22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용 스프링(230)이 수용되는 수용단턱(2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단턱(222) 상에 개폐용 스프링(230)이 수용되어 있으며, 개폐부재(220)가 배출홀(205)에 대해 개방 시에는 개폐용 스프링(230)이 탄성 가압되고, 폐쇄 시에는 개폐용 스프링(230)이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 구간(221)을 가진 개폐부재(220)를 통해, 탱크본체(100) 내의 음용수나 사양수의 수압에도 불구하고 밀폐성이 강화될 수 있다. 탱크본체(100)로 음용수나 사양수를 공급할 때 개폐부재(220)가 인출구를 정밀하게 차단하여 음용수나 사양수가 새어나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재(220)는 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탱크본체(100)에 수용된 음용수나 사양수를 지속적으로 일정한 양만큼 저류부(200)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패킹부(300)가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킹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본체(100)와 결합되되 내부에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개폐 샤프트(110)의 상하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날개부(313)가 마련되는 본체결합부재(310); 및 상기 본체결합부재(3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며, 하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321) 및 제2 플랜지(326)를 포함하는 상부커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결합부재(310)는 주로 도 2 및 도 4을 참조하면, 하부 내경 상에 나사홈부(311)가 마련되어 탱크본체(100)의 인입구(101)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결합부재(310)의 상부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결합돌출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결합부재(310)의 단부에는 상부커버부재(3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결합부재(310)의 상면에는 상부커버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커버부재(320)는 본체결합부재(310)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커버부재(32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중심부 쪽으로 제1 플랜지(321)와, 둘레를 따라 제2 플랜지(3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플랜지(321)에는 원주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안착홈(322)이 마련되며, 상기 실링부재(330)는 상기 안착홈(322)에 안착되고 상기 본체결합부재(310)의 결합돌출부(312)에 지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30)는 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330)를 통해, 탱크본체(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여, 개폐부재(220)가 오픈된 상태라도 탱크본체(100)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대량으로 배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제2 플랜지(326)는 단부에 결합돌기(327)가 마련되며, 본체결합부재(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패킹부(300)를 통해,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탱크본체(100) 내부를 격리 및 차폐시킬 수 있어 탱크본체(100)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일시에 배출됨이 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공급량만큼의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류부(200)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봉통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저류판(210)의 일구간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저류부(200) 상에 저류되는 음용수나 사양수는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저류판(210) 상에 익사방지 격벽(211)이 마련되어 있어, 음용수나 사양수를 먹는 와중에 벌들의 익사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의 동작 과정을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패킹부(300)의 상부커버부재(320)를 개방하여 음용수나 사양수를 탱크본체(100) 내부로 공급한다. 이때, 상부커버부재(320)를 개방하게 되면, 개폐용 스프링(230)의 탄성 복원되어 개폐 샤프트(1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개폐부재(220)는 배출홀(205)을 폐쇄한다. 이때, 테이퍼 구간(221)이 배출홀을 견고히 접촉 지지되어 음용수나 사양수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탱크본체(100) 내부에 음용수나 사양수가 일정 높이까지 차면, 음용수나 사양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부커버부재(320)를 폐쇄한다. 제2 플랜지(326)의 결합돌기(327)가 본체결합부재(310)와 결합되어 탈거가 방지된다.
이 과정에서, 제1 플랜지(321)의 안착홈(322)에 자리잡은 실링부재(330)가 본체결합부재(310)의 내벽에 탄성지지되면서 결합된다. 그러면, 탱크본체(100) 내부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폐 및 격리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부재(320)를 폐쇄하게 되면, 개폐 샤프트(110)가 눌려서 개폐용 스프링(230)이 가압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탱크본체(100)의 배출홀(205)을 막고 있던 개폐부재(22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배출홀(205)이 개방된다.
배출홀(205)을 통해 음용수나 사양수가 저류부(200)로 공급된다. 저류판(210)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차게 되면, 탱크본체(100) 내부의 압력보다 외부 대기압이 더 높기 때문에, 개폐부재(220)가 열려 있더라도 음용수나 사양수가 저류판(210)으로 배출되기 아니하고 평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탱크본체(100) 내, 외부의 압력 평형을 이루기 위해, 벌들이 음용수나 사양수를 취득하는 양만큼 탱크본체(100)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탱크본체(100) 내부를 격리 및 차폐시킬 수 있어 탱크본체(100) 내부의 음용수나 사양수가 순간적으로 일시에 배출됨이 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공급량만큼의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류부(200)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봉통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저류판(210)의 일구간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저류부(200) 상에 저류되는 음용수나 사양수는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어 벌들에게 음용수나 사양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저류판(210) 상에 익사방지 격벽(211)이 마련되어 있어, 음용수나 사양수를 먹는 와중에 벌들의 익사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탱크본체 110 : 개폐 샤프트
200 : 저류부 210 : 저류판
211 : 익사방지 격벽 220 : 개폐부재
221 : 테이퍼 구간 222 : 수용단턱
230 : 개폐용 스프링 300 : 패킹부
310 : 본체결합부재 312 : 결합돌출부
320 : 상부커버부재 321 : 제1 플랜지
322 : 안착홈 330 : 실링부재
326 : 제2 플랜지 327 : 결합돌기

Claims (10)

  1. 벌에게 연속적으로 음용수나 사양수를 제공하도록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를 저장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 하부에서 양봉통에 삽입되게 연결되되 기울어진 상기 양봉통의 저벽부에 대응되게 일구간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상기 벌에게 공급되도록 부분적으로 상면이 노출된 채 저류되는 저류부; 상기 탱크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부로 공급되는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탱크본체를 차폐시키는 패킹부; 및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패킹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개폐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류부는, 상면이 개방된 채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저류되는 저류판; 상기 탱크본체에 결합되며, 일구간에 걸쳐 개방되어 상기 저류판에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하우징; 상기 캡하우징 하측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캡하우징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상면부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테이퍼지며, 하부에는 수용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우레탄 재질의 개폐부재; 및 상기 수용단턱에 수용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개폐용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는, 상기 탱크본체와 결합되되 내부에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개폐 샤프트의 상하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날개부가 마련되며, 외주에 결합돌출부가 마련되는 본체결합부재; 상기 본체결합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며, 하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주에는 원주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주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착탈 가능한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상부커버부재;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결합부재의 내주에 탄성 지지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샤프트는, 상기 가이드날개부에 중심에 마련된 홀 및 상기 캡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닫히면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의하여 눌려져 상기 캡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개폐부재에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하부를 개방하며,
    상기 개페부재에 의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저류판에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차게되면,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의 같아져 상기 음용수나 사양수가 상기 저류판으로 배출되지 않는 평형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70006447U 2017-12-14 2017-12-14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KR200489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47U KR200489745Y1 (ko) 2017-12-14 2017-12-14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47U KR200489745Y1 (ko) 2017-12-14 2017-12-14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39U KR20190001539U (ko) 2019-06-24
KR200489745Y1 true KR200489745Y1 (ko) 2019-07-31

Family

ID=6700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47U KR200489745Y1 (ko) 2017-12-14 2017-12-14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186U1 (ru) * 2022-08-09 2022-12-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ветеринарной медицины ФГБОУ ВО СПбГУВМ Поилка для пчёл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41A (ko) 2022-01-07 2023-07-14 황영진 양봉용 자동 급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6701A (en) * 1922-02-13 1922-08-22 Lewis H Achenbach Bee fee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186U1 (ru) * 2022-08-09 2022-12-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ветеринарной медицины ФГБОУ ВО СПбГУВМ Поилка для пчё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39U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56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CN107960061B (zh) 具有可漂浮过滤器系统的水容器及方法
US9198401B2 (en) Nectar feeder with float
JP6614499B2 (ja) 自動ドレン排出装置
US20150232240A1 (en) Spuit-type container cap for automatic filling and fixed-amount dispensing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US2688754A (en) Cleanser dispenser
KR200489745Y1 (ko) 양봉용 급수 및 사양탱크
KR101416049B1 (ko)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KR20190012315A (ko) 축산용 급수 니플
CN107257774B (zh) 有助于在不去除容器盖的情况下将汲取管插入容器的汲取管插入构件
US8826859B1 (en) Animal drinker
KR101780903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20050006405A1 (en) Bottled type water dispenser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US20200045940A1 (en) Animal drinker
KR102165020B1 (ko) 음료용기용 빨대
US2857084A (en) Constant head device
US1936857A (en) Coffee protector
US3874343A (en) Water dispenser for small animals
US1113887A (en) Feed and water reservoir.
US1923266A (en) Plant spraying apparatus
KR20200043028A (ko) 반려동물 급수기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