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52B1 -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52B1
KR102041952B1 KR1020180059547A KR20180059547A KR102041952B1 KR 102041952 B1 KR102041952 B1 KR 102041952B1 KR 1020180059547 A KR1020180059547 A KR 1020180059547A KR 20180059547 A KR20180059547 A KR 20180059547A KR 102041952 B1 KR102041952 B1 KR 10204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leaning
pipe
heating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윤기
주기동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2Devices for preventing or removing corrosion, slime or sca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의 자동청소 기능스위치가 온되면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난방배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배관청소 스위치가 온되면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난방배관을 청소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여 청소에 사용하면 난방배관 청소에 필요한 급수를 최적화함으로써 과도한 급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난방배관이 막힐 때마다 자동 청소가 수행되므로 난방배관 막힘에 기인한 난방용수 순환 장애와 난방 효율 저하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난방 효율 상승, 보일러 수명 연장, 난방연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보일러의 순환펌프와 급수 압력에 기인하는 고압으로 난방배관을 청소함에 따라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eaning heating piping of a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 청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배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진 보일러가 게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게시된 종래의 배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진 보일러는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리모컨의 청소 버튼을 조작하여 난방배관을 청소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난방배관 내부 상태와 무관하게 청소가 실시되므로 난방배관 내에 이물질이나 스케일이 적재된 상태로 보일러가 난방기능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난방배관 막힘에 기인한 난방용수 순환 장애와 난방 효율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청소의 종료도 사용자가 리모컨의 청소 버튼을 오프해야 종료되므로 청소용 급수량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낭비하거나 청소가 덜 된 상태로 청소가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청소용 급수 압력으로만 난방배관을 청소하므로 청소가 덜 되거나 많은 양의 급수를 투입해야만 적절한 청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KR 10-2008-0039017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자동청소 기능스위치가 온되면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난방배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배관청소 스위치가 온되면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는,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하는 난방분배기 및 상기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분배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 적용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보일러를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게 하는 자동청소기능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청소 기능스위치와; 난방배관 청소를 요청하는 배관청소신호를 출력하는 배관청소 스위치;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되어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 순환경로와 청소용 배수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삼방밸브;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되고 개방 상태에서 청소용 급수를 난방배관으로 공급하는 청소용 급수밸브; 및 상기 삼방밸브와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의 개방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상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를 먼저 작동시켜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감지한 다음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작동시킨 후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게 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난방열교환기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한 후부터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배수량 센서로 상기 삼방밸브의 청소용 배수경로를 통해 배수되는 청소용 배수량을 감지한 결과, 자동 산출된 급수량이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은, 자동청소 기능스위치로부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난방배관회로에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 이후,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는지 판별하는 제2과정; 및 제2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면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를 먼저 작동시켜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감지한 다음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작동시킨 후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게 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난방열교환기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관청소 스위치로부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난방배관이 청소되는 동안 상기 제어기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한 후부터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배수량 센서로 상기 삼방밸브의 청소용 배수경로를 통해 배수되는 청소용 배수량을 감지한 결과, 자동 산출된 급수량이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여 청소에 사용하면 난방배관 청소에 필요한 급수를 최적화함으로써 과도한 급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난방배관이 막힐 때마다 자동 청소가 수행되므로 난방배관 막힘에 기인한 난방용수 순환 장애와 난방 효율 저하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난방 효율 상승, 보일러 수명 연장, 난방연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보일러의 순환펌프와 급수 압력에 기인하는 고압으로 난방배관을 청소함에 따라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회로의 난방기능 작동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회로의 자동청소기능 작동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5는 청소용 급수량 자동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6은 난방배관회로 상의 배관막힘 검지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100)는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200)와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하는 난방분배기(300) 및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와 상기 난방분배기(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를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100)는 자동청소 기능스위치(110)와 배관청소 스위치(120), 삼방밸브(130), 청소용 급수밸브(140) 및 제어기(150)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청소 기능스위치(110)는 보일러를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게 하는 자동청소기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배관청소 스위치(120)는 난방배관 청소를 요청하는 배관청소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삼방밸브(130)는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되어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 순환경로와 청소용 배수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는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되고 개방 상태에서 청소용 급수를 난방배관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삼방밸브(130)와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의 개방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P)와 상기 난방열교환기(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상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개방하고 상기 삼방밸브(130)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P)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P)를 먼저 작동시켜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난방용수 온도센서(S1)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감지한 다음 상기 난방열교환기(200)를 작동시킨 후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S1)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예컨대, 5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게 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P)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P)와 상기 난방열교환기(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예컨대, 5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P)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예컨대, 70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예컨대, 2분) 이내에 가열 작동 중인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예컨대, 10회) 이상 발생하면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개방한 후부터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배수량 센서(S2)로 상기 삼방밸브(130)의 청소용 배수경로를 통해 배수되는 청소용 배수량을 감지한 결과, 자동 산출된 급수량이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130)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100)가 적용되는 보일러의 난방배관회로는 난방기능으로 작동하거나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회로가 난방기능으로 작동하는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130)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난방열교환기(200)를 작동시켜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순환펌프(P)를 작동시켜 가열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킨다(도 2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때, 가열된 난방용수는 상기 난방분배기(300)를 경유하여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된다.
이와 달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회로가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개방하고 상기 삼방밸브(130)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경유하여 청소용 급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순환펌프(P)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고 상기 삼방밸브(130)의 청소용 배수경로로 청소용 급수를 배수한다(도 3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때, 상기 난방열교환기(200)는 가열 작동을 중지하고, 청소용 급수는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하면서 상기 난방분배기(300)를 경유하여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되어 상기 삼방밸브(130)의 청소용 배수경로로 배수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회로를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S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먼저 상기 제어기(150)는 기능스위치(110)로부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한다(S110).
이때, 사용자가 상기 자동청소 기능스위치(110)를 온함에 따라 자동청소 기능스위치(110)로부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제어기(150)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150)는 시운전모드로 난방배관회로에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와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한다(S120).
상기 제어기(150)에 의한 청소용 급수량 자동 산출 방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50)는 시운전모드로 순환펌프(P)를 먼저 작동하여(S121)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난방용수 온도센서(S1)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감지한 다음(S122) 난방열교환기(200)를 작동한다(S123).
이처럼, 순환펌프(P)가 먼저 작동하면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되는 난방용수가 안정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작동 후,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S1)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예컨대, 5도)를 합산한 값보다 큰지를 판별한다(S124).
만약,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예컨대, 5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다면, 상기 제어기(150)는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예컨대, 5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게 될 때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P)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한다(S125).
이와 달리, 만약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예컨대, 5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제어기(150)는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P)와 상기 난방열교환기(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예컨대, 5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한다(S126).
이때,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예컨대, 5분)이 경과하였다고 판별되면,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의 비교기준시간(예컨대, 5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P)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한다(S125).
상기한 바와 같이 청소용 급수량이 자동 산출되면, 이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는지 판별한다(S130).
이때, 상기 제어기(150)는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한다.
상기 제어기(150)에 의한 배관막힘 감지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50)는 먼저 사용자가 보일러의 리모컨 등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설정한 난방설정온도(예컨대, 70도)를 확인한 다음(S131), 현재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가열 작동 중에 감지되는 현재 난방용수온도가 상기의 난방설정온도(예컨대, 70도)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132).
만약, 현재 난방용수온도가 상기의 난방설정온도(예컨대, 70도) 이상으로 판별되면, 연이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가열 작동 후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예컨대, 70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예컨대, 2분) 이내인지를 판별한다(S133).
만약, 상기의 비교기준시간(예컨대, 2분) 이내로 판별되면, 연이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예컨대, 10회) 이상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한다(S134,S135).
만약, 상기 난방열교환기(200)의 소화가 상기의 비교기준횟수(예컨대, 10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한다(S136).
상기한 바와 같이 배관막힘이 검지되면, 이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140)를 개방하고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130)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순환펌프(P)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난방배관을 청소한다(S140).
한편, 상기 S130 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배관청소 스위치(120)가 온됨에 따라 상기 배관청소 스위치(120)로부터 배관청소신호가 제어기(150)로 입력되면(S150),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120)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130)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P)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한다(S140).
다른 한편, 상기 난방배관이 청소되는 동안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20)를 개방한 후부터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배수량 센서(S2)로 상기 삼방밸브(130)의 청소용 배수경로를 통해 배수되는 청소용 배수량을 감지한 결과, 자동 산출된 급수량이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120)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130)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의 난방기능으로 보일러의 난방배관회로를 작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여 청소에 사용하면 난방배관 청소에 필요한 급수를 최적화함으로써 과도한 급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난방배관이 막힐 때마다 자동 청소가 수행되므로 난방배관 막힘에 기인한 난방용수 순환 장애와 난방 효율 저하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난방 효율 상승, 보일러 수명 연장, 난방연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보일러의 순환펌프와 급수 압력에 기인하는 고압으로 난방배관을 청소함에 따라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0: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110: 자동청소 기능스위치
120: 배관청소 스위치 130: 삼방밸브
140: 청소용 급수밸브 150: 제어기
200: 난방열교환기 300: 난방분배기
P: 순환펌프 S1: 난방용수 온도센서
S2: 배수량 센서

Claims (11)

  1.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하는 난방분배기 및 상기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분배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 적용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보일러를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게 하는 자동청소기능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청소 기능스위치와;
    난방배관 청소를 요청하는 배관청소신호를 출력하는 배관청소 스위치;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되어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 순환경로와 청소용 배수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삼방밸브;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되고 개방 상태에서 청소용 급수를 난방배관으로 공급하는 청소용 급수밸브; 및
    상기 삼방밸브와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의 개방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상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고,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를 먼저 작동시켜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감지한 다음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작동시킨 후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게 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제어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지 않는 경우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3.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하는 난방분배기 및 상기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분배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 적용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보일러를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게 하는 자동청소기능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청소 기능스위치와;
    난방배관 청소를 요청하는 배관청소신호를 출력하는 배관청소 스위치;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되어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 순환경로와 청소용 배수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삼방밸브;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되고 개방 상태에서 청소용 급수를 난방배관으로 공급하는 청소용 급수밸브; 및
    상기 삼방밸브와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의 개방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상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고,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난방열교환기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하는 제어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4.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경로로 분배 및 회수하는 난방분배기 및 상기 난방열교환기와 상기 난방분배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난방배관회로에 적용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에 있어서,
    보일러를 자동청소기능으로 작동하게 하는 자동청소기능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청소 기능스위치와;
    난방배관 청소를 요청하는 배관청소신호를 출력하는 배관청소 스위치;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되어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 순환경로와 청소용 배수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삼방밸브;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되고 개방 상태에서 청소용 급수를 난방배관으로 공급하는 청소용 급수밸브; 및
    상기 삼방밸브와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의 개방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후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거나 상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고,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한 후부터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배수량 센서로 상기 삼방밸브의 청소용 배수경로를 통해 배수되는 청소용 배수량을 감지한 결과, 자동 산출된 급수량이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하는 제어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5. 자동청소 기능스위치로부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난방배관회로에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 이후,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는지 판별하는 제2과정; 및
    제2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면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3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를 먼저 작동시켜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가열전 난방용수온도를 감지한 다음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작동시킨 후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게 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난방용수 온도센서로 감지한 가열후 난방용수온도가 상기 가열전 난방용수온도에 미리 정한 비교기준온도를 합산한 값보다 크지 않는 경우 정해진 비교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기 순환펌프의 펌핑작동유량을 적산한 값을 청소용 급수량으로 자동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배관이 청소되는 동안 상기 제어기는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한 후부터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설치된 배수량 센서로 상기 삼방밸브의 청소용 배수경로를 통해 배수되는 청소용 배수량을 감지한 결과, 자동 산출된 급수량이면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를 닫고 상기 삼방밸브를 난방용수 순환경로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
  8. 자동청소 기능스위치로부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난방배관회로에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 이후,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는지 판별하는 제2과정; 및
    제2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면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3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과정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현재 설정된 상기 난방설정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비교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난방열교환기의 소화가 배관막힘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정한 비교기준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
  9. 자동청소 기능스위치로부터 자동청소기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가 시운전모드로 난방배관회로에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난방배관을 흐르는 난방용수를 정해진 난방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난방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청소용 급수량을 자동 산출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 이후,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에서의 배관막힘이 검지되는지 판별하는 제2과정; 및
    제2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면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3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과정에서 배관막힘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관청소 스위치로부터 배관청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가 상기 난방배관회로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청소용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배관회로에 배치된 삼방밸브를 청소용 배수경로로 개방한 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자동 산출된 급수량으로 상기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59547A 2018-05-25 2018-05-25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KR10204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47A KR102041952B1 (ko) 2018-05-25 2018-05-25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47A KR102041952B1 (ko) 2018-05-25 2018-05-25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52B1 true KR102041952B1 (ko) 2019-11-07

Family

ID=6857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47A KR102041952B1 (ko) 2018-05-25 2018-05-25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587A (zh) * 2022-05-31 2022-08-19 德州华海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油田用油污泥注入设备
KR102531871B1 (ko) * 2022-03-30 2023-05-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통합배관시스템의 난방배관 자동청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295A (ko) * 2001-09-20 2001-11-09 황종구 보일러 난방 배관의 내경 세척 방법
KR20080039017A (ko) 2006-10-31 2008-05-07 박상부 초음파를 이용한 직물 절단 장치 및 직물 절단 방법
KR20090113111A (ko) * 2008-04-25 2009-10-29 김광수 배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진 보일러 및 그 방법
KR101311353B1 (ko) * 2011-11-11 2013-09-25 김현철 세척장치를 포함한 보일러
KR101777055B1 (ko) * 2016-06-09 2017-09-11 김도용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보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295A (ko) * 2001-09-20 2001-11-09 황종구 보일러 난방 배관의 내경 세척 방법
KR20080039017A (ko) 2006-10-31 2008-05-07 박상부 초음파를 이용한 직물 절단 장치 및 직물 절단 방법
KR20090113111A (ko) * 2008-04-25 2009-10-29 김광수 배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진 보일러 및 그 방법
KR101311353B1 (ko) * 2011-11-11 2013-09-25 김현철 세척장치를 포함한 보일러
KR101777055B1 (ko) * 2016-06-09 2017-09-11 김도용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71B1 (ko) * 2022-03-30 2023-05-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통합배관시스템의 난방배관 자동청소장치
CN114922587A (zh) * 2022-05-31 2022-08-19 德州华海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油田用油污泥注入设备
CN114922587B (zh) * 2022-05-31 2023-05-12 德州华海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油田用油污泥注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575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горячей воды в системе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при низком расходе воды
JP5225745B2 (ja) ドレン排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4996130B2 (ja) 熱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41952B1 (ko) 보일러 난방배관 자동 청소 장치 및 방법
JP2003343925A (ja) 液体排出装置
WO2020168345A1 (en) Integrated recirculation pump for non-condensing water heater
JP2009036478A (ja) 燃焼装置
US10801751B2 (en) Water consuming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967560B2 (ja) 電気温水器
JP2011069610A (ja) ドレン排出装置及びドレン排出方法
JP5092302B2 (ja) 風呂機能付き給湯装置
JP4516047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4761154B2 (ja) 浴槽洗浄装置
JP4353916B2 (ja) 熱源装置の不用水排出装置
JP2006090564A (ja) 潜熱回収型温水暖房装置
JP5383401B2 (ja) ドレン排水装置
KR102087214B1 (ko) 수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 응급운전방법
KR102531871B1 (ko) 통합배관시스템의 난방배관 자동청소장치
KR20100009726U (ko) 에너지절약형 보일러 난방장치
JP5092303B2 (ja) 風呂システム
JP5662224B2 (ja) 潜熱回収熱源装置
JP2018040535A (ja) ろ過装置
JP2018091568A (ja) 給湯システム
JP2009264707A (ja) 給湯システム
JP2002031411A (ja) 電気温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