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666B1 -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 Google Patents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666B1
KR102187666B1 KR1020190108246A KR20190108246A KR102187666B1 KR 102187666 B1 KR102187666 B1 KR 102187666B1 KR 1020190108246 A KR1020190108246 A KR 1020190108246A KR 20190108246 A KR20190108246 A KR 20190108246A KR 102187666 B1 KR102187666 B1 KR 102187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bearing housing
top foil
circumferential direction
b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to KR102019010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rad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프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탑 포일의 내주면에서 마모가 발생되는 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탑 포일 일부분에 마모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Air foil journal bearing}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로터와 포일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로터가 포일에서 부상되며 로터의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에 있어서, 탑 포일의 일부분에 마모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며 동시에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요소이다.
그리고 베어링 중 에어 포일 베어링은 로터의 고속 회전에 따라 로터와 접하는 포일 사이에 점성을 가지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이러한 에어 포일 베어링 중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에 수직인 방향인 로터의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이며,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은 로터의 회전축 방향인 로터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이다.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도 1과 같이 베어링 하우징(1)의 중공(1a)의 내주면(1b)을 따라 범프 포일(2)이 설치되며, 범프 포일(2)의 내측에 탑 포일(3)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탑 포일(3)의 내측에 로터(4)가 배치되어 탑 포일(3)의 내주면과 로터(4)의 외주면이 이격된 상태로 로터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범프 포일(2) 및 탑 포일(3)은 원주방향의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2a, 3a)는 베어링 하우징(1)에 형성된 홈(1c)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에 따라 로터의 회전 시 범프 포일(2) 및 탑 포일(3)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려나지 않고 베어링 하우징(1)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로터가 자중에 의해 탑 포일의 내주면 하측에 접촉되어 지지되어 있다가, 로터가 회전되면서 기동될 때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로터가 탑 포일의 내면 하측으로부터 부상하여 위쪽으로 떠오르는데, 부상되기 전 회전되는 로터와 접촉되는 탑 포일의 내주면에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로터와 접촉되는 탑 포일의 내주면에 마모가 발생한다. 또한, 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다가 정지되려고 하는 경우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로터가 탑 포일의 내주면 하측에 접촉되면서 착지되는데, 로터가 착지되면서 정지하기까지 탑 포일의 내주면과 마찰이 일어나 이에 따른 탑 포일 내주면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의 기동 및 정지가 반복되면 회전되는 로터와 탑 포일과의 마찰 발생으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는데, 로터의 하중으로 인해 대략 로터의 수직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탑 포일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팅막 및 탑 포일에 마모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탑 포일의 마모가 집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마모가 집중된 부분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될 수밖에 없다.
KR 10-1068542 B1 (2011.09.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 포일의 내주면에서 마모가 발생되는 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탑 포일 일부분에 마모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프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포일은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에 고정된 부분이 없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탑 포일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막음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음판들은 반경방향으로 내측단이 탑 포일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음판들은 원주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된 외측 탑 포일; 및 원주방향으로 양단이 분리되어 있고 말린 형태로 상기 외측 탑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 범프 포일 및 외측 탑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외측 탑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된 내측 탑 포일; 및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탑 포일은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프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탑 포일은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에 고정된 부분이 없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탑 포일은 베어링 하우징, 범프 포일 및 외측 탑 포일에 고정된 부분이 없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탑 포일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막음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음판들은 반경방향으로 내측단이 내측 탑 포일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음판들은 원주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탑 포일의 내주면에 일부분에 마모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크게 베어링 하우징(100), 범프 포일(200) 및 탑 포일(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막음판(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00)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양면이 관통된 중공(110)이 형성되며, 중공(110)과 연통되도록 내주면의 상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키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범프 포일(200)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공(110) 내측에 배치되며, 범프 포일(200)은 원주방향 일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0)가 형성되어, 절곡부(210)가 키홈(12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범프 포일(200)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범프 포일(200)은 두께가 얇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말린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다수개의 탄성 범프(201)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프 포일(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범프 포일(200)들은 각각 일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0)가 각각 형성되고, 베어링 하우징(100)에는 키홈(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범프 포일(200)들의 절곡부(210)가 키홈(12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범프 포일(200)은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로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아니라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범프 포일(200)은 베어링 하우징(100)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탑 포일(3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범프 포일(20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탑 포일(300)은 대략 120도 간격으로 배열된 3장의 범프 포일(200)의 내측에 범프 포일(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3장의 범프 포일(200)에 밀착되되, 베어링 하우징(100) 및 범프 포일(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탑 포일(30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범프 포일(200)에 밀착될 수 있다. 즉, 탑 포일(300)은 베어링 하우징(100) 및 범프 포일(200)에 고정된 부분이 없이 범프 포일(2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탑 포일(300)의 내측에는 로터(50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탑 포일(300)의 내주면에는 로터(500)의 회전 시 접촉에 의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테프론 등으로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로터(500)가 탑 포일(300)의 내측에서 회전될 때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로터(500)가 탑 포일(300)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부상되어 로터(5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탑 포일(300)은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 돌출되거나 오목한 부분이 없이 매끈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터(500)가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여 로터(500)의 수직 하측에 해당되는 탑 포일(300)의 내주면 일부분에 마모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면 그 부분에서 로터와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로터(500)가 회전되기 시작할 때나 정지하려고 할 때 마찰력에 의해 탑 포일(300)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모되지 않은 부분이 로터(500)의 수직 하측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탑 포일에 마모가 발생함에 따라 탑 포일이 조금씩 회전되어 원주방향으로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원주방향으로 특정한 부분에 마모가 집중되지 않고 탑 포일의 내주면 전체를 고르게 사용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결합되어 탑 포일(30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막음판(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탑 포일(300)은 베어링 하우징(100) 및 범프 포일(200)에 결합되어 고정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탑 포일(300)에 진동 또는 힘이 작용하면 탑 포일(3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막음판(600)을 결합함으로써, 막음판(600)에 탑 포일(300)이 걸려서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막음판(600)은 반경방향으로 내측단인 상단이 탑 포일(30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탑 포일(30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로터(5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막음판(600)은 원주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판(600)은 원주방향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로터(500)의 수직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원주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각도 범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길이방향으로 공기가 베어링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탑 포일(300)의 사이로 통과되면서 냉각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베얼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중공(110)과 연통되도록 오목하게 안치홈이 형성되어, 안치홈에 막음판(600)이 삽입된 후 체결수단 등으로 베어링 하우징(100)에 막음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크게 베어링 하우징(100), 범프 포일(200),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막음판(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00), 범프 포일(200), 외측 탑 포일(301) 및 한 쌍의 막음판(600)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탑 포일(302)은 원주방향으로 양단이 분리되어 있고 원통형과 유사하게 말린 형태로 외측 탑 포일(301)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측 탑 포일(302)이 펴지려고 하는 탄성에 의해 외측 탑 포일(301)의 내주면에 내측 탑 포일(302)의 외주면이 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 탑 포일(302)은 범프 포일(20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탑 포일(302)의 외주면 전체가 외측 탑 포일(30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탑 포일(302)은 외측 탑 포일(301)의 내측에 구비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원주방향 양단부가 겹치지 않고 양단 사이가 약간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내측 탑 포일(302)은 베어링 하우징(100), 범프 포일(200) 및 외측 탑 포일(301)에 고정된 부분이 없으며, 내측 탑 포일(302)의 내측에는 로터(50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탑 포일(302)의 내주면에는 로터(500)의 회전 시 접촉에 의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테프론 등으로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로터(500)가 내측 탑 포일(302)의 내측에서 회전될 때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로터(500)가 내측 탑 포일(302)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부상되어 로터(5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탑 포일(302)은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 돌출되거나 오목한 부분이 없이 매끈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500)가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여 로터(500)의 수직 하측에 해당되는 내측 탑 포일(302)의 내주면 일부분에 마모가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마찰력이 커지게 되면, 마찰력에 의해 내측 탑 포일(302)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마찰되는 부분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내측 탑 포일(302)의 특정한 부분에 마모가 집중되지 않고 내주면 전체를 고르게 사용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탑 포일(301)과 함께 내측 탑 포일(302)이 회전될 수도 있으므로, 내측 탑 포일(302)의 회전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탑 포일(301)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원주방향 양단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형성된 내측 탑 포일(302)이 외측 탑 포일(301)의 내측에서 걸리는 부분이 없으므로 내측 탑 포일(302)이 회전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로터(500)와 내측 탑 포일(302)의 마찰에 따른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결합되어 내측 탑 포일(302) 및 외측 탑 포일(301)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막음판(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은 베어링 하우징(100) 및 범프 포일(200)에 결합되어 고정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에 진동 또는 힘이 작용하면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막음판(600)을 결합함으로써, 막음판(600)에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이 걸려서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막음판(600)은 반경방향으로 내측단인 상단이 내측 탑 포일(302)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외측 탑 포일(301) 및 내측 탑 포일(302)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막음판(600)과 로터(500)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막음판(600)은 원주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판(600)은 원주방향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로터(500)의 수직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원주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각도 범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길이방향으로 공기가 베어링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외측 탑 포일(301)의 사이로 통과되면서 냉각되기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베어링 하우징
110 : 중공 120 : 키홈
200 : 범프 포일
201 : 탄성 범프 210 : 절곡부
300 : 탑 포일
301 : 외측 탑 포일 302 : 내측 탑 포일
500 : 로터
600 : 막음판

Claims (12)

  1.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및
    원주방향으로 끊어진 부분이 없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에 고정된 부분이 없이 범프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탑 포일은 로터에 결합된 부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탑 포일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막음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들은 반경방향으로 내측단이 탑 포일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들은 원주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6.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원주방향으로 끊어진 부분이 없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에 고정된 부분이 없이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외측 탑 포일; 및
    원주방향으로 양단이 분리되어 원주방향으로 양단부가 겹치지 않게 이격되어 있고 말린 형태로 상기 외측 탑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 및 범프 포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어링 하우징, 범프 포일 및 외측 탑 포일에 고정된 부분이 없이 외측 탑 포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내측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탑 포일 및 내측 탑 포일은 로터에 결합된 부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탑 포일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막음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들은 반경방향으로 내측단이 내측 탑 포일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들은 원주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0190108246A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187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46A KR102187666B1 (ko)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46A KR102187666B1 (ko)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666B1 true KR102187666B1 (ko) 2020-12-07

Family

ID=7379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246A KR102187666B1 (ko)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92A (ko) * 2021-06-07 2022-12-14 박창진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공극에 복수의 에어포일 저널 베어링이 결합되는 터보 모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844A (ko) * 2007-08-10 2010-04-1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포일 베어링 장치
KR101068542B1 (ko) 2009-08-31 2011-09-28 주식회사 뉴로스 저널 포일 에어베어링
KR20120037702A (ko) * 2010-10-12 2012-04-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무급유 댐퍼 베어링 및 그 제어장치
KR101638413B1 (ko) * 2015-03-30 2016-07-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유를 이용한 가스 포일 저널 베어링
KR20180018178A (ko) * 2016-08-12 2018-02-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에어포일 베어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844A (ko) * 2007-08-10 2010-04-1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포일 베어링 장치
KR101068542B1 (ko) 2009-08-31 2011-09-28 주식회사 뉴로스 저널 포일 에어베어링
KR20120037702A (ko) * 2010-10-12 2012-04-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무급유 댐퍼 베어링 및 그 제어장치
KR101638413B1 (ko) * 2015-03-30 2016-07-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섬유를 이용한 가스 포일 저널 베어링
KR20180018178A (ko) * 2016-08-12 2018-02-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에어포일 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92A (ko) * 2021-06-07 2022-12-14 박창진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공극에 복수의 에어포일 저널 베어링이 결합되는 터보 모터
KR102610711B1 (ko) 2021-06-07 2023-12-05 박창진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공극에 복수의 에어포일 저널 베어링이 결합되는 터보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3285A (en) Cage control of skew angle in roller bearings
KR102456838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23022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A1315819C (en) Rotary shaft bearing isolator seal
CN113056618B (zh) 箔片空气滑动轴承
US4678348A (en) Radial spiral-groove bearing
US20060078240A1 (en) Fluid dynamic bearing system to rotatably support a spindle motor
EA035325B1 (ru) Гибридный газодинамический радиальный подшипник
KR10218766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US5549392A (en) Resilient mount pad journal bearing
US8281912B2 (en) Stampable thrust washer with flow cutouts
CN109899381B (zh) 水润滑推力轴承
KR102218462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0868897B1 (ko)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포일베어링
KR102166622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JP6979332B2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軸受
JP2017508928A (ja) 滑り軸受を潤滑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4799809A (en) Rolling bearing with rolling retainer members
KR20230060437A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37128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055278B1 (ko) 구름 베어링용 씰
JP6935755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
EP0264264A2 (en) Rolling bearing with rolling retainer members
US1300386A (en) Roller-bearing.
KR102662638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