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245B1 -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245B1
KR102041245B1 KR1020150102124A KR20150102124A KR102041245B1 KR 102041245 B1 KR102041245 B1 KR 102041245B1 KR 1020150102124 A KR1020150102124 A KR 1020150102124A KR 20150102124 A KR20150102124 A KR 20150102124A KR 102041245 B1 KR102041245 B1 KR 10204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direct
print processing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924A (ko
Inventor
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47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apparatus
    • H04N1/32756Inhibiting connection of another apparatus when a first one is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72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a pop-up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Indicating an illegal or impossible operation or selec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13Data transmission device, e.g.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34Maintaining the detecting operation after an apparatus has been connected to th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인쇄장치에 인쇄 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을 금지한다. 한편, 인쇄장치에 인쇄 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을 허가한다.

Description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PRINTING APPARATUS HAVING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나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 중에서, 증가하는 수의 인쇄장치는 무선LAN 기능을 갖는다. 무선LAN 기능을 갖는 인쇄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PC)나 모바일 단말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인쇄장치의 중에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외부장치와 직접 무선통신을 행하는 인쇄장치도 존재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205982호에는, Wi-Fi 다이렉트나 블루투쓰(등록상표)를 사용해서 모바일 단말과 직접 무선통신을 행하는 인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인쇄장치의 이용 형태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31214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에 인쇄 처리장치를 접속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인쇄 처리장치는, 인쇄장치 자체에서는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를 해석할 수 있다. 인쇄 처리장치가 해석한 인쇄 데이터는, 인쇄장치가 서포트하고 있는 형식으로 변환되고 나서 인쇄장치에 송신된다. 그러므로, 인쇄장치는, 인쇄 데이터가 원래는 인쇄장치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도, 해석가능한 형식으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쇄장치에 인쇄 처리장치를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이 인쇄 처리장치를 통하지 않고 인쇄장치와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하여서, 인쇄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인쇄 데이터는 인쇄 처리장치를 통하지 않고 인쇄장치에 송신된다. 이 때문에, 인쇄장치는, 인쇄장치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장치에 인쇄 처리장치를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인쇄장치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가 수신할 때 일어나는 불편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인쇄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와 외부장치간의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고, 상기 인쇄장치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유저가 상기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인쇄장치는, 상기 인쇄장치와 외부장치간의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인쇄 처리장치를 통하지 않고 행해진 상기 외부장치와의 상기 무선통신을, 상기 인쇄장치가 실행하지 못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인쇄장치는, 상기 인쇄장치와 외부장치간의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를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인쇄 처리장치를 통하지 않고 상기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인쇄 처리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인쇄장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3b, 3c 및 3d는 조작부가 표시하는 조작 화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조작부가 표시하는 조작 화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인쇄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은 인쇄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책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a 및 1b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a는, 인쇄장치(10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b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면서 그 인쇄장치(100)를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도 1a를 사용하여, 인쇄장치(10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인쇄장치(100)는, 네트워크(12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12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PC)(110)등의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하다. PC(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에 송신한다. 인쇄장치(100)는, PC(110)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고 나서,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등의 중계장치를 통하지 않고 인쇄장치(100)로 하여금 외부장치와의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 가능하게 하는,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다. 이 무선통신의 구체적인 예로서 Wi-Fi 다이렉트와 블루투쓰(등록상표)가 생각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쇄장치(100)는 Wi-Fi 다이렉트를 실행하는 장치로서 설명한다. Wi-Fi 다이렉트를 그 설명에 사용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실시예를 적용 가능한 무선통신은 Wi-Fi 다이렉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장치(100)는,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30)과의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인쇄장치(10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고 나서, 그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도 1b를 사용하여,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해서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인쇄장치(100)와 인쇄 처리장치(140)는, 근거리 통신망(LAN)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PC(110)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인쇄 처리장치(140)는, 해당 인쇄 데이터를 해석한다. 인쇄 처리장치(140)는, 그 해석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가 서포트하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나서, 그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인쇄장치(100)에 송신한다. 인쇄장치(100)는, 인쇄 처리장치(140)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그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 처리장치(140)는,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인쇄 처리장치(140)는, 그 해석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가 서포트하고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나서, 그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에 송신한다. 따라서, 인쇄장치(100)는, 인쇄 데이터가 원래는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경우에도, 해석가능한 형식으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낸 것처럼,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해서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인쇄장치(100)와 모바일 단말(130)간에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하여 무선통신을 실행한다고 가정한다. Wi-Fi다이렉트를 사용하여 무선통신을 실행하면, 모바일 단말(130)은, 인쇄 처리장치(140)를 통하지 않고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장치(100)는, 인쇄 처리장치(140)를 통과하지 않은 인쇄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진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해서 인쇄장치(100)를 사용할 경우에,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외부장치와의 직접 무선통신의 실행이 금지된다. 달리 말하면, 유저가,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130)은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를 통하여 송신하여, 인쇄장치(100)는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a를 사용하여, 인쇄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인쇄장치(100)는 복합기를 상정하고 있지만, 스캐너 기능을 갖지 않는 프린터이어도 된다.
중앙처리장치(CPU)(201)는, 판독전용 메모리(ROM)(202)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판독된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인쇄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처리를 실행한다. ROM(202)은, 그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3)은, CPU(201)의 주 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을 일시 기억하는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04)는, 인쇄 데이터나 스캔 화상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인쇄장치(100)에서는, CPU(201), 즉 1개의 CPU가 후술하는 각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다른 형태가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CPU는, 협동해서 후술하는 각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프린터(205)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나 스캐너(206)에 의해 생성된 스캔 화상 등에 의거하여 시트(sheet)에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스캐너(206)는, 원고를 판독하고 스캔 화상(판독 화상 데이터)을 생성한다. 스캐너(206)에 의해 생성된 스캔 화상은, 프린터(205)에 의해 인쇄 및/또는 HDD(204)에 기억된다.
조작부(207)는, 터치패널 기능을 가지는 액정표시부와 키보드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부(207)를 통해 인쇄장치(100)에 대하여 지시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8)는, Wi-Fi 다이렉트에 근거하여, 모바일 단말(130)등의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209)는 네트워크(120)에 접속하고,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도 2a는, 인쇄장치(100)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접속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인쇄장치(100)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접속해서 사용할 경우,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100)와 인쇄 처리장치(140)는 LAN케이블로 접속된다.
다음에, 도 3a, 3b, 3c 및 3d를 사용하여, 유저가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할 때 후속되는 조작 순서, 및 조작부(207)가 표시하는 조작 화면을 설명한다. 도 3a의 메뉴 화면(300)은, 조작부(207)가 표시하는 화면이다. 메뉴 화면(300)은, 유저가 이용 가능한 여러 가지 기능 선택 가능한 기능을 표시한다. 버튼(301)을 유저가 선택하면(터치패널일 경우에 터치하면), 유저가 카피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카피 화면을 조작부(207)가 표시한다. 버튼(302)을 유저가 선택하면, 유저가 Send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Send화면을 조작부(207)가 표시한다. 버튼(304)을 유저가 선택하면, 용지설정이나 네트워크 설정등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설정 화면을 조작부(207)가 표시한다.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기 위해서, 유저는 메뉴 화면(300)의 버튼(303)을 선택한다. 유저가 버튼(303)을 선택하면, 조작부(207)는 도 3b에 나타낸 접속 화면(310)을 표시한다. 접속 화면(310)에는, Wi-Fi 다이렉트에 근거한 무선통신 접속 처리를 유저가 시작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속 시작 버튼(311)이 표시된다.
접속 화면(310)에 있어서 유저가 접속 시작 버튼(311)을 선택하면, 조작부(207)는 도 3c에 나타낸 접속 화면(320)을 표시한다. 그리고, 무선통신부(208)는, Wi-Fi 다이렉트에 근거한 무선통신의 접속 처리를 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부(208)는 접속 상대를 탐색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유저 조작을 트리거로 해서 모바일 단말(13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Wi-Fi 다이렉트에 근거한 무선통신의 접속 처리를 시작함으로써, 무선통신부(208)가 모바일 단말(130)을 접속 상대로서 특정한다.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을 멈추기 위해서, 유저가 버튼(321)을 선택하도록 설치된다.
무선통신부(208)가 접속 상대로서 모바일 단말(130)을 특정하면, 무선통신부(208)와 모바일 단말(130)과의 사이에서 Wi-Fi 다이렉트에 근거하는 무선통신이 확립된다. 이에 따라, 인쇄장치(100)와 모바일 단말(130)은, 액세스 포인트 등의 중계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어, 모바일 단말(130)은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인쇄장치(100)와 모바일 단말(130)과의 사이에서 Wi-Fi 다이렉트에 근거하는 무선통신이 확립되면, 조작부(207)는 도 3d에 나타낸 접속 화면(330)을 표시한다.
이상, 도 3a, 3b, 3c 및 3d를 사용하여,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할 경우의 조작 순서를 설명했다. 한편, 도 1b와 같이,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해서 사용할 경우,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은 금지된다.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을 어떻게 금지할지에 대해서, 도 4a 및 4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유저가 메뉴 화면(300)의 버튼(303)을 선택하면, 조작부(207)는 도 4a의 접속 화면(400)을 표시한다. 접속 화면 400은, 도 3b의 접속 화면 310과는 달리, 접속 시작 버튼(401)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지 않는 무효상태에서 표시된다. 접속 화면(400)에 있어서 접속 시작 버튼(401)은, 무효상태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그레이 아웃된다. 접속 시작 버튼(401)은, 유저가 접속 시작 버튼(401)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아무것도 반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이 금지된다.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을 금지하기 위한 방법은, 접속 화면(40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이 채택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속 화면 310의 접속 시작 버튼(311)이 눌린 것에 따라, 도 4b의 접속 화면 410에 나타낸 메시지(411)를 표시해도 좋다. 또한, 메뉴 화면(300)에 있어서, 버튼(303)을 유저가 선택할 수 없도록 제어함으로써(예를 들면, 버튼(303)을 그레이 아웃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것을 금지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 Wi-Fi 다이렉트의 이용이 금지된다. 그렇지만, 모바일 단말(130)을 사용한 인쇄가 완전히 무효로 되어 있다.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하지 않고 Wi-Fi를 거쳐 모바일 단말(130)이 인쇄 처리장치(140)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할 때, 모바일 단말(130)를 사용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대로,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인쇄장치(100)와 모바일 단말(130)간의 직접 무선통신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가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가 수신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화면천이가 발생했을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를, 도 5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CPU(201)는 ROM(202)등의 메모리에 격납된 제어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203)에 로딩해서 실행함으로써 도 5의 흐름도의 각 단계를 행한다.
유저 조작에 의해 생긴 화면천이가 발생하면, 단계S501에 있어서, CPU(201)는,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이, 유저가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기 위해 나타내는 Wi-Fi 다이렉트의 접속 화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이 Wi-Fi 다이렉트의 접속 화면은 아니라고 CPU(201)가 판정하면(단계S501에 있어서 NO), 단계S5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5에 있어서, CPU(201)는, 조작부(207)가 화면천이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조작부(207)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조작부(207)는 화면천이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이 Wi-Fi 다이렉트의 접속 화면이라고 CPU(201)가 판정하면(단계S501에 있어서 YES), 단계S5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2에 있어서, CPU(201)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하는 경우에, 인쇄 처리장치(140)의 식별 정보가 HDD(204)등의 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단계S502에서는, 이 인쇄 처리장치(140)의 식별 정보의 유무를 CPU(201)가 체크함으로써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방법은 단계S50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이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문의하는 문의 패킷을 네트워크I/F(209)를 통해 송신하고, 그 문의 패킷에 대한 응답의 유무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장치(140)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도 좋다.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CPU(201)가 판정했을 경우(단계S502에 있어서 NO), 단계S5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3에 있어서, CPU(201)는,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상태에서, 조작부(207)가 Wi-Fi 다이렉트의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조작부(207)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207)는, 도 3b에 나타낸 접속 화면(310)과 같이, 유저가 Wi-Fi 다이렉트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접속 시작 버튼을 선택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달리 말하면,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유저는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것이 허가된다.
한편,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고 CPU(201)가 판정했을 경우(단계S502에 있어서 YES), 단계S5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4에 있어서, CPU(201)는,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기 위해 선택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207)가 Wi-Fi 다이렉트의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조작부(207)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207)는, 도 4a의 접속 화면(400)과 같이,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 시작 버튼을 유저가 선택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이와는 달리, 도 4b에 나타낸 접속 화면(4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가 접속 시작 버튼을 선택했을 때에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할 수 없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따라서,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유저가 Wi-Fi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금지할 것인가 아닌가가 결정된다.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유저는, Wi-Fi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허가된다. 달리 말하면, 인쇄장치(100)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Wi-Fi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허가되게 된다.
한편,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 유저는, Wi-Fi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금지된다. 달리 말하면, 인쇄장치(100)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Wi-Fi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금지되게 된다.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유저가 Wi-Fi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인쇄장치(100)에 직접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장치(100)는,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 및 인쇄장치(100)의 구성은, 도 1a 및 1b와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같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 Wi-Fi 다이렉트를 유저가 이용하는 것이 허가된다. 인쇄장치(100)는,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을 행하여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그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30)이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에 의해 직접 송신하는 경우에도, 그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처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장치(100)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된 구성에 있어서,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인쇄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 6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CPU(201)는 ROM(202)등의 메모리에 격납된 제어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203)에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6의 흐름도의 각 단계를 행한다.
단계S601에 있어서, CPU(201)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쇄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CPU(201)가 판정하면(단계S601에 있어서 YES), 단계S6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단계S601에 있어서 NO), CPU(201)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다음에, 단계S602에 있어서,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CPU(201)가 판정한다.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해서 무선통신부(208)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CPU(201)가 판정하고(단계S602에 있어서 YES), 단계S603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네트워크I/F(209)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 하지 않다고 CPU(201)가 판정하고(단계S602에 있어서 N0), 단계S6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5에 있어서, CPU(201)는, 프린터(205)가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도록 프린터(205)를 제어한다. 따라서, 프린터(205)는 그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603에서 행해진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S603에 있어서, CPU(201)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S502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CPU(201)가 판정하면(단계S603에 있어서 NO), 단계S6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5에 있어서, CPU(201)는, 프린터(205)가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도록 프린터(205)를 제어한다.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기술하면, 단계S605의 처리는 에러 종료한다.
한편, 인쇄 처리장치(140)가 인쇄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고 CPU(201)가 판정하면(단계S603에 있어서 YES), 단계S6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4에 있어서, CPU(201)는, 네트워크I/F(209)가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I/F(209)를 제어한다. 따라서, 네트워크I/F(209)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전송한다. 인쇄 데이터가 전송된 인쇄 처리장치(140)는, 상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처리장치(140)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가 서포트하고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나서 인쇄장치(100)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송신된 인쇄 데이터는 네트워크I/F(209)가 수신하므로,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 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나서(단계S602에 있어서 NO), 단계S605에서는 인쇄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가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 인쇄장치(100)는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해서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장치(140)에 전송한다. 전송한 인쇄 데이터는, 인쇄 처리장치(140)가 처리한 다음, 다시 인쇄장치(100)에 송신된다. 따라서,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하고 있는 구성에 있어서, 인쇄장치(100)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100)가 수신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140)를 접속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의 실행을 예외없이 금지하였다. 그렇지만, 인쇄장치(100)가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예를 들면, 스캐너(206)가 생성한 스캔 화상)를 모바일 단말(130)에 송신할 경우에는, 반드시 인쇄 처리장치(140)를 거쳐서 그 데이터를 송신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100)에 인쇄 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인쇄장치(100)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금지하면서,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인쇄장치(100)가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30)에 송신하는 것은 허가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100)와 모바일 단말(130)과의 사이에서 인쇄 처리장치(140)를 통하지 않고 실행하는 무선통신의 일례로서,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한 통신을 들었다. 그렇지만,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술한 각 실시예를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쇄장치(100)가 직접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구성에서는, 인쇄장치(100)와 모바일 단말(130)과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무선통신은, 인쇄 처리장치(140)를 통하지 않고 실행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상술한 각 실시예를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의 임의의 실시예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거쳐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그 장치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나서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 실현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회로(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쇄장치에 인쇄 처리장치를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인쇄장치가 서포트 하고 있지 않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가 수신할 때 일어나는 불편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7)

  1.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인쇄장치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와 외부장치 사이에 직접 무선접속을 행하게 하는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부;
    상기 인쇄장치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조건에 대해, 적어도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인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조건에 대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인쇄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문의하는 문의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문의 패킷에 대한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인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은 Wi-Fi 다이렉트인, 인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프린터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중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장치와 외부장치 사이에 직접 무선접속을 행하게 하는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부를 가지는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장치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조건에 대해, 적어도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0.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프린터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중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장치와 외부장치 사이에 직접 무선접속을 행하게 하는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부를 가지는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인쇄장치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조건에 대해, 적어도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11. 삭제
  12. 삭제
  13.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인쇄장치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와 외부장치 사이에 직접 무선접속을 행하게 하는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부;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을 위한 실행 명령을 상기 인쇄장치에 입력하도록 유저에게 제공되는 접속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인쇄장치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조건에 대해, 상기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무선 통신 기능은 Wi-Fi 다이렉트인, 인쇄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인, 인쇄장치.
  16. Wi-Fi 다이렉트에 의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직접 인쇄 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인쇄장치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인쇄장치가 상기 직접 인쇄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처리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상기 판정부가 판정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인쇄장치가 상기 직접 인쇄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인쇄장치.
KR1020150102124A 2014-07-24 2015-07-20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41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1203 2014-07-24
JP2014151203A JP6341785B2 (ja) 2014-07-24 2014-07-24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924A KR20160012924A (ko) 2016-02-03
KR102041245B1 true KR102041245B1 (ko) 2019-11-06

Family

ID=5506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124A KR102041245B1 (ko) 2014-07-24 2015-07-20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742956B2 (ko)
JP (1) JP6341785B2 (ko)
KR (1) KR102041245B1 (ko)
CN (1) CN105278892B (ko)
DE (1) DE102015112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1785B2 (ja) * 2014-07-24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84580B1 (ja) * 2016-01-29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44783B2 (ja) * 2016-08-17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93247B1 (ja) * 2016-11-29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05154B2 (ja) 2017-03-16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WO2018216437A1 (ja) * 2017-05-23 2019-1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49086B2 (ja) * 2017-08-29 2022-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9924A (ja) * 2012-08-31 2014-03-17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4052B2 (ja) * 2001-04-18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印刷システム
JP4328749B2 (ja) * 2005-09-01 2009-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5049900B2 (ja) * 2008-06-30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設定装置、画像出力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35695B2 (ja) * 2009-01-16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13205982A (ja) * 2012-03-27 2013-10-07 Canon Inc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6019675B2 (ja) * 2012-03-30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CN103748542A (zh) * 2012-08-17 2014-04-23 弗莱克斯电子有限责任公司 互动电视的屏幕上设置互动
JP6031899B2 (ja) * 2012-09-03 2016-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75992B1 (ko) * 2012-09-26 2019-05-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JP2014162050A (ja) * 2013-02-22 2014-09-08 Canon Inc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41785B2 (ja) * 2014-07-24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9924A (ja) * 2012-08-31 2014-03-17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1785B2 (ja) 2018-06-13
US10523841B2 (en) 2019-12-31
US20160028918A1 (en) 2016-01-28
US20170310847A1 (en) 2017-10-26
CN105278892B (zh) 2018-12-28
JP2016025647A (ja) 2016-02-08
DE102015112021A1 (de) 2016-01-28
US9742956B2 (en) 2017-08-22
KR20160012924A (ko) 2016-02-03
CN105278892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245B1 (ko) 직접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26511B1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98465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aving a transmission history based on a user instruction
US1110283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1177075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3536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pecifying a position of a printer, measuring a distance range in plural communication modes
US10725715B2 (en) Displaying information on terminal device based on terminal device type
US9794426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802278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327144B2 (en) Prin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3061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internet based on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connection with external apparatus based on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parallel, and control method
US201802677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50359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system, methods of controlling these, and storage medium
US980480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printing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charge server to perform charging control related to printing
JP2017182181A (ja) 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US202001777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0455099B2 (en) Printing apparatus with pull scan function,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1556213A (zh) 信息处理装置、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0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15

Effective date: 201908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