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216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216B1
KR102042216B1 KR1020130036454A KR20130036454A KR102042216B1 KR 102042216 B1 KR102042216 B1 KR 102042216B1 KR 1020130036454 A KR1020130036454 A KR 1020130036454A KR 20130036454 A KR20130036454 A KR 20130036454A KR 102042216 B1 KR102042216 B1 KR 10204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shell
washing water
inn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549A (ko
Inventor
엄선용
이인재
정사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2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2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 D06F37/34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in opposite directions, e.g. oscill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되고, 상기 터브에 담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퍼올려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담기는 내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가 형성된 내측 쉘; 및 상기 내측 쉘을 감싸며, 상기 내측 쉘과의 사이에 상기 연통구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담기는 외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챔버 내의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외측 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긴 터브 내에서 포가 수용된 드럼이 회전된다. 드럼은 그 내부에 수용된 포가 세탁수에 젖을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세탁수에 잠긴상태로 회전된다. 드럼의 구동 패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포의 위치 변동이 이루어지면서 물과 세제에 의한 화학작용 또는 포의 위치변동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포의 오염이 제거된다.
그런데, 종래의 세탁기는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어느 정도의 세탁수의 유동이 발생하기는 하나, 이러한 유동은, 주로 드럼과 세탁수 사이의 점성력 또는 마찰력에 의한 것이거나, 포의 위치변화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세제를 물에 고르게 용해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포가 세탁수에 젖기 위해서는 드럼의 하부에 위치되어야하기 때문에 포량이 많아 포의 위치변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일부 포가 충분히 젖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물을 급수하거나, 더 오랜 시간동안 드럼을 구동시켜야 하였다.
본 발명은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세탁수를 퍼 올리고, 이렇게 퍼 올려진 세탁수를 다시 드럼 내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세탁수의 유동을 강제로 발생시키되, 이러한 강제유동이 드럼이 회전 주기 중에 보다 오랫동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되고, 상기 터브에 담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퍼올려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담기는 내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가 형성된 내측 쉘; 및 상기 내측 쉘을 감싸며, 상기 내측 쉘과의 사이에 상기 연통구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담기는 외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챔버 내의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외측 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첫째, 터브 내의 세탁수의 순환 또는 교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세탁과정에서 세제가 물에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다.
둘째, 드럼이 어느 쪽으로 회전되더라도 스쿱들에 의한 세탁수의 교반 또는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쿱들에 의해 물 또는 세제가 용해된 물이 직접 포에 가해지기 때문에, 포 적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탁 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드럼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리프터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드럼이 스쿱의 개구방향을 향해 회전할 시, (b)는 (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드럼(30)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30)의 회전에 따른 리프터(70)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드럼(30)이 스쿱(72)의 개구방향을 향해 회전할 시, (b)는 (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세탁수가 담기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와, 세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전명과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11)과, 캐비닛(11) 전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버(12)와, 캐비닛(11)의 상면에 구비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커버(12)에는 드럼(30) 내로 포가 출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포 출입홀를 개폐하는 도어(13)가 캐비닛 커버(1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개스킷(21)은 드럼(30)의 회전시 도어(13)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30)의 입구와 포 출입홀 사이에 배치된다.
드럼(30) 회전시의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스프링(14) 및/또는 댐퍼(16)가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20)는 이들에 의해 캐비닛(11) 내부에 탄지된다.
드럼(30)은 포가 삽입되어 회전한다. 터브(20)와 드럼(30) 간에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드럼(30)에는 복수의 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엠보스(emboss)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엠보스 상에 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과 일체로 회전되며, 터브(20) 내의 세탁수를 퍼올려 드럼(30) 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리프터(70)는 드럼(30)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세탁수를 퍼올리는 기능 뿐만 아니라, 드럼(30) 내 투입된 포를 들어올렸다가 떨어뜨리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참고로, 도 2는 리프터(70) 내부가 보이도록 드럼(30)의 전단을 절개하여 도시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리프터(70)의 전단과 후단은 챔버(C1, C2) 내의 세탁수가 흘러나가지 않도록 막혀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드럼(30)을 회전시킨다. 구동부(40)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구동부(40)는 제어부(15)에 의하여 제어되어 다양한 모션을 구현한다.
캐비닛(11)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급수 밸브(53)와, 세탁수 공급 밸브에 유입된 세탁수를 세제박스(52)로 안내하는 급수호스(51)와, 세탁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며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되는 세제박스(52)와, 세제박스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를 드럼(30) 내로 유입하는 급수밸로우즈(5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11) 내부에는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호수(62)와, 세탁수를 유출하는 펌프(63)와, 세탁수를 드럼(30)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64)와, 개스킷(21)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드럼(30) 내로 유입하는 노즐(65)과, 세탁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제어부(15)는 캐비닛 커버(1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5)에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는 조작 버튼과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30)에는 터브(20)에 담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35)가 형성된다. 유입구(35)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유입구(35) 중 적어도 일부는 드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리프터(70)는 드럼(3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입구(35)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퍼 올려 드럼(30) 내로 토출하는 것으로, 내측 쉘(71)과 외측 쉘(73)을 포함한다.
내측 쉘(71)은 드럼(30)의 내주면(31)과의 사이에, 유입구(35)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담기는 내측 챔버(C1)를 형성하다. 내측 쉘(31)은 드럼(3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쉘(71)에는 내측 챔버(C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71a)가 형성된다. 유입구(35)에 의해 내측 챔버(C1)가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다.
외측 쉘(73)은 내측 쉘(71)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 쉘(71)을 감싸며, 내측 쉘(71)과의 사이에 외측 챔버(C2)를 형성한다. 연통구(71a)를 통해 내측 챔버(C1)로부터 외측 챔버(C2)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외측 쉘(73)에는 외측 챔버(C2) 내의 세탁수를 드럼(30) 내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73a)가 형성된다.
스쿱(72)은 드럼(30)의 외주면(3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스쿱(72)에는 드럼(30)의 양쪽 회전 방향 중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개구된 개구부(72a)가 형성도힌다. 연통구(71a)는 내측 쉘(71)에서 스쿱(72)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S1)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출구(73a)는 외측 쉘(73)에서 스쿱(72)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S2)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L1은 L2보다 작은데, 여기서, L1은 내측 쉘(71)의 횡단면을 따라, 드럼(30)과 내측 쉘(71)에서 스쿱(72)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S1)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복수개의 연통구(71a(1), 71a(2), 71a(3)) 중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연통구(71a(3))까지의 거리이다. 그리고, L2는 외측 쉘(73)의 횡단면을 따라, 드럼(30)과 외측 쉘(73)에서 스쿱(72)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S2)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복수의 토출구(73a(1) 73a(2) 73a(3)) 중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토출구(73a(3))까지의 거리이다.
토출구(73a)의 크기는 연통구(71a)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구(71a)를 통해 내측 챔버(C1)로부터 외측 챔버(C2)로 유동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비해, 토출구(73a)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높게 유지됨으로써 수압구배가 형성되고, 토출구(73a)를 통해 챔버(C1, C2) 내의 세탁수가 단기간에 토출되지 않고, 드럼(30)의 1 주기 회전동안 상당한 시간동안 리프터(70) 내에 머물 수 있다.
한편, 유량측면에서는 토출구 모두(73a(1), 73a(2), 73a(3))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의 유량(mass flow)은 연통구 모두(71a(1), 71a(2), 71a(3))를 통과하는 세탁수의 유량에 비해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도 드럼(30)의 1 주기 회전동안 상당한 시간동안 소정량의 세탁수가 리프터(70) 내에 담겨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드럼(30)이 정방향(이하, 드럼(30)이 스쿱(72)의 개구부(72a)가 개구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방향으로 회전된다고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역방향으로 회전된다고 정의한다.)으로 회전될 시, 리프터(70)가 최저점(위치 A)에 오면 유입구(72)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된다. 터브(20) 내의 수위는 최저점(위치 A)에서 적어도 스쿱(72)이 잠길 수 있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구(35)보다 높다.
위치 B는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70)가 상승되는 중의 어느 한 지점으로, 토출구(73a)를 통한 세탁수의 토출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이다. 이후, 드럼(30)의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리프터(70)의 위치가 최고점(위치 C)까지 상승되는 중에 토출구(73a)의 높이가 외측 챔버(C2) 내의 수위보다 낮아짐으로써, 토출구(73a)를 통한 세탁수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위치 D는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70)가 하강되는 중의 어느 한 지점으로, 토출구(73a)를 통한 세탁수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드럼(30)이 회전되는 중에 챔버(C1, C2) 내의 세탁수는 관성력에 의해 드럼(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치우치려는 성향을 갖게되며, 따라서 토출구(73a)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은 드럼(30)의 회전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세탁기(1)는 작동 중에 드럼(30)의 회전 속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드럼(30) 내 세탁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한다. 이때, 드럼(30)의 회전속도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관련이 되므로, 낙차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세탁물의 최대 상승 높이는 드럼(30)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례로 세탁구동 중에는 드럼(30)의 회전속도가 50rpm 정도로 제어되는데, 세탁기 기술분야에서 50rpm은 포가 드럼(30)에 달라붙은 상태로 연속하여 회전되는 포 붙임 속도(대략 100rpm 정도)보다는 현저하게 낮은 속도로, 드럼(30)이 회전됨에 따라 들어 올려진 포가 일정 높이에서 낙하됨으로써, 낙하시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포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탁구동은 터브(20) 내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이하, 세제수라고 함.)가 담긴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드럼(30)이 회전되는 동안 세제수가 터브(20), 리프터(70) 및 드럼(30)을 차례로 거친 후 다시 터브(20)로 유입되는 순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순환 과정에서 세제가 균일하게 섞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구(73a)를 통해 토출된 세제수가 포에 직접 가해짐으로써 세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탁구동 보다 낮은 속도로 드럼(30)의 회전이 제어하는 경우는 포적심 구동을 들 수 있는데, 포적심 구동은 포 낙하시의 충격에 대한 고려보다는, 포를 세탁수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으로, 포가 주로 드럼(30)의 하부에서 고르게 분산되도록 될 수 있도록 드럼(30)의 회전속도가 저속(예를 들어, 30rpm 정도)으로 제어된다. 포적심 구동 중에는 토출구(73a)를 통해 세탁구동 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되는 유량이 크기 때문에 포를 효과적으로 적실 수 있다.
특히, 드럼(3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70)가 상승되는 구간에서는, 관성력에 의해 외측 챔버(C2)내의 세탁수가 연통구(71a) 또는 토출구(73a)가 형성된 쪽과 반대쪽(C2(b))으로 쏠리기 때문에 외측 챔버(C2)내에 소정량의 세탁수가 담겨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렇게 퍼올려진 세탁수는 리프터(70)의 하강이 이루어지는 중에 드럼(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드럼(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리프터(70)는 위치 A, D, C, B를 차례로 거친다.
최저점(위치 A)에서 유입구(35)를 통해 챔버(78) 내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터브(20) 내의 수위는 유입구(35)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록 스쿱(72)의 개구방향이 드럼(30)의 회전방향과 반대이어도 유입구(35)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위치 D는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70)가 상승되는 중의 어느 한 지점으로, 토출구(73a)를 통해 세탁수가 토출되고 있다.
이후, 드럼(30)의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리프터(70)가 최고점(위치 C)을 지나 하강되며, 이렇게 하강이 이루어지는 중의 어느 위치를 지나면서 토출구(73a)를 통한 세탁수의 토출이 중단된다. 위치 B는 리프터(70)의 하강 구간에서 토출구(73a)를 통해 더 이상의 세탁수가 토출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드럼(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위치 D와 위치 C 사이에서는 외측 챔버(C2) 내의 세탁수가 관성력에 의해 토출구(73a)가 형성된 쪽(C2(a))으로 쏠리기 때문에 외측 챔버(C2) 내의 대부분의 세탁수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이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70)가 최저위치(A)에 있는 경우, 외측 챔버(C2)에는 소정량의 세탁수가 담기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터브(20) 내의 수위, 연통구(71a) 및/또는 토출구(73a)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되고, 상기 터브에 담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퍼올려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담기는 내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가 형성된 내측 쉘; 및
    상기 내측 쉘을 감싸며, 상기 내측 쉘과의 사이에 상기 연통구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담기는 외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챔버 내의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외측 쉘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쉘과 상기 외측 쉘은 각각 상기 드럼에 대해 고정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중에 상기 외측 챔버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공간과 상기 내측 챔버를 연통시키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는 스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쿱은,
    상기 드럼의 양쪽 회전 방향 중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연통구는 상기 내측 쉘에서 상기 스쿱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외측 쉘에서 상기 스쿱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쉘의 횡단면을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내측 쉘에서 상기 스쿱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 중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연통구까지의 거리는,
    상기 외측 쉘의 횡단면을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외측 쉘에서 상기 스쿱의 개구방향을 향하는 구간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중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토출구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스쿱의 개구방향으로 회전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쉘 및 외측 쉘은 각각,
    상기 드럼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최저 위치에서,
    상기 외측 챔버에는 소정량의 세탁수가 담기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연통구보다 작은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모두를 통해 토출되는 세탁수의 유량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 모두를 통과하는 세탁수의 유량에 비해 적은 세탁기.
  10.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되고, 상기 터브에 담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퍼올려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담기는 내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가 형성된 내측 쉘; 및
    상기 내측 쉘을 감싸며, 상기 내측 쉘과의 사이에 상기 연통구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담기는 외측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챔버 내의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외측 쉘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챔버 내에서 세탁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쉘과 외측 쉘이 상승되는 중의 어느 시점에, 상기 내측 쉘 중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구간과, 상기 외측 쉘 중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사이에 담기고,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쉘과 외측 쉘이 하강되는 중의 어느 시점에, 상기 상기 내측 쉘 중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구간과 상기 외측 쉘 중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구간 사이에 담기는 세탁기.
KR1020130036454A 2013-04-03 2013-04-03 세탁기 KR10204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4A KR102042216B1 (ko) 2013-04-03 2013-04-03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4A KR102042216B1 (ko) 2013-04-03 2013-04-0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49A KR20140120549A (ko) 2014-10-14
KR102042216B1 true KR102042216B1 (ko) 2019-11-07

Family

ID=5199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454A KR102042216B1 (ko) 2013-04-03 2013-04-03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0110B1 (en) 2019-02-01 2021-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6B1 (en) 2019-02-01 2021-03-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9B1 (en) * 2019-02-01 2021-05-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TR201904579A2 (tr) * 2019-03-27 2020-10-21 Arcelik As Akiş düzenleyi̇ci̇ bi̇r kanat i̇çeren çamaşir maki̇nes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47B1 (ko) * 2002-09-25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CN101495694A (zh) * 2006-07-06 2009-07-29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具有空心搅拌器的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135A (ko) * 2003-01-28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47B1 (ko) * 2002-09-25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CN101495694A (zh) * 2006-07-06 2009-07-29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具有空心搅拌器的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49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143B1 (ko) 세탁기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983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2227372B1 (ko) 세탁방법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057821A (ja) 洗濯機
KR100739612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70050583A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WO2016170726A1 (ja) 洗濯機
JP2005124765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042216B1 (ko) 세탁기
KR10246665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5501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471354B2 (ja) 洗濯機
KR2011007297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1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049140B1 (ko) 세탁장치
JP2011115431A (ja) 洗濯機
KR102042217B1 (ko) 세탁기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53142B1 (ko) 세탁기
KR10249315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966211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JP7289042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