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10B1 -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 Google Patents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10B1
KR102041510B1 KR1020180055109A KR20180055109A KR102041510B1 KR 102041510 B1 KR102041510 B1 KR 102041510B1 KR 1020180055109 A KR1020180055109 A KR 1020180055109A KR 20180055109 A KR20180055109 A KR 20180055109A KR 102041510 B1 KR102041510 B1 KR 10204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loth
side airbag
covering
fasten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윤애리정
김현성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이 그 외부를 감싸는 내측 패드와, 사이드에어백의 타측에 배치되며 외측 커버링이 그 외부를 감싸는 외측 패드와, 사이드에어백과 내측 패드 사이에 위치해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을 감싸는 내측 보강천과, 외측 패드 측에 배치되어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은 일측 단부가 내측 커버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부재를 통해 시트백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외측 보강천은 일측 단부가 외측커버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체결부재를 통해 내측 보강천의 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GUIDE STRUCTURE OF SIDE AIR BAG}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천을 이용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를 형성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보강천의 장착 누락 또는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안전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차량의 운전석 및 보조석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를 들 수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시 에어백 내부로 압축가스를 순간적으로 주입해 에어백을 팽창시켜 팽창된 에어백을 통해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거에는 탑승자의 전방에서 팽창하는 프론트에어백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차량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와 탑승자 보호가 강조되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탑승자를 측면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사이드에어백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사이드에어백(1)이 내장된 패드(2), 패드(2)를 감싸는 커버링(3), 패드(2)와 커버링(3) 사이에 위치하며 커버링(3)과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천(4) 및 백킹클로스(5) 등으로 구성되며, 사이드에어백(1)의 내측 및 외측에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내측 가이드(6)와 외측 가이드(7)가 구비되어 사이드에어백(1)의 전개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탑승자와 인접한 위치에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내측 가이드(6)가 위치해 차량 충돌시 내측 가이드(6)에 의해 탑승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 또한, 사이드에어백(1) 전개시 내측 가이드(6)와 외측 가이드(7)에 의해 사이드에어백(1)이 압축되어 내부의 가스가 빠르게 빠져나가는 바텀 아웃(bottom out)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내측 가이드(6)와 외측 가이드(7)의 적용으로 인해 생산원가 및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술한 내측 가이드 및 외측 가이드 대신 보강천을 이용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를 형성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에어백(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40)이 그 외부를 감싸는 내측 패드(20), 사이드에어백(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외측 커버링(50)이 그 외부를 감싸는 외측 패드(30), 사이드에어백(10)과 내측 패드(20) 사이에 위치해 사이드에어백(10)의 일측을 감싸는 내측 보강천(60), 외측 커버링(50)에 일체로 결합되어 외측 패드(30)의 일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천(70) 등으로 구성되며, 내측 보강천(60)과 외측 보강천(70)은 체결부[W형 후크(80) 및 J형 후크(60a)]를 통해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에어백(10) 주위에 단단한 재질의 내측 가이드 및 외측 가이드를 형성하지 않아도 내측 보강천(60)과 외측 보강천(70)에 의해 사이드에어백(10)이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가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내측 패드(20)와 외측 패드(30)를 조립한 다음 외측 커버링(50)과 일체로 결합된 외측 보강천(70)을 장착하고[외측 보강천(70) 끝단에 구비된 W형 후크(80)의 일측 체결부(82)에 시트백프레임(90)을 체결함], 시트에 형성된 좁은 절개부를 통해 내측 보강천(60)을 삽입하여 내측 보강천(60) 끝단에 형성된 J형 후크(60a)를 외측 보강천(70)에 구비된 W형 후크(80)의 타측 체결부(84)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진행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과정은 패드 및 커버링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시트의 일측에 형성된 좁은 절개부를 통해 내측 보강천(60)을 삽입해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내측 보강천(60), 외측 보강천(70), 시트백프레임(90)을 상호체결하는 체결부 구조가 좌우대칭인 W형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외측 보강천(70)을 시트백프레임(90)에 체결한 이후 내측 보강천(60)의 장착을 누락할 위험이 있고, 이러한 내측 보강천(60)의 체결 누락은 후속 공정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매우 어려워 향후 에어백 내부 전개 등의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보강천을 이용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전술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질적인 상용화가 수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0336호
본 발명은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보강천 및 외측 보강천의 체결구조를 개선해 보강천의 장착 누락 또는 오장착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이 그 외부를 감싸는 내측 패드와, 사이드에어백의 타측에 배치되며 외측 커버링이 그 외부를 감싸는 외측 패드와, 사이드에어백과 내측 패드 사이에 위치해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을 감싸는 내측 보강천과, 외측 패드 측에 배치되어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은 일측 단부가 내측 커버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부재를 통해 시트백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외측 보강천은 일측 단부가 외측커버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체결부재를 통해 내측 보강천의 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의 고정부재는 일측에 시트백프레임이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외측 보강천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보강천의 체결부재는 고정부재의 제2 체결부에만 체결되고 시트 내부의 다른 구조물에는 결합되지 않는 제2 체결부 전용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의 일측 단부는 내측 커버링에 봉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의 타측 단부는 고정부재에 봉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보강천의 일측 단부는 외측 커버링에 봉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보강천의 타측 단부는 체결부재에 봉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커버링과 외측 커버링은 일측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과 외측 커버링의 마주하는 단부는 봉제로 결합되어 사이드에어백 전개를 위한 티어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시트백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부재가 외측 보강천이 아닌 내측 보강천에 구비되어 있다. 즉, 내측 보강천을 시트백프레임에 고정시킨 다음 외측 보강천을 내측 보강천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드 및 커버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내부의 좁은 공간을 통해 내측 보강천을 장착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내측 보강천이 장착 누락되거나 오장착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내측 보강천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제1 체결부(시트백프레임이 체결되는 체결부)와 제2 체결부(외측 보강천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재의 대칭 형상으로 인해 작업자가 일측의 보강천 장착을 누락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외측 보강천의 체결부재가 내측 보강천의 고정부재의 제2 체결부에만 체결될 수 있는 전용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천이 장착 누락되거나 다른 부위에 잘못 장착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통상의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라 자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단면구조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보강천을 이용한 종래의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보강천 체결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의 A 부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보강천 체결부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B 부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내측 보강천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도 5에 도시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패드 관통부 부위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C 부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부재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보강천(내측 보강천 및 외측 보강천)을 이용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100)는, 사이드에어백(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140a)이 그 외부를 감싸는 내측 패드(120)와, 사이드에어백(1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외측 커버링(140b)이 그 외부를 감싸는 외측 패드(130)를 포함한다. 내측 패드(120)와 외측 패드(130)는 일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어 일측에 패드 관통부(192)를 형성해 패드 관통부(192)를 통해 사이드에어백이 외부로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에어백(110)과 내측 패드(120) 사이에는 내측 보강천(150)이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에서는 내측 보강천이 커버링과 일체로 결합되어 내측 패드 외측에 위치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내측 보강천(150)을 사이드에어백(110)과 내측 패드(120) 사이에 위치시켜 내측 보강천(150)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커버링(140b)의 내측에는 외측 보강천(160)이 일체로 결합되어 외측 패드(13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경우에는 커버링에 결합된 백킹클로스가 단순히 패드의 외부를 보호하고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외측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외측 보강천(160)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가 직접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150)과 외측 보강천(160)은 적당한 신축성과 함께 적당한 인장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 보강천(150) 및 외측 보강천(160)은 옥스포드 천 등의 재질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100)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내측 및 외측 가이드를 제외하고 유연한 재질의 보강천을 이용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단단한 내측 가이드에 의해 상해를 입을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사이드에어백이 압축되어 압축가스가 빠르게 빠져버리는 바텀 아웃(bottom out)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150) 및 외측 보강천(160)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구조[내측 보강천(150)에 구비된 고정부재(170) 및 외측 보강천(160)에 구비된 체결부재(18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보강천(150)은 일측 단부에 고정부재(17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 보강천(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시트백 프레임(190)이 체결되는 제1 체결부(172)를 구비하고 타측에 외측 보강천(160)의 체결부재(180)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174)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170)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172)와 제2 체결부(174)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경우에는 고정부재가 시트백프레임이 장착되는 부분과 내측 보강천의 체결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이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실수로 일부 보강천의 체결이 누락될 위험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시트백프레임이 체결되는 제1 체결부(172)와 외측 보강천이 체결되는 제2 체결부(174)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강천의 장착 누락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경우에는 시트백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부재가 외측 보강천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 커버링과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 보강천을 장착한 이후에 내측 보강천을 외측 보강천에 연결해야만 하여 조립성이 좋지 못하였고, 좁은 공간에서 내측 보강천의 장착이 누락될 위험이 높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시트백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부재가 내측 보강천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보강천을 먼저 시트백프레임이 고정시킨 다음에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보강천을 내측 보강천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조립성이 개선되고 보강천의 장착 누락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보강천(160)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 보강천(160)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체결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보강천(160)의 체결부재(180)는 내측 보강천(150)의 고정부재(170)에 형성된 제2 체결부(174)에만 체결될 수 있는 전용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보강천을 이용한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의 경우에는 W형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에 J형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재를 결합해 내측 보강천을 외측 보강천에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J형 후크는 차량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체결구조로 임의의 다른 구조물에도 쉽게 걸려서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보강천이 외측 보강천이 아닌 다른 부위에 잘못 체결될 위험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는 체결부재의 형상을 고정부재의 체결부에만 결합될 수 있는 전용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체결부재가 고정부재가 아닌 위치에 잘못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둔각으로 벌어진 형상으로 체결부재를 형성해, 체결부재가 고정부재의 제2 체결부 이외의 위치에서는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체결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패드(120) 및 외측 패드(130)의 외부는 커버링[내측 커버링(140a) 및 외측 커버링(140b)]으로 둘러싸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8 참조). 예컨대, 내측 패드(120)는 내측 커버링(140a)으로 둘러싸이고 외측 패드(130)는 외측 커버링(140b)으로 둘러싸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측 커버링(140a)과 외측 커버링(140b)은 끝단이 패드 관통부(192)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링(140a)과 외측 커버링(140b)의 끝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로 서로 결합되어 봉제선에 의해 티어라인(tear line, 140c)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티어라인(140c)은 사이드에어백(110)이 팽창하면 찢어지면서 사이드에어백이 외부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때 내측 보강천(150)과 외측 보강천(160)이 사이드에어백의 전개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110: 사이드에어백
120: 내측 패드
130: 외측 패드
140a: 내측 커버링
140b: 외측 커버링
140c: 티어라인
150: 내측 보강천
160: 외측 보강천
170: 고정부재
172: 제1 체결부
174: 제2 체결부
180: 체결부재

Claims (9)

  1.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이 그 외부를 감싸는 내측 패드와,
    사이드에어백의 타측에 배치되며 외측 커버링이 그 외부를 감싸는 외측 패드와,
    상기 사이드에어백과 상기 내측 패드 사이에 위치해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을 감싸는 내측 보강천과,
    상기 외측 패드 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에어백의 일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천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보강천은 일측 단부가 내측 커버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부재를 통해 시트백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 보강천은 일측 단부가 외측커버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체결부재를 통해 내측 보강천의 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보강천의 고정부재는 일측에 시트백프레임이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외측 보강천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보강천의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 체결부에만 체결되고 시트 내부의 다른 구조물에는 정합되지 않는 전용구조로 형성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천의 일측 단부는 상기 내측 커버링에 봉제로 결합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천의 타측 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봉제로 결합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천의 일측 단부는 상기 외측 커버링에 봉제로 결합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천의 타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봉제로 결합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링과 외측 커버링은 일측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내측 커버링과 외측 커버링의 마주하는 단부는 봉제로 결합되어 사이드에어백 전개를 위한 티어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KR1020180055109A 2018-05-14 2018-05-14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KR10204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09A KR102041510B1 (ko) 2018-05-14 2018-05-14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09A KR102041510B1 (ko) 2018-05-14 2018-05-14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10B1 true KR102041510B1 (ko) 2019-11-06

Family

ID=6854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109A KR102041510B1 (ko) 2018-05-14 2018-05-14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359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20210149965A (ko) 2020-06-02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에어백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336A (ko) 2016-04-21 2017-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JP6235343B2 (ja) * 2011-12-22 2017-11-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5343B2 (ja) * 2011-12-22 2017-11-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KR20170120336A (ko) 2016-04-21 2017-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359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20210149965A (ko) 2020-06-02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에어백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410B1 (en) Curtain airbag device
JP546358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クの固定ブラケット
US11167717B2 (en) Airbag apparatus with protrusion parts
KR20170120336A (ko) 시트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JP4000740B2 (ja)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展開装置
KR102362071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8235415B2 (en) Textile gas guides for use with inflatable cushions
CN114901522B (zh) 安全气囊装置
US20180022304A1 (en) Vehicular seat
KR102041510B1 (ko)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JP2010095019A (ja) 車両用シート
JP6334185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KR20190130418A (ko)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KR102408015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44889B1 (ko) 사이드에어백 전개구조
CN215590678U (zh) 用于车辆的帘式气囊和帘式气囊组件
KR20200086023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20100125595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트
KR102473425B1 (ko) 에어백 장치
JP681026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H09240338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シート構造
CN109774646B (zh) 一种顶置式气囊
JP662083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JP2018176884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0172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