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603B1 -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 Google Patents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603B1
KR102041603B1 KR1020170136594A KR20170136594A KR102041603B1 KR 102041603 B1 KR102041603 B1 KR 102041603B1 KR 1020170136594 A KR1020170136594 A KR 1020170136594A KR 20170136594 A KR20170136594 A KR 20170136594A KR 102041603 B1 KR102041603 B1 KR 10204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ooth
composition
pigment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315A (ko
Inventor
박성원
박준범
Original Assignee
박성원
박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원, 박준범 filed Critical 박성원
Priority to KR102017013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6/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61K6/0052
    • A61K6/0058
    • A61K6/027
    • A61K6/04

Abstract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 광개시제 1~20중량부, 백색안료 0.1~10중량부, 및 유색안료 0.001~0.15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Composition for forming artificial tooth, method of preparing artificial tooth and artificial tooth prepared thereby}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갖는 인공 치아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가 개시된다.
인공 치아로는 금과 같은 금속을 이용한 금속 크라운, 금속 뼈대 표면에 포세린 도재를 축성하는 방식의 PFM(porcelain fused metal), 산화지르코늄 원석을 깎아 만든 지르코니아, 또는 수지로 제조된 인공 치아 등이 있다.
그러나, 금속 크라운은 심미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을 이용한 크라운인 경우 금값의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포세린 도재를 포함하는 PFM은 포세린의 인장강도가 자연 치아에 비해 떨어져서 교합압에 의해 도재가 분리되거나 금이 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르코니아 인공 치아는 산화지르코늄의 인장강도가 자연 치아에 비해 강해 이식된 인공 치아와 교합되는 정상 치아가 교합압에 의해 금이 가거나 깨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수지로 제조된 인공 치아는 자연 치아의 색상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41682호에는 치아 전체를 지르코니아로 성형하는 지르코니아 치아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심미적 효과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자연 치아에 비해 인장강도가 강한 지르코니아를 사용하여 인공 치아를 형성함에 따라, 이식 후 교합압에 의해 오히려 정상 치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사람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갖는 인공 치아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
광개시제 1~20중량부;
백색안료 0.1~10중량부; 및
유색안료 0.001~0.15중량부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색안료는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색안료 0.0005~0.075중량부 및 주황색안료 0.0005~0.07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황색안료는 적색안료 및 황색안료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금홍석(rutile),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리토폰(lithopone), 연백(lead white), 산화안티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5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금홍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300~8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액상의, 광경화성의, 3D 프린팅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완전경화시켜 최종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및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은 사람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가지며, 투명도가 향상된 인공 치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 및 투명도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1~2-3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 및 각 대응 Shade의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3D(three dimensional) 프린터를 이용한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로서, 사람의 자연 치아와 유사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조성물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술후 인공 치아는 자연 치아와 색상 차이가 많이 나서 다른 사람의 눈에 쉽게 띄어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시술 사실이 드러나 개인 사생활을 침해하는 측면이 있어서 인공 치아를 장착한 사람의 만족감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아 형성용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사람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뿐만 아니라 사람의 자연 치아와 유사한 투명도를 갖는 인공 치아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사람마다 자연 치아의 색상 및 투명도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특정 환자에 맞도록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의 비율을 커스터마이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 광개시제 1~20중량부, 백색안료 0.1~10중량부 및 유색안료 0.001~0.1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UV(자외선) 경화성이거나, 및/또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히드록시펜타크릴레이트(DPHPA), 헥산디올-1,6-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α,ω-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렌옥시카보닐옥시) 에틸렌옥시에틸렌(OKM-2),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톡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비스(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비스페놀-A 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글리세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프로폭실레이트 글리세롤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G), N-비닐 피롤리돈(VP), 9-비닐카바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톡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아세토페논, 벤질, 벤조인, 벤조페논, 2-벤조일벤조산,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필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4-벤조일벤조산,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바이이미다졸, 메틸 2-벤조일벤조에이트, 2-(1,3-벤조디옥솔-5-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부티로페논, (±)-캄포퀴논, 2-클로로티옥산톤, 4,4'-디클로로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4-디에틸티옥산텐-9-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1,4-디벤조일벤젠, 2-에틸안트라퀴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리튬 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피네이트, 2-메틸-4'-(메틸티오)-2-모르포리노프로피오페논, 2-이소니트로소프로피오페논, 2-페닐-2-(p-톨루엔술포닐옥시)아세토페논,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시간이 적당하고 저장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경화물(즉, 최종 인공 치아)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매끈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금홍석(rutile),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리토폰(lithopone), 연백(lead white), 산화안티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20~80nm(예를 들어, 40~60nm)의 평균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백색안료는 5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금홍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의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20~80nm)이내이면,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내에서 상기 백색안료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저장 안정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최종 인공 치아의 투명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유색안료는 황색안료 및 주황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색안료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5~0.07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주황색안료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5~0.07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주황색안료는 적색안료 및 황색안료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주황색안료는 적색안료 2중량부와 황색안료 8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황색안료는 황색 4호(Tartrazine), 황색 5호(Sunset Yellow FCF), 황색 201호(Fluorescein), 황색 202호의(1)(Uranine), 황색 202호의(2)(Uranine K), 황색 203호(Quinoline Yellow WS), 황색 204호(Quinoline Yellow SS), 황색 401호(Hanza Yellow), 황색 403호의(1)(Naphthol Yellow S), 황색 407호(Fast Light Yellow 3G), 황색산화철(Iron Oxide Yellow, Hydrated Ferric Oxide), 에치씨황색 7호(HC Yellow No. 7), 에치씨황색 17호(HC Yellow No. 17), 염기성황색 57호(Basic Yellow 57), 황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색안료는 적색 2호(Amaranth), 적색 40호(Allura Red AC), 적색 102호(New Coccine), 적색 103호의(1)(Eosine YS), 적색 104호의(1)(Phloxine B), 적색 104호의(2)(Phloxine BK), 적색 106호(Acid Red), 적색 201호(Lithol Rubine B), 적색 202호(Lithol Rubine BCA), 적색 205호(Lithol Red), 적색 206호(Lithol Red CA), 적색 207호(Lithol Red BA), 적색 208호(Lithol Red SR), 적색 218호(Tetrachlorotetrabromofluorescein), 적색 219호(Brilliant Lake Red R), 적색 220호(Deep Maroon), 적색 221호(Toluidine Red), 적색 223호(Tetrabromofluorescein), 적색 225호(Sudan III), 적색 226호(Helindone Pink CN), 적색 227호(Fast Acid Magenta), 적색 228호(Permaton Red), 적색 230호의(2)(Eosine YSK), 적색 401호(Violamine R), 적색 405호(Permanent Red F5R), 적색 504호(Ponceau SX), 적색 506호(Fast Red S), 적색산화철(Iron Oxide Red, Ferric Oxide), 염기성적색 51호(Basic Red 51), 염기성적색 76호(Basic Red 76), 에치씨적색 1호(HC Red No. 1), 산성적색 52호(Acid Red 52), 산성적색 92호(Acid Red 92)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300~800cps(centipoise)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Brookfield사의 DV-Ⅲ Rheometer RPM(shear rate: 25/s)을 사용하여 상온(25℃)에서 측정된 점도를 의미한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물, 메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메틸 글리콜 아세테이트, 톨루엔, 벤젠, 디에틸 에테르, 벤질 알코올,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안정화제, 항산화제,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벤조페논, 옥사닐리드, 벤조트리아졸, 할로겐화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sterically hindered phenol), 방해된 아민(hindered amine), 인산 유도체, 티오에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액상(또는 현탁액)이고, 광경화성이며, 3D 프린팅용일 수 있다.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 상기 광개시제 1~20중량부, 상기 백색안료 0.1~10중량부 및 상기 유색안료 0.001~0.1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비에 따라 사람의 다양한 자연 치아의 색상 및/또는 투명도를 갖는 인공 치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 범위내에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상기 광개시제, 상기 백색안료 및 상기 유색안료의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특정 환자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 및/또는 투명도를 갖는 인공 치아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상기 백색안료 및 상기 유색안료의 혼합비율에 따라 최종 인공 치아의 색상 및/또는 투명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인공 치아의 투명도는 상기 백색안료의 평균입경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은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완전경화시켜 최종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10)에서는 특정 환자의 자연 치아 색상에 맞도록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의 조성 범위내에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상기 광개시제, 상기 백색안료 및 상기 유색안료의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에서는 상기 백색안료의 평균입경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저장 안정성이 높은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및/또는 고투명도의 인공 치아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는 3D 프린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3D 프린팅 공정 중에 프린팅된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에 자외선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부분경화시켜 인공 치아의 형상을 만들어 간다. 본 명세서에서, “부분경화(partial curing)”란 경화율이 40%~90%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별도의 경화장치를 사용하여 완전경화시킴으로써 최종 인공 치아를 제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완전경화(complete curing)”란 경화율이 99%~100%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자연 치아 색상과 유사한 색상 및/또는 투명도를 갖는 인공 치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치아의 발색방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인공 치아는 우수한 심미성(색상, 투명도)과 기계적 물성(경도, 인성)을 갖는다.
상기 우수한 심미성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상기 백색안료 및 상기 유색안료의 적절한 혼합비율 및 상기 백색안료의 입도 조절에 의한 것이고, 상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물성(결국,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의 물성)에 의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5: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경화성 화합물로서 비스페놀 A 에톡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Cas No. 41637-38-1)(PP1),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Cas No. 72869-86-4)(PP2),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Cas No. 109-16-0)(PP3) 및/또는 비스페놀 A 글리세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Cas No. 1565-94-2)(PP4), 광중합개시제로서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Cas No. 162881-26-7)(PI), 백색안료로서 금홍석(Cas No. 1317-80-2), 황색안료(우신 피그먼트에 주문 제작) 및 하기와 같이 제조된 주황색안료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주황색안료는 적색안료 (우신 피그먼트에 주문 제작) 및 황색안료 (우신 피그먼트에 주문 제작)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물질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각 수치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실시예
1-1 1-2 1-3 1-4 1-5 1-6 1-7
광중합성 화합물 PP1 31 37 53 31 31 31 31
PP2 27 32 47 27 27 27 27
PP3 25 31 0 25 25 25 25
PP4 17 0 0 17 17 17 17
소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광개시제 6 6 6 6 6 6 6
백색안료 3 0.1 10 3 3 3 3
황색안료 0.03775 0.03775 0.03775 0.0005 0.075 0.0075 0.0005
주황색안료 0.03775 0.03775 0.03775 0.0005 0.075 0.0005 0.075
비교예
1-1 1-2 1-3 1-4 1-5
광중합성 화합물 PP1 31 37 31 31 31
PP2 27 32 27 27 27
PP3 25 31 25 25 25
PP4 17 0 17 17 17
소계 100 100 100 100 100
광개시제 6 6 6 6 6
백색안료 0.05 12 3 3 3
황색안료 0.03775 0.03775 0.08 0.0005 0.075
주황색안료 0.03775 0.03775 0.08 0.0004 0.08
실시예 2-1~2-7 및 비교예 2-1~2~5: 인공 치아의 제조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터로 프린팅하고 부분경화시켜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경화장치를 사용하여 완전경화시켜 최종 인공 치아를 제조하였다. 상기 3D 프린터와 경화장치는 한 세트로 제작된 것으로서, Ray Dent Studio社 제품이다. 각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3개씩의 인공 치아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인공 치아의 색상 및 투명도 평가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에 대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훈련된 5명의 평가요원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색상이 서로 다른 16개의 Shade를 구비한 Vita classical Shade guide를 준비하였다. 상기 각 Shade는 여러 사람의 자연 치아의 색상을 모방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후, 상기 실시예 2-1~2-7 및 비교예 2-1~2~5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를 상기 Shade와 비교하여 색상 및 투명도가 가장 유사한 것끼리 일대일로 매칭시켰다. 이후, 서로 매칭된 인공 치아와 Shade의 그룹에 대하여 색상 및 투명도의 유사성의 정도를 5점법으로 각각 평가한 후, 각 점수를 항목별로 평균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각 항목별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항목의 유사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1 2-2 2-3 2-4 2-5 2-6 2-7
색상 4.3 4.5 4.6 4.7 4.8 4.5 4.4
투명도 4.5 4.6 4.7 4.8 4.4 4.6 4.6
비교예
2-1 2-2 2-3 2-4 2-5
색상 2.0 2.3 2.5 2.6 2.4
투명도 3.0 3.4 3.2 3.1 3.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1~2-7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는 비교예 2-1~2-5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에 비해, 색상 및 투명도가 각 대응 Shade와 더욱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2-1~2-3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 및 각 대응 Shade의 사진을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의 사진이고, 도 2의 (b)는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의 사진이고, 도 2의 (c)는 실시예 2-3에서 제조된 인공 치아의 사진이다. 도 2에서, 인공 치아는 금속 재질의 손잡이가 없는 짧은 것들이고, 각 대응 Shade는 금속 재질의 손잡이가 없는 긴 것들이다.
이상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
    광개시제 1~20중량부;
    백색안료 0.1~10중량부; 및
    유색안료 0.001~0.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색안료는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색안료 0.0005~0.075중량부 및 주황색안료 0.0005~0.075중량부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황색안료는 적색안료 및 황색안료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투명한 것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는 금홍석(rutile),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리토폰(lithopone), 연백(lead white), 산화안티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는 50nm의 평균입경을 갖는 금홍석을 포함하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300~800cps의 점도를 갖는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액상의, 광경화성의, 3D 프린팅용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부분경화된 인공 치아를 완전경화시켜 최종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따른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KR1020170136594A 2017-10-20 2017-10-20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KR10204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94A KR102041603B1 (ko) 2017-10-20 2017-10-20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94A KR102041603B1 (ko) 2017-10-20 2017-10-20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15A KR20190044315A (ko) 2019-04-30
KR102041603B1 true KR102041603B1 (ko) 2019-11-06

Family

ID=6628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94A KR102041603B1 (ko) 2017-10-20 2017-10-20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94A1 (ko)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오디에스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80B1 (ko) * 2019-04-04 2020-07-06 박성원 치아 색상 발현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진 인공치아
KR102432983B1 (ko) * 2020-04-08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공 구조 제어를 통한 강도 증진된 자이로이드 구조의 세라믹 스캐폴드 제조
KR102422823B1 (ko) * 2020-08-26 2022-07-19 박성원 투명 치아 교정장치 형성용 조성물,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JP7255757B2 (ja) * 2020-10-08 2023-04-11 Dic株式会社 光造形用樹脂組成物
KR102530648B1 (ko) * 2020-12-29 2023-05-09 주식회사 올덴솔루션 리튬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KR20230149368A (ko) * 2022-04-19 2023-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d 프린팅용 치관용 레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5562B1 (ko) * 2023-06-09 2023-10-06 (주)스피덴트 치과용 임시 레진 시멘트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760A (ja) 2001-03-22 2002-10-29 Heraeus Kulzer Gmbh 義歯の製造方法、義歯材料及びその使用
KR101144055B1 (ko) * 2010-03-10 2012-05-23 가부시키가이샤 유닉스 재팬 치과용 성형체 및 치과용 수지재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986654T (pt) * 2013-04-18 2020-06-17 Dentca Inc Composições de resinas fotocuráveis e método para as utilizar em impressão tridimensional para o fabrico de dentes artificiais e de bases de próteses dentári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760A (ja) 2001-03-22 2002-10-29 Heraeus Kulzer Gmbh 義歯の製造方法、義歯材料及びその使用
KR101144055B1 (ko) * 2010-03-10 2012-05-23 가부시키가이샤 유닉스 재팬 치과용 성형체 및 치과용 수지재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94A1 (ko)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오디에스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KR20220026882A (ko) * 2020-08-26 2022-03-07 박성원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KR102444194B1 (ko) 2020-08-26 2022-09-16 박성원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15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603B1 (ko)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JP7036810B2 (ja) 層状歯科用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3次元造形材料系および方法
CN111050694B (zh) 使用增材制造方法制成的可辐射固化组合物和复合材料制品
KR102130780B1 (ko) 치아 색상 발현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진 인공치아
EP3689322B1 (en) Preparation method for dental material with transmittance and color gradients
US10765492B2 (en) Dental vene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2801345B1 (de) Langlebiges Dentalmaterial mit verbesserten transparenten Eigenschaften
CN105705112A (zh) 牙科研磨坯料
JP6929014B2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の製造方法
GB2320028A (en) Dental elastic restorative material
WO2018074583A1 (ja) 歯科切削加工用複合レジ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3527166B1 (de) Dentale formkörper mit kontinuierlichem farbverlauf
JP2023510962A (ja) 高い硬化深度を有する審美的歯科充填材料
DE102019106152A1 (de) Strahlenhärtbare Zusammensetzung zur Verwendung in Rapid-Prototyping- oder Rapid-Manufacturing-Verfahren
DE102017103084A1 (de) Dentaler Kompositblock zur Herstellung permanenter indirekter Restaurationen im CAD/CAM Verfahren
US11278381B2 (en) Monochromatic dental shaped article and blank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EP3481328B1 (de) Mehrfarbiger fräsrohling für implantat-getragene dentale, prothetische versorgungen,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KR102444194B1 (ko) 인공 치아 형성용 조성물, 인공 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치아
WO2014130730A1 (en) Less yellowing nail coating
EP2593069B1 (de) Füllstoffe für dentalkomposite
JPWO2020138472A1 (ja) 色調最適化された歯科用ミルブランク
EP3335687A1 (de) Ausbrennbares dentales modelliermaterial
WO2019065777A1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9106151A1 (de) Strahlenhärtbare Zusammensetzung zur Verwendung in Rapid-Prototyping- oder Rapid-Manufacturing-Verfahren
KR102422823B1 (ko) 투명 치아 교정장치 형성용 조성물,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