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33B1 -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33B1
KR102043433B1 KR1020180042873A KR20180042873A KR102043433B1 KR 102043433 B1 KR102043433 B1 KR 102043433B1 KR 1020180042873 A KR1020180042873 A KR 1020180042873A KR 20180042873 A KR20180042873 A KR 20180042873A KR 102043433 B1 KR102043433 B1 KR 10204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xtraction
ginsenosides
content
ginsen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431A (ko
Inventor
유승환
박채규
서장호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8004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홍삼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고, 특히 Rg1 및 Rb1 함량이 높으므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또는 이에 의한 홍삼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king Extract of Red Ginseng}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강화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진세노사이드를 30 여종(백삼 22종, 홍삼 30종) 이상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여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는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신체기능 조절, 즉 생리 기능 정상화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진세노사이드들은 다마란계의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프로토파낙사디올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에 글루코오스, 람노스, 아라비노스 또는 자일로오스와 같은 당류가 결합한 화합물들로서 현재까지 인삼에서 30여 종의 유도체들이 밝혀져 있다. 주요 프로토파낙사디올 유도체들에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g3, Rh2, Compound K 등이 있다. 주요 프로토파낙사트리올 유도체에는 Re, Rg1, Rh1 등이 있다.
인삼이 갖는 진세노사이드 중 Rg1 및 Rb1은 건강기능식품공전에서 기능 성분, 즉 지표 성분으로 지정되어 있다. 진세노사이드 Rg1은 면역기능 증강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기억 및 학습 기능 증진 작용,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항피로 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혈관 확장 작용, 신경세포 생존율 촉진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 억제 및 정신 안정 작용, 공격성 행동 억제, 진통 작용, 고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불안 작용, 신경세포 생존 촉진 작용, 기억력 개선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혈관 확장 작용, 항염작용, 간 상해 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b1은 기능 성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가 고함량으로 포함된 추출물을 얻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인삼에 주정을 가하여 인삼 주정 추출물을 얻고, 이를 흡착 수지에 흡착시킨 후, 상기 흡착 수지에 다시 주정을 가하여 Rg1 또는 Rb1이 포함된 용출물을 획득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특허문헌 1).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외에도 인삼에는 신체기능을 조절하는 다른 종류의 진세노사이드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추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임계수(subcritical water)는 '압력이 가해진 열수', '압축된 열수', 또는 '과열된 물'로 불리며, 물의 끓는점과 물의 임계 온도 사이에서 압력을 가하여 물이 액체로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아임계수로 식품폐기물을 분해시키거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식품 제조 분야에 대해서, 다른 원료에 대해 아임계수를 적용한 예는 있었으나, 인삼에 적용하여 인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들 중에서도 특정 성분만을 강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49975호
홍삼 농축액 제조시에 기존의 열수 추출 방법을 적용하면, 고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고, 장시간의 고온의 열로 인하여 기능 성분인 진세노사이드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법 대신에 열에 약한 기능 성분도 확보할 수 있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홍삼을 55℃~80℃에서 6시간~20시간 동안 70~130bar의 아임계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홍삼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 조건을 적용하면, 기존에 열수로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서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증대되며, 저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사포닌의 전환이 감소되고, 기호성 및 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홍삼을 55℃~80℃에서 6시간~20시간 동안 70~130bar의 아임계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홍삼의 추출은 55℃~80℃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75℃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추출을 수행하면, 저온에서 추출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생산 수율도 향상된다. 진세노사이드 중에서도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인 Rb1+Rg1+Rg3의 함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추출시 색의 변화가 적어 갈변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하한값 미만의 온도에서 홍삼을 추출할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및 Rg3r의 총 함량이 낮을 수 있다. 상한값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에는, 특히 80℃를 초과한 온도에서 추출이 수행될 경우에는 유효한 사포닌이 고열로 인해서 전환되어 버리고, 추출물의 색이 변해서 상용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한값을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에너지가 다량으로 소비되어 경제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고온인 85℃ 이상, 특히 150℃ 이상의 온도에서는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인 진세노사이드 Rb1, Rg1, Rg3가 전환되고, 변형되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고온 추출시 탄화 현상이 발생하고, 기능 성분이 전부 전환 및 변형되어 검출되지 않으므로 경제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용화의 어려움이 있다.
홍삼은 6시간~20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시간~15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시간~15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시간~15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한값 미만의 시간 동안 추출할 경우에는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가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한값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추출될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가 추출된 이후에도 추출물에 계속 열을 가하게 되어서 추출물의 성상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추출시 탄화 현상이 발생하고, 기능 성분이 전부 전환 및 변형되어 검출되지 않으므로 경제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용화의 어려움이 있다.
홍삼은 70~13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12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0bar 조건에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용매를 가압하면 압력으로 인하여 생약재 조직에 용매가 쉽게 침투하므로 용매의 추출 능력이 증대되고, 소정의 온도에서 용매를 액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효 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진다. 종래에 알려진 열수 추출 방법은 고온에서만 진행하여서 기능 성분의 소실이 많지만,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같이 저온, 압력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기능 성분의 소실을 최소화하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홍삼을 하한값 미만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할 경우에는 저압 조건이 되어서 홍삼 조직에 물이 침투하는 정도가 낮아지므로 원하는 만큼의 유효성분을 얻기 위해서 추출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유효물질인 진세노사이드 또는 홍삼다당체의 함량이 낮을 수 있다. 상한값을 초과하는 압력 조건에서 추출될 경우에는 생약재의 조직이 분해되어서 셀룰로오즈 및 부유물 등의 증가로 인하여 추출에 어려움이 많고,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현장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또한, 고압 추출시 탄화 현상이 발생하고, 기능 성분이 전부 전환 및 변형되어 검출되지 않으므로 경제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용화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홍삼을 60℃~72℃ 범위의 온도에서 6시간~20시간 동안 90~100bar 조건으로 추출하였을 때, 진세노사이드 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및 Rg3r의 총 함량이 높고, 주요 진세노사이드로서,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이 되는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의 함량도 높았다. 또한,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대비, 전환사포닌이 차지하는 함량이 적어서 열로 인한 사포닌 전환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시간, 압력 조건은 동일하게 하되 온도 조건만 80℃를 초과한 조건에서 추출하였을 때는 진세노사이드 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및 Rg3r의 총 함량이 열수 추출과 차이가 없고, 열수 추출시에 비해서 전환 사포닌은 많아져서 고온에 의하여 사포닌이 전환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홍삼을 저온에서 압력을 가하여 아임계 추출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의 함량도 높으므로, 종래에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장시간 추출시 문제점인, 탄화 현상이나, 기능 성분이 전부 전환 및 변형되어 경제성,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용화가 어려웠던 점을 해결할 수 있다.
홍삼은 홍삼 유래의 주근, 중미 및 세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근, 중미 및 세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주근, 중미 및 세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주근, 중미, 세미가 주근:중미:세미 = 60~80:10~30:1~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75:15~25: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75:20~25: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율로 혼합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최대화되고 기호성이 향상된다.
홍삼과 물의 투입 비율은 중량비로 홍삼:물 = 1~30:80~1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25:90~11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100~1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홍삼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즉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경우에는 아임계 조건을 적용하더라도 유효성분이 강화되지 않는다.
홍삼의 크기는 0.5cm 내지 3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2.5c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2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홍삼의 크기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추출 후에 추출액과 잔사의 분리가 어렵고, 여과 과정을 추가로 진행해야 한다. 홍삼의 크기가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홍삼과 물이 접하는 표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추출 효율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지는 홍삼을 사용함으로써 홍삼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유효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내지 10회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8회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7회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물은 1회 추출한 단일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홍삼 원료를 1회부터 10회까지 추출을 각각 수행한 후에 각 추출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홍삼 원료를 1회부터 7회까지 추출을 각각 수행한 후에 각 추출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한값을 초과한 횟수로 추출할 경우에는 추출물 내에 남아있는 유효성분이 극히 미량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홍삼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및 Rg3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은 상기 개시된 진세노사이드 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및 Rg3r를 비롯하여 홍삼에서 유래하는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및 Rg3r의 총 합은 240mg/L 내지 300mg/L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mg/L 내지 290mg/L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mg/L 내지 280mg/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진세노사이드를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생리활성이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추출 방법에 의해 상기 진세노사이드 중에서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될 수 있고,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 Rg1 및 Rb1의 합은 100mg/L 내지 180mg/L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mg/L 내지 170mg/L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mg/L 내지 160mg/L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7mg/L 내지 152mg/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의 합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Rg1이 나타내는 면역기능 증강 작용, 항피로 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항염증 작용 과 같은 생리 활성과, 진세노사이드 Rb1이 나타내는 중추 억제 및 정신 안정 작용, 고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기억력 개선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항염작용 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방법에 의해 상기 진세노사이드 중에서도 Rb1, Rg1 및 Rg3가 강화될 수 있고,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가 증가하는 경우 Rb1, Rg1 및 Rg3의 합은 120mg/L 내지 180mg/L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5mg/L 내지 175mg/L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mg/L 내지 170mg/L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0mg/L 내지 165mg/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의 함량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단락에 언급한 진세노사이드의 Rg1 및 Rb1의 생리 효과와, 진세노사이드 Rg3가 나타내는 심혈관 및 뇌혈관 질병, 관상동맥 심질환, 장애, 기억 장애에 대한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용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건강 개선 등)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0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홍삼 농축액의 제조
홍삼 농축액 제조시에 아임계 조건을 적용하여 추출시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진세노사이드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다. 홍삼 100g에 정제수 1,000g을 투입하였다. 홍삼은 세 종류이며, 중량비로 주근:중미:세미 = 70:20:10 이다. 하기 표 1에 열수 추출 조건과 아임계 추출 조건을 나타낸다. 아임계 추출에서는 다목적용 반응기(일신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였다.
구분 열수추출(60℃) 열수추출(85℃) 아임계(60℃) 아임계(72℃) 아임계(85℃)
온도 58℃ ~ 62℃ 83℃ ~ 87℃ 58℃ ~ 62℃ 70℃ ~ 74℃ 83℃ ~ 87℃
압력 - - 90 ~ 100bar 90 ~ 100bar 90 ~ 100bar
시간 12시간 12시간 12시간 12시간 12시간
추출 회수 7 7 7 7 7
<실시예 1>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생산 수율 확인
제조예 1에서 얻은 홍삼 농축액에 포함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11종(Rg1, Re, Rf, Rg2s, Rb1, Rc, Rb2, Rd, Rh1, Rg3s, Rg3r)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진세노사이드 11종 중에서 전환사포닌인 Rg2s, Rh1, Rg3s, Rg3r의 함량을 확인하여 전환사포닌의 합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11종 중에서 전환사포닌, 진세노사이드 3종(Rg1+Rb1+Rg3s), 진세노사이드 2종(Rg1+Rb1)의 양을 별도로 나타내며, 진세노사이드 11종에 대한 이들 진세노사이드들의 함량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단위는 mg/L이다.
구분 열수 추출
(60℃)
열수 추출
(85℃)
아임계 추출
(60℃)
아임계 추출
(72℃)
아임계 추출
(85℃)
진세노사이드 11종 합계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
122.0
(100.0%)
207.0
(100.0%)
280.0
(100.0%)
262.2
(100.0%)
208.2
(100.0%)
Rb1+Rg1
(진세노사이드 11종 합에 대한 Rb1+Rg1 함량)
62.3
(51.1%)
89.0
(43.0%)
152.0
(54.3%)
127.1
(48.5%)
81.5
(39.1%)
Rb1+Rg1+Rg3s
(진세노사이드 11종 합에 대한 Rb1+Rg1+Rg3s 함량)
63.1
(51.7%)
102.0
(49.3%)
154.0
(55.0%)
140.7
(53.6%)
99.7
(47.9%)
전환사포닌
(진세노사이드 11종 합에 대한 전환사포닌 함량)
4.4
(3.6%)
39.0
(18.8%)
11.0
(3.9%)
27.1
(10.3%)
48.8
(23.5%)
생산 수율 65.64% 86.90% 82.34% 88.48% 95.87%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열수 추출에 비해서 아임계 추출은 진세노사이드 11종의 함량이 높았으며, 아임계 추출을 동일하게 적용하더라도 온도에 따라서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아임계 추출시 55℃ 내지 80℃의 조건을 적용하면 열수 추출법보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최대 약 2.3배 증가하였으나, 80℃를 초과하는 온도 조건에서는 열수 추출과 유사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중에서도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진세노사이드 Rb1+Rg1 함량도 열수 추출법에 비해서, 아임계 추출시 높았다. 그러나, 아임계 추출을 적용하더라도 온도에 따라서 Rb1+Rg1 함량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임계 추출시 55℃ 내지 80℃의 조건을 적용하면 열수 추출법보다 Rb1+Rg1 함량이 최대 약 2.4배 증가하였으나, 80℃를 초과하는 온도 조건에서는 열수 추출시보다 Rb1+Rg1 함량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인 Rb1+Rg1+Rg3의 측면에서도 열수 추출보다 아임계 추출시 함량이 높았고, 특히 아임계 추출의 경우 55℃ 내지 80℃의 조건을 적용하면 Rb1+Rg1+Rg3의 함량이 열수 추출법보다 최대 약 2.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은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인 Rb1+Rg1+Rg3 함량이 열수 추출법을 수행했을 때보다 높기 때문에 상용화에 적합하다.
전환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열수 추출 및 아임계 추출 모두 온도가 높아질수록 전환사포닌의 양이 많아졌다. 전환사포닌 함량은 열수 추출법을 적용할 때보다, 아임계 추출을 적용할 때에 낮았으나, 아임계 추출을 적용하더라도 온도에 따라서, 전환사포닌 양이 상이하였다. 아임계 추출에서는 55℃ 내지 80℃의 조건의 경우에는 각 온도 조건에서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 대비, 전환사포닌이 차지하는 함량이 작았으나, 80℃를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 대비, 전환사포닌이 차지하는 함량이 높아서 열에 약한 사포닌이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산성 측면에 있어서도 열수 추출에 비해서, 아임계 추출을 적용할 경우 생산 수율이 높았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아임계 조건(온도, 압력)이 홍삼 조직에 물이 침투하기 쉽게 도와주기 때문에 유효물질(진세노사이드, 홍삼다당체 등)이 쉽게 추출되어서 추출효율 증대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도와 압력 조건을 변경하여 특정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고, 압력 조절에 의해서 끓는점을 변화시킴으로써 진세노사이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아임계 조건 중에서도 온도 조건이 55℃ 내지 80℃일 때는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Rb1+Rg1 함량,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인 Rb1+Rg1+Rg3 함량이 높아서, 유효성분의 손실이 적었다. 그러나, 아임계 조건이더라도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산 수율은 높았지만, 열수 추출(80℃ 초과 조건)에 비해서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차이가 없고, Rb1+Rg1 함량, 기능식품공전의 규격인 Rb1+Rg1+Rg3 함량이 낮아서 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진세노사이드를 강화할 수 없고, 열에 의한 사포닌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홍삼 농축액의 색도 확인
일반적으로 갈변이 심할수록 섭취시에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홍삼 농축액의 갈변 여부를 확인하여 제품화에 적합한지 확인하였다. 홍삼 농축액의 색도 측정은 홍삼 농축액을 페트리디쉬에 담아 표준색도가 Y=94.5, a=0.18, b=0.32로 보정된 색차계(CT-301 mintolta japan)를 사용하고, 정제수로 '0'을 설정한 후 밝기를 나타내는 L(lightness), 적색도를 나타내는 a(redness), 황색도를 나타내는 b(yellowness)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낸다.
구분 열수 추출(85℃) 아임계 추출(60℃)
L a b L a b
1회 71.24 ± 1.45 -0.98 ± 0.02 12.01 ± 0.31 88.77 ± 0.04 0.64 ± 0.00 -2.36 ± 0.01
2회 73.05 ± 1.61 -0.20 ± 0.04 4.81 ± 0.21 89.43 ± 0.16 0.67 ± 0.06 -2.46 ± 0.13
3회 77.75 ± 2.18 0.50 ± 0.05 0.25 ± 0.11 88.68 ± 0.03 0.94 ± 0.02 -3.29 ± 0.04
4회 78.19 ± 1.69 0.81 ± 0.05 -1.09 ± 0.06 88.99 ± 0.27 0.94 ± 0.04 -3.55 ± 0.11
5회 78.74 ± 1.55 0.97 ± 0.06 -2.10 ± 0.03 88.57 ± 0.10 1.01 ± 0.00 -3.70 ± 0.00
6회 78.51 ± 1.87 0.96 ± 0.08 -2.26 ± 0.04 88.96 ± 0.06 1.00 ± 0.02 -3.73 ± 0.02
7회 79.15 ± 1.15 1.03 ± 0.09 -2.50 ± 0.02 89.09 ± 0.09 1.02 ± 0.02 -3.78 ± 0.01
혼합 68.62 ± 2.31 -1.07 ± 0.02 17.36 ± 0.81 88.81 ± 0.03 0.96 ± 0.02 -3.28 ± 0.04
구분 아임계 추출(72℃) 아임계 추출(85℃)
L a b L a b
1회 88.01 ± 0.03 0.51 ± 0.01 -1.55 ± 0.08 70.11 ± 1.46 -0.72 ± 0.06 18.9 ± 0.53
2회 88.19 ± 0.15 0.85 ± 0.12 -2.68 ± 0.45 75.66 ± 1.42 -0.32 ± 0.02 7.06 ± 0.34
3회 88.60 ± 0.07 0.96 ± 0.05 -3.74 ± 0.17 77.13 ± 1.89 0.48 ± 0.07 0.49 ± 0.12
4회 89.01 ± 0.19 0.92 ± 0.02 -3.46 ± 0.02 79.99 ± 2.55 0.85 ± 0.05 -1.26 ± 0.06
5회 87.67 ± 0.30 1.03 ± 0.01 -3.81 ± 0.02 77.37 ± 1.42 0.92 ± 0.04 -1.95 ± 0.03
6회 88.36 ± 0.16 1.05 ± 0.02 -3.77 ± 0.02 77.87 ± 1.12 0.96 ± 0.07 -2.39 ± 0.03
7회 89.75 ± 0.34 0.86 ± 0.01 -4.05 ± 0.01 76.55 ± 1.13 0.97 ± 0.06 -2.41 ± 0.02
혼합 89.57 ± 0.08 0.89 ± 0.05 -3.46 ± 0.18 76.29 ± 2.36 0.14 ± 0.03 2.45 ± 0.18
구분 열수 추출(60℃)
L a b
1회 88.67 ± 0.15 0.68 ± 0.05 -2.38 ± 0.00
2회 89.83 ± 0.16 0.61 ± 0.02 -2.41 ± 0.10
3회 88.28 ± 0.03 0.92 ± 0.02 -3.26 ± 0.15
4회 88.18 ± 0.27 0.93 ± 0.04 -3.52 ± 0.12
5회 88.57 ± 0.30 1.00 ± 0.10 -3.74 ± 0.03
6회 88.96 ± 0.16 1.03 ± 0.06 -3.71 ± 0.07
7회 89.01 ± 0.02 1.01 ± 0.12 -3.72 ± 0.02
혼합 88.71 ± 0.09 0.94 ± 0.62 -3.21 ± 0.06
표 3 내지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아임계 추출 조건 중 55℃ 내지 80℃의 경우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이, 열수 추출 조건, 또는 85℃ 조건에서 아임계 추출했을 때보다도 높아서 갈변이 진행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 추출 온도의 저하로 인하여 색의 변화가 적고 갈변이 최소화되므로, 홍삼 농축액을 상용화하는데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홍삼을 60℃~72℃에서 6시간~20시간 동안 70~130bar의 아임계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홍삼 추출물에 포함되는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합계 240mg/L 내지 300mg/L 대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의 함량의 합계는 127 mg/L 내지 180 mg/L인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은 홍삼 유래의 주근, 중미, 세미가 주근:중미:세미 = 60~80:10~30:1~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과 물의 투입 비율은 중량비로 홍삼:물 = 1~30:80~120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의 크기는 0.5cm 내지 3cm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1회 내지 10회 수행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42873A 2018-04-12 2018-04-12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4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873A KR102043433B1 (ko) 2018-04-12 2018-04-12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873A KR102043433B1 (ko) 2018-04-12 2018-04-12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31A KR20190119431A (ko) 2019-10-22
KR102043433B1 true KR102043433B1 (ko) 2019-11-12

Family

ID=6842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873A KR102043433B1 (ko) 2018-04-12 2018-04-12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60A (ko) 2020-03-06 2021-09-15 정영복 진공 저온 순환 추출 및 농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0720A1 (en) * 2020-08-28 2022-03-03 Red Kangaroo Beverages Pty Ltd Caffeinated botanical infusion bever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74B1 (ko) 2008-11-04 2011-07-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b1이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68319B1 (ko) * 2011-07-21 2014-02-28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아임계 수를 이용한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27417B1 (ko) * 2012-06-29 2018-12-10 넥스트바이오(주)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인삼 추출물로부터 기능성 사포닌을 변환 생산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성물
KR101447486B1 (ko) * 2013-03-14 2014-10-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60A (ko) 2020-03-06 2021-09-15 정영복 진공 저온 순환 추출 및 농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31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4828B1 (en) A method of preparing a panax spp. plant extract with increased content ratio of ginsenoside rg3, rg5, and rk1 produced by microwave irradiation
CN104719899B (zh) 人参降糖软糖及制备方法
CN101073370A (zh) 一种刺梨糖果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262306B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20110004603A (ko)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3433B1 (ko)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320738B1 (ko) 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4139132A (ja) 抗活性酸素作用組成物並びに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活性酸素剤、食品、化粧料及び医薬品
CN101104015B (zh) 橄榄软胶囊的原料配方及其制备工艺
JP2013184974A (ja) メイラード反応抑制剤及びその利用
KR20160134375A (ko) 인삼 씨 오일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
JP3208531B2 (ja) ぶどう及び人参を褐色化した組成物を含む化粧品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80099052A (ko) 이노토디올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80099054A (ko) 리그닌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5304369A (ja) 高麗人参及び霊芝又はこれらの抽出物を含有する健康補助食品
KR101457956B1 (ko) 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색소 추출 및 그 조성물
JP2004323439A (ja) 血液粘性改善用組成物
JP6964290B2 (ja) Atp産生促進用剤
KR20210006192A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256222B1 (ko) 방사선을 이용한 레드비트 추출물의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JP5608877B2 (ja) むくみ予防剤及び経口組成物
KR20210016776A (ko) 녹용 농축물의 제조 방법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