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693B1 -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93B1
KR102042693B1 KR1020170164116A KR20170164116A KR102042693B1 KR 102042693 B1 KR102042693 B1 KR 102042693B1 KR 1020170164116 A KR1020170164116 A KR 1020170164116A KR 20170164116 A KR20170164116 A KR 20170164116A KR 102042693 B1 KR102042693 B1 KR 10204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conveyor
rainwater
p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849A (ko
Inventor
송기석
임기성
박재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스태커에 설치되고 승하강되는 승강부를 이용하여 지상 벨트 컨베이어부에 고여 있는 빗물을 배수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고, 빗물과 수송물이 혼합되어 발생하는 낙탄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는 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Stacker), ⅱ) 스태커와 연결되는 벨트부, ⅲ) 스태커에 힌지축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여, 벨트부를 상승시키는 승강부, ⅳ) 벨트부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힌지축을 매개로 제1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AIN OF BELT CONVEYOR}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원료는 지상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라인을 통하여 운반되고, 운반된 수송물을 야적장에 야적하고자 하는 경우, 스태커(Stacker)를 이용하여 수송물의 야적 작업을 수행한다.
스태커는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연장된 레일 위로 주행하는 주행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원료가 유입되는 트리퍼(Tripper)부, 트리퍼부로부터 원료를 받아 야적장에 배출하는 붐을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로 수송된 원료는 경사진 트리퍼부를 따라 이동되어 붐 상의 벨트로 옮겨지고 붐 선단을 통해 낙하되어 야적장에 적재된다.
한편, 지상 벨트 컨베이어는 우천시 상부에 빗물이 실리게 되는데 빗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빗물과 수송물이 혼합되어 낙탄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현상이 발생되어 설비에 각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종래에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이 자연 증발 되도록 장시간 벨트 컨베이어의 공회전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작업 능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낙탄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트러블이 발생될 경우, 작업자가 추가적인 조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설비의 가동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태커에 설치되고 승하강되는 승강부를 이용하여 지상 벨트 컨베이어부에 고여 있는 빗물을 배수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고, 빗물과 수송물이 혼합되어 발생하는 낙탄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는 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Stacker), ⅱ) 스태커와 연결되는 벨트부, ⅲ) 스태커에 힌지축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여, 벨트부를 상승시키는 승강부, ⅳ) 벨트부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힌지축을 매개로 제1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승강부의 일측과 맞닿는 경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는,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제1 프레임에 연결되고, 제1 프레임의 상승시 벨트부를 받쳐 승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는, 스태커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한 쌍의 베이스에 형성되고 힌지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복귀력을 인가하는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제1 프레임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설치되어 경사판과 맞닿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롤러가 경사판을 따라 이동시 힌지축을 매개로 하강하고, 웨이트와 회전체는 상승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는 경사판에 설치되는 센싱바가 근접 감지되면 스태커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벨트부의 선단에 위치하고 벨트부의 빗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는, 벨트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벨트부 승강시 벨트부 표면에 밀착되어 벨트부를 따라 흐르는 빗물을 차단하여 벨트부 측부로 배출 할 수 있다. 배수부는, 벨트부 표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밀착통을 포함하고, 밀착통은 전면에 벨트부의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유입된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가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어 벨트 컨베이어부에 고여 있는 빗물을 모아 배수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벨트 컨베이어부에 잔여 빗물에 의한 벨트의 사행 현상 및 설비에 각종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부의 공회전 빗물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거 작업에 따른 시간을 줄여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야적장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배수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의 배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 장치가 구비된 야적장을 나타낸다. 도 1의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는 승강부(10), 구동부(20), 배수부(30), 벨트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퍼부(T)는 스태커(S)에 설치될 수 있다. 스태커(S)는 약 야적장 길이 800m 구간을 레일(R)을 따라 주행하며 원료 수송물의 야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태커(S)는 일측에 원료 수송물을 벨트부(40)로 이송시키는 트리퍼부(T)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40)는 레일(R)의 양단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는 스태커(S)에 설치되는 승강부(10)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야적장에 연장된 벨트부(40)의 측면에 위치하는 구동부(20) 및 배수부(30)를 통해 벨트부(40)에 실린 빗물 또는 살수 스프레이 액체를 벨트부(4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우천시 지상 벨트부의 상면에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면, 스태커의 트리퍼에 빗물과 원료 수송물이 혼합되어 낙탄이 발생되었다. 낙탄이 지상 벨트부를 따라 테일풀리(P)까지 이동되면 테일풀리(P)와 지상 벨트부의 사이에 끼임 현상을 유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통해 승강부(10), 구동부(20) 그리고 배수부(3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의 승강부(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10)는 고정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는 트리퍼부(T)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1)는 한 쌍의 베이스(13), 관통홀(14), 그리고 힌지축(1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3)는 트리퍼부(T)의 상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3)는 트리퍼부(T)가 뻗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3)는 트리퍼부(T)의 상부에 볼팅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3)는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14)은 한 쌍의 베이스(13)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14)은 한 쌍의 베이스(13)를 관통하는 원형의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14)은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힌지축(15)의 양측 단부는 관통홀(1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승강부(10)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6), 회전체(17) 그리고 제2 프레임(19)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16)은 트리퍼부(T)와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16)의 일측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16)은 연결홀(18)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홀(18)은 한 쌍의 제1 프레임(16)을 관통하는 원형의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홀(18)은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연결홀(18)에는 힌지축(15)의 양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16)의 타측은 제2 프레임(19)과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16)는 일측 단부에 웨이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161)는 일정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웨이트(161)는 제1 프레임(16)에 복귀력을 인가할 수 있다. 웨이트(161)가 설치된 제1 프레임(16)의 선단쪽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쳐져 있으므로, 제2 프레임(19)은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9)은 제1 프레임(16)의 반대쪽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9)은 제1 프레임(16)의 외측을 향해 회전체(17)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9)의 일측 단부는 제1 프레임(16)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롤러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트리퍼부(T)에 설치되는 승강부(10)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벨트부(40)의 후측면에 위치하는 구동부(20) 및 배수부(30) 쪽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부(40)는 벨트프레임(41) 및 캐리어롤러(43)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프레임(41)은 한 쌍으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을 수 있다. 벨트프레임(41)은 구동부(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캐리어롤러(43)는 벨트부(40)의 하부에서 벨트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캐리어롤러(43)의 양측 단부는 벨트프레임(41)과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롤러(43)는 기울기를 가지는 한 쌍의 측면롤러와 양 측면롤러를 연결하는 하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40)는 케리어롤러(43)의 형상에 따라 그 단부(42)가 하부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20)는 한 쌍으로, 벨트부(40)의 외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경사판(21) 및 고정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판(21)은 승강부(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프레임(23)은 경사판(21)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3)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배수부(30)는 지지축(34), 베어링(35) 그리고 브라켓(36)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30)는 벨트부(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36)은 한 쌍으로 벨트프레임(41)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축(34)은 양측 단부에 베어링(35)과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35)은 브라켓(36)과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30)는 지지축(34)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베어링(35) 및 베어링(35)과 연결된 브라켓(36)을 통해 벨트프레임(41)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부(10)는 웨이트(161)가 설치된 선단쪽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쳐져 제2 프레임(19)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롤러부(191)가 경사판(21)과 맞닿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승강부(10)가 이동하여 롤러부(191)와 경사판(21)이 맞닿은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부(191)가 경사판(21)과 맞닿은 상태에서 승강부(10)가 더 이동하면, 롤러부(191)는 경사판(2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부(191)가 경사판(21)을 따라 하강하면, 제2 프레임(19)은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하강하고, 제1 프레임(16)은 힌지축(15)을 매개로 상승하게 된다. 즉, 제1 프레임(16)은 웨이트(161)가 설치된 선단쪽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쳐져 있는 상태에서 롤러부(191)가 경사판(21)을 따라 하강하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웨이트(161)는 상승하게 된다.
웨이트(161) 및 경사판(21)을 따라 하강하는 롤러부(191)는 힌지축(15)을 중심으로 승하강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외부 구동력을 받지 않고 제1 프레임(16) 및 제2 프레임(19)이 자체적으로 회동되어 위치를 보상하면서 승하강 할 수 있다. 이에,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는 외부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수적인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6)의 일측이 상승하면, 벨트부(4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체(17)가 상승하면서 벨트부(40)를 받쳐 상승시킬 수 있다. 벨트부(40)의 일측이 상승하면 배수부(30)의 하부에 위치하는 벨트부(40)의 타측이 상승하면서 밀착통(31)과 맞닿을 수 있다.
도 6은 승강부(10)가 구동부(20)의 경사를 따라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6)은 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62)는 제1 프레임(16)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센싱바(2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바(22)는 구동부(2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승강부(10)가 구동부(20)를 향해 이동될 경우, 센서(162)는 센싱바(22)의 근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62)가 센싱바(22)를 근접 감지하면 트리퍼부(T)가 설치된 스태커(S)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롤러부(191)가 경사판(21)을 따라 하강하고, 제1 프레임(16)의 일측이 상승하면, 회전체(17)가 상승하면서 벨트부(40)를 받쳐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밀착통(31)은 벨트부(40)의 상부를 가압하여 만곡 형상의 벨트부(40)의 단부(42)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벨트부(40)의 단부(42)가 수평상태로 유지될 경우, 만곡 형상의 벨트부(40)의 경사면에 고인 빗물까지 제거할 수 있다.
승강부(10)가 벨트부(40)의 하부를 받쳐 들어올린 상태에서 밀착통(31)에 의해 단부(42)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면, 벨트부(40)에 실린 빗물 또는 살수 스프레이 액체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배수부(30)에 모아져 벨트부(40)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배수부(3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의 배수부(3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부(30)는 밀착통(31), 유입구(32a, 32b) 그리고 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통(31)은 벨트부(4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밀착통(3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밀착통(31)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밀착통(31)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경우, 벨트부(40)의 빗물(W)이 유입되어 배출 될 때 빗물(W)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배수부(30)는 벨트부(4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밀착통(31)은 벨트부(40)의 승강시 벨트부(40)의 표면에 밀착되어 벨트부(40)를 따라 흐르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다.
유입구(32a, 32b)는 밀착통(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의 유입구(32a)는 벨트부(40)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비교적 유속이 빠른 빗물(W)이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의 유입구(32b)는 벨트부(40)에 고여 있는 빗물(W)이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구(33)는 밀착통(31)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구(33)는 유입구(32a, 32b)로 유입된 빗물(W)을 벨트부(40)의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밀착통(31)의 길이는 벨트부(40)의 폭 길이보다 긴 길이로 충분히 연장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출된 빗물(W)을 효율적으로 벨트부(4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1)는 트리퍼부(T)에 설치되는 승강부(10)는 스태커(S)를 따라 이동하고, 구동부(20)에 의해 별도의 동력을 받지 않고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승강부(10)는 벨트부(40)를 수평한 상태로 들어올려 벨트부(40)에 실린 빗물 등의 액체를 배수부(30)로 모아 벨트부(40)의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과 수송물이 혼합되어 발생되는 낙탄 발생 및 낙탄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에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제거를 위하여 장시간 벨트 컨베이어의 공회전 작업을 수행하였으므로, 조업이 지연되어 작업 능률이 낮아지고 설비의 가동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S. 스태커 T. 트리퍼부
P. 테일풀리 10. 승강부
11. 고정부 13. 베이스
14. 관통홀 15. 힌지축
16. 제1 프레임 17. 회전체
18. 연결홀 19. 제2 프레임
20. 구동부 21. 경사판
22. 센싱바 23. 고정프레임
30. 배수부 31. 밀착통
32. 유입구 33. 배출구
34. 지지축 35. 베어링
36. 브라켓 40. 벨트부
41. 벨트프레임 42. 단부
43. 캐리어롤러 161. 웨이트
162. 센서 191. 롤러

Claims (11)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Stacker),
    상기 스태커와 연결되는 벨트부,
    상기 스태커에 힌지축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벨트부를 상승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벨트부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제1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부의 일측과 맞닿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양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승시 상기 벨트부를 받쳐 승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스태커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복귀력을 인가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어 경사판과 맞닿는 롤러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판을 따라 이동시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하강하고, 상기 웨이트와 상기 회전체는 상승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경사판에 설치되는 센싱바가 근접 감지되면 상기 스태커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선단에 위치하고 상기 벨트부의 빗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벨트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 승강시 상기 벨트부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벨트부를 따라 흐르는 빗물을 차단하여 상기 벨트부 측부로 배출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벨트부 표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밀착통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통은 전면에 상기 벨트부의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유입된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KR1020170164116A 2017-12-01 2017-12-01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KR10204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16A KR102042693B1 (ko) 2017-12-01 2017-12-01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16A KR102042693B1 (ko) 2017-12-01 2017-12-01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49A KR20190064849A (ko) 2019-06-11
KR102042693B1 true KR102042693B1 (ko) 2019-11-08

Family

ID=6684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116A KR102042693B1 (ko) 2017-12-01 2017-12-01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72Y1 (ko) * 2000-06-30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빗물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971Y1 (ko) * 1994-11-29 1998-07-15 김만제 트리퍼 선단부에서의 벨트 뒤집힘 방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72Y1 (ko) * 2000-06-30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빗물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49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3867B (zh) 用于尾矿排放的自由卸料旋转移置输送机及其使用方法
CN204110843U (zh) 一种便于移动的输送机
US5975283A (en) Vertical belt conveyor system
KR10204269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WO2016000723A1 (en) Bulk store
CN205345973U (zh) 一种圆形料场
CN107686000B (zh) 一种全自动纸筒传输装置
JP2003013467A (ja) 土砂垂直搬送装置
CN212333708U (zh) 一种砂石物料传送系统
CN212284375U (zh) 一种移动破碎装置
KR20020018857A (ko)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KR100984105B1 (ko) 버켓 엘리베이터의 체인 장력 조정장치
CN210285593U (zh) 带式输送机积渣自动清除装置
US7537103B2 (en) Portal-type scraper reclaimer with bent reclaimer boom
CN209889614U (zh) 一种伸缩式仰拱栈桥皮带车
KR20170073086A (ko) 염전용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CN217075863U (zh) 带式输送机卸载架及煤矿输送设备
CN111282703A (zh) 一种移动破碎机及其安装方法
CN219238271U (zh) 一种带有下料装置的矿石开采输送机构
JP2732489B2 (ja) シャトルコンベアによる打設位置移動連続打設工法
CN211664286U (zh) 行走式渣土清理系统
KR102622540B1 (ko) 폐기물 고형연료 이송 컨베이어
US3355005A (en) Load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 points
CN114933147B (zh) 一种支重轮式废钢重板输送机给料用限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