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68B1 -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68B1
KR102042968B1 KR1020180113751A KR20180113751A KR102042968B1 KR 102042968 B1 KR102042968 B1 KR 102042968B1 KR 1020180113751 A KR1020180113751 A KR 1020180113751A KR 20180113751 A KR20180113751 A KR 20180113751A KR 102042968 B1 KR102042968 B1 KR 10204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finger
finger movemen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569A (ko
Inventor
박병걸
유경환
최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펙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to KR102018011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68B1/ko
Priority to PCT/KR2018/011270 priority patent/WO2019059723A1/ko
Priority to JP2020516848A priority patent/JP6959441B2/ja
Priority to US16/189,715 priority patent/US11318063B2/en
Publication of KR2019003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61H2205/067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손가락을 펴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와이어가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손가락 움직임을 제어하여,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가 정상인과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를 견인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각각 권취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커버의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으로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FINGER MOVEMENT}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SCI(Spinal Cord Injury, 척수 신경 손상), 뇌졸중, 파킨슨병, 루게릭,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등은 환자의 손을 마비시켜, 환자가 손가락을 움직여 컵을 잡고 물을 마시는 동작, 칫솔질 및 문고리를 돌려 문을 여는 동작 등 일상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을 구속한다.
특히,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의 경우, 병세에 따라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며, 일 예로, 손이 마비되고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이 동반된다. 이러한 손의 마비와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을 계속적으로 방치하면, 근육이나 관절이 점차 굳어져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게 되고 신경이 회복되어도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노인이나 근력이 약한 재활 환자들은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관절 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운동이 필요함에도 일반적인 운동 기구로는 운동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손가락 움직임이 정상적이지 않은 환자들이 손가락 움직임을 정상인과 같이 수행하려면, 환자들의 손가락 움직임을 보조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가락을 펴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와이어가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손가락 움직임을 제어하여,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가 정상인과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를 견인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각각 권취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커버의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으로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커버의 내측 부분에서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에는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제1지점과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 각각에는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상기 착용부에서 상기 제1커버로 연장되는 제1보조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 스트랩은 상기 착용부와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커버에 수용되는 손가락의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과 상기 제1커버의 내측 부분의 각각에는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커버의 복수 개의 슬릿의 각각은 상기 제1커버에 수용되는 손가락의 마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버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를 견인하는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와이어와 상기 제4와이어 각각은 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2커버의 제1지점과 상기 제2커버의 제2지점으로 상기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커버의 제2지점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3커버와, 상기 제3커버에 배치되는 제1지지 스트랩과 제2지지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스트랩과 상기 제2지지 스트랩은 제3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풀리와 상기 모터는 상기 착용부에서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제3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를 견인하는 제1커버 와이어; 상기 제1커버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권취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와이어는 일측 단부가 상기 풀리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감긴 후,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타측 단부가 상기 풀리에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가 풀리에서 인출된 후, 커버를 따라 연장되고, 커버의 말단의 인근 부분에서 커버의 둘레를 감싸며, 다시 커버를 따라 연장되어 풀리에 권취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커버 당 와이어 2줄이 배치되며 와이어가 커버의 말단에서 둘레를 감싸기 때문에,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커버의 외측 말단이 견인되는 동시에 커버의 내측 구부러짐(Bending, 밴딩)이 유도되어, 높은 견인력으로 손가락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터의 회전축이 평면 상에서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과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과 한 점에서 만나기 때문에,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당김과 풀림이 연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일어나 정밀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보조 스트랩과 제2보조 스트랩이 착용부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제1보조 스트랩과 제2보조 스트랩의 말단이 착용부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검지와 중지를 펴주는 스트레치 텐션(Stretch tention)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손가락에 강직/구축 등이 있는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하여, 손가락을 충분히 펴준 상태에서 중립 자세(Neutral Posture)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제1지지 스트랩과 제2지지 스트랩이 제3커버(엄지 손가락)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엄지 손가락의 구부러짐을 인체 공학적으로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의 착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의 착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서 제1보조 스트랩과 제2보조 스트랩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의 C 그립과 핀치 그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 모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터의 회전축이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한 점에서 만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와 리모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강도 초음파 출력장치(10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의 착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의 착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서 제1보조 스트랩과 제2보조 스트랩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의 C 그립과 핀치 그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에 모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모터의 회전축이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제3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한 점에서 만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와 리모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변형례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착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측을 "내측"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착용자의 손등이 위치한 곳과 대응되는 측을 "외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는 손가락에 장애가 있거나 손가락의 힘이 약해서 물건을 쥐거나 잡는 것이 잘 되지 않는 환자나 노인에게 착용되어, 손가락 움직임을 위한 보조력을 제공하는 글러브 타입(Glove type)의 보조 로봇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는 전동에 의한 와이어의 견인력에 의해 착용자의 검지와 중지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고, 제1지지 스트랩(500)과 제2지지 스트랩(600)의 강성에 의해 착용자의 엄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 스트랩(500)과 제2지지 스트랩(600)을 변형시켜, 엄지의 구부러진 형태 및 구부러진 정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는 착용자의 손의 일부분이 개방된 오픈 글러브(Open Glove)일 수 있다. 나아가 착용자는 이너 글러브(2000, Inner Glove, 속장갑)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를 덧대어 착용할 수 있다. 착용자의 손을 보호하고,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의 미끄러짐(Slip)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는 미끄러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착용부(1), 제1커버(10), 제2커버(20) 및 제3커버(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논-슬립(Non-slip)의 가죽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는 착용부(1), 제1커버(10), 제2커버(20), 제3커버(30), 제1와이어(100), 제2와이어(200), 제3와이어(300), 제4와이어(400), 제1보조 스트랩(500), 제2보조 스트랩(600), 제1지지 스트랩(700), 제2지지 스트랩(800) 및 구동 모듈(900)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1)는 착용자의 손바닥과 손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착용부(1)는 외측면에 벨크로(Velcro)가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벨크로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밴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0)는 착용부(1)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커버(10)에는 착용자의 중지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커버(10)는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에 의해 견인되어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커버(10)는 착용자의 중지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에는 제1커버(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지점(11)과 제2지점(1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커버(10)의 제1지점(11)에는 리벳이 배치되어 홀(1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커버(10)의 제2지점(12)에도 리벳이 배치되어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에는 제1커버(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13)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에는 제1커버(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14)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13)과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14)의 각각은 제1커버(10)에 수용되는 손가락(중지)의 마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13)과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14)에 의해, 실제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구부러짐을 구현할 수 있다.
제2커버(20)는 착용부(1)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커버(20)에는 착용자의 검지가 수용될 수 있다. 제2커버(20)는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에 의해 견인되어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커버(20)는 착용자의 검지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에는 제2커버(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지점(21)과 제2지점(2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커버(20)의 제1지점(21)에는 리벳이 배치되어 홀(2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커버(20)의 제2지점(22)에도 리벳이 배치되어 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에는 제2커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23)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에는 제2커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24)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23)과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24)의 각각은 제2커버(20)에 수용되는 손가락(검지)의 마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23)과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릿(24)에 의해, 실제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구부러짐을 구현할 수 있다.
제3커버(30)는 착용부(1)에서 제3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커버(30)에는 착용자의 엄지가 수용될 수 있다. 제3커버(30)의 내부에는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커버(30)는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의 강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3커버(30)의 형태는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 스트팹(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의 재질은 변형이 가능한 강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은 플랙시블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커버(30)의 형태를 변형시켜, 엄지의 구부러진 형태 및 구부러진 정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10)를 견인할 수 있다.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각각 구동 모듈(900)의 풀리(930)에 권취될 수 있다.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10)의 제1지점(11)에서 제1커버(10)의 제2지점(12)으로 제1커버(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10)의 제2지점(12)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제1커버(1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에서 제1커버(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10)의 제1지점(11)에 배치되는 홀(11-1)과 제1커버(10)의 제2지점(12)에 배치되는 홀(1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1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연결되어 한 가닥의 와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일체로 형성). 또한, 이 경우,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에는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를 당기는 경우, 제1커버(10)는 중지가 구부러지도록 견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의 배치 형태에 의해, 제1커버(10)의 외측 말단이 견인되는 동시에 제1커버(10)의 내측 구부러짐이 유도되어, 높은 견인력으로 손가락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가 연결되어 한가닥의 와이어를 형성하는 경우, 제1와이어(100) 및 제2와이어(200)는 "제1커버 와이어"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제1커버 와이어(100, 200)는 일측 단부가 풀리(930)에 권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커버 와이어(100, 200)는 일측 단부가 풀리(930)에서 인출되어 제1커버(10)의 제1지점(11)에서 제1커버(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제1커버(10)의 제2지점(12)에서 제1커버(1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감긴 후, 제1커버(10)의 제2지점(12)으로 재귀하여 제1커버(10)의 제1지점(11)까지 제1커버(10)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타측 단부가 풀리(930)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 와이어(100, 200)가 제1커버(1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감기는 경우, 제1커버 와이어(100, 200)는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에서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을 경유한 후 제1커버(10)의 내측 부분으로 재귀할 수 있다.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커버(20)를 견인할 수 있다.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각각 구동 모듈(900)의 풀리(930)에 권취될 수 있다.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커버(20)의 제1지점(21)에서 제2커버(20)의 제2지점(22)으로 제2커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커버(20)의 제2지점(22)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제2커버(2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에서 제2커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커버(20)의 제1지점(21)에 배치되는 홀(21-1)과 제2커버(20)의 제2지점(22)에 배치되는 홀(2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커버(2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연결되어 한 가닥의 와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에는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를 당기는 경우, 제3커버(30)는 검지가 구부러지도록 견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의 배치 형태에 의해, 제2커버(20)의 외측 말단이 견인되는 동시에 제2커버(20)의 내측 구부러짐이 유도되어, 높은 견인력으로 손가락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가 연결되어 한가닥의 와이어를 형성하는 경우,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제21커버 와이어"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제2커버 와이어(300, 400)는 일측 단부가 풀리(930)에 권취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커버 와이어(300, 400)는 일측 단부가 풀리(930)에서 인출되어 제2커버(20)의 제1지점(21)에서 제2커버(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제2커버(20)의 제2지점(22)에서 제2커버(2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감긴 후, 제2커버(20)의 제2지점(22)으로 재귀하여 제2커버(20)의 제2지점(21)까지 제2커버(20)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타측 단부가 풀리(930)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 와이어(300, 400)가 제2커버(2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감기는 경우, 제2커버 와이어(300, 400)는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에서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을 경유한 후 제2커버(20)의 내측 부분으로 재귀할 수 있다.
제1보조 스트랩(500)은 착용부(1)에서 제1커버(10)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보조 스트랩(500)은 제1커버(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 스트랩(500)은 제1커버(10)의 외측 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 스트랩(500)에서 제1커버(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착용부(1)의 본체(1-1)의 벨크로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보조 스트랩(500)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보조 스트랩(500)의 재질은 네오프렌(Neopre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조 스트랩(600)은 착용부(1)에서 제2커버(20)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보조 스트랩(600)은 제2커버(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보조 스트랩(600)은 제2커버(20)의 외측 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 스트랩(600)에서 제2커버(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착용부(1)의 본체(1-1)의 벨크로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보조 스트랩(600)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보조 스트랩(600)의 재질은 네오프렌(Neopre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제1보조 스트랩(500)과 제2보조 스트랩(600)은 제1커버(10)와 제2커버(20)를 펼쳐, 착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스트레치 텐션(Stretch tension)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보조 스트랩(500)과 제2보조 스트랩(600)이 착용부(1)의 본체(1-1)의 벨크로에 부착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착용자의 중지와 검지의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보조 스트랩(500)과 제2보조 스트랩(600)은 착용자의 손가락의 강직 정도에 따라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하여, 설계조건 상의 중립 상태(Neutral Posture)를 구현할 수 있다.
제1지지 스트랩(700) 및 제2지지 스트랩(800)은 제3커버(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 스트랩(700) 및 제2지지 스트랩(800)은 제3커버(30)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 스트랩(700) 및 제2지지 스트랩(800)은 제3커버(3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은 평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의 재질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렙(800)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지지 스트랩(700)과 제2지지 스트랩(800)은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확보하여 착용자의 엄지를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가하면 형태가 변형되어 정상인의 엄지의 구부러진 형태 및 구부러진 정도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커버(30)는 도 5의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 그립 형태로 구부러져 파워 그립을 구현할 수도 있고, 도 5의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 그립 형태로 구부러져 작은 물건을 집기에 유리한 형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구동 모듈(900)은 제1와이어(100), 제2와이어(200),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를 당기거나 푸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듈일 수 있다. 구동 모듈(900)은 브라켓(910), 모터(920) 및 풀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910)은 착용부(1)의 본체(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910)은 제2커버(20)와 제3커버(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910)에는 모터(920)와 풀리(9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920)는 풀리(9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도 6의 (1)은 모터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진이고, 도 6의 (2)는 모터가 장착되었을 때의 사진이다).
풀리(930)는 모터(9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풀리(930)에는 제1와이어(100), 제2와이어(200),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가 권취될 수 있다. 제1와이어(100), 제2와이어(200),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는 풀리(930)의 회전에 의해, 풀리(930)에서 권취(감김)되거나 권출(풀림)되어 당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모터(920)의 회전축은 제1커버(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임의의 평면(일 예로,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했을 때, 예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920)의 회전축과 제1커버(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이 이루는 각도는 0도(degree) 내지 80도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터(920)의 회전축은 제2커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임의의 평면(일 예로,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했을 때, 예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920)의 회전축과 제2커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이 이루는 각도는 0도(degree) 내지 80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에서, 모터(920)의 회전축은 제1방향(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제2방향(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Projection)했을 때,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대략적으로(실질적으로) 한 점에서 만날 수도 있다.
즉, 모터(920)의 회전축은 대략적으로 중지의 연장선과 검지의 연장선이 서로 만나는 점에서 중지의 연장선과 검지의 연장선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100), 제2와이어(200),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와이어(100), 제2와이어(200), 제3와이어(300) 및 제4와이어(400)의 당김과 풀림이 연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일어나 정밀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1000)는 리모컨(1010)이 추가될 수 있다. 리모컨(1010)에는 전원 버튼(Power button)과 잡기 버튼(Grib button)과 풀기 버튼(Release button)이 마련될 수 있다. 착용자는 전원 버튼을 눌러 리모컨(1010)을 활성화시키고, 잡기 버튼을 눌러 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920)를 정회전되어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풀기 버튼을 눌러 릴리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920)가 역회전되어 와이어가 풀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컨(1010)은 밴드에 의해 착용자의 팔 부분에 웨어러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1010)은 자성력에 의해 밴드에 탈착되고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10)은 구동 부재(92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리모컨(1010)의 신호는 무선 통신에 의해 구동 부재(920)로 전달될 수도 있고, 도전 라인에 의해 구동 부재(92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변형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변형례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 형태의 기술적 사상이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변형례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와 비교하여, 골무 형태의 제1캡(1001)과 제2캡(1002)이 추가된 것과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제1브라켓(1003)과 제2브라켓(1004)과 제3브라켓(1005)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커버(30-1, 엄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부분)에 별도로 제5와이어(미도시)와 제6와이어(미도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캡(1001)은 제1커버(10-1)의 단부(연장된 방향으로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캡(1002)은 제2커버(20-1)의 단부(연장된 방향으로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캡(1001) 및 제2캡(1002)은 제1커버(10-1)의 단부와 제2커버(20-1)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와이어(100-1)와 제2와이어(200-1)는 제1캡(1001)에서 제1커버(10-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와이어(100-1)와 제2와이어(200-1)는 제1커버(10-1)의 측부(대략적으로 제1커버의 외측 부분과 제1커버의 내측 부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서 이격되어, 제1커버(10-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커버(10-1)의 제1측부에는 제1와이어(100-1)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1003)이 마련될 수 있고, 제1커버(10-1)의 제2측부에는 제2와이어(200-1)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1004)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와이어(100-1)와 제2와이어(200-1)는 제1캡(1001)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100-1)와 제2와이어(200-1)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동 부재(미도시)에 권취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와이어(300-1)와 제4와이어(400-1)는 제2캡(1002)에서 제2커버(20-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와이어(300-1)와 제4와이어(400-1)는 제2커버(20-1)의 측부(대략적으로 제2커버의 외측 부분과 제2커버의 내측 부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서 이격되어, 제2커버(20-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커버(20-1)의 제1측부에는 제3와이어(300-1)를 지지하는 제3브라켓(1005)이 마련될 수 있고, 제2커버(20-1)의 제2측부에는 제4와이어(400-1)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1004)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100-1)와 제4와이어(400-1)는 동일한 제2브라켓(1004)에 의해 모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3와이어(300-1)와 제4와이어(400-1)는 제2캡(1002)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와이어(300-1)와 제4와이어(400-1)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동 부재(미도시)에 권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변형례에서는 제3커버(30-1)에 제5와이어와 제6와이어가 마련되어, 제3커버(30-1)를 전동에 의한 제5 내지 제6와이어의 견인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5 내지 제6와이어는 제1 내지 제4와이어(100-1, 200-1, 300-1, 400-1)와 마찬가지로 구동 부재(미도시)에 권취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변형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변형례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 형태의 기술적 사상이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변형례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와 비교하여, 제1보조 스트랩(500-2)과 제2보조 스트랩(600-2)이 배열된 형태와 구동 부재(900-2)의 모터(920-2)의 회전축이 배열된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보조 스트랩(500-2)과 제2보조 스트랩(600-2)은 상호 교차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보조 스트랩(500-2)과 제2보조 스트랩(600-2) 각각은 제1커버(10-2)와 제2커버(20-2)에서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된 후, 착용부(1-2)의 벨크로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의 검지와 중지는 제1보조 스트랩(500-2)과 제2보조 스트랩(600-2)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부재(900-2)의 모터(920-2)의 회전축은 제1방향(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제2방향(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Projection)했을 때,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두 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부재(900-2)의 모터(920-2)의 회전축은 구동 부재(900-2)의 모터(920-2)의 회전축과 제1보조 스트랩(500-2)의 연장 방향으로의 중심축과 제2보조 스트랩(600-2)의 연장 방향으로의 중심축이 평면도 상에서 대략적으로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변형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변형례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 형태의 기술적 사상이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변형례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와 비교하여, 제1보조 스트랩(500-3) 및 제2보조 스트랩(600-3)의 재질과 배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보조 스트랩(500-3)의 재질은 탄성이 강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 스트랩(500-3)은 제1커버(10-3)의 외측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커버(10-3)의 외측 부분에는 제1보조 스트랩(500-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커버(10-3)에는 보조 커버가 배치되고, 바느질에 의한 보조 커버의 덧대기 작업에 의해, 제1보조 스트랩(500-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2보조 스트랩(600-3)의 재질은 탄성이 강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 스트랩(600-3)은 제2커버(20-3)의 외측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커버(20-3)의 외측 부분에는 제2보조 스트랩(600-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커버(20-3)에는 보조 커버가 배치되고, 바느질에 의한 보조 커버의 덧대기 작업에 의해, 제2보조 스트랩(600-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다르면, 본 발명의 제3변형례에서는 제1커버(10-3) 및 제2커버(20-3)는 제1보조 스트랩(500-3) 및 제2보조 스트랩(600-3)에 의해 펼쳐져(보조 스트랩의 복원력), 착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스트레치 텐션(Stretch tension)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변형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변형례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 형태의 기술적 사상이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변형례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와 비교하여, 제1보조 스트랩(500-4) 및 제2보조 스트랩(600-4)의 재질이 다르고, 제1보조 스트랩(500-4) 및 제2보조 스트랩(600-4)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트랩 구동 부재(미도시)가 추가되고, 제1보조 스트랩(500-4) 및 제2보조 스트랩(600-4)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1007), 제2가이드(1008), 제3가이드(1009) 및 제4가이드(1010)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보조 스트랩(500-4) 및 제2보조 스트랩(600-4)의 재질은 플랙시블한 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보조 스트랩(500-4) 및 제2보조 스트랩(600-4)은 합성 수지로 제작된 얇은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제1보조 스트랩(500-4)은 제1커버(10-4)의 단부(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제2보조 스트랩(600-4)은 제2커버(20-4)의 단부(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보조 스트랩(500-4) 및 제2보조 스트랩(600-4)은 별도로 마련된 스트랩 구동 부재(미도시, 전동)에 의해 당겨져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1커버(10-4)와 제2커버(20-4)가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변형례에서는 전동으로, 제1보조 착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스트레치 텐션(Stretch tension)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하여 설계조건 상의 중립 상태(Neutral Posture)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10-4)에는 제1가이드(1007) 및 제2가이드(1008)가 제1커버(10-4)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 스트랩(500-4)은 제1커버(10-4)의 말단에서 제1가이드(1007) 및 제2가이드(1008)를 통과하여 스트랩 구동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1007) 및 제2가이드(1008)는 마치 레일과 같이, 제1보조 스트랩(500-4)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커버(20-4)에는 제3가이드(1009) 및 제4가이드(1010)가 제2커버(20-4)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보조 스트랩(600-4)은 제2커버(20-4)의 말단에서 제3가이드(1009) 및 제4가이드(1010)를 통과하여 스트랩 구동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가이드(1009) 및 제4가이드(1010)는 마치 레일과 같이, 제2보조 스트랩(600-4)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를 견인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각각 권취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착용부에서 상기 제1커버로 연장되는 제1보조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커버의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으로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보조 스트랩은 상기 착용부와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커버에 수용되는 손가락의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커버의 내측 부분에서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에서 연결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에는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제1지점과 상기 제1커버의 제2지점 각각에는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외측 부분과 상기 제1커버의 내측 부분의 각각에는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커버의 복수 개의 슬릿의 각각은 상기 제1커버에 수용되는 손가락의 마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버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를 견인하는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와이어와 상기 제4와이어 각각은 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2커버의 제1지점과 상기 제2커버의 제2지점으로 상기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커버의 제2지점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는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3커버와, 상기 제3커버에 배치되는 제1지지 스트랩과 제2지지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스트랩과 상기 제2지지 스트랩은 제3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과 임의의 평면 상에 투영했을 때, 예각을 이루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10.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를 견인하는 제1커버 와이어;
    상기 제1커버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권취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착용부에서 상기 제1커버로 연장되는 제1보조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와이어는 일측 단부가 상기 풀리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상기 제1커버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감긴 후, 상기 제1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타측 단부가 상기 풀리에 권취되며,
    상기 제1보조 스트랩은 상기 착용부와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커버에 수용되는 손가락의 스트레치 텐션을 조절하는,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KR1020180113751A 2017-09-25 2018-09-21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KR10204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51A KR102042968B1 (ko) 2017-09-25 2018-09-21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PCT/KR2018/011270 WO2019059723A1 (ko) 2017-09-25 2018-09-21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JP2020516848A JP6959441B2 (ja) 2017-09-25 2018-09-21 指動き補助装置
US16/189,715 US11318063B2 (en) 2017-09-25 2018-11-13 Apparatus for assisting in finger 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17 2017-09-25
KR20170123417 2017-09-25
KR1020180113751A KR102042968B1 (ko) 2017-09-25 2018-09-21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84A Division KR20190127623A (ko) 2017-09-25 2019-10-30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569A KR20190035569A (ko) 2019-04-03
KR102042968B1 true KR102042968B1 (ko) 2019-11-11

Family

ID=6581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51A KR102042968B1 (ko) 2017-09-25 2018-09-21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18063B2 (ko)
JP (1) JP6959441B2 (ko)
KR (1) KR102042968B1 (ko)
WO (1) WO20190597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90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683B1 (ko) * 2018-08-09 2021-05-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체 움직임 보조장치
USD883499S1 (en) * 2018-09-07 2020-05-05 Neofect Co., Ltd. Smart glove for rehabilitation
USD888259S1 (en) * 2018-09-07 2020-06-23 Neofect Co., Ltd. Smart glove for rehabilitation
SE1851567A1 (en) * 2018-12-12 2020-06-13 Tendo Ab Control of an active orthotic device
US10682250B1 (en) * 2019-03-12 2020-06-16 United Arab Emirated University Robotic gripping assist
KR102227425B1 (ko) * 2019-05-22 2021-03-15 (주)대성마리프 관절재활 치료시스템
WO2021071195A1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펙트 재활 장갑
KR102331549B1 (ko) * 2019-10-07 2021-11-26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USD942023S1 (en) * 2019-10-21 2022-01-25 Neofect Co., Ltd.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JP2021115454A (ja) * 2020-01-24 2021-08-10 基子 大沢 歯磨き具
CN111513988B (zh) * 2020-05-08 2021-04-20 吉林大学 一种picc置管防深静脉血栓手套
USD966532S1 (en) * 2020-09-08 2022-10-11 Neofect Co., Ltd. Smart glove for rehabilitation
KR102591396B1 (ko) * 2021-03-23 2023-10-23 한국과학기술원 손가락 관절 운동 장치
USD980990S1 (en) * 2021-11-05 2023-03-14 Shenzhen Kunshengze Electronic Commerce Co., Ltd. Finger stretcher
KR102565280B1 (ko) * 2022-04-08 2023-08-08 양원용 자세고정용 장갑
KR102576770B1 (ko) * 2023-02-02 2023-09-08 장기용 공기 기둥을 포함하는 손목 보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319A (en) 1990-02-02 1993-02-02 Kramer James F Force feedback and textures simulating interface device
US5697103A (en) * 1993-01-11 1997-12-16 Personal Expression I, Inc. Therapeutic glove
AU2002951193A0 (en) * 2002-09-04 2002-09-19 Northern Sydney Area Health Service Movement faciliatation device
KR200328509Y1 (ko) 2002-12-26 2003-09-29 한도엠에스(주) 자동 손가락 운동기
US7361197B2 (en) 2005-04-01 2008-04-22 Rex Clayton Winfrey Prosthetic hand having a conformal, compliant grip and opposable, functional thumb
ES2652026T3 (es) 2006-09-01 2018-01-31 Bioservo Technologies Ab Guante de refuerzo
US10758394B2 (en) * 2006-09-19 2020-09-01 Myomo, Inc. Powered orthotic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5079458B2 (ja) * 2007-11-07 2012-11-21 アクティブリンク株式会社 動作支援装置
JP3146959U (ja) * 2008-09-08 2008-12-11 三上 泰弘 指筋力の伸縮バランス矯正による指機能・感覚改善装具
JP2010082342A (ja) * 2008-10-02 2010-04-15 Nippon Densan Corp 手指用補助アクチュエータ
WO2010080774A2 (en) * 2009-01-07 2010-07-15 Brooks Adam W Actuator for prosthetic finger and method
JP5472680B2 (ja) 2009-04-09 2014-04-16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装着式動作補助装置
WO2011117901A1 (en) * 2010-03-23 2011-09-29 Idrogenet S.R.L. A hand rehabilitation device
KR101263933B1 (ko) 2010-08-02 2013-05-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장갑형 입는 로봇
US8601614B2 (en) * 2011-01-05 2013-12-10 Clinton Scaff Strengthening glove
JP6000677B2 (ja) * 2012-06-15 2016-10-05 有限会社埼玉通商 洗髪用具
US9566173B2 (en) * 2012-08-02 2017-02-14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Motion control device based on winding string
WO2015095459A1 (en) * 2013-12-18 2015-06-2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Robotic finger exoskeleton
US10248200B2 (en) * 2014-03-02 2019-04-02 Drexel University Wearable devices, wearable robotic devices, gloves, and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nteracting with the same
KR101628311B1 (ko) * 2014-04-21 2016-06-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골격형 글로브
US20170042704A1 (en) * 2014-04-21 2017-02-16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xoskeleton-type glove
JP6372912B2 (ja) * 2014-04-28 2018-08-15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補助装置
US10905181B2 (en) 2014-06-19 2021-02-02 Robert Sydney Rabbeth, JR. Glove preventing hyper-extended or jammed fingers
KR101541082B1 (ko) * 2015-01-23 2015-08-03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793906B1 (ko) 2015-11-13 2017-11-07 대한민국 착용형 손 로봇
KR20170081329A (ko) 2016-01-04 2017-07-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수지 재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5496728B (zh) 2016-01-12 2018-08-31 上海交通大学 用于手部运动功能康复的软体机器人手套
US10888487B1 (en) * 2017-04-06 2021-01-12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rasp assist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7252호(2011.11.24.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6722호(2017.5.24. 공개)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90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1091A1 (en) 2019-03-28
KR20190035569A (ko) 2019-04-03
US11318063B2 (en) 2022-05-03
WO2019059723A1 (ko) 2019-03-28
JP6959441B2 (ja) 2021-11-02
JP2020534108A (ja)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8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WO2021217886A1 (zh) 一种基于绳索驱动的柔性手部功能康复装置
US4756527A (en) Gripping assembly for use with cable exercising equipment
US6553576B1 (en) Gripping glove
US20150190246A1 (en) Motion control device based on winding string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CN110731880B (zh) 一种柔性康复外骨骼手套
US20230320885A1 (en) Self-Donning Powered Orthotic Device
US20200129362A1 (en) Assistive glove for daily activities of stroke patient
GB2552358A (en) Rehabilitation device
KR101701936B1 (ko) 손목 재활기기
US20200345574A1 (en) Motion assisting apparatus
KR20190127623A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KR102207991B1 (ko) 시트형 근력 보조 슈트
KR20190044335A (ko) 자동 손동작 보조기구
KR102206484B1 (ko) 착용형 장갑 로봇
CN112545830A (zh) 一种柔性外骨骼手套
KR102249683B1 (ko) 신체 움직임 보조장치
US20050227814A1 (en) Exercise device
EP3834797B1 (en) Device for assisting body movement
CN211611495U (zh) 一种手部神经肌肉康复训练装置
KR102591160B1 (ko) 정밀 재활을 위한 손가락 관절 운동 장치
CN214597062U (zh) 一种康复治疗运动器械
CN213099143U (zh) 一种五指抓握康复训练机器人
CN220360528U (zh) 一种康复手套以及手功能康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