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92B1 -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92B1
KR102040892B1 KR1020180153724A KR20180153724A KR102040892B1 KR 102040892 B1 KR102040892 B1 KR 102040892B1 KR 1020180153724 A KR1020180153724 A KR 1020180153724A KR 20180153724 A KR20180153724 A KR 20180153724A KR 102040892 B1 KR102040892 B1 KR 10204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authority
securities
security
assig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8015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92B1/ko
Priority to PCT/KR2019/016897 priority patent/WO20201168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관리 서버가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포함된 성격, 수량을 고려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로 제1 양도 권한자 및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을,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권한 양도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유가증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양도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제1 권한 양도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ULTI-LEVEL SECURITY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실시예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유가증권은 신용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재산상의 권리변동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생긴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일정한 재산에 관한 권리를 담고 있는 증서로서 재산권을 유동화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오늘날 현금을 대체하는 목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쿠폰, 할인권, 공연 티켓, 공연 초대권 등의 유가증권이 전자적으로 발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적으로 유가증권의 실제 사용 및 유통 과정에서는 실물 유가증권의 확인이 필요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공연 티켓을 전자적으로 구매하였더라도, 구매 과정만 온라인 상에서 진행되고 실물 공연 티켓이 구매자에게 배송되고, 실제 구매자는 실물 공연 티켓에 대한 확인 과정을 통해 공연을 관람할 수 있었다.
또한, 실물 공연 티켓에 대한 사용 여부 역시 실물 공연 티켓들을 정산하는 과정을 통해 공연 티켓이라는 유가증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포함된 성격, 수량을 고려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로 제1 양도 권한자 및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을,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권한 양도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유가증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양도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제1 권한 양도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사용된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유가증권의 소유권 이전 요청이 수신되면, 유가증권의 소유자를 제2 사용자로 변경하고, 소유권 변경 이력을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단계식 유가증권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는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신호 수신부;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포함된 성격, 수량을 고려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로 제1 양도 권한자 및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는 양도 권한 산출부;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을,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을 각각 할당하는 양도 수행부; 상기 제1 권한 양도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유가증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양도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는 이력 관리부; 및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제1 권한 양도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가증권의 발행, 유통, 사용을 디지털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가증권의 사용 여부를 전자 기기를 통해서 획득함으로써, 유가증권의 유통 뿐만 아니라 사용율 등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적으로 발행된 유가증권의 양도 및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복수의 양도 권한자들을 통해 유통시키고, 양도 권한자들을 통해 유가증권의 사용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가증권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관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시 도면들이다.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가증권은 화폐의 대용으로 유통되는 것으로, 공연, 행사, 이벤트 등의 입장 권한을 포함하는 티켓, 사용권이나, 온라인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권, 쿠폰, 구매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발행자, 양도자, 양수자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사용자가 유가증권에 따라서 발행자, 양도자, 양수자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전자 기기들(201, 202, 203),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들 간에 유가증권의 유통 및 유가증권의 사용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은 유가증권을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유가증권을 발행시킬 수 있다.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은 요청자의 요청에 따라 유가증권을 전자적으로 발행하고 이렇게 발행된 유가증권을 실물 없이 관리할 수 있다. 유가증권의 양도, 사용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이벤트와 대응되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은 유가증권의 성격과 매칭되는 사용자에게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은 양도된 유가증권의 사용 여부를 수집하여 유가증권의 양도자인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들이 소지한 전자 기기들(201, 202, 203)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유가증권의 발행 요청자, 양도자, 양수인이 소지한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데이터를 케이스 별,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구조화할 수 있다. 구조화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00)로 전달되어 처리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정해진 수량의 유가증권들을 생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양도함으로써, 유가증권을 발행, 유통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요청에 의해 결정된 유가증권의 이름, 성격, 수량, 일정 등의 정보를 기초로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에 의해 정해진 양도 권한자들에 의해서 유가증권이 유통되게 된다. 관리 서버(100)는 유가증권을 양수한 양수자의 전자 기기 또는 사용 게이트 장치로부터 유가증권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사용자들은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을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은 유가증권의 양도, 양수, 사용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은 유가증권과 관련된 다양한 알람(신규 유가증권의 등록, 유가증권의 양도 입찰, 유가증권의 양수, 유가증권의 사용 등)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은 다른 사용자 즉 유가증권의 양수자, 양도자, 발행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전자 기기들(201, 202, 203)를 통해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자 별, 케이스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관리 서버(100)를 통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입출력부(140), 저장매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어,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저장매체(150), 통신부(120)에 의해 프로세서(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저장매체(15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가 저장매체(15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부(1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들(201, 202, 203), 데이터베이스(30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110)나 저장매체(150)로 전달될 수 있고, 수신된 영상 이미지 등은 저장매체(150)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매체(15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15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저장매체(15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120)를 통해 저장매체(15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저장매체(150)에 로딩될 수 있다.
입출력부(140)는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4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의 저장 매체(150)는 유가증권의 처리를 위하여 요청 신호 수신부(151), 양도 권한자 선별부(152), 양도 수행부(153), 사용자 관리부(154), 유가증권 관리부(155), 이력 관리부(156), 알람 발생부(157), 사용율 관리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신호 수신부(151)는 전자 기기들로부터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유가증권의 발행 요청은 발행하고자 하는 유가증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유가증권의 명칭, 성격, 장소, 시간, 공연자, 기획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양도 권한자 선별부(152)는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별 양도 능력 및 사용자의 누적 사용율, 관심 분야 등과 같은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유가증권의 발행 수량과 성격 등의 유가증권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유가증권에 적합한 양도 권한자를 선별한다. 양도 권한자 선별부(152)는 양도 능력이 높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관심 분야가 유가증권의 성격과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양도 권한자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양도 권한자 선별부(152)는 양도 능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관심 분야 등을 고려하여 양도 권한자를 선별한다.
사용자의 양도 능력은 양도한 수량, 양도한 시간(유통 속도), 양도 후 사용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양도 능력은 유가증권의 성격에 따라서 다르게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제1 분야에 대한 양도 능력과 제1 사용자의 제2 분야에 대한 양도 능력은 제1 분야의 유가증권 및 제2 분야의 유가증권을 각각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양도 권한자 선별부(152)는 발행 요청자의 요청에 의해 독점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기도 한다.
양도 수행부(153)는 양도 권한자에게 일정 수량의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을 부여한다. 양도 권한의 부여 이후에, 양도 권한자의 아이디로 로그인하게 되면, 양도 권한이 있는 유가증권들이 표시될 수 있다. 양도 권한이 있는 유가증권은 양도 권한자에게 완전히 소유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시간 동안 유가증권의 양도를 가능하게 하는 양도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양도 수행부(153)는 양도 권한자가 아닌 사용자들 사이에서 유가증권의 소유권을 이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도 수행부(153)는 양도 권한자로부터 유가증권을 소유한 제1 사용자는 유가증권을 제2 사용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양도 권한자가 없는 제1 사용자를 통해서는 유가증권의 소유권이 제2 사용자에게 이전되게 된다.
관리 서버(100)는 유가증권의 양도와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등록, 양도 권한자의 등록 및 지정, 양도 권한자들 사이의 계층 구조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54)는 유가증권의 양도 히스토리들을 기초로 각 사용자의 양도 능력을 관리하며, 양도 권한자들 간의 설정된 계층 구조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54)는 양도 권한자로 등록된 사용자를 양도 권한자로 설정한다. 양도 권한자는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 사용자로서, 관리 서버(100)를 통해 이루어진 양도 히스토리를 통해 양도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양도 권한자는 자신의 양도 능력 뿐만 아니라 자신의 하위 양도 권한자를 통해서 양도 능력을 변경 시킬 수 있다. 하위 양도 권한자를 통해 이루어진 양도, 양도 후 사용 등의 이력을 통해 양도 능력이 상승될 수 있다. 하위 양도 권한자는 제1 양도 권한자에 종속되어 연결된 양도 권한자를 말하며, 제1 양도 권한자의 선택에 의해 유가증권의 양도를 허여받을 수 있는 사용자를 말한다. 반대로 하위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된 유가증권은 그 상위 양도 권한자인 제1 양도 권한자에 의해 자유롭게 양도될 수 있는 구조이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들 사이의 계층의 승인에 따라 양도 권한자들 사이의 상위 또는 하위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위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은 종속된 하나 이상의 하위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들을 조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54)는 계증 구조를 고려하여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된 유가증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된 유가증권에는 하위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된 유가 증권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위 양도 권한자는 하위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된 유가 증권에 대해서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반대로 하위 양도 권한자는 상위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된 유가증권 중에서, 상위 양도 권한자가 승인한 유가증권에 대해서 양도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54)는 양도 권한자들의 관계를 사용자 정보와 별개의 링크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 정보에 복수의 양도 권한자들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 양도 권한자의 상위 양도 권한자 B인 경우, A를 통해 양도된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 정보에 'A|B'와 같이 양도 권한자 및 상위 양도 권한자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54)는 해당 유가증권 관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한 사용자들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에 대한 회원 가입 과정은 전화 번호의 입력 및 비밀 번호의 입력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전화 번호에 대해서는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회원 가입이 접수된 경우, 주민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다른 정보를 통해 회원 가입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전화 번호와 대응되는 전자 기기로 인증 번호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입력을 요청함에 따라 전화 번호를 통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유가증권 관리부(155)는 관리 서버(100)를 통해 관리되는 유가증권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유가증권 관리부(155)는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을 가진 사용자, 각 유가증권의 소유자 정보, 각 유가증권의 양도 이력 정보, 각 유가증권의 사용 여부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유가증권 관리부(155)는 발행 요청에 의해 발행된 유가증권들을 정해진 수량 만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행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유가증권들은 구별되는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유가증권의 아이디는 발행 요청과 대응되는 아이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가증권 관리부(155)는 발행된 유가증권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유가증권의 구조화된 데이터는 아이디 등의 식별 정보, 양도권한자의 계정, 소유자의 계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양도 권한자의 계정 또는 소유자의 계정은 전화 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의 다른 정보와 연계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력 관리부(156)는 양도 권한자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양도 이력이 수신되면,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력 관리부(155)는 유가증권들의 사용 이력이 수신되면 유가증권의 사용 수량 및 사용율을 재 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 여부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전자 기기 및 유가증권와 관련된 전자 기기로부터 모두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유가증권에 대한 사용 데이터는 C 유가증권의 소유자의 전자 기기 및 C 유가증권과 관련된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만 사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알람 발생부(157)는 사용 이력이 수신되지 않은 사용자 정보를 취합하여 양도 권한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가증권을 양도한 양도 권한자로부터 유가증권을 양수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 이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 이력이 없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양도 권한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양도 권한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특정한 사용자의 사용을 독촉하는 독촉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율 관리부(158)는 유가증권의 사용율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율 관리부(158)는 양도 권한자 또는 양도인의 요청에 의해 미 사용자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의 위치 및 입장 시간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율 관리부(158)는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의해 미 사용자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미사용자의 보유 유가증권을 박탈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가증권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S11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단말기로부터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한다.
S12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별 양도 능력 및 사용자의 누적 사용율, 관심 분야 등과 같은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유가증권의 발행 수량과 성격 등의 유가증권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유가증권에 적합한 양도 권한자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유가증권의 성격이 음악인 경우, 음악과 관련된 유가증권에 대한 사용자의 양도 능력 음악 이외의 분야의 유가증권에 대한 사용자의 양도 능력 등을 고려하여, 유가증권에 적합한 양도 권한자를 선별한다. 이때, 양도 능력 보다는 유통된 유가증권의 사용율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어 양도 권한자를 선별한다.
사용자의 양도 능력은 양도한 수량, 양도한 시간(유통 속도), 양도 후 사용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양도 능력은 유가증권의 성격에 따라서 다르게 선별할 수 있다.
S13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양도 권한자 중에서, 제1 양도 권한자의 누적 양도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양도할 수량을 결정한다. 제1 양도 권한자를 통해 이루어진 누적 양도 히스토리로부터 제1 양도 권한자의 평균 양도 수량을 기초로 양도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양도 권한자를 통해 이루어진 누적 양도 히스토리로부터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후 사용 수량을 기초로 양도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양도 권한자와 연결된 하위 양도 권한자의 규모를 기초로 양도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S14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에게 할당하기로 결정한 양도 수량의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을 제1 양도 권한자의 계정으로 전송하고, 소정의 보증금을 요청할 수 있다. 양도된 유가증권의 양도 수량 및 가격에 따라서 보증금이 차등화될 수 있다.
S15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로부터 양도 이력이 수신되면,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고, 유가증권들의 사용 이력이 수신되면, 유가증권의 사용 수량 및 사용율을 재 산출한다.
S16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유가증권들의 양도 이력 및 사용 이력을 기초로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재 산출한다.
이와 같이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은 양도 권한을 가지는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고려하여 유가증권의 일정 수량에 대한 양도 권한을 부여한다. 양도 권한자는 할당된 유가증권의 범위 내에서 유가증권을 양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중에서,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S21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유가증권을 제1 양도 권한자,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 및 제2 수량 만큼 각각 할당한다. 제1 양도 권한자는 제1 수량 만큼, 제2 양도 권한자는 제2 수량 만큼 제1 유가증권에 대한 양도 권한을 보유하게 된다.
S22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양수인인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1 유가증권을 양도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23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중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유가증권을 다른 제2 사용자에게 양도한 양도 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양도 권한자는 자유롭게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 받은 유가증권을 양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전자적으로 발행된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면서 양도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양도인은 양도가 완료된 이후에도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확인할 수 있다. 양도 권한자의 보유자 확인 요청에 의해 현재 보유자의 정보가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S24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양수인 중에서 제2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유가증권의 제1 사용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S25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양도된 제1 수량의 유가증권에 대한 양도 이력, 사용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양도 이력 및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제1 양도 권한자가 지정한 시점에 전달될 수 있다. 유가증권의 마감 시점에 앞선 임의의 시점에 양도 이력 및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유가증권의 미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보유자 중에서, 사용하지 않은 유가증권의 보유자 정보를 취합하여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S26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양도 이력 및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할 수 있다. 유가증권의 사용율이 원 사용율보다 높은 경우, 제1 양도 권한자의 이전 양도 능력 보다 높은 양도 능력이 설정되고, 유가증권의 사용율이 원 사용율보다 늦은 경우, 제1 양도 권한자의 이전 양도 능력 보다 낮은 양도 능력이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양도 권한자가 제1 양도 권한자의 하위 양도 권한자인 경우, 제2 양도 권한자에 의해 이루어진 양도 행위, 사용 이력 등을 통해 산출된 양도 능력은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제1 양도 권한자는 제2 양도 권한자에 의해 이루어진 양도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조회하고 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양도 권한자를 통해 양도된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이용하여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중에서, 미 사용자에게 독촉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S31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유가증권을 제1 양도 권한자,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 제2 수량 만큼 각각 양도할 수 있다. 제1 양도 권한자의 제1 수량은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양도 권한자의 제2 수량은 제2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S32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제1 유가증권을 양도한다. S33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유가증권을 다른 제2 사용자에게 양도한 양도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S34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에 의해 설정된 시점까지 제2 사용자에 의해 사용 이력을 수신되지 않은 사용자 정보를 취합하여, 미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미 사용자 정보를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S35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미 사용자에 대한 독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36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독촉 입력에 응답하여 미 사용자인 제2 사용자의 전자 기기의 위치 및 입장 시간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미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된 요청 메시지는 전자 기기의 위치를 획득하는 모듈 및 입장 시간을 입력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S37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를 고려하여 입장 시간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위치 및 유가증권의 목표 위치 사이의 거리 차를 고려하여 입력된 입장 시간의 타당성을 판단한다. 이때, 입장 시간의 타당성은 거리 차에 자동차의 일반 속도, 예를 들어 60km를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거리 차에 적용되는 속도 정보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의 이동 속도가 적용될 수 있다.
S38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입장 시간이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사용자의 유가증권을 박탈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양도 권한자의 요청에 의해 유가증권의 미사용자의 사용을 독촉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미사용될 유가증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중에서, 독점 양도 권한자를 선정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S41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제2 유가증권에 대한 독점 양도 권한자를 선별한다. 관리 서버(100)는 양도 능력이 기 설정된 상위값 이상의 양도 권한자들 중에서 독점 양도 권한자를 선정할 수 있다. 상위 값은 상위 5%와 같이 양도 권한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S42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독점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유가증권의 전체 수량을 양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독점 양도를 허용한 유가증권에 대해서 독점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유가증권의 전체 수량을 양도할 수 있다.
S43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독점 양도 권한자에 의해 제2 유가증권이 양도된 양도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독점 양도 권한자에 의해 이루어진 양도 이력, 사용 이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독점 양도 권한자에게 양도 이력 및 사용 이력의 조회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S44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양도 이력을 통해 전체 수량의 양도 및 사용이 완료된 경우, 추가 리워드를 독점 양도자의 계정에 적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50에서는 관리 서버(100)는 독점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최상위 값으로 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서버(100)는 유가 증권의 양도를 독점적으로 1명의 양도 권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유가증권에 상대적으로 짧은 제한 시간이 설정되거나, 유가증권의 수량이 매우 제한적인 경우, 관리 서버(100)는 유가 증권을 독점적 양도 권한자에게 제공하고, 그에 따른 추가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금요일 밤, 새벽과 같은 황금 시간대의 클럽 사용 권한, 하나의 이벤트 내에서도 특별한 자리에 대한 권한 등과 같은 유가증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관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시 도면들이다.
양도 권한자가 로그인하게 되면, 양도 권한이 있는 공연들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도 권한자에게는 제1 공연 티켓 80장, 제2 공연 티켓 70장, 제3 공연 티켓 23장이 할당될 수 있다. 공연 정보 화면에는 사용된 수량/할당된 수량으로 사용된 수량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3 공연 티켓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제3 공연 티켓에 대한 할당 수량 및 사용 수량을 제공하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양도 권한 있는 23장의 티켓 중에서, 15 장의 사용 티켓(S1) 및 7장의 미 사용 티켓(S2)이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를 통해 입장 예정 시간을 입력하는 화면이 유가증권의 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S3를 통해 입장 예정 시간이 입력되고 완료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미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자동적으로 전자 기기에 포함된 GPS 등의 위치 모듈을 통해 추출되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관리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입장 예정 시간을 입력하는 요청 신호를 통해서 미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입장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보유한 유가증권의 조회 화면(A1)을 제공할 수 있다. 조회 화면은 개별 유가증권을 실물과 같은 모양을 가지는 티켓들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가증권(S1) 및 제2 유가증권(S2)은 유가증권의 명칭, 소유자, 등록 유효 기간, 사용을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연 초대권의 유가증권인 경우, 공연장에 설치된 입장 요원의 전자 기기를 통해 유가증권의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유가증권의 사용이 확인되고 유가증권의 사용 데이터가 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소유한 티켓 리스트 영역의 하단에는 본인 등록하기(S3), 보내기 버튼(S4)이 포함될 수 있다. 본인 등록하기(S3)를 통해서는 소유자의 정보를 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내기 버튼(S4)이 선택되면, 수신자 정보 입력 화면(A2)로 이동한다. 수신자 정보 입력 화면(A2)는 이름(S5) 및 전화 번호(S6)를 입력하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연 초대권의 유가증권이 전송된 이후에는, 전송 완료 화면(A3)이 제공될 수 있다. 전송 완료 화면(A3)은 전송된 티켓에 대한 정보(S7)가 제공될 수 있다. 전송된 티켓에 대한 정보(S7)는 이름, 전화 번호,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NS로 공유하기 버튼(S8), 링크 복사하기 버튼(S9)를 포함할 수 있다.
SNS로 공유하기 버튼(S8) 및 링크 복사하기 버튼(S9)를 이용하여 공연 초대권인 유가증권을 전달 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에 회원가입, 등록 절차 등의 수행 없이도 SNS 및 링크를 이용하여 수신된 티켓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한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수신된 티켓을 조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관리 서버
201, 202, 203: 관리 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관리 서버가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별 양도 능력 및 사용자의 누적 사용율, 관심 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포함된 성격, 발행 수량을 포함하는 유가증권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로 제1 양도 권한자 및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되, 상기 유가증권의 성격과 동일한 관심 분야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제1 양도 권한자 및 상기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을,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을 각각 할당하되,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에 대한 양도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에 대한 양도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상기 양도 권한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를 가능하게 함-;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유가증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양도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사용된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은
    양도한 수량, 양도한 유통 속도 및 양도 후 사용율을 고려하여 판단되며, 양도된 유가증권의 성격에 따른 제1 분야 및 제2 분야로 다르게 설정되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4. 유가증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신호 수신부;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별 양도 능력 및 사용자의 누적 사용율, 관심 분야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유가증권 발행 요청에 포함된 성격, 발행 수량을 포함하는 유가증권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 권한자로 제1 양도 권한자 및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되, 상기 유가증권의 성격과 동일한 관심 분야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제1 양도 권한자 및 상기 제2 양도 권한자를 선별하는 양도 권한 산출부;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을,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을 각각 할당하되,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에게 제1 수량에 대한 양도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양도 권한자에게 제2 수량에 대한 양도 권한을 부여하는 양도 수행부 - 상기 양도 권한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유가증권의 양도를 가능하게 함 -;
    상기 제1 양도 권한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유가증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양도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보유자를 변경하는 이력 관리부; 및
    상기 유가증권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이력을 고려하여 제1 양도 권한자의 양도 능력을 산출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하는 시스템.
  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53724A 2018-12-03 2018-12-03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4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24A KR102040892B1 (ko) 2018-12-03 2018-12-03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9/016897 WO2020116887A1 (ko) 2018-12-03 2019-12-03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24A KR102040892B1 (ko) 2018-12-03 2018-12-03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90A Division KR102231790B1 (ko) 2019-10-29 2019-10-29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892B1 true KR102040892B1 (ko) 2019-11-06

Family

ID=6854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24A KR102040892B1 (ko) 2018-12-03 2018-12-03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0892B1 (ko)
WO (1) WO20201168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87A1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티킷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336A (ko) * 2011-01-20 2012-08-07 비씨카드(주)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KR20170051307A (ko) * 2015-10-29 2017-05-11 다카미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티켓 관리 장치 및 전자 티켓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005B1 (ko) * 2005-05-13 2007-04-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 기반의 사용 권한 양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20087781A (ko) * 2010-11-25 2012-08-07 (주) 나무인터넷 전자티켓의 양도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040892B1 (ko) * 2018-12-03 2019-11-06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336A (ko) * 2011-01-20 2012-08-07 비씨카드(주)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KR20170051307A (ko) * 2015-10-29 2017-05-11 다카미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티켓 관리 장치 및 전자 티켓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87A1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티킷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87A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9281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上で匿名で保持されるトークンに関連付けられた交換を指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924325B2 (en) Blockchain-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JP685138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の効率的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869250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使用して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を効率的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92534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トークナイゼーションを用いた交換
JP6957482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のセキュア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4207643A (zh) 用于区块链经营的系统和方法
US11636469B2 (en) Data access management with non-fungible tokens
JP6967116B1 (ja) 電子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114707A1 (en) Distribution of Blockchain Tokens
KR102040892B1 (ko)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66687B1 (ko) 그룹 포인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65257B1 (ko) 블록체인방식에 기반한 전자상거래 마일리지 운용 방법 및 전자상거래 마일리지 운용 시스템
KR102231790B1 (ko)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5945289B2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並びにそのポイント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033459A (ko)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92987B1 (ko) 무형자산의 가치책정 및 가상화폐의 발행과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99647B1 (en) Network node for securing physical items using cryptograhic data structures
KR102664344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9687B1 (ko) 블록체인 메인넷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JP713249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取引方法
KR102640619B1 (ko) 디지털 자산 결제 대행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45062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inventory management
KR20230151795A (ko) 디지털 자산 보호예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1779A (ko)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투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