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36B1 - 손목 재활기기 - Google Patents

손목 재활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36B1
KR101701936B1 KR1020150142012A KR20150142012A KR101701936B1 KR 101701936 B1 KR101701936 B1 KR 101701936B1 KR 1020150142012 A KR1020150142012 A KR 1020150142012A KR 20150142012 A KR20150142012 A KR 20150142012A KR 101701936 B1 KR101701936 B1 KR 10170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wrist
user
palm res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정제용
김대희
서갑호
박용식
박성호
김태호
김다연
장성호
권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4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을 굽혀주는 글라이딩 동작과 함께 손바닥을 손목으로부터 당겨주는 견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여 스트레칭 및 재활 효과를 높이기 위한 손목 재활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트랩부와 상기 고정 스트랩부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이 거치되는 손바닥 거치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회전링크에 위치한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손바닥 거치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후면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손바닥 거치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바닥을 회동시키는 글라이딩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목 재활기기{wrist rehabilitation device}
본 발명은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을 굽혀주는 글라이딩 동작과 함께 손바닥을 손목으로부터 당겨주는 견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여 스트레칭 및 재활 효과를 높이기 위한 손목 재활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은 신체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근육 경직을 완화하거나 예방하고 재활에 도움이 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로 인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신체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스트레칭은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근육이 과다하게 경직된 사람에게도 효과적이다.
한편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근육이 과다하게 경직된 경우나 재활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트레칭이 꾸준히 자주 제공되어야 했으며, 스트레칭을 보조해주기 위한 한국등록특허 제10-1380778호 "상지 재활훈련장치"와 같은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트레칭을 옆에서 도와주고 보조해줄 사람이 항상 요구된다.
또한, 연령이나 신체 상태 등에 따라 손목이 접혀지는 정도가 달라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질 경우 오히려 인대가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스트레칭을 수행할 때 손목을 접어주는 글라이딩 동작과 손목을 당겨주는 견인 동작을 병행할 때 더 큰 효과가 있으나, 종래의 재활기기는 글라이딩 동작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0778호 "상지 재활훈련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손목을 접어주는 글라이딩 동작과 손목을 당겨주는 견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손목 재활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라이딩 동작 및 견인 동작을 항상 일정한 힘으로 반복 수행하기 위한 손목 재활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는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트랩부와 상기 고정 스트랩부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이 거치되는 손바닥 거치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회전링크에 위치한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손바닥 거치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후면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손바닥 거치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바닥을 회동시키는 글라이딩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후면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올려지는 높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 회전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링크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의 회전 중심이 손목의 회전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가 회동할 때 글라이딩 동작과 동시에 손바닥 거치부에 고정된 손바닥을 손목으로부터 당겨주기 위한 견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감싸 글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목 근육을 전기자극으로 이완시켜 주는 전기자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전면측 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회동가능한 손가락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손바닥 거치부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회전력을 손바닥 거치부에 가하기 위한 부하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하관리부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하여 손바닥 거치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와 제2 동력전달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의 회전저항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탄성체가 수축하여 탄성체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제2 동력전달부재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에 의하면, 손목을 접어주는 글라이딩 동작과 손목을 당겨주는 견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에 의하면, 손목의 인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글라이딩 동작 및 견인 동작을 항상 일정한 힘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또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의 부하관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의 견인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의 부하관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의 견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를 도시한 것이며, 프레임(1)의 상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2)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1)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트랩부(3)와 상기 고정 스트랩부(3)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이 거치되는 손바닥 거치부(5)와 상기 프레임(1)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회전링크(7)에 위치한 회전축(26)을 회전시켜 회전축(26)에 결합된 상기 손바닥 거치부(5)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 거치부(5)의 후면측에 위치한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손바닥 거치부(5)에 의해 사용자의 손바닥을 회동시키는 글라이딩 동작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1-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사용자의 팔을 고정시킨 후 손목이 펼쳐진 제1 동작과 도 1의 (1-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바닥을 회동시켜 손목이 굽혀진 제2 동작으로 구성된 스트레칭(글라이딩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제1 동작과 제2 동작이 순차적으로 복수 횟수 반복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동작은 구동부(6)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5)가 회동하는 형태로 자동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손바닥 거치부(5)의 후면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올려지는 높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축(26)에 연결되는 제2 회전링크(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링크(8)는 사용자의 손목이 접혀지는 손목의 회전 중심을 고려한 높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회전링크(8)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5)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26)이 사용자의 손목이 접혀지는 손목의 회전 중심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목이 굽혀진 제2 동작을 수행할 때 회전 중심이 일치하여 이질감없이 스트래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감싸 글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목 근육을 전기자극으로 이완시켜 주는 전기자극부(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자극부(9)는 내측에 복수 개의 전극(31)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31)은 접촉된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손목부위의 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근육을 이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기자극에 의해 근육이 이완될 경우, 손목 근육이 경직되어 있을 때보다 스트레칭에 의한 재활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상기 손바닥 거치부(5)의 전면측 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회동가능한 손가락 거치부(10)를 더 포함하여, 손가락부분도 펴거나 굽히는 형태로 스트레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2), 손바닥 거치부(5), 손가락 거치부(10)는 각각 사용자의 팔, 손바닥, 손가락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스트랩(4)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의 부하관리부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구동부(도 2의 6)는 손바닥 거치부(도 2의 5)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회전력을 손바닥 거치부(도 2의 5)에 가하기 위한 부하관리부(1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하관리부(11)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21)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21)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회전축(도 1의 26)에 전달하여 손바닥 거치부(도 2의 5)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 동력전달부재(22)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21)와 제2 동력전달부재(2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일면에 형성된 홈(24)에 탄성체(23)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22)의 일면에는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5)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홈(24)에 삽입되어 홈(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홈(24)에 삽입된 탄성체(23)가 홈(24)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는 제2 동력전달부재(22)의 돌기부(25)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동력전달부재(21)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시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홈에 삽입된 탄성체(23)는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회전력을 제2 동력전달부재(22)의 돌기부(25)로 전달하여 제2 동력전달부재(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력이 탄성체(23)의 탄성력보다 약할 때에는 탄성체(23)가 수축되지 않아,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회전력이 그대로 제1 동력전달부재(21)에 전달되지만, 제1 동력전달부재(21)의 회전력이 탄성체(23)의 탄성력보다 강할 때는 탄성체(23)가 수축하여 탄성체(23)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제2 동력전달부재(22)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22)의 회전저항이 상기 탄성체(23)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에도 탄성체(23)가 수축하여 탄성체(23)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제2 동력전달부재(22)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21)와 사용자의 손바닥이 고정된 손바닥 거치부(도 2의 5)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 동력전달부재(22)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탄성체(23)의 탄성력만 작용할 수 있는 것이며, 스트레칭 동작시 탄성력 이상의 힘이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져 인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재활기기의 글라이딩 동작만 수행되는 실시예(4-I)와 글라이딩 동작과 견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실시예(4-II)를 도시한 것이다.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링크(8)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5)의 회전 중심(회전축, 26)이 사용자의 손바닥 회전중심(26C)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손바닥 거치부(5)의 회전 중심(회전축, 26)과 손목의 회전 중심(26C)이 일치함에 따라, 손바닥 거치부(5)를 회동시켰을 때 손목을 접어주는 글라이딩 동작만 수행된다.
반면, (4-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링크(8)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5)의 회전 중심(회전축, 26)이 손목의 회전 중심(26C)보다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5)가 회동할 때 글라이딩 동작과 동시에 손바닥 거치부에 고정된 손바닥을 손목으로부터 당겨주기 위한 견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바닥 또는 손바닥 거치부(5)의 상면으로부터 손목의 회전중심(26C)까지의 높이(1H)보다 더 높은 높이(2H)를 가지는 회전축(26)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5)의 회전반경은 1R과 같이 더 넓어짐에 따라, 손바닥 거치부(5)가 회동하여 글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때 1L과 같이 손목으로부터 손바닥이 전면으로 당겨지는 견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글라이딩 동작과 동시에 견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프레임
2 : 거치 플레이트
3 : 고정 스트랩부
4 : 스트랩
5 : 손바닥 거치부
6 : 구동부
7 : 제1 회전링크
8 : 제2 회전링크
9 : 전기자극부
10 : 손가락 거치부
11 : 부하관리부
21 : 제1 동력전달부재
22 : 제2 동력전달부재
23 : 탄성체
24 : 홈
25 : 돌기부
26 : 회전축
31 : 전극

Claims (6)

  1.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트랩부와;
    상기 고정 스트랩부의 전면측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이 거치되는 손바닥 거치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회전링크에 위치한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손바닥 거치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후면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손바닥 거치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바닥을 회동시키는 글라이딩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후면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올려지는 높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 회전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링크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의 회전 중심이 손목의 회전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손바닥 거치부가 회동할 때 글라이딩 동작과 동시에 손바닥 거치부에 고정된 손바닥을 손목으로부터 당겨주기 위한 견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재활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감싸 글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목 근육을 전기자극으로 이완시켜 주는 전기자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재활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거치부의 전면측 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회동가능한 손가락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재활기기.
  5. 삭제
  6. 삭제
KR1020150142012A 2015-10-12 2015-10-12 손목 재활기기 KR10170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12A KR101701936B1 (ko) 2015-10-12 2015-10-12 손목 재활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12A KR101701936B1 (ko) 2015-10-12 2015-10-12 손목 재활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936B1 true KR101701936B1 (ko) 2017-02-02

Family

ID=5815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12A KR101701936B1 (ko) 2015-10-12 2015-10-12 손목 재활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84A1 (ko) * 2017-06-13 2018-12-20 김영기 상지 재활장치
CN109172278A (zh) * 2018-09-26 2019-01-1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多维度手部康复训练机器人
KR102131065B1 (ko) * 2020-04-17 2020-07-08 박형준 손 재활기
KR20200127677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네오펙트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재활 훈련 장치
KR20210049525A (ko) 2019-10-25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장치
KR20210107953A (ko) * 2020-02-24 2021-09-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던지기 동작을 보조하는 상지 보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868A (ja) * 1984-08-21 1986-03-15 山陽電子工業株式会社 電動関節運動装置
KR101380778B1 (ko) 2013-11-06 2014-04-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재활훈련장치
KR20150028536A (ko) * 2013-09-06 2015-03-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상지 재활 훈련장치
KR20150142952A (ko) * 2014-06-12 2015-12-23 황보숙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868A (ja) * 1984-08-21 1986-03-15 山陽電子工業株式会社 電動関節運動装置
KR20150028536A (ko) * 2013-09-06 2015-03-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상지 재활 훈련장치
KR101380778B1 (ko) 2013-11-06 2014-04-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재활훈련장치
KR20150142952A (ko) * 2014-06-12 2015-12-23 황보숙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84A1 (ko) * 2017-06-13 2018-12-20 김영기 상지 재활장치
CN109172278A (zh) * 2018-09-26 2019-01-1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多维度手部康复训练机器人
KR20200127677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네오펙트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재활 훈련 장치
KR102281981B1 (ko) * 2019-05-03 2021-07-27 주식회사 네오펙트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재활 훈련 장치
KR20210049525A (ko) 2019-10-25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장치
KR20210107953A (ko) * 2020-02-24 2021-09-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던지기 동작을 보조하는 상지 보조 시스템
KR102327103B1 (ko) 2020-02-24 2021-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던지기 동작을 보조하는 상지 보조 시스템
KR20210149653A (ko) * 2020-02-24 2021-1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던지기 동작을 보조하는 상지 보조 시스템
KR102348364B1 (ko) 2020-02-24 2022-0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던지기 동작을 보조하는 상지 보조 시스템
KR102131065B1 (ko) * 2020-04-17 2020-07-08 박형준 손 재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936B1 (ko) 손목 재활기기
KR102042968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KR102602761B1 (ko) 신체 마사지 장치
US8157712B1 (en) Resistance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apparatus
CN110731880B (zh) 一种柔性康复外骨骼手套
EP3200743A1 (en) A novel wearable vibration device
US11020310B2 (en) Body massaging device
US20080119764A1 (en) Muscular relief apparatus
US20150265486A1 (en) Instrument for the massage and mobilization of the soft tissue of the human body
KR102338936B1 (ko) 신경계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용 수부 재활장치
KR101991435B1 (ko) 관절운동치료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재활치료기기
US20200069936A1 (en) Physical therapy device for pets
KR101897716B1 (ko) 손목 재활치료 프로토콜 및 이를 위한 재활기기
WO2005055910A3 (en) Musc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11083521A (ja) 美顔マッサージ器
CN111132645B (zh) 手指动作辅助装置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KR20210130336A (ko) 손목 운동용 재활기구
KR20180016690A (ko) 안짱 다리 교정볼 및 안짱 다리 교정 볼-밴드 세트
KR101655115B1 (ko) 복합 실내 운동기구
CN215136607U (zh) 一种骨科用手部护理锻炼装置
US20220133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manipulative myofascial therapy
KR101359747B1 (ko) 수부 자동 운동기구
CN108158806A (zh) 一种简易便携的肾俞穴自我按摩装置
KR200400094Y1 (ko) 어깨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