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245B1 -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리테이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2245B1 KR102042245B1 KR1020180044430A KR20180044430A KR102042245B1 KR 102042245 B1 KR102042245 B1 KR 102042245B1 KR 1020180044430 A KR1020180044430 A KR 1020180044430A KR 20180044430 A KR20180044430 A KR 20180044430A KR 102042245 B1 KR102042245 B1 KR 102042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er
- center
- ring
- refraction
- rolling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62—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8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ball retain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리테이너는 고리의 형상이고, 고리의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인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베어링의 전동체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굴절부들을 구비하는 제1 리테이너; 고리의 형상이고, 제1 굴절부들과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어 제1 굴절부와 함께 포켓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굴절부들을 구비하는 제2 리테이너; 및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제1 굴절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1 관통부 및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제2 굴절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2 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이다. 도 1은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축에 결합되는 내륜(1), 내륜(1)과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외륜(2), 내륜(1)과 외륜(2)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 개의 전동체(3)들 및 전동체(3)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동체(3)들을 지지하는 리테이너(4)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베어링이 베어링의 중심(O)을 관통하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베어링에는 윤활유가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서 화살표는 윤활유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윤활유는 전동체(3)가 회전함에 따라 전동체(3)와 리테이너(4) 사이의 공간(틈새)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동체(3)와 리테이너(4) 사이로 충분한 양의 윤활유가 유입되지 못하거나, 전동체(3)와 리테이너(4)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동체(3)가 회전할 때 이물질이 전동체(3)의 외면을 긁어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전동체(3)와 리테이너(4) 사이의 틈새를 넓게 형성하는 경우 리테이너(4)가 전동체(3)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베어링의 회전 시 리테이너(4)에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전동체와 리테이너 사이의 영역으로 윤활유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전동체와 리테이너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전동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리테이너는 고리의 형상이고, 고리의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인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베어링의 전동체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굴절부들을 구비하는 제1 리테이너; 고리의 형상이고, 제1 굴절부들과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어 제1 굴절부와 함께 포켓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굴절부들을 구비하는 제2 리테이너; 및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제1 굴절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1 관통부 및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제2 굴절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2 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리테이너가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제1 관통부는 베어링에 공급된 윤활유가, 제1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전동체와 제1 굴절부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전동체와 제1 굴절부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고, 리테이너가 제2 관통부를 포함할 때, 제2 관통부는 윤활유가, 제2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전동체와 제2 굴절부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전동체와 제2 굴절부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리테이너가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제1 굴절부 하나에 2개의 제1 관통부가 마련되고, 2개의 제1 관통부는, 고리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굴절부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1 기준선과, 고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굴절부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 기준선에 의해 분할되는 4개의 영역 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영역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리테이너는 제1 관통부와 제2 관통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리테이너는, 제1 굴절부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굴절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된 제1 연장부들과, 축 방향을 따라 제1 연장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1 리벳 홀을 더 포함하고, 제2 리테이너는, 제2 굴절부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굴절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된 제2 연장부들과, 축 방향을 따라 제2 연장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2 리벳 홀을 더 포함하며, 제1 리테이너와 제2 리테이너는, 제1 리벳 홀과 제2 리벳 홀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관통부 또는 제2 관통부가, 윤활유가 전동체와 리테이너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전동체와 리테이너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함에 따라, 전동체와 리테이너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관통부 또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해짐에 따라, 전동체와 리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종래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의 회전 시 발생하는 리테이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적용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적용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적용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4에서 내륜(10), 외륜(20) 및 전동체(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40)는 제1 리테이너(41), 제2 리테이너(42) 및 관통부(416, 426)를 포함한다.
제1 리테이너(41)와 제2 리테이너(42)는 고리의 형상을 가지며, 베어링의 전동체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45)을 형성한다(도 3의 (b)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41)는 고리의 중심(O)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인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포켓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굴절부(411)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리테이너(42)는 제1 굴절부(411)들과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어 제1 굴절부(411)와 함께 포켓(45)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굴절부(421)들을 구비한다. 전동체(30)는 제1 굴절부(411)와 제2 굴절부(421)가 함께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리테이너(41)는 제1 연장부(412)들과 제1 리벳 홀(4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테이너(42)는 제2 연장부(422)들과 제2 리벳 홀(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12)는 제1 굴절부(411)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굴절부(411)에서 멀어지게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제2 연장부(422)는 제2 굴절부(421)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굴절부(421)에서 멀어지게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제1 리벳 홀(415)은 축 방향을 따라 제1 연장부(41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리벳 홀(425)은 축 방향을 따라 제2 연장부(422)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테이너(41)와 제2 리테이너(42)는 제1 리벳 홀(415)과 제2 리벳 홀(425)을 관통하는 리벳(5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관통부(416, 426)는 제1 관통부(416) 및 제2 관통부(426)를 포함한다. 제1 관통부(416)는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제1 굴절부(411)를 관통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하고, 제2 관통부(426)는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제2 굴절부(421)를 관통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40)는 제1 관통부(416) 및 제2 관통부(4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리테이너(40)가 제1 관통부(416)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관통부(426)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관통부(416)와 제2 관통부(426)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40)는 관통부(416, 426)를 포함함으로써, 베어링으로 공급된 윤활유가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충분히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테이너(40)가 제1 관통부(416)를 포함할 때, 제1 관통부(416)는 윤활유가 제1 굴절부(411)가 형성하는 포켓(45)에 수용된 전동체(30)와 제1 굴절부(411)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전동체(30)와 제1 굴절부(411)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테이너가 제2 관통부(426)를 포함할 때, 제2 관통부(426)는 윤활유가 제2 굴절부(421)가 형성하는 포켓(45)에 수용된 전동체(30)와 제2 굴절부(421)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전동체(30)와 제2 굴절부(421)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관통부(416, 426)가 윤활유가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분한 양의 윤활유가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관통부(416, 426)가 윤활유가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함으로써,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에 유입된 이물질이 윤활유와 함께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40)가 관통부(416, 426)를 포함함으로써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공급되는 윤활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리테이너(40)와 전동체(30) 사이의 틈새를 종래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의 회전 시 리테이너(40)가 반경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통부(416, 426)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관통부(416)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제2 관통부(426) 역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관통부(416)의 특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관통부(416)는 제1 굴절부(411) 하나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 관통부(416)들 중 적어도 2개는, 고리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굴절부(411)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기준선(S1)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도 6 참조). 즉, 하나의 제1 굴절부(411)에 제1 관통부(416)가 형성되는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개 이상의 제1 관통부(416)가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굴절부는 기준선(S1)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통부(416)가 고리의 원주 방향에 따른 다수의 영역에 비교적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원주 방향에 따른 다수의 영역에 마련된 제1 관통부(416)를 통해 윤활유가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고, 또한,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에 유입된 이물질도 원주 방향에 따른 다수의 영역에 마련된 제1 관통부(416)를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부(416)들 중 적어도 2개는, 고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굴절부(411)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기준선(S2)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윤활유는 리테이너(40)와 외륜(20) 사이의 공간 및 리테이너(40)와 내륜(10) 사이의 공간 모두를 통해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전동체(30)와 리테이너(40) 사이에 유입된 이물질 역시 리테이너(40)와 외륜(20) 사이의 공간 및 리테이너(40)와 내륜(10) 사이의 공간 모두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부(416)들 중 적어도 2개는, 고리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굴절부(411)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1 기준선(S1)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됨과 동시에, 고리의 반경 방향을 기준을 제1 굴절부(411)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 기준선(S2)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2개의 제1 관통부(416)는 제1 기준선(S1)과 제2 기준선(S2)에 의해 분할되는 4개의 영역 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영역에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관통부(416)는 2개만 마련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윤활유의 유입 및 이물질의 배출은 효율적이면서도 리테이너(4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통부(416)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1 관통부(416)는 제1 굴절부(411)를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굴절부(411)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일 수도 있다. 즉, 제1 관통부(416)는 제1 굴절부(411)에서 고리의 중심(O)을 바라보는 면인 내측면이 제1 굴절부(411)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거나, 또는 제1 굴절부(411)에서 내측면의 반대측 면인 외측면이 제1 굴절부(411)의 내측으로 함몰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굴절부(411)가 형성하는 포켓(45)에 전동체(30)가 수용된 상태로 리테이너를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켰을 때, 제1 관통부(416)는 제1 관통부(416)가 전동체(3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416')이 존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관통부(416)가 전동체(30)의 테두리와 교차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동체(30)가 회전할 때, 원심력은 전동체(3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전동체(30)의 테두리에서 전동체(30)에 원심력이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전동체(30)의 회전에 의해 윤활유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속도 역시 전동체(30)의 테두리에서 가장 빠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통부(416)가 전동체(3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416')이 존재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전동체(30)에서 원심력이 가장 큰 영역, 즉 윤활유의 유입 및 배출 속도가 가장 큰 영역이 제1 관통부(416)에 노출되어, 윤활유의 유입 및 배출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통부(416)는 원호의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리테이너(40)를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켰을 때를 기준으로, 고리의 중심(O)에서 고리를 향하는 방향을 반경 외측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고리에서 고리의 중심(O)을 향하는 방향을 반경 내측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원호는 고리의 중심(O)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호의 중심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원호의 중심(a)이 제1 굴절부(411)보다 반경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고리의 중심(O)에서 제1 굴절부(411)의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까지의 거리(R2)에서, 고리의 중심(O)에서 원호의 중심(a)까지의 거리(Ra)와 원호의 반경(ra)의 합을 뺀 값을 제1 굴절부(411)의 최소 폭(ta)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1 굴절부(411)의 최소 폭(ta)은 전동체(30)의 직경의 20% 내지 4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절부(411)의 최소 폭(ta)이 전동체(30)의 직경의 20% 미만의 길이를 갖는 경우, 제1 굴절부(411)가 전동체(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고, 제1 굴절부(411)의 최소 폭(ta)이 전동체(30)의 직경의 45%를 초과하는 경우, 전동체(30)의 회전에 따른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고리의 중심(O)에서 제1 굴절부(411)의 원주 방향에 따른 중심(p)을 향하는 가상의 중심선과, 고리의 중심(O)에서 원호의 중심(a)을 향하는 가상의 기준선 사이의 예각(α1)은 5° 내지 2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원호의 중심(b)이 제1 굴절부(411)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고리의 중심(O)에서 원호의 중심(b)까지의 거리(Rb)에서, 고리의 중심(O)에서 제1 굴절부(411)의 반경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까지의 거리(R1)와 원호의 반경(rb)의 합을 뺀 값을 제1 굴절부(411)의 최소 폭(tb)으로 정의할 수 있고, 최소 폭(tb)은 전동체(30)의 직경의 20% 내지 4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의 중심(O)에서 제1 굴절부(411)의 원주 방향에 따른 중심(p)을 향하는 가상의 중심선과, 고리의 중심(O)에서 원호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기준선 사이의 예각(α2)은 5° 내지 15°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리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굴절부(411)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기준선(S1)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소정 거리 확장된 영역을 중심 영역(X)이라고 정의할 때, 제1 관통부(416)는 중심 영역(X) 이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에 따른 중심 영역(X)의 폭(tc)은 제1 굴절부(411)가 형성하는 포켓(45)에 수용된 전동체(30)의 직경의 10% 이상 3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굴절부(411)는 제1 관통부(416)에 의해 반경 방향에 따른 두께가 감소되지 않은 중심 영역(X)을 구비할 수 있고, 중심 영역(X)은 전동체(3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제1 관통부(416) 및 제2 관통부(426)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1 관통부(416)들 및 제2 관통부(426)들은 전술한 특징들을 포함함과 동시에, 리테이너의 무게 중심이 고리의 중심(O)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베어링의 회전 시 리테이너(40)가 균일한 원심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굴절부(411)와 제2 굴절부(421)가 도 6의 가상의 기준선들(S1, S2)에 의해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었을 때, 인접하는 제1 관통부(416)와 제2 관통부(426)는 4개의 영역 중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내륜
20: 외륜
30: 전동체
40: 리테이너
41: 제1 리테이너
42: 제2 리테이너
45: 포켓
50: 리벳
411: 제1 굴절부
412: 제1 연장부
415: 제1 리벳 홀
416: 제1 관통부
421: 제2 굴절부
422: 제2 연장부
425: 제2 리벳 홀
426: 제2 관통부
20: 외륜
30: 전동체
40: 리테이너
41: 제1 리테이너
42: 제2 리테이너
45: 포켓
50: 리벳
411: 제1 굴절부
412: 제1 연장부
415: 제1 리벳 홀
416: 제1 관통부
421: 제2 굴절부
422: 제2 연장부
425: 제2 리벳 홀
426: 제2 관통부
Claims (16)
- 고리의 형상이고, 상기 고리의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인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베어링의 전동체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굴절부들을 구비하는 제1 리테이너;
고리의 형상이고, 상기 제1 굴절부들과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1 굴절부와 함께 상기 포켓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굴절부들을 구비하는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굴절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1 관통부 및 상기 축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굴절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2 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제1 굴절부 하나에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관통부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고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굴절부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1 기준선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제1 기준선의 양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관통부는, 상기 제1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상기 전동체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켰을 때, 상기 전동체의 테두리와 교차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전동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는, 리테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관통부는 베어링에 공급된 윤활유가, 상기 제1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전동체와 상기 제1 굴절부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전동체와 상기 제1 굴절부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2 관통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윤활유가, 상기 제2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전동체와 상기 제2 굴절부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전동체와 상기 제2 굴절부 사이의 영역에서 유출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리테이너.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기준선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관통부들은, 상기 제1 기준선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고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굴절부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 기준선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는, 리테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굴절부 하나에 2개의 제1 관통부가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제1 관통부는,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고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굴절부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 기준선에 의해 분할되는 4개의 영역 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영역에 하나씩 마련되는, 리테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관통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제1 굴절부에서 상기 고리의 중심을 바라보는 면인 내측면이 상기 제1 굴절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 또는 상기 제1 굴절부에서 상기 내측면의 반대측 면인 외측면이 상기 제1 굴절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리테이너.
- 삭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는, 원호의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리테이너.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켰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고리를 향하는 방향을 반경 외측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고리에서 상기 고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반경 내측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원호는,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호의 중심을 가지며,
상기 원호의 중심이 상기 제1 굴절부보다 반경 내측 방향에 위치할 때,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제1 굴절부의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까지의 거리에서,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원호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원호의 반경의 합을 뺀 값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 굴절부의 최소 폭은, 상기 제1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상기 전동체의 직경의 20% 내지 45%의 길이로 형성되는, 리테이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제1 굴절부의 원주 방향에 따른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중심선과,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원호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기준선 사이의 예각은 5° 내지 20°의 크기를 갖는, 리테이너.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투영시켰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고리를 향하는 방향을 반경 외측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고리에서 상기 고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반경 내측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원호는,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호의 중심을 가지며,
상기 원호의 중심이 상기 제1 굴절부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할 때,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원호의 중심까지의 거리에서,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제1 굴절부의 반경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까지의 거리와 상기 원호의 반경의 합을 뺀 값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 굴절부의 최소 폭은, 상기 제1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상기 전동체의 직경의 20% 내지 45%의 길이로 형성되는, 리테이너.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제1 굴절부의 원주 방향에 따른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중심선과, 상기 고리의 중심에서 상기 원호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기준선 사이의 예각은 5° 내지 15°의 크기를 갖는, 리테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굴절부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기준선에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소정 거리 확장된 영역을 중심 영역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중심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원주 방향에 따른 상기 중심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굴절부가 형성하는 포켓에 수용된 전동체의 직경의 10% 이상의 값을 갖는, 리테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를 모두 포함하는, 리테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는, 상기 제1 굴절부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굴절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된 제1 연장부들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1 리벳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2 굴절부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굴절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된 제2 연장부들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제2 리벳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벳 홀과 상기 제2 리벳 홀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리테이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4430A KR102042245B1 (ko) | 2018-04-17 | 2018-04-17 | 리테이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4430A KR102042245B1 (ko) | 2018-04-17 | 2018-04-17 | 리테이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0997A KR20190120997A (ko) | 2019-10-25 |
KR102042245B1 true KR102042245B1 (ko) | 2019-11-08 |
Family
ID=6842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4430A KR102042245B1 (ko) | 2018-04-17 | 2018-04-17 | 리테이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224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2564A (ja) * | 2005-05-20 | 2006-11-30 | Ozak Seiko Co Ltd | ベアリン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4211B1 (ko) * | 2015-06-12 | 2017-02-08 | 셰플러코리아(유) |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
-
2018
- 2018-04-17 KR KR1020180044430A patent/KR1020422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2564A (ja) * | 2005-05-20 | 2006-11-30 | Ozak Seiko Co Ltd | ベアリン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0997A (ko) | 2019-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50688B2 (en) | Fluid bearing having a foil assembly | |
JP6863253B2 (ja) | 捩り振動低減装置 | |
US9206842B2 (en) | Crossed roller bearing | |
EP2667045A1 (en) | Rolling bearing c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gments and rolling bearing with the cage | |
KR101508975B1 (ko) | 압력 댐을 구비한 에어 포일 베어링 | |
JP6957836B2 (ja) | 転がり軸受 | |
JP4342512B2 (ja) | 転がり軸受、保持器セグメントおよび風力発電機の主軸支持構造 | |
KR20220093054A (ko) | 에어 포일 베어링 | |
KR102042245B1 (ko) | 리테이너 | |
JP6366310B2 (ja) | シール構造、動翼、及び回転機械 | |
JPWO2020149137A1 (ja) | スラストフォイル軸受 | |
JP6571026B2 (ja) | ジャーナル軸受および回転機械 | |
EP3263926B1 (en) | Ball-socket type tilting pad journal bearing | |
WO2018105162A1 (ja) |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ガス軸受装置及び圧縮機 | |
KR102371208B1 (ko) | 복수의 지지방식을 사용하는 틸팅 패드 베어링 | |
JP6544000B2 (ja) | 自動調心ころ軸受 | |
JP7142629B2 (ja) | アンギュラ玉軸受保持器およびアンギュラ玉軸受 | |
JP5838957B2 (ja) | 捩り振動減衰装置 | |
KR20200047713A (ko) | 틸팅 패드 베어링 | |
US4416555A (en) | Bearing system for vertical type rotary machine | |
JP6694288B2 (ja) | コロ軸受 | |
JP2022054811A (ja) | ころ軸受及びころ軸受用保持器 | |
JP6550898B2 (ja) | 転がり軸受 | |
JP6897802B2 (ja) | アンギュラ玉軸受 | |
JP6550711B2 (ja) | 転がり軸受用冠型保持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