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297B1 -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 Google Patents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297B1
KR102044297B1 KR1020180046638A KR20180046638A KR102044297B1 KR 102044297 B1 KR102044297 B1 KR 102044297B1 KR 1020180046638 A KR1020180046638 A KR 1020180046638A KR 20180046638 A KR20180046638 A KR 20180046638A KR 102044297 B1 KR102044297 B1 KR 10204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balance
unit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005A (ko
Inventor
윤수환
이영훈
김석원
박춘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4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2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2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reducing air resistance by modifying contour ; Constructional features for fast vehicles sustaining sudden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e.g. when crossing in tu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 Y02T30/32

Abstract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은 고속열차의 차체의 제1 면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개폐하는 대차 커버부 및 상기 제1 면과 다른 면인 상기 차체의 제2 면에 결합되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대차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 커버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제1 커버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 조절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YPE BOGIE FAIRING FOR A HIGH-SPEED TRAIN}
본 발명은 고속열차용 대차페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커버하여 대차부의 주요 부품을 보호하고 자갈비산의 위험을 낮추며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주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현재 국내에서 운행 중인 고속열차(KTX 산천)(10)의 외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열차의 대차부(12)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운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고속열차는 상기 대차부(12)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운행됨에 따라 공기저항이 약 7~8% 증가하고, 상기 대차부(12)의 충격소음 및 공력소음이 그대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자갈 혹은 이물질이 상기 대차부로 유입되어 주요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대차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공기저항 및 소음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며, HEMU-430X와 같은 시험열차에서는 상기 대차부에 대차페어링을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0-0013662호에서는 차량의 차체외판과 연결된 측면프레임의 절곡된 하부에 지지구조체를 장착한 후, 상기 지지구조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에 볼트를 통해 대차커버를 결합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속열차의 차체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대차페어링을 체결하는 경우, 대차부 또는 대차페어링의 수리 시 상기 대차페어링을 상기 차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유지보수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고속열차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9888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커버하여 대차부의 주요 부품을 보호하고 자갈비산의 위험을 낮추며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주행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동 개폐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아 고속열차의 대차부로의 적용성이 향상된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은, 고속열차의 차체의 제1 면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개폐하는 대차 커버부 및 상기 제1 면과 다른 면인 상기 차체의 제2 면에 결합되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대차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 커버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제1 커버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 조절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차제의 제2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리니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리니어부가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상기 제2 면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커버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대차 커버부에 의한 상기 대차부의 개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상기 대차부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대차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상기 대차부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2 커버부재와 상기 고속열차의 차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버부재에서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유닛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체결부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리니어부의 길이 확장 및 축소를 통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대차부의 수리 또는 부품 교환이 필요한 경우 유지보수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대차부의 주요 부품들을 보호하고 자갈비산의 위험을 낮추며 운영비를 절감하고 방사소음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커버부재에 체결부를 형성하여 개폐 조절부의 제2 결합부와 볼트 결합시키고 수동으로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체결부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부재를 상기 개폐 조절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리니어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작동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상기 제2 커버부재를 회전시켜 고속열차의 대차부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고속열차(KTX 산천)의 외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차페어링이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차페어링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커버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대차페어링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차페어링이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차페어링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커버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대차페어링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차페어링은 대차 커버부(100), 개폐 조절부(200), 작동부(미도시), 모니터링부(400), 센서부(500), 잠금부(600) 및 체결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 커버부(100)는 고속열차의 대차부(15, 도 3참조)를 커버하며, 대차부(15)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재 국내에서 운행되는 KTX 또는 KTX 산천의 대차부(15)의 형상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대차 커버부(100)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나아가, 도 3에서는 하나의 상기 대차 커버부(100)가 고속 열차의 대차부(15)를 커버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대차부(15)의 크기, 너비, 구조 등을 고려하여 상기 대차 커버부(100)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대차부(15)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차 커버부(100)는 상기 고속열차의 차체(20)의 제1 면(21)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 조절부(200)는 상기 차체의 제2 면(2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면(21)은 상기 차체(20)의 측면, 즉 외부를 향하는 면에 해당하는 면이고 상기 제2 면(22)은 상기 차체의 하면에 해당하는 면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면(22)들 각각에 상기 대차 커버부(100) 및 상기 개폐 조절부(200)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면(22)들은 서로 다른 면들이기만 한다면 상기 대차 커버부(100) 및 상기 개폐 조절부(200)가 상기 차체(20)의 어느 면이든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열차의 상기 차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형상의 차체(20) 외의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상기 대차 커버부(100)는 상기 차체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조절부(200)는 상기 차체(20)의 다른 면과 상기 대차 커버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체(20)는 상기 고속열차의 차체부(30)의 일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형상은 상기 차체부(3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대차 커버부(100)는 상기 고속열차의 상기 차체부(30)의 외형의 굴곡과 동일한 굴곡으로 형성된 프레임(frame)을 가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부(15)를 커버하는 경우 상기 차체부(30)와 동일한 굴곡으로 형성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 조절부(200)는 길이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끝단은 상기 차체(20)의 상기 제2 면(22)에 결합되고 타 끝단은 상기 대차 커버부(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차 커버부(100)는 제1 커버부재(110) 및 제2 커버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조절부(200)는 제1 결합부(210), 제2 결합부(220) 및 리니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부재(110)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으로 상기 차체(20)의 제1 면(21)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120)는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으로 상기 제1 커버부재(110)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 커버부재(1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체(20)의 제1 면(21)에는 제1 고정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부재(120)의 일 면, 즉 상기 대차부(15)를 향하는 면에는 제2 고정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210)는 상기 제1 고정부(310)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부(3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220)는 상기 제2 고정부(320)와 결합된다.
상기 리니어부(230)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220)들 사이에서 일 측이 상기 제1 결합부(21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2 결합부(220)에 연결된다. 상기 리니어부(230)는 도시된 제1 방향(5)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대차페어링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속열차의 상기 차체부(30)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 커버부(100)가 상기 고속열차의 대차부(15)를 커버함에 따라, 상기 대차부(15)에 포함된 주요 부품들(미도시)이 보호되고 상기 주요 부품들 내부로 자갈비산이 유입되어 상기 주요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대차부(15)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기저항이 감소하며 주행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속열차의 상기 대차부(15)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커버부(1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대차부(15)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니어부(230)는 도 3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5)으로 길이를 확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제2 커버부재(120)에서 상기 제2 결합부(220)와 결합된 부분에 힘이 전달되어 상기 제1 결합부(210)가 상기 제1 고정부(31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상기 제1 결합부(210)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부(15)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리니어부(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15)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상기 대차부(15)의 수리 또는 부품 교환이 필요한 경우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대차 커버부(100)를 회전시켜 상기 대차부(15)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니어부(230)가 길이를 축소하면 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결합부(210)도 상기 제1 고정부(31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다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대차부(15)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리니어부(2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대차부(15)의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커버부재(110) 또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고속열차의 차체부(30)의 어느 위치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부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리니어부(230)의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어느 위치든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속열차의 운전석에 설치된 작동버튼과 연계되어 사용자가 상기 작동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운전석에 설치된 개폐 경고등과도 연계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 경고등을 누르는 경우 불빛, 소리 등을 방출하여 상기 대차부(15)의 개폐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의 회전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대차부(15)의 개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대차부(15)를 커버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화면에 감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대차부(15)를 폐쇄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대차부(15)를 개방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화면에 감지되므로 상기 대차부(15)를 개방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 외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의 끝단에 상기 대차부(15)를 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대차부(15)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대차부(15)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기만 한다면 상기 제2 커버부재(120)의 어디든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500)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0)는 예를 들어 거리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대차부(15) 내부의 주요 부품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어 상기 주요 부품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대차부(15)를 폐쇄된 상태로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주요 부품과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소정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대차부(15)를 개방된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600)는 상기 대차 커버부(100)를 상기 차체부(30)에 고정할 때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버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잠금부(600)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600)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 일 면에 상기 대차부(15)를 향하도록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의 일 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120)와 상기 차체부(30)와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700)는 상기 제2 커버부재(120)에서 상기 제2 결합부(220)와 결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볼트(미도시) 등의 결합유닛을 통해 상기 제2 결합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대차부(15)의 개방이 필요한데 앞서 설명한 상기 작동부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리니어부(230)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상기 대차부(15)를 개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볼트 등의 결합유닛을 통해 결합된 상기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체결부(700)를 분리하면 상기 제2 커버부재(120)가 상기 개폐 조절부(200)와 분리되므로, 수동으로 상기 제2 커버부재(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대차부(15)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대차부(15)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대차부(15)의 외부에서 결합유닛의 분리 또는 체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리니어부의 길이 확장 및 축소를 통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대차부의 수리 또는 부품 교환이 필요한 경우 유지보수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대차부의 주요 부품들을 보호하고 자갈비산의 위험을 낮추며 운영비를 절감하고 방사소음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커버부재에 체결부를 형성하여 개폐 조절부의 제2 결합부와 볼트 결합시키고 수동으로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체결부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부재를 상기 개폐 조절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리니어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작동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상기 제2 커버부재를 회전시켜 고속열차의 대차부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5 : 대차부 20 : 차체
30 : 차체부 100 : 대차 커버부
110 : 제1 커버부재 120 : 제2 커버부재
200 : 개폐 조절부 210 : 제1 결합부
220 : 제2 결합부 230 : 리니어부
400 : 모니터링부 500 : 센서부
600 : 잠금부 700 : 체결부

Claims (8)

  1. 고속열차의 차체의 제1 면에 고정되는 제1 커버부재, 및 회전을 통해 상기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개폐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대차 커버부;
    상기 제1 면과 다른 면인 상기 차체의 제2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대차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 조절부;
    상기 대차 커버부에 의한 상기 대차부의 개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재에서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 조절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상기 제2 커버부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화면에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차부를 폐쇄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화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대차부를 개방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커버부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결합유닛이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커버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개폐 조절부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체결부가 수동으로 분리되면, 상기 제2 커버부재는 상기 개폐 조절부와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페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리니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페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리니어부가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상기 제2 면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커버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대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페어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페어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상기 대차부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대차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페어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상기 대차부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2 커버부재와 상기 고속열차의 차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페어링.
  7. 삭제
  8. 삭제
KR1020180046638A 2018-04-23 2018-04-23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KR10204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38A KR102044297B1 (ko) 2018-04-23 2018-04-23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38A KR102044297B1 (ko) 2018-04-23 2018-04-23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05A KR20190123005A (ko) 2019-10-31
KR102044297B1 true KR102044297B1 (ko) 2019-11-13

Family

ID=6842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638A KR102044297B1 (ko) 2018-04-23 2018-04-23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2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999B1 (ko) * 2014-07-18 2015-1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열차용 대차 측면덮개
KR101578709B1 (ko) * 2014-08-14 2015-12-28 주식회사 남아 비상문 개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424A (ko) * 2008-01-08 2009-07-13 명관 이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094871B1 (ko) 2009-08-21 2011-12-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차량용 대차의 차음장치
KR101128442B1 (ko) * 2010-06-08 2012-03-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스커트 패널 보조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999B1 (ko) * 2014-07-18 2015-1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열차용 대차 측면덮개
KR101578709B1 (ko) * 2014-08-14 2015-12-28 주식회사 남아 비상문 개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05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2400B2 (en) Coupler assembly and straddle type rail train with same
US7293624B2 (en) Flip-up type hood for vehicle
JP3947511B2 (ja) 航空機の操縦室ドア
US20120048484A1 (en) Rollable screen assembly
TW201527160A (zh) 可收合腳踏板
KR102044297B1 (ko)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JP4876234B2 (ja) 航空機ドア
CN104675243A (zh) 具有双铆钉结构的汽车发动机盖的活动铰链装置
US20170298657A1 (en) Dual cable door latch release mechanism
US20180201104A1 (en) Convertible Top Having A Main Link Abutment Arrangement
US7464660B2 (en) Windshield including vented walk-through door
CA2350375C (en) Cover for flexible signal connection for a transit vehicle door
JP4434170B2 (ja) フード回動構造
US20100223850A1 (en) Safety device for entry/exit gates
JP7084482B2 (ja) パンタグラフ
KR101954691B1 (ko) 광고면적이 줄어들지 않는 psd용 광고용 도어모듈
JP630525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呼びボタン装置
KR102417900B1 (ko) 사이드 가드 조립체
JP7253111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カメラ
KR102128317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열림 방지구조
KR101563823B1 (ko) 자동차용 빗물 차단장치
KR20110060191A (ko) 글라이딩 도어용 하단 더스트 커버
JP2005030683A (ja) 車両用ハッチ構造
KR100793865B1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